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故 김영정 교수는 비판적 사고와 형식논리학의 ‘멋진 조화’를 꿈꾸며 ‘선제논리’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불행하게도 그 프로그램은 실패로 끝났다고 여겨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김영정 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김영정 논제”란 전칭명제와 특칭명제를 모두 조건문을 포함하는 양화문장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정 교수는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를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김영정 교수의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우리의 조건문을 실질 함언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실질 함언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실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문, 즉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normal conditional)”(p → q)을 김영정 논제와 결합하면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김영정 논제”에 따르면, 가령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는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정된 김영정 논제는 정상 조건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와 통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각들이 정리가 되면 예컨대 (A → B와 A → ∼B가 둘 다 참이 되는) 기바드(Gibbard)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며, 기존의 논의가 얼마나 혼란스러운 것인지를 깨닫게 한다. 요컨대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과 김영정 논제를 결합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설정한 후 이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때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대당사각형이 복원된다는 것, 정상 조건문 p → q의 조건부 부정은 p → ∼q라는 것, 또 정상 조건문의 또 다른 사용(⇒)이 있다는 것, p → q의 대우는 ∼q ⇒ ∼p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ate Professor Young-Jeong Kim propounded the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longing for harmony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formal logic. Unfortunately that program is regarded as a failure, but I believe that Young-Jeong Kim’s thesis is still relevant. Young-Jeong Kim’s thesis asserts that both a universal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quantified proposition which contains a conditional. Professor Young-Jeong Kim asserts that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 (Sx ⊃ Px), respectively. However, I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that Professor Young-Jeong Kim’s program could not help but end in failure is that he regarded our conditional as a material implication (conditional). Hence we need to consider the case that in Young-Jeong Kim’s thesis, a material impli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a conditional which is used in our real language practice, that is,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According to this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Sx → Px), respectively. The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n important key and the path to for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nditional. Furthermore, after we arrange our thoughts in regard to this matter, we will come to know that the Gibbard phenomenon in which both A → B and A → ∼B are true does not exist, and come to realize how confusing the previous thoughts about conditionals are. In a nutshell, we can investigate what consequences can be derived if we maintain this modified thesis consistently after we combine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with Young-Jeong Kim’s thesis. And through this we can ascerta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that we can rehabilitate the traditional opposition square, that the negation of a normal conditional p → q is p → ∼q,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use for a normal conditional(⇒), and that the contraposition of p → q is ∼q ⇒ ∼p.

      • KCI우수등재

        과연 타르스키의 진리정의는 철학에 필수적인가?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7 No.-

        최근에 이병덕 박사는 졸고 「열린 해석과 타르스키의 진리정의」 (이하 ‘박정일(1999)’로 약칭함)에 대하여 일견 매우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그 비판의 핵심은 박정일(1999)에서 제시된 주장의 세 가지 근거가 모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러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에 대해 답변하고자 한다. 나의 논점은 이러하다: 나는 박정일(1999)에서 타르스키의 진리정의가 철학에 필수적인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며,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 대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은 더 깊은 생각을 요구하는 자극적인 것이었지만, 나는 그가 대체로 박정일(1999)를 오해했다고 생각하며, 그리하여 그의 어떤 비판은 모호하거나 빗나갔고 또 어떤 주장은 오류라고 생각한다. 특히, 그가 제시하는 반대 주장 -이것을 의도한 것이라면- 의 논거는 거의 설득력이 없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여전히 박정일(1999)의 주장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군인사법상 기소휴직과 사법적구제의 한계 -휴직기간의 재판청구권제한 효과와 관련하여-

        박정일 ( Jeong Il Par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29 No.3

        In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is accused of the criminal case, an appointment authority holder can order him or her to leave from work. The criminal proceedings, however, are one thing, ordering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is another. Also, even though the military official is acquitted of the criminal cas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couldn`t be fundamentally compensated.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ct says that if a military official gets unfavorable treatments like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he or she can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Through disclosure of information, however, I came to know that it has limits as ex post help for the military official. Even if the military official is the member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 his or her basic human rights should be guaranteed in principle. Even when the rights are restricted, the essential contents couldn`t be infringed. Therefore the stipulation on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needs to be revised.

      • KCI등재

        희귀난치성질환 대책에 대한 소고 : 일본의 난병환자에 대한 의료 등에 관한 법률안을 중심으로

        박정일(Park Jeong Il),원종석(Won Jong Seo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의생명과학과 법 Vol.11 No.-

        Although around 5,000 kinds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s are listed on World Health Organization, just 134 kinds of them are now listed on Korean Medical Care Act. The covering range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s is also limited in fundholding. There has also been little inducement to encourage researchers to develop medical supplies for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s, even though it is indispensable. To improve this, the Legislative Bill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s introduced May 21, 2014, contains systematic management of Target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s and Government's Support for researching and developing medical supplies for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However, in comparision with the Japanese Legislative Bill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which was introduced 3 months earlier than Korean Bill and affected Korean Bill, actual support for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in Korean Legislative Bill is not sufficient. According to the Japanese Legislative Bill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Japanese Government is trying to support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for their public participation and deliver Social Welfare Service to them, allowing them to be social members naturally. In this paper, first, I will discuss about Japanese and Korean Legislative Bill of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respectively. Then, I'll suggest things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reinforce to support Rare Incurable or Intractable Disease patients in many ways.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부정적 사실’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는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실’과 ‘세계’의 개념이 동일한 것이냐 하는 것이다. 포겔린과 피처는 ‘현실’이 ‘세계’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비트겐슈타인이 2.063에서 그것들을 동일화하는 것을 실수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존립하는 사태들”과 “사태들의 존립”을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했을 뿐이다. 블랙과 남경희는 『논고』에서 ‘현실’과 ‘세계’가 둘 다 부정적 사실들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대단히 피상적인 논의를 하고 있을 뿐, 어떤 정당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고 또 제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논고』에서 세계에는, 또 현실에는 부정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고』에서 ‘전체 현실’과 ‘세계’는 동일하고 외연이 같다. 우리는 이 점을 『논고』라는 텍스트에 입각해서 해석하고 해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겔린의 주장, 즉 이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완벽한 용어법의 복원도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은 결코 옳지 않다. 더 나아가 『논고』에서 부정적 사실에 대한 논의는 “근본 사상”으로 나아가는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그렇기 때문에 포겔린의 주장과 달리, 2.063의 언급은 매우 “깊은 체계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related to the Tractatus is the definition of ‘positive facts’ and ‘negative facts’ and whether the concept of world is identical with that of reality. Fogelin and Pitcher regarded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wider than that of world and claimed that Wittgenstein made a slip in identifying them at 2.063. However, they made nothing but a fallacy in identifying “existent state of affairs” with “the existence of state of affairs”. Black and Nam claim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identical with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because both of them contain negative facts. But their arguments are too superficial to offer a valid ground for their arguments. As a result,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is identical with that of total reality because there are no negative facts - not only in world - but also in reality. Furthermore, we can elucidate and solve our problems clearly on the basis of the Tratatus text. Hence, Fogelin’s insistence that he does not think “that there is any way to restore perfect terminological consistency to the text” can never be justified. And unlike Fogelin’s insistence, 2.063 has a very “deep systematic importance” because the investigation of negative facts was a very crucial route to the “fundamental thought” of the Tractatus.

      • KCI등재

        요소 명제와 색깔 배제 문제

        박정일 ( Park Jeong-i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중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결정적인 문제 중 하나는 『논리-철학 논고』에서 규정된 완전한 분석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수정되었느냐 하는 것이다. 『논고』에서 완전한 분석이 요소 명제와 필수 불가결한 관련을 맺고 있고 또 『논고』를 침몰시키는 데 결정적이었던 이른바 색깔 배제 문제가 요소 명제의 개념과 본질적인 관련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우리는 색깔 배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중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의) 완전한 분석 개념의 행방을 가늠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색깔 배제 문제는 정확하게 무엇이고 또 왜 그 문제는 『논고』의 체계에 대해서 치명적이었는가? 중기 비트겐슈타인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으며, 그리하여 “완전한 분석”은 어떻게 변모하고 수정되었는가? 나는 이 글에서 『논고』와 「논리적 형식에 관한 몇 가지 소견」을 중심으로 색깔 배제 문제와 완전한 분석 개념을 둘러싼 물음들에 대답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decisive problems when we ar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middle Wittgenstein’s philosophy is how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stipulated in the Tractatus was transformed and modified. Bearing in mind that complete analysis has an indispensable relation with elementary proposition in the Tractatus and that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ich was decisive in the collapse of the Tractatus has an essential relation with elementary proposition, we can trace out the whereabouts of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in the middle Wittgenstein’s philosophy by way of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at is then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y was that problem so fatal to the system of the Tractatus? How did the middle Wittgenstein solve this problem and furthermore how was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transformed and modified?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answer these questions surrounding the color exclusion problem and complete analysis by focusing on the Tractatus and “Some Remarks on Logical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