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共同住宅의 效率的인 管理方案에 관한 연구

        박용규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住宅問題는 住宅 그 자체가 지니는 여러가지 特性 즉 社會的·經濟的·物理的 屬性들로 인하여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解決하기 어려운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住宅問題는 1960년대 이후 계속된 政府의 問題解決 노력에도 불구하고 크게 개선된 상태에 이르지 못하였다. 그 동안 지속적인 高度成長過程에서 물론 住宅數도 증가해 왔지만 人口增加와 核家族化의 진전에 따른 가구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서 전국적 住宅不足現狀은 오히려 심화되었다. 이런 住宅難을 집중적인 解決方案으로서 다수의 住宅數를 한 建物에 집합시킴으로서 여유 있는 공간을 갖고 많은 인구의 住宅難을 解消시킬 수 있으며 土地의 效率的인 이용과 建設費의 節減을 기할 수 있도록 住居의 입체화 급지 주거지의 고밀도화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시내에 소재한 한강맨숀·여의도 시범·반포·영동·잠실아파트와 1980년대의 과천 신시가지와 상계동 아파트 그리고 1990년대에는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행신, 화정 등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大都市의 外廓地域으로 擴大되는 등 서울과 지방도시에서 共同生活의 團地化가 시도되었으며 규모도 多樣化 高層化가 이루어졌다. 특히 근래에는 일부 農漁村地域에서도 소규모의 共同住宅이 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단독주택과는 달리 共同住宅은 大規模性, 建築物과 施設物의 公用, 많은 부대시설 및 기반시설의 필요, 인근지역에의 文化 및 空間的인 영향 등의 점에서 단독주택과는 다른 管理方法이 필요하다. 더욱이 철저하고 치밀한 建築計劃과 構造計算 및 工法에 의하여 건립된 공동주택은 그 수명이 半永久的이므로 장기적인 안목과 치밀한 건축계획에 의한 建築 및 건축후의 적절한 사후관리만 따라 준다면 인간의 住居空間으로서 매우 훌륭하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住宅의 大量供給에만 치중하였으며, 그에 대한 管理의 統忽, 不實工事, 法的制度的 뒷받침의 미비, 입주자의 共同體意識 缺如 등으로 인하여 건축된지 20여년만에 철거를 해야하는 등 國民經濟的으로 막대한 인력과 재화의 낭비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1989년 共同住宅管理令을 제정하는 등 共同住宅管理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질적으로 크게 향상된 점은 없는 실정이다. 모든 정책이 그러하듯이 制度의 整備뿐만 아니라 좀더 적극적인 문 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니라나 共同住宅의 管理에 대한 실상을 硏究, 調査, 分析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의거하여 보다 現實的으로 發展的이며 專門性과 效率性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에 효율성과 능률성을 높이고자 한다. Housing problem is regarded for every states as a difficult task to solve because of its own various features like social, econ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ough Korean government has made a constant effort to solve it since 1960's, the condition has yet to be improved. In the course of sucessisive and high development, the number of house has also increased, but on the contrary, national phenomena of house shortage has deepened due to the rapid outburst of households by the increasement of population and progression of trend toward nuclear families. As a resolving measure for the problem, we have concentrated on multi-dementionization of living and high-density of living site in order that many population could solve housing problem by collecting lots of households in a building with roomy space and that effective usage of land and economic cost to construct could be practiced. Such tenement houses has been constructed in Seoul since 1970's like Hangang Mantion, Yoido Exhibition, Banpo, Yondong, Chamsil Apartment Houses, and since 1980's like Kwachon New Town and Sanggye-Dong apartment Houses ; and in 1990's, Grand apartment Complexes extended to the skirts of metropolis like Bundang, Ilsan, Pyongchon, Sanbon, Haengsin, and Whajong. And collective lifestyle in apartment complex in Seoul and other cities was intended, and its scale was diversed and skyscrapered. In particular, in even some small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partment complexes with slam scale are built recently. For a tenement house, differing with separate house, special managements are needed in terms of its big size, its publicity of building and facility, demand of many subsidiary and basic facilities, and cultural and spacial effects on its neighbor. Indeed, the life of tenement house, which is constructed through careful and elaborate designed, account and method, is semi-permanent, so that, is there were long-term perspective, elaborate construction, and proper maintaining management, it would be a nice place for human living space. And then, we have been focused only n mass-supply, and because of poor maintenance, insolvent construction, poor legal and synthetical support, and lack of tenants' community consciousness, we waste enonnous manpower and recourse in national economy, such as, removal of twenty-year-old apartment house. Korean government showed interest in maintaining tenement house with the Code of Maintenance of Tenement House legislated in 1989, but little quality was improved practically. Alike all policies in. other field, more positive attitude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needless to say the anangement of system. This thesis studied, surveyed, analysed the reality on maintaining of tenement house in Korea, and drew out problems. And according to it, I tried to seek for a refonning measure that is developmental, professional and effective, and to rai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maintaining tenement house.

      • 초등영어교육에서의 문화인식 고찰

        박용규 湖南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 전반에 걸쳐 나타난 문화인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초등영어 문화 관련 현장 논문에 나타난 문화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초등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들의 문화 인식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육이 시작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미비하였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비판적 문화 의식을 강조하였으나,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문화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가 부족하였다. 반면, 수시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제어로서의 영어 인식과 함께 영어교과가 존립하는 이유의 하나로 문화교육을 강조하고, 문화를 교육내용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영어 지도 교사들의 현장논문을 분석한 결과,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초등영어 교육 관련 논문 중에서 문화 관련 논문은 전체의 3.7%에 불과하였다. 7차 교육과정 시기에서 가장 많은 수치를 보였고, 수시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50%의 감소 추이를 보였다. 연구내용 분석 결과, 언어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한 연구가 많은 반면 문화교육을 통한 올바른 문화인식 정립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영어 지도교사 대상 설문조사 결과, 초등영어 지도교사는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올바른 문화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으나 실제 수업에서의 문화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부분의 교사는 문화교육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을 인지하였으나 연수 경험은 미비하였다. 넷째, 초등학생의 우리문화 정체성 및 문화 가치관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들은 우리문화에 대한 자부심은 컸으나 구체적인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우리 문화를 계승ㆍ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올바른 문화 가치관을 지니고 있으며,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강할수록 상대 문화를 인정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먼저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문화교육을 위한 체계적이고 명시적인 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최근 문화교육의 흐름이 언어와 문화의 병행 교육을 통한 올바른 문화 가치관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고려할 때, 초등영어 문화교육 또한 문화통합 영어교육으로의 방향 전환이 불가피하다. 다음으로 초등영어 지도교사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실질적인 문화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 직무연수가 요구된다. 아울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서도 문화교육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여 예비교사들의 문화인식을 고취하고, 초등영어 문화지도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초등영어 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은 학생들의 언어능력 향상과 함께 올바른 문화 가치관을 갖게 하고, 세계화를 대비하는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culture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the concept of culture stated in the national curricula and action research was investigated. Als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which English emerged as a new subject area in elementary education, cultural awareness was not view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English education, and thus received much less attention than it deserve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 necessity of teaching cultural aspects of English and students’ cultural awarenes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ere emphasized, no systematic efforts were evidenced to provide concrete and explicit strategies for, and methods of, incorporating cultural features into classroom practice. However, in the most recently revised edition of English curriculum,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aspects of English, in addition to the recognition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is emphasized and clearly manifested as part of the main rationale for the existence of English education. Also, culture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language learning. Second, the action research review showed that thousands of classroom studies on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n = 3,592) had been carried out between 1997 and 2009. However, only 132 studies (3.7%) involved teaching cultural aspects in English classes. The volume of research conducted peaked during the era of the 7th curriculum, but has decreased by 50%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urrent revised edition of English curriculum. As for research topics, there was a clear trend towards research on how to teach language, but not on how to help students develop proper cultural values through incorporating cultural aspects into language education and teaching them in classrooms, paying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ultural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surveyed for the present study possessed appropriate cultural values and ful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cultural diversity and teaching cultural aspects. Nevertheless, more efforts seem necessary to incorporate cultural aspects into their classroom practices. Also, most of the teachers surveyed agreed to the necessity of teacher training for cultural education, but only a few of them received relevant training. Last but not least, although most of the students surveyed were proud of Korean culture and relevant cultural assets, their overall knowledge on Korean culture appeared to be rather limited. However, they believed that continued efforts to maintain and further develop cultural assets and values should be made. Overall, most of them possessed appropriate cultural values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ose values. Also, those who showed strong pride in Korean culture tended to respect cultural values in other countries. In sum,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clearly suggest that more systematic approaches to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or, and provided in our English curriculum, in order to incorporate cultural aspects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iven the recent educational trend towards helping students develop appropriate cultural values through teaching both English and related cultural aspects, it is inevitable to make somewhat innovative directional changes to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ystem by integrating more cultural aspects into the curriculum and treating them as an important and indispensable part of English education. It will in turn lead students to obtain more comprehensive knowledge on English and English cultures. Also,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hat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reconsider their perspectives on cultural education in an effort to incorporate cultural elements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and that they receive necessary training that may help broaden their spectrum not just in terms of English as a language to teach, but also in terms of their cultural competence. Given the value of teachers’ cultural competence in English education, it may be one important step to our future English education to design courses on culture education and include them in a university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develop appropriate cultural values and build their knowledge on cultural aspects of the English language and relevant issues tha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teaching English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Our awareness of the critical role of understanding a cultural dimension of the English language may lead educators to find ways to develop better methods and materials in strenuous efforts to make our students become more proficient learners of English and help them form appropriate cultural values, both of which can generat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our nation in this globalized world, not to mention potentially significant benefits at the level of individuals.

      • 플라이 애시 置換率 상향시 發生하는 콘크리트 品質 問題의 改善

        박용규 청주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FA의 치환율 상향 시 콘크리트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재검토하기 위해 FA 치환율 및 양생온도의 변화에 따라 그 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도출 된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검토 후 FA 치환 콘크리트의 품질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화학적․물리적 혼합재료의 사용에 따른 품질의 최적안을 도출하고, 최적조건에 한해서 FA 치환 콘크리트의 품질 개선을 위한 품질향상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A 치환율 상향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유동성은 FA 치환율 증가에 따라 유동성은 증가하였고, 공기량은 반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결시간은 FA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시간이 단축되어 온도 의존성이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간이단열온도는 FA 치환율 증가에 따른 응결지연 현상으로 인해 최고온도 및 도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압축강도는 초기강도에서 양생온도 및 혼화재 치환율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생온도가 낮을수록, 치환율이 경과 할수록 강도가 저하하였다. 촉진 탄산화의 경우는 FA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탄산화 깊이가 점차 커져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FA 치환율 상향 시 초기강도 저하, 응결지연 및 탄산화의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화학적 방법에 의한 FA 치환율 상향 콘크리트의 품질 개선 실험 결과, 사용한 알칼리 자극제 중에서는 F-A가 유동성 측면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공기량에서는 모든 배합에서 목표 공기량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또한, 응결시간 및 강도 측면에서는 F-K가 초기강도 측면에서 다른 자극제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초기 1~3일 재령에서 Plain의 50~60% 강도수준 밖에 발현되지 않고, 탄산화에서도 개선효과가 미약하여 FA를 다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기 품질 향상 혼합재료의 개발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물리적 방법에 의한 FA 치환율 상향 콘크리트의 품질 개선 실험 결과, 유동성의 경우 품질 향상 혼합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도 기준배합보다 모두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품질 향상의 혼합재료의 모든 배합에서도 목표 공기량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성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압축강도는 미분시멘트 15 %의 경우 OPC 대비 84 %, 순환골재 미분말 5 %의 경우 79 %까지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배합인 F3(FA 30 % 치환 배합)보다는 미분시멘트 15 %의 경우 163 %, 순환골재 미분말 5 %의 경우 153 %까지 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품질 향상에 대한 최적방안 입증을 위한 연구 결과, 유동성 및 공기량의 경우 배합설계를 통해 모든 배합에서 목표 범위를 만족하게 할 수 있었다. 응결시간은 성능향상 혼합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기준배합 대비 단축되었으며, 그에 따라 W/B가 감소할수록,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단축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초기재령에서 성능향상 혼합재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혼화재 종류에 관계없이 기준배합에 비하여 약 50~200 % 정도의 강도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OPC 대비 부족한 강도 발현성을 B/W가 증가함에 따라 성능향상 혼합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진되어 B/W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였을 시, B/W 2(W/B 50 %)의 OPC 배합과 동등한 강도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구특성을 평가한 결과, 건조수축 길이변화율은 W/B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FA를 다량 치환한 경우는 성능향상 혼합재료의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산화 깊이는 동일 W/B 및 성능향상 혼합재료 종류변화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W/B의 감소 및 성능향상 혼합재료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F3 대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4) 이상을 종합하면, FA의 치환율 상향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차적인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적 배합으로 미분시멘트 15 %+순환골재 미분말 5 %을 복합 사용한 성능향상 혼합재료를 사용하였는데, 동일 W/B의 범위에서는 초기 강도발현 측면에서 F3 대비 우수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건조수축 및 탄산화 저항성의 내구성 특성의 개선 효과가 미약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성능향상 혼합재료의 효과와 더불어 적정범위로 W/B를 낮추는 경우 양호한 강도발현성 및 W/B 감소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부 조직의 치밀성 향상으로 인해 탄산화 등의 내구성능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 범위내에서의 FA 상향 콘크리트의 품질 확보 방안으로는 공기량 저감 현상의 경우 AE제의 적정 사용량 증가로 인해 실무에서의 사용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초기강도 발현 및 탄산화 대책으로는 미분시멘트 15 %+순환골재 미분말 5 %+절적한 W/B의 저감(배합조정)을 통해 FA 상향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 다양한 청취 전 학습전략이 청해에 미치는 영향

        박용규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 교육에서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방법이 청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① 청해의 중요성, 청해의 과정, 청해의 변인, 학습전략, 청해에서의 학습 전략 및 청취 전 학습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를 하였고 ② 현행 초등영어 6학년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및 CD-ROM 분석을 통해 청취 전 학습전략 활용 방법을 탐색·구안 하였으며 ③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④ 이를 실험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후 이러한 학습 전략 및 활용 방법이 청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 참여도, 학습 이해도, 학습 파지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광주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험반과 통제반의 학업 성취도와 남녀 구성 비율을 동일하게 하도록 고려하였고, 평가지를 작성함에 있어 교사 4인의 도움을 받았으며 또한 관찰 평가시는 본 연구자를 제외한 교사의 평가로 분석·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 활용이 학습 참여도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관찰 평가 체크리스트를 1) 동기 유발, 2) 시선 처리, 3) 수업 자세, 4) 청취 자세, 5) 거수 정도, 6) 응답 등 6개 항목에서의 정답 비율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 실험반이 6개 항목 모두 통제반보다 더 높은 득점을 하였고, 특히 항목 1), 6)에서 전체 평균차 보다 높은 득점을 함으로써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 활동은 학습자로 하여금 수업에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 활용이 아동들의 청취 학습내용의 이해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 내용에 대한 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의 결과에 의하면 실험반은 통제반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다(t=0.737, p=0.232). 셋째,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을 활용한 학습 활동은 학습 내용에 대한 망각률을 최소화하여 장기 기억 즉 파지도에 효과적인가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한 내용에 대해 한 달 후 평가지를 통하여 학습 내용의 기억 정도를 알아보았는데 파지도의 평균 점수차는 실험반과 통제반의 이해도 점수차 3.24에 비해 거의 2배에 상당하는 5.89의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다양한 청취 전 학습 전략이 학습 내용에 대한 망각률을 최소화하여 장기 기억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t=1.386, p=0.085). 본 연구 결과는 초등영어 수업에서 청해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청해를 위해 학습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청취 전 활동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효과적인 청취 전 활동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suggest various effective pre-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 methods on listening comprehension. For this, ① Literature was reviewed on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omprehension, the process of listening comprehension, the variables of listening comprehension, learning strategy, learning strategy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strategy before listening. ② Some practical methods for utilizing learning strategies before listening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urrent 6th grade textbook, teacher's manual and CD-ROM. ③ A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apply the methods suggested in ② to the actual classroom. ④ Then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class. Afterwards,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es and application methods to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class understanding, and long-term memory were analyz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where the researcher is currently working. In order to exclude gender difference as a variable number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as designed to be the same. Fou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the class observers and inter-rat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 checklist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lass participation of the two groups. It consists of the 1) motivation 2) management of gaze 3) attitude of class participation 4) attitude of listening 5) frequency of raising hand 6) the proportion of right answer.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class achieved higher score in all six items. In particular, various pre-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seemed to be effective in making learners maintain their active attitude of learning. Second, a formative evaluation regarding learning content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at various pre-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understand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However, the result of t-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0.737, p=0.232). Third, another test was given to the two groups in order to see if various pre-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long-term memory. The study examined how much they remembered what they learned through assessment sheet in a month after the class was finished. While the average scor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i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group was nearly 3.24, long-term memory was almost as twice as that of understanding, showing 5.89. T-test result also showed that various pre-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re effective in long-term memory (t=1.386, p=0.085).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reconfirme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omprehens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 and the necessity of various pre-listening activities and provided diverse methods for utilizing effective pre-listening strategies and activities.

      • 중소기업의 환위험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박용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개방경제 하에서는 재화와 용역의 국가 간 교역이 급격하게 확대 및 심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국가 간 상품의 교역은 나라마다 통화가치의 차이로 인해 상품가격 차이를 유발하기 때문에 통화가치 및 상품가격 격차는 두 나라 사이의 환율 변동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환율은 교역관련국들의 양국통화의 상대가격 또는 교역상품의 상대가격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로 자유변동 환율 제도를 채택하여 국제교역이 활발한 기업들에게는 환율변동에 기인한 환위험이 기업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중소기업들의 환위험 인식이나 관리측면에서는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위험을 불가항력적인 것으로 치부하여 체념하는 자세나 환위험 헤지가 결과적으로 환위험을 확대시킨다는 견해를 보이고 비용 및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다는 이유 등을 들어 적극적인 환위험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기업의 국제경쟁력은 기술적인 혁신과 더불어 위험요인들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최소화시켜 나가는 위험 최소화 과정을 거쳐 확보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진 수출중소기업이 잠재적으로 대외교역 팽창과 더불어 동시에 증대되는 원화가치 변동 위험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외화 입출입이 많은 수출중소기업은 환차익 및 환차손이 발생하기 마련이며 원화가치의 움직임과 영업활동 특성에 따라 환차손익이라는 필연적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어려운 과정임을 이해한다면 수출 중소기업의 환위험관리 전략은 미래 수익 실현(환투기:speculation)을 위한 과정이 아니라 원화가치변동에 의해 초래될 수도 있는 ‘미 실현 환차손 최소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제까지 환변동 대응방안의 목표가 거래적 환위험의 축소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지속되어온 방안들이 상당히 단기적이고 일회적인 해법제시에 국한되어 있었음을 알려준다. 즉 수출 중소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원화가치 변동 분을 수출가격에 전가할 수 있는 기술혁신에 바탕을 둔 차별화된 제품을 국제시장에 수출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환위험관리는 대·내외적 수단을 통해 관리될 수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외환파생거래를 통한 위험관리가 적절한 경우가 많다. 변동하는 원화가치에 기인하는 위험은 경제 전체적으로는 본질적으로 제거될 수 없는 위험으로서, 개별 경제주체는 그 위험을 거래하는 시장을 통해 사고팔아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원화가치의 변동이 시장의 수요와 공급체계에 의해 결정되는 자유변동환율제도에서는 인위적 개입이나 원화가치 변동의 조작이 허용되지 않으며 원화가치 변동의 움직임이 예측 가능한 수준 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외환시장의 건전성과 투명성 제고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경상거래시 원화에 의한 결제는 자유변동환율제하에서 민감하게 작용하는 외국통화 대 원화가치의 변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기업들로 하여금 환헤지 비용의 절감, 통화불일치에서 오는 각종 요인들을 제거 할 수 있는 궁극적 장치가 될 수 있다. 환변동보험의 경우, 원화가치의 변동에 기인한 환차손과 환차익을 일정수준에서 보장한다는 취지에서 수출기업의 경영안정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에게 수수료 부담 외에도 반대사건이 발생할 경우 환수금을 금융기관에 납부하여야 하는 데에 따른 부담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수출보험공사는 환변동 보험 환수금에 대한 일정 기간 유예 또는 조기결제를 허용해야 한다. 은행의 외환담당자들은 수출중소기업의 외환관리담당자역할을 수행하여 대기업에 비해 취약한 원화가치 변동 관련 정보의 비대칭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환관련 정보의 공유를 통해 은행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량고객을 확보하고 수출 중소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원화가치 변동관련 컨설팅과 우대환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고 본다면 이는 어느 일방의 희생이 아니라 원화가치 변동과 관련한 정보의 비대칭을 극복하고 주거래 은행제도를 확립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쌍방이 윈-윈 하는 전략임을 알 수 있다. In the current open economic system, the international trade of goods and services have been expanding fast. In the trading of products between countries, the gap of currency values of trading partners results in disparity of product prices, and the differences of currency values and product prices caused the foreign exchange volat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Exchange rate is described to an opponent currency value or opponent trading price of both sides. Korea adopted the free floating foreign exchange system after the nation's economic crisis in 1997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ince then, the foreign exchange risks arisen from exchange fluctuations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management of businesses especially for the companies actively engaged in international trades. Nevertheless, Korea'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re still in an infant stage in terms of awareness and management of foreign exchange risks. They have not actively been involved in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considering it "uncontrollable”, or citing that the hedging against risks finally results in expanding risks. They should recognize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a business can be secured through risk minimizing scheme, to lessen diverse risk factors positively and affirmatively, together wi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In this regard, it is urgently needed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 research ways to deal with the risks of won value volatilities which have been rising in keeping with international trading expansi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ve foreign exchange profits and losses as a result of frequent foreign exchange inflows and outflows in their business. This profit and loss is an outcome of won value volatilities and regular business activities. Thus, small and medium exporting enterprises of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focus on not the process towards realizing future profits (speculation), but "unrealized foreign exchange loss minimalization" to be brought up by won value volatilities. The goal to cope with foreign exchange volatilities has been stressed on reducing transactional foreign exchange risks so far. This is an only temporary and short-lived solution. In the long-term basis, small and medium exporting enterprises should make efforts to put differentiated products based on innovated technology in the market, in which foreign exchange rate changes are reflected in export prices.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can be manag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methods. But as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management through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transaction is recommended in most of the cases. The risk caused by the won value volatility is the one that can not be lifted essentially in the overall economy and so individual economic parties can lift risks by selling and buying it in the risk transacting markets. The government should do its utmost to improve soundness and transparency of the foreign exchange market, under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and won value manipulation are not allowed and the won value is only decided by supply and demand situation of the market. The settlement by won in the current transactions can solve the volatility problem, often acting a very sensitive factor in the free floating foreign exchange system, and also can be a long-standing device to save the foreign exchange hedging costs of businesses and lift various problems caused by disparity with foreign currencies. As for the Foreign Exchange Risk Insurance, it has been a big help to export industry's stability of management in view of the fact that it can insure foreign exchange loss resulting from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to a certain extent. However, it is burdensome to businesses since they have to pay commissions as well as the refunds of Foreign Exchange Risk Insurance to banks when the arbitrage trading is occurred. Foreign exchange dealing officials of banks can work as foreign exchange management officials for small and medium exporting enterprises so that they can nurture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regarding the won value volatilities that is said to be lagged behind large businesses companies. Through sharing foreign exchange-related information banks can secure more profitable customers and small and medium exporting enterprises can get consulting services regarding won value volatilities and be served for preferable exchange rates. This is seen as a win-win strategy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two parties can get over asymmetry of information regarding won value volatilities and secure main-bank system.

      •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 연구

        박용규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람들은 종교가 무엇인지 묻는 물음에 기독교, 천주교, 불교, 혹은 무교라고 대답하지만, 한국인의 대다수는 유교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기 때문에 유교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문화에 배타적인 기독교인이라 할지라고 유교와 같은 전통문화 내지는 구체적인 통과의례의 특수한 신앙체계의 영향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한국의 기독교 가정교육도 이러한 방식으로 기독교 고유의 의례나 제도보다는 우리 사회의 유교적 질서와 부합되게 이루어져 나가고 있다. 그것은 기독교 윤리도 세계관도 전통 윤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기독교 문화가 들어오기 오래 전부터 존재하고 있는 한국 문화를 무시하고서는 한국의 기독교도, 기독교 가정교육도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삶의 출생에서 사망에까지 관련된 다양한 의례와 규칙들인 통과의례를 기독교적 관점과 한국 전통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여 한국인에 맞는 기독교 통과의례가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신앙공동체인 교회와 기독교 가정에서 기독교 가치관과 세계관을 기초로 한 통과의례의 실천을 위한 기독교 가정교육이 더욱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웨스터호프의 신앙공동체 이론과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 그리고 Carter와 McGoldrick의 가정생활주기 이론을 근거하여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제Ⅰ장 서론은 한국 전통 문화 속에서 기독교 문화만을 고집하며 신앙생활을 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서술하였다. 기독교 가정이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습으로 기능을 회복하고 신앙공동체의 삶의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교회와 교회 협의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머무는 가정 안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 전통의 통과의례를 기독교 세계관을 해석하고 재구성함으로 한국형 기독교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을 연구할 필요성과 연구목적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제Ⅱ장은 통과의례의 고찰을 통해 통과의례의 의미와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이 땅에서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겪는 통과의례에 대해 출산의례, 성년의례, 혼례의례, 상례의례, 제례의례에 대해 의미와 내용에 관해 서술하였다. 또한 성서 속에 하나님께서 인간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계시하시고, 이에 순종함으로 형성된 통과의례를 출생, 성인례, 결혼, 죽음과 장례에 대하여 이스라엘 민족의 삶을 통해 서술하였다. 제Ⅲ장은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웨스트호프의 신앙공동체이론과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 그리고 Carter와 McGoldrick의 가정생활주기 이론을 근거로 통과의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근거로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교육의 이해를 대상의 전환, 전통세우기, 교회력과 절기의 활용, 예배의 갱신,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Ⅳ장은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의 개요에 대해 다루었다. 기독교 가정을 위한 교육 목적, 교육 내용, 교육의 장, 교육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Ⅴ장은 통과의례를 통한 기독교 가정교육의 실재에 관한 내용으로 교회에서 가정 공동체를 대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통과의례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기독교 가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실천해야 할 가정예배와 출생에서 죽음의 과정 중에서 중심이 되는 생일 축하의례와 회갑 축하의례와 여러 행사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