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당벌레를 응용한 후식기 디자인 연구

        박윤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 시대와 민족의 생활 습관에 따른 다양한 후식 문화는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충족을 바탕으로 생성, 변화, 발전해 왔으며 문화형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식문화를 포함한 우리 문화는 급작스런 시대적 변화로 인해 전통문화의 정체성 상실과 서양문화의 부분별한 도입으로 우리의 감성마저 서구화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치열한 경쟁과 눈 코 뜰새 없이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간단한 식사나 커피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정서적 안위와 윤택한 삶을 위해서 그 무엇보다도 생활환경이 주는 역할을 매우 중요시 여기게 되었고, 인테리어, 주방과 식기를 통해 대리만족을 느낀다. 개인의 개성과 기호,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현대인들을 위해 특정디자인이 되어있는 커피잔이나 여러 후식기 등을 사용하면서 생활 속의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게끔 의도하였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든 사물은 나름대로 독특한 기능과 형태를 갖고 있다. 이제는 디자인의 고전이 되다시피 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라는 말처럼 모든 자연은 기능과 부합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의 시대는 감성의 시대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의 식생활 문화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단순히 '먹는다'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즐기고 감상한다는 문화적 차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무당벌레만이 갖고 있는 반구형의 형태와 색채를 응용해서 사람들이 주로 접하는 대중적이고 심플한 혹은 엔틱한 후식기를 벗어나 잠시나마 보는 즐거움과 심리적 안정감을 주도록 하여 참신하고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후식기를 만들어내려고 노력하였다. 색채는 화려하면서도 단순하게 표현을 해내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도록 하였고, 후식기를 사용할 때 편할 수 있도록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형태로 인체공학적으로 기능성을 고려해서 디자인하였다. 서구화되고 삭막해진 현대 문명의 생활속에서, 대량생산으로 인한 획일적이고 기능성 위주의 심심한 디자인에 싫증을 느끼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잠시나마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게끔 무당벌레 이미지로 표현한 도자 후식기를 연구함으로서 실용기로서의 공예의 아름다움과 현 시대가 요구하는 수공예적인 산업도예의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현대 생활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을거라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자연스럽고 친숙한 이미지의 디자인으로 생활문화에 가까이 스며드는 도자 후식기의 발달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한다. Various culture of dessert, depending on the lifestyle in different times and the lifestyle of different races, reflect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corresponding times, and has been created, chang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basic desire of human being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of culture. Our culture, including the eating culture, has lost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amin the rapid change of times, and with the reckless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our emotion and sensibility have become westernized. Today, our society is moving very fast to an extent that many people start a day with simple coffee or snacks in the morning with fierce competition go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ith those changes in our society, people in modern times put the most emphasis on the environment of living to lead emotionally stable and rich lives. They draw vicarious satisfaction from interior, kitchen and kitchen utensils. Coffee cups or various vessels for desserts were specially designed to fulfill the needs of modern people,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aste, preference, so that they feel some freedom in their routine lives. Things that we can see easily in our lives have their own unique function and forms. Now just like words that say "Forms follow functions." which has become almost a classical principle of design, nature has its own form that suits the function very often. The future is said to be the era of sensibility. Therefore, our eating culture is developing as our living standard improves, and we have to consider the cultural dimension ensued from such a trend that we are not simply eating but also enjoying and appreciating. I made the efforts to apply the hemispheric form and unique color of ladybird to make a dessert vessel with novel and new design which gives the pleasur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o viewers, not a popular, simple or antique dessert vessel that people usually find. Colors were used to make the vessel look gorgeous and simple at the same time, giving a visual pleasure. The vessel was designed ergonomically with simple and controlled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making it comfortable to use.

      •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와 삼차원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수축기능의 비교 평가

        박윤선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좌심실 수축기능의 평가는 심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후의 평가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심초음파검사에서 좌심실 수축기능 평가 방법 중 이면성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구혈율 계산 시 Simpson법은 검사자에 따른 변이도(variability)가 있고 비교적 시간이 많이 들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단검진 시 좌심실 기능 부전이 있는 환자를 가려내는데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는 도플러 조직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 운동 속도를 정량화하고, 좌심실 수축기능의 지표인 좌심실 구혈율을 gold standard인 삼차원 초음파 영상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후 서로 비교함으로서 좌심실 기능의 평가에 있어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를 객관적이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심초음파를 시행받는 일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총 125명으로 남자 78명(62.4%), 여자 47명(38.6%) 였고, 이들의 평균 나이는 57.5±13.0세 였다. 이들에서 이면성 심초음파, 삼차원 심초음파 및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 운동 속도를 측정하여 서로를 비교하였다. 방법 이면성 심초음파검사는 VIVID 7(GE medical systems, M3S transducer)을 이용하여 표준 심첨2방도 및 표준 심첨4방도를 얻은 다음, 변형 Simpson법을 이용하여 좌심실 구혈율을 측정하였다. 삼차원 심초음파검사는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3V transducer을 이용하여 기초적인 삼차원 심초음파 데이터를 얻어서 디지털로 저장한 후, off-line으로 분석하였는데, 심초음파 분석 프로그램인 EchoPac PC(GE medical systems, Andover, MA)를 이용해 표준 심첨2방도 및 표준 심첨4방도, low parasternal view의 세면에서 심내막과 혈액의 경계면을 구분한 다음 삼차원으로 재구성하여 좌심실 구혈율을 측정하였다.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는 같은 기기에서 DTI(Doppler tissue image)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표준 심첨 4방도에서 색채 박스를 승모판 내륜(septal mitral annulus)에 위치시키고 sample volume을 승모판륜 근처의 심근에 위치한 후 가능한 초음파의 진행방향이 승모판륜의 운동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한 후 간헐파형 도플러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세 심박수 이상 측정한 후 이의 평균을 내서 측정하였다 결과 이면성 및 삼차원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 서로 상관계수 0.935로 아주 좋은 연관성을 보였다 (p<0.001).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와 이면성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은 0.738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p<0.001), 삼차원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은 0.688로 비교적 좋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p<0.001). 또한 좌심실 구혈율 50% 미만의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 환자를 검출하는데 있어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를 6.8 cm/sec로 할 경우 민감도는 94.1%, 특이도는 87%로 나타났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의 측정은 좌심실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좌심실 구혈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유의한 좌심실 수축기능부전을 가진 환자의 검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 The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is an important clinical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VEF) in the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it has some limitations to be used in the mass screening including high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variabilities and time consuming procedure. Tissue Doppler imaging technology is a newly developed method and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eft ventricular function with mitral annular veloc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at the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can be used to evalu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with comparing mitral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and LVEF calculated by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echocardiographies. Methods We examined the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3-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nd tissue Doppler imaging study in 125 patients(78 males (62.4%), mean age: 57.5 ± 13.0 years) who visit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August 2008. The 2-dimensional LVEF was calculated by modified Simpson's method with using an apical four chamber and apical two chamber views of the left ventricle. Three-dimensional LVEF was measured with using a commercial computer software EchoPac PC(GE medical systems, Andover, MA).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was obtained from the medial site with apical 4-chamber view by pulsed-wave tissue Doppler imaging. Results The mean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was 7.7 ± 1.9 cm/s and the mean LVEF was 57.2 ± 10.4%. The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was correlated linearly with LVEF by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r=0.738, p<0.001) and 3-dimensional echocardiography(r=0.688, p<0.001). When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total 23 patients were classified to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group; Group Ⅰ(LVEF >50%), n=102 and Group Ⅱ(LVEF < 50%), n=23. In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by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ccording to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the optimal cutoff value was 6.8 cm/s. At this cutoff valu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4.1% and 87%,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study,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LVEF and it can be used to detect patients with the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 학교 통합예술교육을 위한 체험수업 지도방안

        박윤선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is a common universal language for all mankind. Even though each individual's cultural and linguistic environment are different, the aesthetic experience is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and can be communicated each other. Therefore, technical knowledge or production ability are very limited purpose of art education.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rt education as a channel for cultivating leadership of communication, and potential of creativit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in future society. At this very point, we can see the artistic goals and mission that modern society should pursue. This study focus on art education in schools, a basic and essential space for learning. Most ordinary people would have first access to art education at school, and it will be the only art education for most of them. In the world can not be simplified by a single value or meaning, we pursue a rich sensibility and creative life while interacting with people. School art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broader goals and missions. Then we should move away from the knowledge transfering art education and should aim and move toward experience-oriented integrated art education. In the case of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expression method are vary by the genre of art. but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in expressing inner sensibility and thought with art language. In other words, different expressions are integrated within a person. Integrated art education, which enables integrated thinking, is now drawing attention as an art education required to foster creative talent that will lead the future. Nevertheless, because of different sizes and infrastructure, schools suffer lacks of system or class design and guidance to conduct general integrated art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seek ways to guide integrated art education in schools as a field of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various related literature and examples of art education program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to find integration elements which produce successful teaching effects.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successful integration elements can be classified such as 1) dealt with life topics, 2) utilized various art genres, and 3) pursued overall competence, not fragmentary knowledge. This study defined thes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ntegrated art education from general art education as 'integration elements of art education', and again classified them as 1) subject, 2) genre, 3) competence. And through successful example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we helped understand the 'art education integration elements' by exploring how they were implemented. Furthermore,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course plan design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integrated elements of art education is introduced. this will help to know how to use the elements. Finally, we propose an integrated art education design guide to help design and implement proposed method in a systematic way at the site of all art education. 예술은 전 인류에게 있어서 공통된 보편적 언어이다. 각 개인의 문화와 언어적 환경은 달라도 심미적 감성에 대한 미적체험은 보편적 원리로 작동하고 소통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교육을 단순히 기술적 지식이나 제작능력을 목표로 하는 것은 제한적이라 본다. 따라서 예술교육을 인류 공통의 언어를 깨우치고 소통과 화합의 리더십을 배양하는 통로로 이해하는 것은 미래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창의적 역량의 배양토임을 인식해야한다. 바로 이지점에서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예술 교육적 목표와 사명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기초적인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공간인 학교로부터 시작하는 예술교육에 주목한다. 대부분 일반인은 예술교육을 처음 접하게 되는 곳이 학교인 반면 한편으로는 학교예술교육이 그들에게 유일하게 접했던 예술교육의 시기이기도 하다. 어떤 하나의 의미나 가치로 설계하거나 결코 결과 될 수 없는 다양한 삶을 살아가면서 사회조직구성원들과 상호 소통해야 한다. 그래서 학교예술교육은 더 욱 폭넓은 목표와 사명으로 나아가야 한다. 단지 지식전달이나 제작법에서 벗어나 체험중심의 통합예술교육으로 접근해야 한다. 통합예술교육의 경우, 다양한 예술의 장르에 따른 다양한 표현방식들은 다르지만 내적감성과 생각을 예술 언어로 표현한다는 점은 공통되다. 즉, 서로 다른 표현방식들은 사람의 내면에서 하나로 통합된다. 이렇게 통합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예술교육은 이제 미래를 이끌고 갈 창의적 인재 양성에 요구되는 예술교육으로써 주목받기에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규모와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공교육의 현장인 학교의 현황은 아직 보편적인 통합예술교육을 수행하기에 수업설계 및 지도 방안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공교육의 현장답게 학교에서 체계화된 통합예술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와 관련한 문헌을 다방면으로 종합·분석하여 어떤 통합적 요소가 성공적인 수업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연구했다. 통합적 관점에서 볼 때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 수업의 효과를 가져 온 수업들은 1) 일상 속의 주제를 다루고, 2) 다양한 예술 장르를 활용하며, 3) 단편적 지식이 아닌 전인적 역량의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하였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예술교육과 통합예술교육을 구분하는 특징들을 ‘예술교육의 통합요소’로 정의하며, 다시 1. 주제, 2. 장르, 3. 역량의 통합요소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성공적인 통합예술교육의 사례를 통해서, 제안된 예술교육 통합요소를 추출하고,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예술교육 통합요소’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나아가 통합요소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직접 설계한 ‘통합예술교육 과정안’을 소개하여, 실제 수업 설계 할 때 ‘통합요소의 활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예술교육의 현장에서 체계화된 방법으로 통합예술교육을 단계적으로 설계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통합예술교육 설계 가이드’를 제안하고자 했다.

      • 난청인의 생활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 난청인 자조집단 참여자를 중심으로

        박윤선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난청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난청인의 생활에 대해 심층적으로 구명할 필요성이 있었다. 난청인은 청력손실로 인해 생활가운데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난청인의 생활경험과 장애수용단계 및 생활적응전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난청인을 대상으로 복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난청인 자조집단 참여자를 중심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면접문항을 작성하고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난청인의 생활경험을 개인생활, 가정생활, 직장생활, 자조집단으로 나누어 조사해본 바 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난청인의 개인생활 경험은 난청으로 인한 생활의 어려움, 이명으로 인한 생활의 어려움, 자신의 장애수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먼저 난청인의 개인생활에서 난청으로 인한 생활의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대안관계 위축, 정서적?심리적 위축, 못 듣는 답답함과 소외감, 건청인에게 이해받기 어려움, 행동이 느려짐 등을 알 수 있었다. 개인생활에서 이명으로 인한 생활의 어려움은 두려움, 위협감, 스트레스, 불안증, 우울증, 큰 소음 멀리하기 등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의 장애수용은 자신의 난청 표현하기, 이명난청 수용까지의 어려움, 자신의 난청 부정하기, 방황과 갈등으로 수용하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둘째, 난청인의 가정생활 경험은 가족의 난청에 대한 이해부족, 가족과 대화의 어려움, 가정생활의 어려움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난청인의 가정생활에서 가족과 대화의 어려움은 못 들어서 짜증내기, 대화 회피하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가정생활의 어려움은 잘 알아듣지 못해 오해하기, 난청으로 인한 가정생활 부적응,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움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셋째, 난청인의 직장생활 경험은 난청으로 인한 직장생활의 어려움, 난청에 대한 직장의 배려, 난청으로 인한 직장의 사직, 난청인의 직장 건강관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난청으로 인한 직장생활의 어려움은 상대방에게 이해 구하기, 난청을 숨기기, 잘 듣지 못해 오해받기, 의사소통의 어려움, 심리적 불안감, 난청 악화에 대한 염려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난청에 대한 직장의 배려는 직장 구성원의 배려, 장애인이 아닌 사람으로 인정받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난청으로 인한 직장의 사직은 소음환경 적응 못함,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사직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난청인의 직장 건강관리는 전화통화 짧게 하기, 보호용 귀마개 착용하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넷째, 난청인의 자조집단 경험은 자조집단 가입 동기와 자조집단 참여로 도움 받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난청인의 자조집단 가입 동기는 외로움, 나와 같은 사람 찾기, 치료정보 공유, 난청을 극복하는 방법 찾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난청인이 자조집단 참여로 도움 받는 것은 마음의 위로와 편안함, 동료의식 느끼기, 자신의 장애 인정하기, 삶의 용기, 듣고 말하기 훈련과 대인관계 회복, 자신의 문제 해결하기 등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난청인의 장애수용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난청인의 장애수용 기간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서로 비슷한 과정을 거쳐 장애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청인의 장애수용단계는 불안기, 부정기, 타협기, 적응기, 내면화기 다섯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불안기는 난청과 이명의 어려움으로 인해 심리적 충격과 불안을 경험하는 시기로 두려움, 위협감, 스트레스, 불안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기는 난청인이 자신의 장애 현실을 인정하지 못하여 부정하려는 시기로 심한경우 불안증과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난청인이 자신의 이명난청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더 힘들어 하는 시기로 나타났다. 셋째, 타협기는 자신의 이명난청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갖게 되면서 자신의 난청을 인정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타협하는 시기이다. 난청인이 불안기와 부정기시기의 어려움에 대해서 적응하기 위해서 타협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기는 난청인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이다. 이명난청으로 인한 장애현실이 힘들지만 생활가운데서 자신의 장애에 적응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내면화기는 난청인은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서 수용하고 적응하였기 때문에 이제는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활동과 직장생활에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생활, 가정생활, 직장생활에서 생활적응전략을 살펴본바 주요한 전략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생활 적응전략은 이명난청 적게 인식하기, 난청 악화 예방하기, 큰 소음 멀리하기 등이었다. 둘째, 가정생활 적응전략은 가족에게 난청 이해받기, 못 들어서 생긴 오해풀기, 계속해서 대화 갖기 등이었다. 셋째, 직장생활 적응전략은 직장에 난청에 대한 이해구하기, 직장에 난청 숨기고 적응하기, 난청 고려하여 직장구하기, 자신만의 강점으로 인정받기 등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난청인을 대변하는 복지기관의 개설이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은 농아인협회 부설 수화통역센터가 있는데 농아인을 위해서 수화통역서비스를 중심으로 복지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난청인을 대변할 수 있는 기관은 아직까지 없으므로 난청인을 대변하면서 복지서비스를 시행할 수 있는 기관이 만들어져야 하겠다. 둘째, 난청인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시행이다. 난청인을 위해서 사례관리, 상담, 개별?집단 프로그램, 직업재활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난청인의 장애수용단계에서 불안기와 부정기 시기가 장기화될 경우 난청인의 불안증과 우울증도 장기화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난청인의 재활을 위해서 사례관리, 상담, 참여 프로그램 등의 복지서비스가 실시되어야 하겠다. 또한 난청인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이명난청으로 인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는데 난청인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직업교육과 일자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직업재활 서비스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셋째, 난청인이 생활하는 가정과 직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시행이다. 난청인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구성원과 직장동료들이 난청인의 난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참여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건청인이 난청인을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넷째,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난청인과 농아인에게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To understand hard-of-hearing persons,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about their living style. These days, they really find it difficult to live because of hearing ability loss. I studied their living experiences, the steps of acceptance of the disabled and the strategy of life adaptation on this research. I carried out participant observation which was focused on the participants in the self-help group of the hard-of-hearing people. Before that, I made the interview questions and chos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I then did an in-depth interview because there are no special organizations to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them. I researched the hard-of-hearing people's living experiences, and they can be separated into 4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personal life, family life, work life and the self-help group. I suggest it is as follows: Firstly, their experiences in personal life shows the living problems of hard hearing, the living problems of having tinnitus and the self-acceptance of the disabled's condition. In the first case, I noticed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cower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owering, concern about the hard hearing and a sense of alienation,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 hearing person, and being inactive, etc. In another case, I could see fear, threatening, stress, anxiety, melancholia, refraining from making loud noises, etc. The last case's points were hard-of-hearing persons' difficulty in expressing themselves, difficulty in accepting the hearing loss and tinnitus, denial of hearing loss, acceptance of wandering and conflict, etc. Next, I divided their family experiences into the family'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ard hearing,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family and difficulty in family life. In their family life,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family's features were aggravated by the inability to hear, avoidance of communication, etc. And the difficulty of family life was misunderstanding from not being able to hear, family life was maladjusted because of hard hearing and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ach other, etc. Thirdly, their work-life experiences are separated into difficulty of work-life because of hard hearing, care at the workplace for hard hearing, resignation because of hard hearing, and the employer's health care of the hard-of-hearing person. The difficulties of hard hearing in work-life was understanding other persons, hiding the hard hearing, being misunderstood because of hard hearing,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ng, psychological insecurity, being worried about further hearing deterioration, etc. The care at the workplace for hard hearing was the co-worker's care, which resulted in the suffering of the non-disabled person, and etc. Resignation because of hard hearing was caused by an inability to adapt to work in the noise environment, overworking and stress, and etc. The job's health care for the hard-of-hearing person was shortened verbal communication, putting on earplugs for protection, and etc. Finally, in their self-help group experiences, I could see that they became motivated and gained something to participate with in this group. The group-joining motive marks indicated loneliness as the common characteristic and all the members were looking for people who are the same as them, to share with them the treatment information, to find out the ways to overcome hard hearing, etc. They gained something to participate with in this group, put their minds at ease and in comfort, share their feelings, recognize the disability themselves, to be brave in life, do listening and speaking practice, learn how to recover interpersonal relations, solve one's problems, etc. The hard-of-hearing person's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was covered by the following steps. The acceptance period was a little bit different from case to case but they were quite similar processes in comparison to each other. And the disabled persons showed that they all accepted the disability. The step of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could be summarized in 5 steps, such as the period of unrest, the period of denial, the period of compromise, the period of adaptation, and the period of internalization. Firstly, a period of unrest is experienced as a psychological impact and anxiety from the difficulty of hearing loss and tinnitus that causes fear, threatening, stress, anxiety, etc. Secondly, a period of denial exists, where the disabled ignores the realities that if it will be heavy, it might result in a feeling of unrest and melancholia. This time was more difficult than others because the hard-of-hearing persons reacted very negatively to their hearing loss and tinnitus. Thirdly, a period of compromise is needed for them to adapt to and accept the condition by clearly understanding their hearing loss and tinnitus. They are gradually learning to compromise, in order to adapt to the difficulty of the unrest and denial periods. Fourthly, a period of adaption is also needed to adapt in their daily-life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ir disability. It was shown that although they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y have a disability in hearing loss and tinnitus, they are adapting to their disability in their daily-life. Fifthly, a period of internalizing is need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 adapt to social activities and work activities before they accept and adapt to the disability hardships in their daily-life and family-life. I observed the strategy of life adaptation on these research participants' personal life, family life and work life. Their significant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of their personal life was to recognize the hearing loss and tinnitus, prevent worse hard hearing, refrain from making loud noises, etc. Second, the strategy of their family-life was to understand hard hearing in the family, straighten ou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inability to hear, and keep communication. Third, the strategy of work-life was to ask for understanding of the hard-of-hearing situation at their workplace, adapting to hide hard hearing at their workplace, consider their hard hearing when finding a job, being confident by being mentally strong, etc. To conclude, I'd like to suggest as follow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irst, to establish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speak on behalf of hard-of-hearing persons. For example, for the hearing-impaired person,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operated welfare services to focus on interpreting sign language services for the deaf-and-dumb persons at the deaf-and-dumb persons association. We are still no organization to speak for hard-of-hearing persons, and we need to be an organization which will be able to speak for them and operate welfare services. Second, to carry out welfare services for hard-of-hearing persons. We need to manage cases, consultation, an individual group program, services to help the disabled become rehabilitated in their job, and etc. In the step of acceptance of the disabled hard-of-hearing person, if the period of unrest and the period of denial will be longer, their feeling of unrest and melancholia also will be longer. We would operate welfare services for their rehabilitation , such as managing cases, consultation, participating program, etc. As well as these things, they find it quite difficult in their work-life because of hearing loss and tinnitus, and we might be operating services to rehabilitate the disabled's careers by offering the employee education and job positions which are better suited to their disability problem. Third, to carry out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family-life and work-life. We should be more understanding and caring of them by offering some information or education programs to those who are living with them, so that their families and co-workers can understand their problem. Fourth, we should first investigate the whole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hearing-impaired persons, and then we will be able to offer the necessary welfare services in due time to the hard-of-hearing and the deaf-and-dumb persons.

      • 중학교 빛에 관한 동기 유발 전략(ARCS)수업 효과

        박윤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d apply a play-centered learning module for the light unit for the seventh grade by using the motivational strategy(ARCS) and investigate the module's impact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Six seventh grade classes were reviewed to select fou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wo of them made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two the experiment group. The former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s, while the latter group lectures with the developed module. After lectures were given, they were measured for change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lay-centered learning module for the light unit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tivational strateg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odule were also examined. As a result, they said they wanted to study without any push as the lectures based on play boosted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ctur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module was effective in motivating the students to study. A good number of the students replied that they could benefit from lectures using the module to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re were actu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nd secondly, the module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ir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before and after the lectures reveals that the experiment group improved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found the lectures using the module very interesting and hoped to receive lectures using the module in future.

      • 다이어트 경험, 심리도식 및 섭식귀인양식이 섭식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윤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섭식문제를 예방하고 다이어트와 섭식문제간의 연결고리를 파악하기 위해 다이어트 경험과 초기 부적응 심리도식 및 과식에 대한 귀인양식이 섭식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섭식문제는 폭식과 관련 있는 정서적 및 외부 단서적 섭식에 초점을 맞추었고, 결함/수치심, 정서적 억제, 엄격한 기준/과잉비판, 부족한 자기통제를 섭식문제와 관련된 심리도식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216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BMI와 연령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절식에만 의존하는 무리한 다이어트와 반복된 다이어트는 정서적 섭식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지만 외부 단서적 섭식은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심리도식 변인들은 정서적 섭식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지만 외부 단서적 섭식에서는 유의한 설명을 하지 못했다. 또한 과식상황에 대한 귀인은 단독으로는 정서적 섭식과 외부 단서적 섭식을 유의 하게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과식상황에 대한 귀인과 엄격한 기준의 상호작용 그리고 무리한 다이어트와 부족한 자기통제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섭식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다이어트와 섭식문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정서조절의 중요성과 함께 다이어트가 섭식문제로 이행하는 경로를 파악하는데 부분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nfluence of dietary behavior, schema and eating attribution style on eating behavior problem, so to search link between diet and eating problem, and also prevent abnormal eating. Recent some researches suggest that the cognitive work with bulimia should be attributed to maladaptive schema and attribution style, rather than diet itself. Although the link between emotional-external eating and bulimic psychopathology has been proved, it still remains obscure why eating problems show different aspects of behavior. For this research, 216 female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the Eating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EASQ), and the Young's Schema Questionnaire(YSQ). According to the result, schema had significant impacts on eating by emotional and external cue, however diet behavior had impacts only on emotional eating. The eating attribution style of indulging didn'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both, but it interacted with diet and schema. It is suggested that emotional eating and inclining diet habit are attributed to maladaptive schema.

      • 이자율 기간구조의 추정 및 예측에 관한 실증연구

        박윤선 全南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8729;통안채 유통시장 거래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이자율 기간구조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현물이자율은 신용평가회사 3사에서 발표하는 시가기준수익률보다 전 만기에 걸쳐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모수적 통계접근법인 Nelson-Siegel모형군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이자율 기간구조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모수로 이자율 곡선을 예측하였다. 이자율 기간구조의 추정에 사용한 Nelson-Siegel모형군은 Nelson-Siegel(1987) 모형, Svennson(1994)모형, Bj&#1255;rk-Christensen(1997)모형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세 가지 모형이 모두 높은 추정능력을 보이지만, 이자율 변동성 크거나 수익률곡선이 확정적인 형태를 보이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반적으로 추정능력이 낮고 그중에서는 Bj&#1255;rk-Christensen모형의 추정능력이 가장 높았다. Nelson-Siegel모형을 이용하여 동일시점의 장기 이자율 예측한 횡단면예측과, 1주후와 4주후 이자율을 예측한 시계열 예측을 행하였다. 추정된 이자율곡선을 할인함수로 변환시켜 얻은 장기국채의 이론가격에 비해 실제 거래가격은 체계적으로 낮았다. 즉 우리나라 장기국채는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4주후 이자율 예측은 랜덤워크모형을 이용할 때보다 높은 성과를 보였다.

      • 다층 베리어 필름 제조용 셀룰로오스 섬유 함유 무수산 폴리프로필렌 물성 연구

        박윤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P-g-MA and Co-PP having low melt viscosity was introduced as materials to make master chips. Master chips made by PP-g-MA and Co-PP with cellulose nano fiber were mixed with polypropylene and found out that mixing characteristic of cellulose nano fiber in PP was enhanced, as a result, the lowering of optical transmittance in PP film by cellulose nano fiber was minimized. In addition,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the maleic anhydride in PP and hydroxyl in cellulose nano fiber surfac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Young's modulus and tensile strength in PP fil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rface modification of nano cellulose with Ti is another way to improve the mixing characteristics as well. Polypropylene film which was made using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PP-g-MA) with cellulose nano fiber was studied to improve the adhesion strength in the interface of polypropylene/nylon (PP/N6) multilayer barrier films. It was found that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polypropylene film and nylon film increased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maleic anhydride in PP and amide in N6. Further improvement in adhesion strength was achieved by adding cellulose nano fiber with PP-g-MA.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다층 베리어 필름의 계면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무수산기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에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를 첨가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나노 셀룰로오스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화성을 위하여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수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마스터 칩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하였다. 아울러 나노 셀룰로오스 표면 개질이 혼화성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확인하였다.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를 상대적으로 점도 낮은 무수산기가 도입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혼합하여 마스터 수지를 제조하여 이를 폴리프로필렌에 용융 혼합하는 경우, 나노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화성이 우수해져 셀룰로오스 섬유 첨가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광학 특성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Ti로 표면 개질 또한 PP와의 혼화성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무수산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의 무수산기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하이드록실기 결합에 의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탄성 계수 및 인장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나노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프로필렌으로 PP-N6 복합 필름의 제조 시, 폴리프로필렌의 무수산기와 나일론 필름의 아마이드기 사이 상호 친화성에 따라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다층 필름 계면 접착 특성이 우수해지며 나노 셀룰로오스 첨가에 의하여 접착 특성이 보다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수치심 경향성을 매개변인으로

        박윤선 성신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 고등학생 502명으로 청소년용 대인불안 척도(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SAS-A), 부모양육태도 척도(Parenting Behavior Inventory:PBI), 수치심 경향성 척도(Personal Feeling Questionnaire 2:PFQ-2)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를 중다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치심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방임이 여학생의 경우 감독, 방임이 수치심 경향성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 경향성이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두 수치심 경향성이 대인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비일관성과 방임, 여학생의 경우 부모의 감독만이 청소년의 대인불안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학생만 부모의 비일관성과 대인불안간의 수치심 경향성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방임과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수치심 경향성은 완전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