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 Competitiveness: Support Sustainable Marine Transportation

        박주동(Ju-Dong Park),이종필(Jong-Phil Lee),이기열(Ki-Youl Lee),김성기(Sungki Kim),김성아(Sung-Ah Kim),이주원(Joo-Won Lee),상원(Sang-Won Park),김형태(Hyung-Tae Kim)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0 전자무역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항만시설 경쟁력을 평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현재 전 세계 다양한 해운항만물류 관련 평가체계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중심으로 이루어져 종합적인 평가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 해운항만물류분야에 대한 평가는 다소 절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및 정성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종합적이고, 최근의 글로벌 해운항만물류 트렌드를 반영한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항만 관련 선행연구와 해운항만물류 관련 지수의 국내외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려한다. 3장에서는 평가체계 개발 과정 및 평가 방법을 소개한다. 4장은 우리나라 항만을 대상을 수행한 시범사업의 평가 결과를 제시한다. 결과: 30개 무역항을 대상으로 평가해본 결과, 우리나라 항만은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디지털 관련 시설이 잘 확보되어 있는 반면 정시성 확보를 위한 시설 개선 및 운영 효율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환경 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와 개발은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창성/가치: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항만시설의 경쟁력 수준을 정시성, 안전, 친환경, 디지털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요인들을 동시에 반영하는 포괄적인 평가체계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한 지수를 개발한데 큰 의미가 있고, 시범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항만의 주요취급 화물별 시설 경쟁력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 항만시설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 및 개발의 우선순위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지속적인 수정/보완을 거쳐 국제지수로 확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derive improvement points by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port infrastructure. At present, various shipping-port-logistics related evalu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ei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ather than comprehensive evaluation. However, the result of evaluation for the shipping-port-logistics sector in Korea on a global level is undervalued and this is different from the real situation. Composition/Logic: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attempts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ports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f shipping port logistics-related indices. Chapter 3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valuation system(index) and evaluation method. Chapter 4 present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ilot project that conducted the port in Korea. Finding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30 trade ports in Korea, it was found that Korea s ports are generally safe and digitally secured, while improving facilities and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are needed to secure on schedule time. In particula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is urgent to make a large investment toward developing eco-friendly facilities. Originality/Value: In this study, it was meaningful to develop an index capable of such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hrough the pilot project, the competitiveness level of facilities in each port of Korea was identified.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initial resource for the prioritization of investment and developmen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trade ports in the future. Furthermore, in the long term, it would be expanded to the international index through continuou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 KCI등재

        Economic Impact of Port Industry in Korea

        Ju-Dong Park(박주동),Tae-Young Ha(하태영),Min-Kyu Lee(이민규)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2

        국내 항만에서 처리되는 화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항만산업의 역할과 중요성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항만산업의 정의는 과거에 머물러 있을 뿐만 아니라 명확한 범주도 정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글로벌 환경 및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국내 항만산업의 정의와 범주에 대한 새로운 정립이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항만 및 관련 산업이 국가 또는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국내 항만산업의 합리적인 경제적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분석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는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항만 관련 산업으로 해운산업과 수출산업을 지정하고, 항만 및 관련 산업을 해운항만산업으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해운항만산업의 국가 경제기여도는 2017년 기준 매출액 0.99%, 고용 0.59% 등으로 산정되었다. 지역 경제기여도 분석 결과 국내 최대 항만도시인 부산이 매출액과 고용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외에도 인천과 울산이 타 지역 대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항만이 위치한 지역의 경우 지역경제의 상당부분이 해운항만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책제언으로는 항만산업의 국가 및 지역경제 기여도를 지속적이고 정례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관련 제도 개선, 항만 및 관련 산업에 특화된 통계 자료의 위성계정 마련, 항만산업과 연관 산업 간 가치사슬 연구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port industry are expanding as the volume of cargo continues to increase,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s port industry.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port and related industries in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Specifically, based on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port industry from legal and industrial viewpoints, we employ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by Statistics Korea.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national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maritime and port industry in 2017 is estimated at 0.99% in sales and 0.59% in the worker’s sector, and the Busan area is estimated to have the highest economic efficiency of the maritime and port industry. Moreover, the local economic impact of major port cities of Incheon and Ulsan i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suggestions,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estimate the contribution of the port industry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by using such consistent public data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frameworks for formulating policies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the port industry.

      • KCI등재

        항만인프라 충분성 지수 개발

        박주동(Ju Dong Park),안승현(Seunghyun A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3 전자무역연구 Vol.21 No.1

        연구목적: 2018년 기준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지표에서 우리나라 항만인프라 부문은 23위로 철도 7위, 도로 12위, 공항 13위 등 여타 인프라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항만당국은 지난 2019년 “항만인프라 경쟁력 수준 평가 및 개발 기준 마련 연구”를 통해 국제 수준의 종합적인 항만인프라 평가 시스템 개발을 1단계 사업으로 완료하였다. 이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약 20개월 동안 “국제 항만인프라 경쟁력지수 적용 및 사업화 방안 마련 연구”를 2단계 사업으로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단계 사업에서 개발된 국제지수의 평가항목에 대해 재검토하고, 2단계 사업에 반영된 종합적인 항만 경쟁력 수준을 평가 가능한 ‘항만인프라 충분성 지수’에 대한 국제적 공신력 확보를 핵심 목적으로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국내외 항만인프라 평가 사례를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항만인프라 충분성 지수 개발 개요를 소개한다. 4장은 평가항목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결과: 국제지수의 공신력 확보를 위해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UNCTAD)를 비롯해 총 13개 국제협력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자문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지수의 평가항목 및 방법에 대해 검증하였다. 평가항목 및 방법에 대해 두 차례에 걸친 국제자문위원단의 검증 결과, 최초 정시성, 안전성, 친환경, 디지털 등 4개 영역 총 17개 항목에서 정시성, 친환경, 디지털화 등 3개 영역 총 11개 항목으로 개편되었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기 개발된 항만인프라 경쟁력 수준을 국제적 수준에서 평가 가능한 지수로 고도화하기 위해 보완하고 개선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제자문분과위원회의 검토 및 검증을 통해 국제 공신력도 확보하였다. 더불어 지수의 명칭도 ‘항만인프라 충분성 지수’로 변경하였다. Purpose: I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of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as of 2018, Korea's port infrastructure sector was ranked 23rd and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nfrastructures such as railroads 7th, roads 12th, and airports 13th. Therefor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 Korea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port infrastructure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 2019. After that, for approximately 20 months from 2020 to 2022,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port infrastructure competitiveness index and preparation of commercialization plans” was complete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dicators of the international index developed in the previous projects and to secure international public confidence. Composition/Logic: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draws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rt infrastructure evaluation cases. Chapter 3 introduces the outline of the development of Port Infrastructure Sufficiency Index(PISI), and Chapter 4 presents the verification results of evaluation indicators. Findings: To secure public confidence in the international index, the International Advisory Subcommittee consisting of 13 international cooperation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was organized and operated to verify the indicators and method of the index. The resultant verification showed that 17 indicators in four categories of punctuality, safety, eco-friendliness, and digitalization were reorganized as 11 indicators in the three categories of punctuality, eco-friendliness, and digitalization. Originality/Value: This study supplemented and upgraded the already developed port infrastructure competitiveness level index to that of an international level. In this process, international public confidence was secured through the review and ver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Subcommittee. Additionally, the index name was changed to ‘Port Infrastructure Sufficiency Index.’

      • KCI등재

        부산항 타부두 환적화물 수송 실태에 관한 연구

        박주동(Ju Dong Park)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20 해양비즈니스 Vol.- No.45

        Busan Port is not only separated into North Port and New Port, but is also consists of more than one terminal operators in each port;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e entire port is relatively low. This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causes inevitable Inter-terminal Transshipment(ITT) and increases operational inefficiencies.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public entities such as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Busan Port Authority, and local government have been trying effort through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However, the inefficiency of Busan Port is still being raised. The optimal solution is to integrate the terminal operators by the port but it is difficult in reality since the integration takes a long time in any way. As such,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TT in the short- to mid-term perspective while maintaining various existing policies and project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Busan Port.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current weight limitation of trucks should be increased from 44 tons to 50 tons with firm restrictions such as pre-registered truck, reserved road sector between terminals in a port, and ITT container.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nnual total ITT cost could be reduced by 8.1% and the air pollution can be also reduced by 10% of CO2, 6% of NOx, and 1% of PM in the Busan New Port area(Gangseo-gu). In other words,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ITT is expected to have socio-economic effects such as cost reduction for shipping companies and air pollution reduction for local communities.

      • 건설공사 이동식비계 장치의 안전성능 기준 및 구조해석평가

        이동규 ( Lee Dong-kyu ),정원식 ( Jung Won-sik ),이상곤 ( Lee Sang-gon ),박주동 ( Park Ju-dong ),강성윤 ( Kang Sung-y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는 국내 안전인증 기준에 근거한 이동식비계 설계 및 구조해석을 마이다스 젠(MIDAS-GEN)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고 구조 안전성을 평가하여, 국재 안전인증 기준을 고찰한다. 성능설계조건은 물성치만 안전율로 인정되는 극한하중설계와 달리 허용하중설계법으로 설계하여 추가적인 안전율이 프로그램안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각 부재의 구조 안전성을 보수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시제품을 상용화 하는 사전 단계로서 구조해석을 실시하는 것이고, 국내 이동식비계 안전성능기준과 설계지침서를 토대로 마이다스 젠을 이용하여 이동식비계 고유의 해석방법과 해석조건을 제시하여 실물실험 구조성능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해석결과는 국내 안전인증기준 대비 2배 이상 성능을 만족하는 구성요소로 있어서, 성능설계에 기반한 이동식비계만의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오징어 가공중 타우린 함량의 변화 및 가공 폐액중의 타우린 함량

        조순영(Soon Yeong Cho),주동식(Dong Sik Joo),신호(Shin Ho Park),강현주(Hyun Ju Kang),전중균(Joong Kyun Jeon)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fundamental data of taurine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from squid processing. The concentration of taurine and free amino acid was measured during each steps of squid processing as well as from waste of skinned and cooked squid, respectively. As a result, proline concentration reached to 800∼997㎎/100g and taurine concentration reached to 730∼820㎎/100g. Comparing with raw squid, 60% loss of free amino acid and great reduction of taurine was detected in cooked squid. The concentration of free amino acid in waste water from skinned and cooked squid was 639.1㎎/100㎖, 470.7㎎/100㎖, respectively. Among those free amino acids, taurine composed of 144.9㎎/100㎖ and 117.3㎎/100㎖ in waste water from skinned and cooked squid,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were about 30% of total free amino acids. Other major amino acids were isoleucine, alanine, tyrosine, leucine, glycine and gluta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