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환과정에서의 특수교육과 직업재활서비스의 관련성

        박석돈(Suk D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전환은 모든 학생들의 교육이 완료될 때 모든 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정이고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에서 직업으로의 전환은 특수교육과 재활서비스가 요구된다. 특수교육의 입장에서 볼 때, 관련 서비스는 장애아동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관련 보조 활용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장애인 ‘재활’이라는 총체적 측면에서 볼 때, 교육활동은 재활의 한 하위 영역에 해당된다고 이해된다. 특수교육에서 관련 서비스는 특수교육을 지원하는 ‘보조활동’이라기보다, 특수교육은 관련 서비스의 지원 하에 특별히 구안되어 행해지는 교육활동이며, 관련 서비스는 장애로 인한 기능의 전반적 ‘재활’이라는 측면에서, 오히려 특수교육보다 상위의 포괄적인 서비스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한 재활과 복지 서비스의 총칭으로 관련 서비스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고 다원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문 직업재활의 고유 영역에서의 특수교육과의 관계는 특수교육은 장애아 직업전 교육으로서의 의미가 있고, 또한 전본 직업 훈련을 보조해 주고 지원해 주는 역할과 기능을 하며, 직업진로교육 및 직업준비교육의 관점에서 이해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ransition period when disabled children graduated from special school and enter society. First, the concept and special points in the transition period, Second, the relevancy of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centered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aspect of special education and vice versa.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integrated cooperation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reparation education-orien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transition process.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is the process that all students experience and this transition for disabled students requires special education and vocational service. Related service in the view of special education is considered relevant assisting activity which is supporting the handicapped children s educational activities, but the educational activities are comprehended as the sub-category of rehabilitation, in the light of comprehensive aspect of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ransition process is to begin by the person who i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or who is offering adult service, which is the process planned in detail for planning and performing employment or job training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who will graduate or leave form school within 3 to 5 years, and this course should be planned together with the special teache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person related to the adult handicapped service system and employer, etc., as long as possible. In order to come through job education successfully,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that severe handicapped children can get their job appropriate to their needs and aptitudes should be well arranged through pre-job preparation process and training.

      • 지원고용에 있어서 정신지체근로자에 대한 고용주 만족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박석돈(Suk-don Park),천지은(Ji-eun Chu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중증장애인의 고용기회 확대와 사회통합을 위한 지원 고용으로 고용을 획득한 정신지체근로자에 대한 고용주의 실제 만족도 및 관련 변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정신지체인의 고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곧 지원고용의 성공적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도 같으며, 인적 환경 요인에 속하는 고용주의 부정적인 태도는 장애인의 고용기회와 직업유지를 저해한다라고 간주되어져 왔으며 이는 정신지체근로자의 지원고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부족 등으로 실제 고용현장에서 아직까지 고용주들이 긍정적인 고용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인의 고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용주의 고용만족도 및 관련 번인들을 조사하는 것은 고용현장에서 정신지체인의 고용을 저해하는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데 많은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고용주의 만족도는 크게 첫째, 개인 및 직무관련 요인, 둘째, 관리 및 제도관련 요인, 셋째, 경제관련 요인, 넷째, 사회 및 환경관련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용주는 오늘날 경쟁화 된 산업사회에서 잠재적으로 미개발된 장애인이라는 인적 자원을 발굴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사회와 장애인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고용주가 실제 현장에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직무능력에 있어서의 만족을 부여하는 것은 장애인의 고용증대뿐만 아니라 사장될 수 있는 생산적 노동력의 활용으로 사회적 발달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용주의 만족도 요인을 기초로 보다 효율적인 지원서비스 체계를 확립하고, 정신지체인의 고용 증대 및 유지를 이룰 수 있는 고용주 인식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atisfactions of employer for worker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supported employment and ultimately to suggest necessity of more effective supported employment service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employer. Employer have a key decision-making role in the hiring of any employee. Therefore, the negative attitudes of employer considered that it impedes opportunity and maintenance of employment. The satisfactions of employer for worker with mental retardation fell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individual and job-related factors, management and regulation-related factors, economy-related factors, social and environment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individual and job-related factors includes appropriate grooming, work at a satisfactory standard, undertake most of the assigned tasks, work rate similar to others and so forth. Second, the management and regulation-related factors includes employer involvement in planning work integration, availability of additional assistance, employer knowledge of the Act for individual with disability, long-term plan by the employer, support of a disability employment agency and so forth. Third, the economy-related factors includes extra supervision, availability of training to co-workers, access to a productivity-based wage, cost of workplace modifications, availability of subsidies/ incentives for employers, concern ove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higher rate of absenteeism and so forth. Fourth, the social and environment-related factors includes ability of staff to work person with a disability, belief in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awareness of disability, lack of social integration in the workplace, discomfort of other staff, concern about negative responses by customers and so forth.

      • KCI등재후보

        장애근로자 이직의 유형과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박석돈(Suk-don Park),조주현(Joo-hyun Cho),한미현(Mi-hyun Ha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해서 현재 장애근로자들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장애근로자들의 이직이 긍정적인 영향 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후지도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직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과 국ㆍ내외 선행연구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고 장애근로자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령, 근속기간, 직업적성, 성격특성 등과 관련된 개인적인 요인과 직무내용에 대한 반응, 과업 반복성, 직무 자율성 및 책임 등의 직무관련 요인, 취업기호, 지역사회지원, 계속적인 지원 등과 관련된 환경적인 요인의 세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separation to workers with disability. Also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model of the separ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separation. The concept of separation can be defined broadly as the movement of labor among localities, among industries and among classes in the same workplace. Concept of narrowly is separation of workers. The function of separation can be explained in the functional aspect and distinctional aspect. But it has been many researched ba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separation. Separation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voluntary. Voluntary separation was workers make decisions, and involuntary separations are to led by organizations. There are three separation-related models, which are economic model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psychological model focused on workers cognitiv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labor market, and sociological model that combines the psychological model with structural dimensions related to work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separa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y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length of service, occupational aptitude and personality, job-related factors such as response to job contents, task repetition, job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mployment practice,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and continuous support.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factors of separation for workers with disability.

      • KCI등재

        전환교육의 모형에 관한 일 연구

        박석돈(Park Suk Do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2 職業再活硏究 Vol.12 No.2

        This study sho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nsition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various transition education models in both broad and narrow concepts. The transition education model is what systematically described educational activity and service offered to help the handicapped person who transferred from one situation to another. The purpose of transition education is to promote proper transition from school to society such as an individual student s integrated employment activities and education, service for an adult and independent life or society. The transition education models developed until now are the pattern of narrow concept and broad concern, the former is the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transition education concept of beginning which largely focused on job transition at high school level, meanwhile, the latter is the comprehensive model for social integration, focused on transition such as the employment through all life or various school levels and leisure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e vocational guidance-oriented transition education models belonging to the narrow concept are as follows: Wills model focused on adult employment patterns Wehman s model focused on the important result of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in employment The student-oriented model emphasized a student s positive participation The aims of transition education belonging to the broad concept models are as follows: Halpern s model emphasized total aspects for the integration of local community Brolin s life-oriented transition model Sitlington s transition education model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박석돈(Park Suk Don),안은경(Ahn Eun Kyou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2

        특수학교 직업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알아보는 일은 우리 나라 특수교육의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하고 의의있는 일이며, 직업담당교시의 직무만족 여부는 장차 우리 나라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이 성패를 좌우할 만큼 커다란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시의 직무만족도를 조시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 간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의 직무생활의 질과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정신 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학교 설립별에 따른 6가지 영역의 직무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교직 경력 및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셋째, 직업교육 전공 여부와 직무만족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등 이상의 직업교육이 개설된 64개교의 직업담당교시 121명을 대상으로 6개 직무만족 영역의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내용으로 하여 분석 통계 처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설립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교육과정 운영과 지역시회와의 관계 2가지 영역에서 시립교시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교직 태도, 보수 2가지 영역에서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직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행정적 지원, 교직 태도,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의 4가지 영역에서 평교사 보다 부장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간제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전 영역에 걸쳐 좀더 높았다. 셋째, 전공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업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비전공교사들보다 행정적 지원. 교시간의 관계,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의 영역에서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 for the mentally retarded according to the school establishment(private school, public school). teaching profession career. ranks and 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121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s. The questionaries consist of 6 job satisfaction areas and have 36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job satisfaction by school establishment is department in 2 areas of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private school teachers was high than public school teachers. Seco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ing profession career. in 2 areas of teaching profession attitude. compensation system teachers who have career fewer than 5 years and more than 21 years was higher. Also. job satisfaction by rank(position) was higher head of a department teachers more than common teachers in 4° areas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system. teaching profession attitude.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Third. teachers who job satisfaction by 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were higher in 4 areas of administrative assistance system. relation among teachers. curriculum. relations with community than nonqualifie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 Professionalism may have to be refurbished in reply so that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more injections may be achieved for development of essential vocational education for perfect social rehabilitation of disabled person ultimately. To do. long-term political care may have to fol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