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백내장 수정체 상피세포의 변형성장인자 발현

        김도형,양재욱,박세광,김성두,허준,윤일한,최인학,Do-Hyung Kim,Jae-Wook Yang,Seh-Kwang Park,Sung-Doo Kim,Jun Hur,Ill-Han Yoon,In-Hak Choi 대한안과학회 2005 대한안과학회지 Vol.46 No.8

        Purpose: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is recognized as being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We quantitated the mRNA expression of TGF-β isoforms in cataractous crystalline len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soforms on cataractogenesis. Methods: With lens epithelial cells from thirty eyes in thirty patients, the mRNA expressions of TGF-β1, β2 and β3 were quantitated by real-time SYBR Gree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cataract type and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Results: Each isoform mRNA of TGF-β was expressed: TGF-β3 in all 30 eyes, TGF-β1 in 29 eyes (96.7%), with the exception being one diabetic senile cataract, and TGF-β2 in 9 eyes. The amount of TGF-β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abetic cataracts than in the non-diabetic cataracts (P=0.056). Conclusions: TGF-β was associated with cataractogenesis. It is significant that the expression of TGF-β2 mRNA was decreased in all cataracts. The decrease of TGF-β1 mRNA expression was more meaningful in the diabetic cataracts than in the non-diabetic catara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간 망막 색소상피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천연 및 합성 화합물들의 세포 보호 효과 비교

        김다혜(Da Hye Kim),김정환(Jeong-Hwan Kim),박세광(Seh-Kwang Park),정지원(Ji-Won Jeong),김미영(Mi-Young Kim),남수완(Soo-Wan Nam),이혜숙(Hyesook Lee),최영현(Yung Hyu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손상 및 퇴화는 시력 소실을 포함한 다양한 망막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14종 단일 성분과 합성 화합물 2종을 대상으로 망막질환 개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유래 망막 색소상피 세포를 대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후보물질 중 H₂O₂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보인 5종(auranofin, FK-509, hemistepsin A, honokiol 및 spermidine)을 선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H₂O₂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및 활성 저하 억제능을 평가하였으며, auranofin을 제외한 4종에서 유의한 세포 보호 효능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FK-506, honokiol과 spermidine이 DNA 손상을 개선시켰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5종의 후보물질이 활성 산소종의 생성에는 뚜렷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5종의 후보 물질이 ROS-비의존적 기전을 통해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 후보물질 중에서 spermidine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보호 효능이 가장 우수한 천연물 유래 단일 물질임을 규명하였으며, 동시에 합성물질로는 FK-506이 망막세포 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 결과는 spermidine과 FK-506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질환의 위험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xidative stress causes injury to and degeneration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 cells. It is involved in several retinal disorders and leads to vision lo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14 kinds of natural compounds and two kinds of synthetic compounds on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in human PRE cell lines (ARPE-19). From among them, we selected five kinds of compounds, including auranofin, FK-509, hemistepsin A, honokiol, and spermidine, which have inhibitory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 (H₂O₂)-mediated cytotoxic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four kinds of compounds (excluding auranofin) have protective effects on H₂O₂-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ion of histone H2AX, a sensitive marker of DNA damage, was markedly up-regulated by H₂O₂, whereas it was notably down-regulated by FK- 506, honokiol, and spermidine treatment. Meanwhile, five kinds of candidate compounds had no effect on H2O2-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suggesting that the five candidate compounds have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through the ROS-independent pathway. Taken toge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2O2-mediated cellular damage-such as cytotoxicity, apoptosi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DNA damage-spermidine and FK-506 are the natural and synthetic compounds with the most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RPE. Although further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 responsible are requir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spermidine and FK-506 to suppress the risk of retinal disord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감초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및 apoptosis 유발의 차단 효과

        김소영(So Young Kim),김정환(Jeong-Hwan Kim),김성옥(Sung Ok Kim),박세광(Seh-Kwang Park),정지원(Ji-Won Jeong),김미영(Mi-Young Kim),이혜숙(Hyesook Lee),정재훈(JaeHun Cheong),최영현(Yung Hyu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11

        고령층 인구에서 노인성 황반변성(AMD)은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망막 항상성을 유지하는 망막색소상피(RPE)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은 AMD의 발달에 기여한다. 감초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의 다양한 질병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초 중 하나이다. 비록 감초는 다양한 실험 모델에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손상에 대한 보호 기전은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ARPE-19 인간 망막색소상피에서 과산화수소(H₂O₂)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결과에 의하면 감초 추출물은 Nrf2 및 HO-1의 발현을 유도하면서 H₂O₂에 의한 ROS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감초 추출물은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을 억제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소실을 약화시켰다. 그리고 감초 추출물 H₂O₂에 의한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apoptosis 유도를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감초 추출물이 DNA 손상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감소시킴으로써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망막색소상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감초 추출물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들의 분석과 Nrf2-매개 HO-1 발현의 조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감초 추출물은 AMD의 위험을 감소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damage to 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 cells due to oxidative stres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M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Asian countries. Although recent studies indicated that treatment with G. uralensis can protect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ts mechanisms in RPE cells remain unknown. We evaluated the effect of a G. uralensis ethanol extract (GU)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injury in ARPE-19 RPE cells. The GU pretreatment attenua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duced by H₂O₂, which was associated with induced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2-like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GU also suppressed H₂O₂-induced DNA damage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GU on H₂O₂-induced apoptosis was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of caspase-3 activation. Overall, GU appeared to protect RPE cells from oxidative injury by inhibiting DNA damage and reducing apoptosi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regulation of Nrf2-mediated HO-1 expression, but our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GU to reduce the risk of AMD.

      • KCI등재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지질 다당류에 의한 미세먼지(PM<SUB>2.5</SUB>) 유발 염증 반응 증진에 미치는 ROS-NF-κB 신호 전달 경로의 역할

        권다혜(Da Hye Kwon),김다혜(Da Hye Kim),김민영(Min Yeong Kim),황보현(Hyun Hwangbo),지선영(Seon Yeong Ji),박세광(Seh-Kwang Park),정지원(Ji-Won Jeong),김미영(Mi-Young Kim),이혜숙(Hyesook Lee),정재훈(JaeHun Cheong),남수완(Soo-Wan Nam),황혜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LPS가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반응이 미세먼지(PM2.5)에 의해 더욱 증가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LPS와 미세먼지(PM2.5)가 단독으로 처리되거나 LPS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미세먼지(PM2.5)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변수와 ROS의 생성 정도 및 염증 조절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포 독성이 없는 범위에서 LPS가 처리된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는 염증성 매개 인자(NO 및 PGE₂) 및 cytokine (IL-6 및 IL-1β)의 생성 수준이 각각의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매우 증가되었으며. 이는 이들의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 미세먼지(PM2.5)가 노출되었을 때, 핵에서 NF-κB의 발현이 더욱 증가하였고, 세포질에서는 NF-κB 뿐만 아니라 IκB-α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LPS와 미세먼지(PM2.5)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 동시 처리된 경우 NF-κB 신호계의 활성이 더욱 증가하여 염증성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 촉진에 기여하였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ROS 생성이 크게 증가되었지만 NF-κB 억제제는 ROS의 생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ROS 생성을 인위적으로 억제하였을 경우, 미세먼지(PM2.5)에 의해 증가된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및 생성과 NF-κB의 활성화가 모두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PS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서 미세먼지(PM2.5)에 의해 유도된 NF-κB 매개 염증 반응의 증가는 ROS 생성 의존적 현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could be promoted by particulate matter 2.5 (PM2.5) stimulation. To this end, the levels of inflammatory parameter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inflammation-regulating genes were investigated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PM2.5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₂) and cytokines (interleukin-6 and -1β)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M2.5 stimulation in LPS-treated RAW 264.7 cells, which was correl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 genes involved in their production. In addition, when LPS-treated RAW 264.7 cells were exposed to PM2.5, nuclear factor-kappaB (NF-κB) expression was further increased in the nucleus, and the expression of inhibitor of NF-κB as well as NF-κB in the cytoplasm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treatment of PM2.5 and LPS further increases the activation of the NF-κB signaling pathway compared to each treatment alon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transcriptional activity of inflammatory genes. Furthermore, although the generation of ROS was greatly increased by PM2.5 in LPS-treated RAW 264.7 cells, the NF-κB inhibitor did not reduce the generation of ROS. In addition, when the generation of ROS was artificial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the activation of NF-κB were both abolished.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the NF-κB-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PM2.5 in LPS-treated RAW 264.7 macrophages was a ROS generation-dependent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