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오디젤 품질증진을 위한 저온특성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박재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바이오디젤은 탄소 14~22개로 구성된 고도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이며, 바이오디젤의 합성은 동·식물성 오일을 알콜과 약간의 촉매를 이용해 만들어진다. 바이오디젤은 화석 디젤연료에 비해 저온필터막힘점(cold filter plugging point ; CFPP)이 높으며, 원료에 따라 CFPP 값도 매우 차이가 난다. 바이오디젤을 디젤엔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이 가지고 있는 저온특성의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 본 연구의 중점은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서 활용성이 큰 바이오디젤 저온특성의 혼합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품질을 증진시키고, 물성이 서로 다른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바이오디젤의 CFPP 값을 구하는 실험식을 얻기 위함이다. 실험에 사용된 원료는 대두유, 유체유, 팜유 그리고 라드유등 4종류를 선택하여 혼합 사용하였다. 그 결과 Y(CFPP) = aX(혼합율)+b와 같은 실험식을 얻었다. 1) Y = -3.1X + 12.7 ; PME/SME (r2 = 0.989) 2) Y = -2.2X + 10.7 ; LME/SME (r2 = 0.965) 3) Y = -4.0X + 13.0 ; PME/RME (r2 = 0.964) 위의 수식을 이용하면 CFPP 값의 예측이 가능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바이오디젤의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Biodiesels are alkyl ester of higher fatty acid which are composed of 14 to 22 carbons. Biodiesel produced from fats and vegetable oils by esterification with alcohol and catalysts. Their cold filter plugging point (CFPP) in biodiesel is higher than that of fossil diesel. Additionally, CFPPs of biodiesel are different to that of raw material. Therefore, the problem of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biodiesel should be complement to use in diesel engine. In this study, the determinating of equations and estimation of CFPP of biodiesel by using different compositions of raw material was investigated. Experiments were done by blending method and used several raw materials such as soybean oil, palm oil, rapeseed oil and lard. The obtained three empirical equations are : Y = -3.1X-12.7 (PME/SME), Y = 2.2X-10.7 (LME/SME), Y = -4.0X-13.0 (PME/RME). If you use the empirical equation, you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 CFPP value and increase using biodiesel in the industrial field.

      • 자기성장 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박재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자기성장 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박재희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성장 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에게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다. 첫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진로의식 성숙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더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진로의식 성숙은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켜 추후 학업이나 취업의 진로 결정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은 맹목적인 인문계 고등학교 진학과 대학 진학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병폐를 해결하는 데 일조할 뿐만 아니라 뚜렷한 목표 의식을 가진 건실한 학생으로의 삶이 보람찬 청소년기를 보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진로의식의 하위 변인 중 결정성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더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결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결정성이란 자신이 선택하려고 의도하는 진로 및 직업이 어느 정도 확실히 정해져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결정성의 정도가 높은 학생은 진로선택에 안정감을 느끼므로 자칫 혼란에 빠진 청소년기에 안정된 정서를 지닐 수 있다. 셋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성향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더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성향이란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 준비 및 계획 정도로 성향의 정도가 높은 학생은 자신이 생각하는 진로 및 직업에 대해 올바른 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능력이 많으므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보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자신의 희망을 실현해낼 수 있다. 넷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은 타협성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더 높아졌다. 그러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타협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타협성이란 진로를 선택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욕구와 현실에 타협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타협성의 정도가 높은 학생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함으로써 허황한 꿈이 아닌 실제 자신이 잘 해낼 수 있는 일을 찾아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해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험대상의 인원도 적고 실험과정 전반에 걸쳐 많은 미비점을 갖고 있으나, 처음 의도한대로 중학생의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데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중학생의 진로의식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후속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5주간의 짧은 기간동안 이루어져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효과를 살펴보지 못하였다. 진로의식 성숙은 평생을 통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여건상 단기간에 이루어졌으므로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때 그 결과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에만 초점을 두고 분석한 면이 있는데 프로그램 투입의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도 중요하므로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생기는 학생의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셋째, 자기성장 프로그램과 자아 관련 특성간의 관계 연구는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그 외의 요소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선행연구나 본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긍정적 자아개념을 신장시키고,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 등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제 7차 교육과정에 신설된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12명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한 학급 단위로 프로그램이 투입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유용하므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다인수 집단상담에 맞게 수정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ABSTRACT The Effects of Self-growth Program on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k, Jae Hee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Young Jae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growth program on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the students have a right value on the career and to prepare them for making plans for their future by offering better self-understanding and open minds to the students through the self-growth program. To attain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self-growth program. < Hypothesis Ⅰ>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career awareness matur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Subordinate hypothesis Ⅰ-1>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Subordinate hypothesis Ⅰ-2 >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participating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Subordinate hypothesis Ⅰ-3 >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independenc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Subordinate hypothesis Ⅰ-4 >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career inclination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Subordinate hypothesis Ⅰ-5 >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through self-growth program will be higher in compromising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se hypotheses I chose 24 volunteer students of B middle school located in Bundang in Seong-nam cit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t their desire. : 12 of them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of them to the control group. By the result of pre test of career awareness maturity I found that two groups had same quality. For this study Crites's CMI which was adapted by Won-Jung Kim (1984) was used. CMI consists of 50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and I gave 1 or 0 point to each statement. The high score was regarded as high maturity of career awareness. As a tester, a reconstructed self-growth program based on the "self-growth program" by hyeong-deuk Lee , "self-growth program" by Hyeong Tae Kim, "individual-growth program" by Seon-nam Kim and "self-growth program" and self-discovery program by Kyungbuk education and science institute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 a total of 10 times.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SPSS/WIN programs were used and then the average differences of career awareness maturity pre and post test were verified by f-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001 level in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test. Therefore the hypothesis Ⅰ was approve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05 level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at the p<.01 level in career inclina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Therefore, the subordinate hypothesis I-1, I-4, I-5 were approved.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and independency among the subordinate hypotheses. Therefore, the subordinate hypotheses I-2, I-3 were denied. From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and results I found the self-growth is effective in career awareness maturity. The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was improved a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areer inclination which means pre understanding and preparing for career decision. Also when they chose their occupation, they compromised needs and reality. This means they were able to accept real condition and consider their individuality out of imagination in elementary school days. Therefore, proper applied self-growth programs will make the students improve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help them make definite plans for their future jobs. It will be helpful for the students in career decision, futhermore it will make the students have righteous attitudes later in their future.

      • Anti-Periodontitis Effects of Magnolia obovata Thunberg. Cortex with Zea Mays L. Extract on the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Rat

        박재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주염은 치아와 잇몸에서 플라그, 치석 및 박테리아 등에 의해 생긴 염증의 만성화로 발병 초기에는 잇몸에 염증과 부종에 의한 출혈이 동반하는 치은염으로 시작하여 치은과 치주인대의 파괴 및 치조골이 소실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치주염이 발생한 치아는 치아를 받쳐주는 치조골과 치아를 잡아주는 치은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치아가 흔들리고, 염증에 의한 출혈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실험에 사용된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은 오랜 기간 치주염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고, 후박추출물은 치주염의 원인이 되는 구강 내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및 항염 활성이 뛰어나고, 약리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였을 때의 치주염에 대한 치료효과 및 시너지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해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치조골의 생성과 관련한 세포인 MG63 및 치주인대세포에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하여 세포의 활성 및 골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였고, RAW 264.7 세포에 LPS 및 M-CSF를 처리하여 항염활성과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이 조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항염활성 및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는 SD rat을 이용하여 치주염 질환동물을 제작하기 위해 좌측 하악에 위치한 두 번째 어금니를 봉합사로 결찰하여 치주염을 유발하고,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 투여하였다. 그 결과 micro-CT 및 조직학적 관찰에서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이 치조골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치주인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동물의 혈청에서 염증성 cytokine을 확인한 결과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발현이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추출물의 혼합물은 치주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물질이라고 사료된다.

      •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입지적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박재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2000, newtown project and redevelopment project promoted have led to the problem of displacement of preexisting residents who could not overcome the economic burden, and discussions on gentrification have begun in earnest. At present, as negative aspects such as conflict within the region and the displacement of preexisting residents have become an issue, gentrification in Korea is becoming an urban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 and prevented. But given that there are also positive effects such as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nderdeveloped areas and increasing the local fiscal revenues, gentrification is not an unconditional preventable phenomenon, but it should not be neglected because the negative effects are too fatal for the preexisting residents.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qualitative studies, such as those that introduce examples of overseas gentrification and provide alternatives, and those that analyze the process of gentrification in certain areas of Korea, so not many quantitativ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t a time when it is important to set up policies to prevent negative problems in gentrifi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and establish a basis for social consensus to be reached, which is judged that research based on objective data should be preced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will be important in this regard a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s to diagnose and monitor gentrification has recently emerg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in the gentrified areas in Korea. In detail, first of all, gentrified areas are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gentrification, then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nongentrified areas with the gentrified areas, and then analyze the impact factors in the gentrified areas. In addition, when gentrification occurs,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the region changes due to population movement. In this study, not only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but also social diversity, were sought to identify the gentrifica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define gentrification, and understand gentrificatio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eory and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he gentrification measurement method and gentrification index are set up to check the gentrified areas and degree of occurrence, and to select variables that can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trification well. Finally, ArcGIS is used to map and analyze the gentrified areas,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 factors a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gentrified areas had a lower population density, the rate of fourth industry workers and the average individual land price compared to the nongentrified areas, but the rat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 or higher and household diversity were high. In additio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higher change rate of population density, the change rate of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change rate of multi-family housing rate, the change rate of housing diversity, the change rate of land use mix, the lower the change rate of single-family housing rate, and the lower the change rate of household diversity, the higher the gentrification index. That is, gentrification occurs in underdeveloped areas where population and economic vitality are less active, but where there is a potential for growth, such as having abundant human resource and high tolerance. And when gentrification occurs, the neighborhood changes, such as population composition, housing type and social diversity, due to the influx of middle-class resident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e preceding theories and studies,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gentrification in Korea has similar characteristics as traditional gentrification. However, during the research period, gentrification in Korea was deeply related to the new-build gentrification by newtown project and redevelopment project, and the middle-class people entering the gentrified areas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have a lar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hich differed from the middle-class people mentioned in the theo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study related to social diversity. First, a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diversity in the gentrified are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gentrification, could be interpreted that social diversity could beget gentrification. And in terms of housing and land use,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entrification, bu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in terms of demographics, indicating that social diversity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due to gentrification. Therefore, a more cautious approach was needed to link gentrification to social diversity or social mix. This study, carried out quantitative studies to identify that gentrification can be explained by demographic, housing, economic and social diversity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gentrified areas have certain locational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helps to understand the gentrification phenomenon, but it can als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or developing systems related to gentrifi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distinction whether or not gentrification occurs by establishing specific standards was first attempted in Korea and laid the groundwork for research related to the method of measurement of the gentrified area. 2000년 이후 추진한 뉴타운 정책, 재개발 정책 등으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이기지 못한 기존 거주민이 비자발적인 이주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은 지역 내 갈등 유발, 원주민의 내몰림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이 이슈화되면서 대응하고 예방해야 할 도시문제로 고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낙후된 지역의 물리적 환경 개선, 도시 정부의 재정 증가 등 긍정적인 영향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젠트리피케이션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무조건 막아야 할 현상은 아니지만 부정적인 효과가 원주민에게 너무나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방치해서도 안 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국내 연구는 해외 사례를 소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 국내 특정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연구 등 정성적 연구가 주를 이루어 정량적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정적인 문제를 막기 위한 정책 마련이 중요한 지금, 해당 현상에 대한 이해 및 사회적 합의가 도출될 수 있는 근거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 젠트리피케이션을 진단,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측면에서 실증적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입지적 특성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먼저 전통적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발생지역을 파악한 다음, 미발생지역과 발생지역을 비교하여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고, 발생지역만을 대상으로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면 인구이동으로 인해 지역의 인구구성이 변화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졌던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다양성의 측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젠트리피케이션을 정의하고, 젠트리피케이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 측정방법과 젠트리피케이션 지수를 설정하여 발생지역 및 발생정도를 확인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변수들을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ArcGIS를 활용하여 발생지역을 지도화하고 분석하며, 이항 로지스틱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입지적 특성 및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항 로지스틱 분석 결과 발생지역은 미발생지역에 비해 인구밀도, 4차 산업 종사자 비율, 평균 공시지가가 낮지만 4년제 대학 이상 비율과 가구 다양성이 높은 입지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인구밀도 변화율, 평균 가구원수 변화율, 다세대주택 비율 변화율, 주택 다양성 변화율, 토지이용 혼합도 변화율이 높고 단독주택 비율 변화율, 가구 다양성 변화율이 낮을수록 젠트리피케이션 지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젠트리피케이션은 인구와 경제적 측면의 활력이 떨어진 낙후된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풍부한 인적 자본과 높은 포용력을 지닌 성장의 잠재력이 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며, 중상류층의 유입으로 인해 인구구성, 주택 유형, 사회적 다양성 등 근린을 변화시키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논의 및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이 전통적 젠트리피케이션과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단, 연구기간동안 국내 젠트리피케이션은 신개발 및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과 깊은 관계가 있고, 발생지역에 유입되는 중산층은 비교적 가구원수가 많은 가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논의에서 언급된 중산층과 차이가 존재하였다. 사회적 다양성은 발생지역의 가구 다양성이 높을수록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사회적 다양성이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주택 및 토지이용의 측면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지만 인구학적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관계가 있어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사회적 다양성이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젠트리피케이션을 사회적 다양성 또는 사회적 혼합과 연계 시킬 때에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적 연구를 수행하여 젠트리피케이션이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택 특성, 경제적 특성, 사회적 다양성 특성으로 설명이 가능하고, 발생지역은 특정한 입지적 요인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정책 수립 및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시스템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특정한 기준을 설정하여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유무를 구분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발생지역 측정방법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아티스트의 퍼스널 마케팅 연구

        박재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a new field of art that 21st century artists need to be aware of. For centuries, true artists were thought of ones that made art for the sake of making art, instead of doing it to make ends meet. Meanwhile the role of an art gallery w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s and the public mass, and then further expanded as a venue for selling the arts. The galleries would connect the artist with the public and the artist would use the galleries as a means to sell their art to make a living. One of the challenges that artists today face, is not being able to make enough money to make ends meet. One of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artists are not open to the idea, or are not comfortable in promoting themselves and trying to sell their own art. However, times have changed, and accordingly, artists need to change as well, and work on self promoting themselves as an artist, and also the art that they have created. Artists need to focus on raising their profile in the art community by utilizing diverse media platforms. Art collaboration is a field where artists can promote their own art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ir financial income. As such, artists need to create art that can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In this thesis, I have conducted an analysis of what the artist’s perception are of utilizing art collaboration in their own personal marketing. Through this thesis, I hope to expand the perception of the artists in utilizing art collaboration as a new field in reaching out to the public mass and simultaneously improving their level of income. It is important for the artist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be able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corporation, in order to make the art collaboration a success. I would also like to encourage artists to make effort to generate a strategy, to fully promoting yourself through proper image making and use of diverse agencies. In the past, artists have relied on sponsorships from corporate foundations, but going forward, art collaboration will take over that role, and allow artist to be more creative and enjoy higher income source. As such, it is important for the artists to create their own identity and find a good agency, as corporate rely on agencies to introduce the artist that best fit their needs. Through the agency, the artist will increase their chances of interacting with more of the corporat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awareness of your art. Through this thesis, I hope to introduce art collaboration as a new marketing method for artists and provide analysis of the awareness of art collaboration and agency. 본 연구는 21세기에 적합한 아티스트의 새로운 지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 되었다. 예로부터 아티스트는 작품을 창작할 때, 생계를 앞에 두기보다 순수하고 진실한 예술세계를 지향하기 위해 배고픔을 감수하고 묵묵히 자신만의 길을 걸어왔다. 오늘날 아티스트들이 당면한 과제는 생계수단으로 자본을 벌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아티스트 스스로 자신을 홍보하고 작품을 판매하는 것이 정당하지 않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시대는 바뀌었고 아티스트도 인식도 점차 바뀌어 지는 현재, 이제는 당당히 아티스트 자신을 홍보하는 ‘자기 PR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자신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는데 주력하여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메이킹을 통해 개인의 퍼스널 아이덴티티를 타인에게 부각시켜 인지도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각종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덴티티 홍보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이 연구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아티스트에게 새로운 홍보영역이며, 경제적으로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수입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래 아티스트는 자신의 아이덴티티가 되는 작품을 구축하는 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활용을 통한 퍼스널 마케팅에 대하여 현대 아티스트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먼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티스트와 기업인의 인식적 차이를 기반으로 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하였고, 개인의 브랜드화를 구축할 수 있는 퍼스널 마케팅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고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아티스트의 경제적 지원을 좀 더 원활하게 만들고 자신을 대중에게 쉽게 알리는 방법으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활용이 점차 넓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아티스트들은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함에 있어 자신과 기업의 아이덴티티의 접점을 찾고, 이 안에서 서로가 상생할 수 있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권유하는 바이다. 또 다른 제안으로 평판 산업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메이킹과 에이전시라는 채널을 이용하여 보다 전략적으로 자신을 홍보하기 위해 노력하길 바란다. 과거에는 기업·문화재단 및 갤러리의 후원을 통한 경제적 지원이 전부였다면, 이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새로운 경제적 지원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아티스트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업이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해온 방식은 갤러리를 통해 아티스트를 선정하고 진행하는 것이었지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아티스트들은 스스로를 마케팅하고 기획하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럼에도 자기 홍보 방식이 어렵다면, 예술가와 상생하려는 에이전시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기업과의 연계를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논문은 기존 이론을 정립하고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에이전시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21세기가 요구하는 퍼스널 마케팅의 대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아티스트들이 안정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통일한국에 대비한 미래군사전략의 방안에 대한 연구

        박재희 한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탈냉전 이후 러시아의 공백은 중국과 미국의 새로운 대립구도를 형성하였고 한반도를 중심으로 일본과 러시아 등의 대립이 현실화 되고 있다. 약 100년전 조선후기부터 격동의 시기 까지 암울했던 역사의 시점은 바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라고 본다. 한반도의 주권을 실각하고 한반도가 열강의 전쟁터로 변했던 이유는 세계의 흐름을 적응하지 못했던 조선의 준비부족이라 판단된다. 한반도 주위의 사정을 관망하게 되면 전통적인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대립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재의 상황과 구한말 한반도의 상황이 매우 유사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안보의 초점이 북한에 맞추어져 있는데서 출발한다. 중국의 급부상, 이에 따른 미국의 아시아로의 회귀 전략, 일본의 보통국가화, 러시아의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행사의 움직임 등 동북아를 둘러싼 새로운 대립구도를 분석하고 통일한국의 군사전략에 대한 방안을 고찰해보는 것이 연구의 핵심이다. 우선 통일 한국 군사전략 연구의 필요성은 통일한국에서 보호해야할 가치를 식별하는 것 인데, 그 가치를 살펴보면 첫째, 통일한국의 경제적 가치보호와 둘째, 한반도 내·외의 국지적 분쟁을 방지 셋째, 동북아 4개 강국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영토 확장을 위한 위협을 제거해야한다. 넷째, 동북아의 대립이 지속되거나 세력 충돌이 발생할시 지역패권에 휘둘리지 않도록 국가의 자존감과 국제사회의 정치적 위치를 보존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미래전에 대한 분석과 인지가 필요하다. 미래전의 변화는 전장지역이 확대, 무기체계의 발전, 싸우는 방법의 변화가 일어 날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은 동북아 4개국의 군사전략과 군사혁신에서는 각 국가별로 군사전략과 문화, 현 군사력 및 군사력 건설 추세, 군사문제에 영향요인, 한반도에 미칠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중국과 상호 대립과 협력을 지속하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대륙의 세력을 차단하려 할것이고, 중국은 성장한 국력과 위세를 보이기 위한 한반도를 통한 자국의 영향력을 행사 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본격적인 보통국가 회귀를 통해 동북아의 영향력을 행사하려하고 있고 러시아는 지속적으로 한반도의 세력 균형에 초점을 맞추어나갈 것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통일한국의 군사전략 개념과 구현 방책중 위협의 가정 부분에서는 통일이후 가장 위협이 될만한 잠재적인 적은 중국, 일본, 러시아로 보았고 미국은 현재의 한국과의 안보 동맹체계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 했다. 군사전략 구현 방법과 개념으로는 평시에는 억제를, 분쟁이 발생 시에는 전략적 타격자산을 바탕으로 공세적으로 상대방의 핵심이익을 타격하고 분쟁지역내에서 확전을 방지하는것이 목표가 될것이며 전면적으로 군사행동을 실시 할 때는 적의 사활적 이익의 타격하며 총력전 개념으로 공세적인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위해 미래전에 대한 군사기술 연구, 동북아 각국의 전문가 육성, 각 군의 균형적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통일이후의 한반도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군사적 분쟁과 충돌의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 하였다. 본 연구하며 통일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및 과정에서 발생할수 있는 변수요인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통일이후 세밀한 발전과정과 진행상태에 대한 분석과세부적인 군사전략 제시는 제한되었고 앞으로도 많은 연구로 구체적인 군사전략의 발전이 지속되길 기대한다.

      • 소설창작 지도방안 연구

        박재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Literary education so far has been centered around a big framework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 literary work.' In the relations between a text and a reader, the learner is usually placed on the position of a passive reader thanks to the literary education. With the revision to the Seventh Curriculum, however, there is going to be inevitable changes to the relationships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creating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It's an attempt to move the learner from the position of a passive reader to that of active producer. Accepting and creating a work is not separate but mutually complementary. An experience of creating can help to improve the level of appreciation, while a high level of appreciation can be a good guide to increasing creating ability. Thus this study defined the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as a process of a learner's accepting a literary work(a novel) actively and reconstructing his or her literary experiences accumulated inside actively through creating activities. It also searched for the specific ways to help him or her write a real novel not a similar one. In Chapter Ⅱ,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creating education in its implications, its trends in the curriculums, and its goals and concrete contents prescribed in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in accepting and creating a literary work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on the field by types. Chapter Ⅲ considered the specific methods and practice of writing a novel following the entire process from conception to polishing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upon which to teach how to write a novel.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writing one for themselves, most of all. In other words, they should be able to enjoy the pleasantness and achievement of creating something by exercising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have their expressive desire buried deep inside them find its way out to a concrete path. Thus Chapter Ⅳ suggested a sudden fiction, which was comparatively proper on the field, and searched for the ways to teach how to write one. A sudden fiction was an ideal choice since it could make the time and psychological burden on the shoulders of the students that were not accustomed to creating lighter in that it contained all the literary elements of a short story in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teach how to write a novel was designed in the study. In the stage of preparing for creation, the students wrote a sudden fiction through group works and experienced the real narrative strategies. Then in the stage of actual creating, they started their own creative activities finding their own theme. They were also offered specific activity guides for the steps of creating, which were before, in the middle, and after the creation. In Chapter Ⅴ, it was suggested that the difficulties with teaching and learning how to write a novel in school derived from an approach that's too professional about writing and that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was essential to the expression education of teaching the students how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opinions logically and appropriately. It's also maintained that practical and realistic research on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should continue so that healthy expression education could settle down and that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more balanced for that to happen.

      • The Interplay of Time Limitations and Reading Proficiency in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Time, and Attention Allocation: An Eye Movement Study : 눈 움직임(eye movement)을 통해 분석한 시간제한이 독해력, 독해시간, 독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과 독해능력과의 상

        박재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생활하는 제 2 외국어를 학습한 70명의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제한이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참여 학생들은 독해 활동 테스트 시 시간제한 그룹(실험군)과 시간무제한 그룹(비교군)으로 나뉘었다. 나아가 독해 능력에 따른 시간제한의 영향을 보고자 학생들은 각 그룹 내에서 영어 독해력에 따라 영어능력 상위 및 하위 그룹으로 나뉘었다. 사전 시험, 단어 시험, 워킹 메모리 테스트, 아이트래커(eye tracker)상의 실험 지문, 실험지문 이해력 점검 테스트 그리고 설문조사가 실험도구들로 준비되어 사용되었다. 시간무제한 그룹의 결과와 비교 시, 시간제한 그룹은 높아진 독해 이해력, 향상된 독해 속도, 그리고 더 높은 집중력을 보였다. 시간제한은 특히 영어 능력 상위그룹보다 영어능력 하위그룹에게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눈움직임 분석을 통해 시간제한 시 영어능력 하위그룹의 독해속도가 제일 크게 향상되고 독해 시 가장 높은 집중력을 보이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간제한이 독해 시 독해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유의미함을 바탕으로 폭 넓은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연구가는 물론 심리 교육자들에게 중요하다. 또한 학생들의 독해이해력, 독해 속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시간제한이 접목 된 새로운 지도 방향이 소개 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읽기 지도 교육자들에게도 중요하다. 특히, 본 연구는 시간제한이 영어 능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독해력, 독해속도와 집중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큰 유의미함을 찾아냈다.

      •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미술치료에서 자기수용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박재희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xperiencing process of a mother living in a non-cohabitation family, as she accepts herself with the self-recognition of who she is, during the application of art therapy. The significance of proceeding this therapy during the researcher’s life as an art therapist is also a prominent segment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her husband, due to his professional location, since her first pregnancy after marriage. As a mother of a non-cohabitation family, she meets her husband once every 6 to 7 months, while raising two daughters of 9 years and 18 months of age. The participant had suffered with depression, and was unable to be patient with her children. Due to her emotionally unstable state, the mother frequently imposed penalties on them, and thereafter regretted such behaviors; however, she still continued to repeat these actions. Through these observations,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cognize that self-acceptance is essential to build a healthy identity, and started this study. Once a week, from March 2014 to October 2014, the researcher executed 18 hour long sessions of art therapy on the participant. This study us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comprehend the experiences of the mother, as the participant and researcher shared their life stories, talking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During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ceived 7 valuable stories, and important experiences from 4 applications of art therapy. The mother’s story as a mother of a non-cohabitation family, described her affliction against her husband and children. She expressed her frequent use of the phrases “because of you” and “nobody cares about me”. Through this art therapy, the participant expressed her desires, as she stated, “I want to live as a meaningful existence”, and tried to confront others with a positive attitude by saying, “I am ready to meet the world by bushwhacking”. Also, during this therapy, the mother took the courage to make decisions, stating, “I will express my thought wholly”, and steadily went under self-acceptance, stating, “I can stand as a mother and wife”. This undergoing process allowed the participant to understand that she was accepted by “an art therapist” in “an art therapy room”, which symbolized a safe healing place. Therefore, she was able to recognize herself as a meaningful existence with her art work. Thus, the application of art therapy on a non-cohabitation mother is undoubtedly valuable for the research of the process of self-acceptance of a mother to find a meaningful existence, and to discover her self-identity. During the art therapy,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ceive a chance to look into their own personal life while listening to the participant’s story. Key-words: Narrative inquiry, non-cohabitation family mother, self-acceptance 본 연구는 비동거가족 어머니가 미술치료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자기수용을 어떻게 해나가는지를 탐구하고, 그리고 이 과정에서 미술치료사인 연구자의 삶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결혼 후 남편의 직업특성상 임신과정부터 비동거가족이 되었으며, 현재도 6-7개월 만에 한 번씩 남편과 만나고, 9살과 18개월 된 두 딸과 함께 생활하는 비동가족 어머니이다. 연구 참여자는 우울한 감정으로 힘들어 하고 있었고, 아이에게 화가 나면 참지 못하고 체벌을 하며 후회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힘들어 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자기수용’의 과정이 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요소라 생각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참여자에게 2014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주 1회, 총 18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매 회기는 60분정도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의 삶을 함께 이야기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7개의 경험이야기와 4개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를 발굴하였다.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경험이야기는 자신의 억울함이 남편이나 자녀, 즉 타인을 향해 ‘너 때문이야’라고 생각하였고, ‘아무도 날 돌봐주지 않았다’는 억울함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미술치료 회기가 진행되면서 ‘나로 존재하고 싶다’는 자신과 만나는 경험을 하면서 ‘숲을 헤치고 세상과 조심스럽게 만날 준비가 되다’와 같이 타인과의 새로운 접촉을 시도하였다. 또한 미술치료과정에서 ‘내 마음을 온전히 표현하다’는 용기를 가지면서 서서히 ‘이제 엄마, 아내, 나로 설 수 있다’는 자기 수용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의 과정은 자신만의 안전한 치유적 환경이 된 ‘미술치료실’에서 ‘미술치료사’로부터 수용 받는 경험과 온전한 나로 표현한 ‘미술작품’으로 자신을 소중히 다루며 자신을 있는 그대로의 충분한 존재로 지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남편이 부재한 가운데 자녀와 갈등관계에 놓인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은 어머니 자신을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지 탐색해보고,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경험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과정 안에서 연구 참여자의 삶과 하나로 꿰어지는 경험을 통해 더 깊이 삶을 들여다 볼 수 있었으며, 생생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었다. 주요어: 내러티브 탐구, 비동거가족 어머니, 자기수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