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대한 리더와 구성원 지각의 정합성

        박재춘(Jae-Ch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리더 또는 구성원의 자기보고에 의한 일방향적인 LMX 지각과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한 기존 연구와 달리, LMX지각의 정합성을 바탕으로 리더와 구성원의 LMX 지각의 균형과 불균형에 따른 조직정치지각 및 정서적 조직몰입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불확실성관리이론에 근거하여 LMX지각의 정합성차이에 따른 집단별로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이 정서적 조직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정서적 조직몰입은 균형/LMX 고집단이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구성원 고평가집단 역시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높았다. 둘째, 조직정치 지각은 균형/LMX 고집단이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구성원 고평가집단은 균형/LMX 저집단에 비해 낮았다. 마지막으로 불확실한 정치적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모든 집단(균형/LMX 고집단, 균형/LMX 저집단, 구성원 저평가집단, 구성원 고평가집단)에서 감소되었다. 특히, 내집단에 비해, 외집단의 구성원들이 정치적 업무환경 하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에 더욱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이론적 ·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examines the extant to which congruence in leader and follower rating of LMX quality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POPs). A conceptual model is introduced that identifies four combinations of leader and follower LMX ratings of Cogliser et al.(2009): balanced/low LMX(low leader and follower LMX), balanced/high LMX(high leader and follower LMX), follower overestimation(low leader LMX/high follower LMX), follower underestimation(high leader LMX/low follower LMX). The summary of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236 matched pairs of leaders and followers in KOREA is as follows: First, balanced/high LMX and follower overestimation were associated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However, follower underestimation and balanced/low LMX was related to low levels of follower outcomes. In particular, follower underestimation and balanced/low LM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alanced/high LMX and follower overestimation. Seco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was negatively related to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four LMX relationship types. Especiall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OP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onger for people who are low as compared with high in LMX qual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창업가적 리더십, 창업효능감, 회복탄력성 및 창업의도의 관계

        박재춘(Jae Chun Park)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2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6 No.4

        본 연구는 예비창업가인 대학생들의 창업가적 리더십이 창업효능감, 회복탄력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과 동시에 창업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2년제 및 4년제 소속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대학생들의 높은 창업가적 리더십은 창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창업가적 리더십은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창업가적 리더십은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창업가적 리더십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창업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창업가적 리더십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창업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창업가적 리더십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창업가적 리더십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가 제시되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EL)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ES), resil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EI).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argeted 280 were as follows: First, 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l. Second, EL had a positive impact on ES. Third, EL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Fourth, mediating role of 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 and 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EL directly affects El, indirectly affects El through ES. Finally,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 and 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EL directly affects El, indirectly affects El through resili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ed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의 상호인과관계

        박재춘(Jae Chun Park) 리더십학회 2020 리더십연구 Vol.11 No.5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의 상호 인과관계를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 기업 및 공공기관의 구성원 1,47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학습목표성향, 자기결정성 및 발언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성향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윤리적 리더십은 발언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학습목표성향을간접적으로 거쳐 발언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역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윤리적 리더십은 발언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주기도 하지만 자기결정성을 간접적으로 거쳐 발언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윤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의 상호 인과관계(학습목표성향↔자기결정성)를 검증하였다. 즉, 윤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학습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을거쳐 발언행동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실무적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m leader’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s’ voice behavior. Al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examines reciprocal effects of learning goal orientation(LGO) and self-determination(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s’ voice behavior. The summary of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1,478 employees who were working at company and public institution is as follows, First, team leader’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voice behavior, LGO, and self-determination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LGO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Finally, from the result of testing chi-square difference of models, LGO and self-determination had shown bidirectional causal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In particular, this article conclude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practical ap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박재춘(Jae-Chun Park)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4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공정성의 연구를 보완하고자, 불확실성관리이론에 근거하여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절차공정성과 조직지위(고용형태, 근속년수)의 3차항 조절효과를 중 심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고용형태(비정규직, 정규직)에 따라서 다른 영향을 보였다. 즉, 고용형태가 불안정한 비정규직의 조직몰입은 공정한 분배상황에서 공정한 절차에 대한 지각이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불공정한 분배에서는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비정규직 직원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반대로 정규직 직원의 조직몰입은 불공정한 분배에서 공정한 절차가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공정한 분배에서는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정규직 직원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둘째, 조직몰입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근속년수에 따라서는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조직몰입에 대한 상호작용공 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고용형태에 따라서 다른 영향을 보였다. 즉, 비정규직의 조직몰입은 공정한 대우에서 공정한 절차에 대한 지각이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불공정한 대우에서는 절차공정성이 높은 비정규직 직원 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반대로 정규직의 조직몰입은 불공정한 대우에서 공정한 절차가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공정한 대우에서는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정규직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에 대한 상호작 용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근속년수에 따라서 다른 영향을 보였다. 즉, 근속년수가 짧은 직원의 조직몰입은 공정한 대우에서 공정한 절차가 별다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불공정한 대우에서는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근속년수가 짧은 직원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반대로 근속년수가 긴 직원의 조직 몰입은 불공정한 대우에서 공정한 절차가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공정한 대우에서는 절차공정성을 높게 지각하는 기존직원의 조직몰입이 더욱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i.e. OC). Particularly, this study is to expand on prior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uncertainty(employee status, job tenu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603 university/college employees in KORE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2-way interaction between distributive justice(i.e. DJ) and procedural justice(i.e. PJ) on OC was more likely to occur when employee status was contingent worker. That is, when employee status was contingent worker, DJ had a positive effect on OC when PJ was low rather than high. Second, the 2-way interaction between DJ and PJ on OC was more likely to occur when employee job tenure was low rather than high. That is, when employee job tenure was low, DJ had a positive effect on OC when PJ was low rather than high. Third, employee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2-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IJ and PJ on OC. Finally, the 2-way interaction between IJ and PJ on OC was more likely to occur when employee job tenure was low rather than high. That is, when employee job tenure was low, IJ had a positive effect on OC when PJ was low rather than high. In particular, this review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직무자원은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요구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가?

        박재춘(Park, Jae Chun),김성근(Kim, Sung ge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일반 노동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과 또 다른 직무요구(조직정치지각)와 직무자원(상사 지원)의 3차항 상호작용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일반 노동자 17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은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소진에 대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 조직정치지각 및 상사의 지원의 3차항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① 조직내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이 높은 환경에서 직무요구(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가 낮고, 직무자원(상사의 지원)이 높은 집단에 속한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② 그러나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적극적이더라도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경우에는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③ 또한 불공정한 정치적 환경에서는 상사의 지원이 낮은 경우에는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과 관계없이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직무소진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④ 조직 내 정치적 환경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사의 지원과 관계없이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직무소진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demand(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on job burnout. Al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and on prior research by invest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upervisors’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targeted 172 company employees are as follows: First, a high level of job demands(higher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job burnout.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d a 3-way interaction effect, such that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upervisors’ support were jointly associated with subordinates’ job burnout. ① employee with a higher POPs, job burnout weakened when there was a low level of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and a high level of supervisors’ support. ② Also, employee with a higher POPs, job burnout increased when there was a low level of supervisors’ support regardless of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③ employee with a lower POPs, job burnout increased when there was a high level of the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regardless of supervisors’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 내 윤리프로그램의 실행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 CEO의 윤리적 리더십과 개인-조직가치 적합성의 3차항 조절효과 -

        박재춘(Park, Jae Chu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thics program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l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and on prior research by investing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ethics programs, CEO ethical leadership, and person-organizational value fit(P-O 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targeted 357 company employees are as follows: First, a high level of corporate ethics programs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2-way interaction between ethics programs and CEO ethical leadership on OCB was more highly to occur when CEO ethical leadership was high rather than low. Third, this study demonstrated a 3-way interaction effect, such that corporate ethics programs, CEO ethical leadership, and person-organization fit were jointly associated with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① employee with a higher P-O fit, OCB weakened when there was a low level of corporate ethics programs and a high level of CEO ethical leadership. ② Also, employee with a higher P-O fit, OCB increased when there was a high level of ethics programs and a high level of CEO ethical leadership. ③ Particularly, employee with a higher P-O fit, OCB showed at a constant level at low level of CEO ethical leadership regardless of corporate ethics programs. ④ Finally, employee with a lower P-O fit, OCB was more higher to occur when CEO ethical leadership was high rather than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박재춘(Jae-Chun Park),유준(June Yoou),설현도(Hyun-Do Seol)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혁신행동을 강화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의 효과를 규명함과 동시에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구성원들의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전국 제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1,026명을 대상으로 SPSS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원들의 성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여성과 달리 남성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낮은 수준에서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으나,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은 수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성별 및 회복 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실증되었다. 먼저,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을 때, 여성들의 혁신행동이 남성보다 높게 강화되었다. 반대로 남성들의 혁신행동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는 관계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관계없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혁신행동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limate(FFOC) on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members’ gender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analyzed 1,026 employe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n South Korea using SPSS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are as follows. First, the FFOC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gender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fically, men showed higher innovative behavior than women at the low FFOC level, but women showed higher innovative behavior than men at the high FFOC level. Fin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gender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① When the FFOC was high, in the employee group with a low level of resilience, womens innovative behavior was higher than that of men. On the other hand, mens innovative behavior remained at a certain level regardless of FFOC. ② Also, in the employee group with a high level of resilience,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n was higher than women regardless of FFO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직사회의 노동자참여(EI)와 발언, 노조몰입에 관한 실증연구

        박재춘(Jae-Chun Park) 한국노동연구원 2008 노동정책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공무원참여와 발언이 공무원들의 노조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공무원의 업무 관련 발언이 공직사회의 참여와 노조몰입 사이에 매개역할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공무원참여와 발언은 정(+)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참여가 활성화될수록 업무 관련 발언 수준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계장 이상의 직위를 가진 고위공무원에 비해, 일반공무원은 발언과의 관계에서 부(-)의 영향을 보인다. 둘째, 공무원참여와 노조몰입 간, 공무원발언과 노조몰입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즉 공무원참여와 발언이 강화되면 조합원들의 노조몰입 역시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전공노에 비해공노총과 민공노 소속 공무원들이 참여와 발언이 높아지면, 노조몰입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 이상의 공무원들이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무원의 업무 관련 발언이 공무원참여와 노조몰입 간의 완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직사회의 공무원참여가 활성화되면, 공무원의 발언권한은 높아지고, 이는 공직사회의 노사관계 인식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노정 모두는 공직사회의 발전과 공무원의 권익신장을 위해 단체교섭을 포함한 공무원참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제도의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t this moment that importance of public servants’ labor relations become intensified in the overall domestic labor relations, this article reports on whether EI and Voice in the officialdom have an effect on union commitment of public servants and also investigates whether official’s voice about job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EI and union commitment. First, by testing the hypothesis 1 about EI and Voice, their rela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That is, if EI in the officialdom becomes activated, the level of voice about jobs also becomes higher. But except high-level officials who are above assistant director, the lower rankers have a negative relation with Voice. Secondly, the hypothesis 2 and 3 about EI, Voice and union commitment was concluded statistically positive. That is, if EI and Voice become strengthened, the level of union commitment also becomes higher. In addition, compared to the public servants from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KGEU), those from Federation of Government Employees(FGE) and Korea Democracy Employees' Unoin (KDEU) make stronger union commitment as the level of EI and Voice becomes higher. When it comes to the level of education, public servants with college degree or more have a negative. Thirdly,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role of Voice between EI and union commitment, official’s voice about jobs is verified playing a complete mediating role. Therefore, if EI in the officialdom become activated, the right to speak of public servants becomes stronger and the recognition of public servant’s labor relations also does. As a result, in the officialdom, EI and union are in the supplementing relations. Based on this finding, government and union should make efforts to enhance EI such as collective bargaining and set up a system in order to advance the civil service and strengthen rights and interests of public servants.

      • KCI등재

        진로불확실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재춘(Park, Jae Chun),김주섭(Kim, Ju-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진로불확실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을 규명함과 동시에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주로 활용한 연구방법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다.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불확실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진로불확실성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진로불확실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역할을 보였다. 끝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보였다. 즉,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모두 높은 대학생들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았다. 그러나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아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은 매우 낮았다. 또한 토의 및 결론을 통해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uncertain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lf-concept cla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 sample of 308 university students was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career uncertain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urned out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un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this paper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취업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 구직효능감 및취업준비행동의 관계

        박재춘(Park, Jae Chun),김주섭(Kim, Ju Seo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 및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취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의 매개효과와 동시에 학습된 무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권 4년제 대학생을 238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 일부터 11월 16일(총 16일)까지 조사한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들의 높은 취업스트레스(학업스트레스,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학습된 무력감을 강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차원 중 학업스트레스는 취업준비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높은 학습된 무력감은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학업스트레스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력감은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직효능감은 학습된 무력 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구직효능감이 높고, 학습된 무력감이 낮은 학생집단이 그렇지 않은 학생집단에 비해 취업준비행동이 가장 높았다. The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job-seeking stress(JS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job-seek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a sample of 264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was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JSS(academic stress, job-seeking anxiety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learned helplessness. Second, university students’ JSS(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Third, university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Fourth, students’ learned helplessness turned out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SS(academic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students’ job-seeking 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this paper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