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임산부에서의 Group B streptococci 감염에 대한 연구

        박이석(Lee Suk Park),서경(Kyung Seo),김세광(Sei Kwang Kim),박용원(Yong Won Park),정현용(Hyun Yong Jung),정윤섭(Yun Sop Chong),이경원(Kyung Won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분만을 위해 내원한 임신부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B군 연쇄구균의 보균율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991년 4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신촌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해 내원한 단태아 임신부와 이들이 분만한 신생아 153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체는 임신부의 질하부와 자궁경부 및 신생아의 이관과 인후부위에서 채취하여 Todd-Hewitt broth(Difco) 선택배지에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B군 연쇄구균을 동정하였다. 결과: 임신부와 신생아의 B군 연쇄구균 보균율은 각 각 2.61%(4/153)와 0%(0/4)이었으며, 대상 신생아의 B군 연쇄구균 양성결과 1 예에서 패혈증이 의심되었다. 결론: 한국인 임산부의 B군 연쇄구균 감염률은 외국에 비해 낮으며, 그 이유는 인종차이 내지는 사회-경제적 혹은 생활방식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degree of streptococcal colonization in Korean pregnant women. Methods: The study comprised of 153 singleton pregnant women who visited Severance Hospital for delivery, and their neonates. Specimens for GBS culture were collected by a sterile cotton swab from lower vagina and cervix of pregnant women, and from ear canal and throat of neonates. They were first cultured for 48 hours in Todd-Hewitt broth and then subcultured onto Tryptose blood agar plates(Difco). Group B streptococci were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β-hemolysis and a positive reaction with Phadebact group B Streptococci reagent(Karo Biodiagnostics AB, Huddinge, Sweden). Results: The prevalence of positive cultures in pregnant women and neonates were 2.61%(4/153) and 0%(0/4), respectively. In the study population there was a case of suspicious group B streptococcual sepsis in an infant whose mother was colonized.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GBS colonization rate in Korean pregnant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may be associated with a racial differences, or social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or a life style.

      • KCI등재

        중증 자간전증 및 자간임신에서 제대동맥 확장말기 혈류소실의 임상적 의의

        이국(Kook Lee),조용선(Yong Seon Cho),박이석(Lee Suk Park),정철완(Chul Wan Jung),서경(Kyung Seo),김재욱(Jae Woo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중증 자간전증 및 자간 임신에서 도플러 초음파 제대동맥의 혈류속도를 계측하여 제대동맥의 확장말기 혈류속도의 소실과 주산기사망 및 이환과의 관련을 조사 연구함에 있다. 연구방법: 1994년 1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중증 자간전증 38예와 자간 2예 총 40예의 기형이 없는 단태임신을 대상으로 제대동맥 도플러 속도계측을 입원시부터 분만될 때까지 매주 시행하여 확장말기 혈류속도 유무형태에 따라 AEDV(absent end-diastolic velocity)군과 PEDV(positive end-diastolic velocity)군으로 나누어 주산기사망 및 이환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제대동맥의 AEDV의 발생빈도는 12.5%(5/40)였다. 2. AEDV군은 PEDV군에 비해 태아곤란으로 인한 제왕분만율(60% : 17%), 생후 5분에 7미만의 Apgar 점수빈도 (60% : 14%), 임신 32-36주에 주산기 사망률(25% : 0%)이 의미있게 높았다. 3. AEDV를 가진 신생아는 PEDV를 가진 신생아에 비해 임신 32-36주에서 보조 환기빈도가 의미있게 높았다.(67% : 9%). 4. AEDV 발생후 분만까지의 간격은 검사 당일에서부터 1일, 14-15일로 다양하였고, 임신 31-36주에 분만된 4예에서 생존하였으며, 1예는 관찰하던중 14일째 사망하였다. 결론: 중증 자간전증 및 자간임신에서 제대동맥의 확장말기 혈류소실은 태아의 저산소증 및 산증을 예측할 수 있으며 주산기사망이 높다. 따라서 AEDV 발생후 철저한 태아감시와 선택적 제왕분만에 의해 주산기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되나 더 많은 예의 연구가 필요하다. To determine the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of fetuses with absent end-diastolic velocities (AEDV) of the umbilical artery in severe pre-eclampsia and eclampsia, the outcome of 5 fetuses with AEDV was compared with that of 35 fetuses with positive end-diastolic velocities (PEDV).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8 cases of severe pre-eclampsia and 2 cases of eclampsia with structurally normal singletons, who had had umbilical artery Doppler velocimetry weekly from admission to delivery. The Doppler velocimetry result was not used for the clinical management. Perinatal death and neonatal morbidity from both groups were further examined in gestational age category to control the influence of preterm births. The incidence of AEDV of the umbilical artery Doppler velocimetry in severe pre-eclampsia and eclampsia was 12.5% (5/40). The AEDV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than the PEDV group in terms of ceasarean section due to fetal distress (60% : 17%), Apgar score < 7 at 5 minutes (60% : 14%), perinatal death (25% : 0%) and assisted mechanical ventilation (67% : 9%) both at 32-36 weeks. Time intervals from the detection of AEDV to delivery of live neonates varied from the day to 15 days. In conclusion, AEDV in the umbilical artery might be of clinical value in routine surveillance of pregnancies complicated by severe pre-eclampsia and eclampsia, and predict hypoxic fetal condition which needs operative interventions before or during labor and mechanical ventilation after birth.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동결-융해 배아 이식에서 손상된 할구의 미세 수술적 제거의 임상적 효과

        최원윤,손지온,박은아,이동률,이우식,한세열,박이석,조정현,김수희,차광렬,윤태기,Choi, Won Yun,Sohn, Jie Ohn,Park, Eun A,Lee, Dong Ryul,Lee, Woo Sik,Han, Se Yul,Park, Lee Suk,Cho, Jung Hyun,Kim, Soo Hee,Cha, Kwang Yul,Yoon, Tae Ki 대한생식의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1

        Objective: Human infertility clinics have been faced the demand for improving clinical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surgical removal of damaged blastomeres (DB) in frozen-thawed embryos on the clinical outcomes. Methods: From January 2003 to May 2004, out of 258 thawing ET cyc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1 (n=46): Intact cleavaged embryos after thawing. Remained cycles with embryos containing DB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2 (n=102): Drilling zona pellucida (ZP) of frozen-thawed embryos by acidified Tyrode's solution. Group-3 (n=110): Drilling ZP and removal of DB. Embryos after microsurgical manipulation were transferred into the uterus of patients. Results: Clinical profiles and the mean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among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in three groups. It were 30.4% and 9.3% in Group-1, 29.4% and 7.8% in Group-2, and 26.4% and 7.6% in group-3, respectively. Miscarriage rate in Group-3 (37.9%) was slightly higher than those in Group-1 and Group-2 (14.3% and 23.3%),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tact cleaving embryos after DB removal showed higher potent of pregnancy and implantation. We could not find any improvement of clinical outcome by removal of DB in frozen-thawed embryos.

      • KCI등재

        태아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진단과 주산기 결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정현용(Hyun Yong Jung),이국(Kook Lee),박이석(Lee Suk Park),서경(Kyung Seo),이병석(Byung Seok Lee),이윤호(Yoon Ho Lee),김재욱(Jae Wook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태아의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 및 주산기 결과, 양수 과다증 및 동반 기형, 염색체 이상의 빈도를 태아 위장관 기형의 위치 및 이차적 합병증 유무에 따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영동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된 단태임신 9116 예 중에서 태아 위장관 기형으로 진단된 32예를 대상으로 위장관 기형의 위치 및 이차적 합병증 동반 여부에 따라 상부 위장관 폐쇄(제1군), 하부 위장관 폐쇄(제2군), 이차적 합병증을 동반한 위장관 폐쇄(제3군)로 분류하였다. 결과: 태아 위장관 기형의 산전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제1군(70.6%)과 제3군(100%)에서 제2군(0%)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제1군에서 5예의 위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다발성 심장 기형으로 임신을 중단한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아를 분만하였다. 양수 과다증은 제1군(77%)에서, 동반 기형의 빈도는 제2군(70%)에서 타군에 비하여 높게 조사되었다. 염색체 이상은 총 32예의 태아 위장관 기형 중에서 식도 폐쇄에서 삼염색체 18 1예, 십이지장 폐쇄 및 항문 직장 폐쇄에서 각각 삼염색체 21 1예씩이 보고되었다. 제1,2,3군에서의 생존율은 각각 76%,25%,40%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부 위장관 기형은 산전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조기에 진단되며 그 예후 또한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부 위장관 기형은 초음파를 이용한 산전 진단이 어렵고 그 예후도 좋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하부 위장관 기형의 조기 산전 진단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ur aim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renatal sonographic detection of fetal gastrointestinal(GI) anomalies and to present perinatal outcome of fetal GI anomalies, incidence of polyhydramnios, other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etal GI anomalies. Materials and methods: Prenatal sonographic results were compared with GI anomalies found in 32 neonates during recent 8 years. 32 cases of fetal GI anomali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obstruction and complication; group 1: upper GI obstruction(4 esophageal, 5 duodenal and 8 ileojejunal atresia); group 2: lower GI obstruction(1 colonal, 9 anorectal atresia); group 3: GI obstruction with secondary complication(1 ascites, 2 meconium peritonitis, 2 meconium pseudocyst). Results: The accurate prenatal sonographic detection rate of fetal GI anomalies was 70.6% in group 1 and 100% in group 3 and there was no detection in group 2. False positive diagnosis was made in 5 cases(2: esophageal atresia, 3:ileojejunal atresia), but none of them except one case of multiple cardiac anomalies confirmed by autopsy, was followed by termination of pregnancy. Polyhydramnio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oup 1 and associated malformations with group 2. An abnormal karyotype existed in three out of 32(1 case of trisomy 18 in esophageal atresia, 2 cases of trisomy 21, each one in duodenal and anorectal atresia). Survival rate of group 1, 2, 3 were 76%, 25%, and 4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upper GI anomalies were easily detected by prenatal sonographic examination and had a good prognosis. But, the lower GI anomalies were difficult to diagnose prenatally and had a poor prognosis. Therefore, further efforts to diagnose for lower GI anomalies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