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최정선 ( Choi Jeong-seo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6 실천유아교육 Vol.21 No.-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에서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영역과 교육내용 이해수준을 분석하여 유아 다문화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도의 20개 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70명이다.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 다문화교육의 영역은 활용 빈도(%)를, 교육내용 이해수준은 교육영역별 이해수준 평균값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문화적 영역(45.7%)을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자연적 환경영역(35.7%)을 높은 빈도로 사용한 반면, 가족영역(2%), 다원화 가치관 영역(2%)은 단 2명의 교사만 상위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둘째, 유아 다문화교육 영역의 이해수준에서 인종 영역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적 영역, 자연환경 영역, 가족 영역, 기타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아 다문화교육의 전체 이해수준(M=2.9~4.0)은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 다문화교육의 교육과정 편성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유아 다문화 교육 내용의 범주를 설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교사 현직연수를 통해 교육수준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what type of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erms of appropriate and developmental levels for presentation. Participates, 70 teachers in Daegu and Kyungpook Province, were presented with a model of multicultural content areas, drawn from rec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literature and based on six basic conceptual contexts: 1) culture 2) race 3)social class and consumerism, The teachers’ responses and comm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the varied content areas. The results showed a high frequency in choosing the subordinate concepts of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and race as importan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topics.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did not perceive abilities and disabilities,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social class and consumerism, or family structure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education.

      •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분석

        박지영 ( Park Chi-young ),이경화 ( Lee Kyun-ghwa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확인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5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 10일부터 2017년 4월 24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lpha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른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연령, 근무교육기관, 학력, 경력, 담당 유아연령,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교사의 학력을 제외한 모든 배경 변인에 따라서 교사의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환경교육을 실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teacher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10, 2017 to April 24,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 assess th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One-way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co-friendly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except teacher's educ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career, the infant ag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육 탐색

        문명희(Myounghee Moon),남연정(Younjung Nam)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즈음하여 유아교육의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젠더 감수성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60여 편과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웹페이지, 매체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역할과 자세, 교육철학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는 유아들의 다양한 젠더 인정하기, 여러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하기, 공감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하기, 유아발달에 적합하도록 제안하고 질문하기, 유아 개별 특성을 고려하기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는 일상생활 속에서 젠더 실천하기, 유아 개개인을 차별 없이 존중하기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에 적합한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를 위한 젠더 감수성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determine what direc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 the global era. For this purpose, about 60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curriculum documents, Ministry of Education web pages, and media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and the roles, attitudes, an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It was analyzed based on philosophy,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and creating gender sensitive classroo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include acknowledging children’s diverse genders, interacting socially with many children, empathizing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making suggestions and asking questions appropriate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considering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creating a gender-sensitive classroo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es practicing gender in daily life and respecting each child without discrimination. To this end, we propose that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 검사도구 WIDA를 활용한 유아의 영어능력에 대한 연구

        이영미 ( Lee Yeong Mi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2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영어교육에 노출되고 있는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의 경험이 유아의 영어능력의 발달에 영향올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부모의 관심으로 취학 전 유아들이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고 있으나 유아의 영어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No Child Left Behind (NCLB) 법령 제정 후 취학전 유아의 영어능력평가도구로 개발된 검사도구 WIDA Model for Kindergarten가 있다. 이 검사도구는 유아의 구어능력, 문해능력 등의 전반적인 언어발달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일과시간에 영어수업을 제공하고 있는 유치원 한 곳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30명올 대상으로 하였다. WIDA를 활용하여 1학기 후반에는 1차 검사를, 2학기 후반에는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검사에서 구어능력의 평균 수준은 1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2차 검사 결과, 유아의 구어능력 평균 수준은 1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나, 문해능력 평균 수준은 2 수준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어능력 평균 수준을 1, 2차 시기에 따라 비교한 결과, 유아의 구어 능력 수준은 동일한 1단계에 머물고 있었다. 앞으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교육프로그댐의 효과를 WIDA 검사도구툴 활용하여 언어형태별로 검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early exposure to English learning in either kindergarten or at home helped to develop S-year-olds` overa1l English skills in Korea. One private kindergarten where the children received routinely English lessons was selected and a total of 30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hildren`s ability to speak, listen, read, and write in English was measured using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WIDA). Twenty two states in the U.S. cooperated to develop WIDA so that they could assess children`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ELI`) in various years of age and provide appropriate instruction. All of the children were administered to WIDA in mid June for the pre-test and re-tested in January for the post-test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I`S5. The results of analyses suggest that the children`s ability to listen, speak, read, and write differed based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with English at kindergarten. WIDA can be used for assessing children`s developments stage as an English learner.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will help to develope English instruction an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in English as Foreign Language (EFL).

      •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개발

        김병만(Byung-Man Kim),김다희(Da-Hee Kim),박수지(Su-Ji Park),이강훈(Kang-Hoon Lee),임홍남(Hong-Nam Im),정수정(Su-Jeong Jeong),정진성(Jin-Sung Jeong),곽영숙(Young-Sook Kwa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fant-centered STEAM play that is made into a narrative. This study solved STEAM play, in which infants create narratives together, as an expressive play led by infants, and organized around cases. It aimed to establish a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plan that can lead to high interest in play an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for young children, and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developed the program by converging art, science, and engineering as a member of a professional joint learning community. As a result, ‘slides in space’, ‘symbols of art, various types of towers’, ‘why does it sound different? Sound sculptures, imagination and connection, doors as boundaries, and sound and motion, meeting acoustic engineering, and polyartists were developed. In addition, field support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guidebooks, infant workbooks, narrative media contents, and PPT for teacher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practice, and implications of how to solve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proposed. 본 연구는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가 함께 내러티브를 만들어가는 STEAM 놀이를 유아가 주도하는 발현적 놀이로 풀어냈으며, 사례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유아에게 놀이와 배움에 관한 높은 관심과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실천방안 구축을 목표하였으며, 연구진과 유아교육기관 현장교사들이 전문적 공동학습체 일원으로 예술과 과학 및 공학을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공간 속 미끄럼틀’, ‘예술의 상징, 다양한 형태의 탑’, ‘왜 다르게 들릴까? 소리조형물’, ‘상상과 연결고리, 경계로써 문’, ‘소리와 동작, 음향공학의 만남, 폴리아티스트’ 놀이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가이드북, 유아용 워크북, 내러티브 미디어 콘텐츠, 교사용 PPT 등 유아교육 현장 지원 자료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지향하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 STEAM 교육을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방향성과 실제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 경험 탐색

        박부숙(Boosook Par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생들이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을 반영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실행하고,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G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블렌디드 수업 대상자 2학년 학생 14명으로 ‘놀이지도’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다. 연구결과 누리과정에서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지도 모의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기존 누리과정과 개정 누리과정 사이에서 갈등을 느꼈고, 유아가 되어 놀이에 참여한다는 것에 대한 신선함과 부담감이 존재하였으며, 발현적 교육과정을 통한 구성주의에서 지식 구성에 어려움을 느꼈다. 모의수업을 마치고 평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 교사 역할을 한 학생은 놀이할 줄 모르는 친구들로 인해 수업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놀이가 배움이 되는 순간을 포착하여 보람을 느꼈지만 놀이가 확장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릴 수 없었다. 모의수업 경험은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고민을 통한 성장의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모의수업에서 했던 활동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적용하여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놀이와 차이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보고, 놀이지도 모의수업뿐만 아니라 타 교과목에서도 누리과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해 볼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students of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e to implement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reflecting teacher’s role that is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practice young children’s play-centered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sophomore students for blended learning in th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S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y felt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y also felt burden as well as freshness on participation in play by being young children, and difficultie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constructivism through emergent curriculum. Focused on evaluation, after finishing the mock class, the students who played teacher’s role revealed difficulties in class operation due to other students who did not know how to play. Although they felt rewarded by capturing the moment that play becomes learning, they had obsession that play should be expanded. It is found out that experience of mock class is a process of growth through understanding and agony on teacher’s role as a play supporter. 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mock class can be applied to young children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o that the differences from the pla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can b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o apply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o other courses in addition to the pla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ock class and to plan and practice class.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성원경 ( Won Kyung Sung ),이춘자 ( Choon Ja L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A, B 대학 예비유아교사 73명이다. 유아수학내용지식은 개념도를 통해, 수학적 교수효능감은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 효능감 중 결과기대 효능감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 교수 능력신념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목 내용지식을 잘 배우면 앞으로 잘 가르칠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내용지식을 잘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s subjects are 73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rom two four-year universities, A and B, situ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ir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ere analysed using a concept map and a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econd,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outcome expect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efficacy expectation. The above results mean that pre-service teachers` good learning of a specific subject`s content knowledge leads to their excellent teaching, and therefore good learning of content knowledge is crucial.

      • 교사의 목소리로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

        윤혜자 ( Hye Ja Yoon ),홍길회 ( Khil Hoe Hong ),정가윤 ( Ga Yoon Jung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는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교육을 통해 유아교사가 음악교육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 유아교육현장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지, 그리고 유아들에게 음악을 교육할 때 교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유치원 음악교육활동의 직접 관찰과 4명교사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음악교육에 대한 이해와 유아들에게 실시되는 음악교육과 교사에게 필요한 음악적 환경, 교사들의 음악교육실행의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 교육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에 들어오는 외부의 음악수업에 대한 교사의 생각은 어떠한가? 셋째, 음악교육을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교사를 통해 본유치원의 음악 교육은 수업 속에 활용되는 음악으로 음악 교육이라기보다는 생활주제를 유아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거나, ‘노래 부르기’와 같은 활동만으로 음악교육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외부 음악 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을 하였으며, 외부음악교육에 대해 그에 따른 교육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를 통해 본 교사의 음악지도의 어려움은 음악적 자신감 결여와 지도방법의 연계방법 부족으로 인하여 음악적 개념지도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교사들에게 음악 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과 예비교사들을 위한 ‘유아음악교육전문 교사자격’ 체제를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도 유아음악교육 전문성 교사 배출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By monitoring kindergarten musical activities in-depth interviewing with four kindergarten teachers, this paper researched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al educations, ways of their plan and implementing educations, thoughts about musical educations programed by private institutions and difficulties of educating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Thus,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to improve understandings of musical educations, musical education practices` environments in kindergarten field regarding of three questions: First, how were actu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of view?, Second,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ic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ird,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nswering the first question, "how were actual musical educations like by a teacher`s point, musical educations were performing as subject of living discussion time and as the one of activities such as "Sing-Along". Answering the secon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attitude toward on accepting muscial educations programmed by private institutions?, the answer was found as the attitude was positive. Answering the third question, what were teachers` difficulties for teaching musical educations?,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uggling with advising musical education concepts due to a lack of confidence on educations and of applied ideas to musical educations.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However, by restraining the musical education, they were willing to teach musical educations to students systematically. Eventually, this research would challenged current kindergarten teachers to be suggested for needs of restraining musical education and systematic musical education.

      • 가치다원화시대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공동체 가치관 교육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의 공동체 가치관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김희수 ( Kim Hee-soo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4 실천유아교육 Vol.19 No.-

        오늘날 세계화·정보화·다원화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들로 확산되면서 가치혼란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가치관의 변화가 초래한 역기능들이다. 물론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의 어떤 것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효율적이며 진취적인 성향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장차 사회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다문화가정의 소외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인 질서를 뒤흔들어 놓을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미 다문화가정이 10만 세대를 넘는 현실에서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을 조화, 융합시킬 수 있는 가치다원화시대의 체계적인 교육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회질서를 파괴하는 그릇된 가치관의 확산을 저지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사회에 심어줄 가치 정립의 교육 또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아교육단계에서 다문화교육을 주도할 예비교사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이에 정서적 발달적 측면에서 가장 민감한 유아기의 교육을 담당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교원양성단계에서에서부터 필요한 가치다원화시대의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의 방향을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해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community value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an age of value pluralism. Recognis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society, and the way social values are embedded in the educational procee is useful. Education influences and reflects the values of society, and the kind of society we want to be. It is important, therefore, to recognise a broad set of common values and purposes that underp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work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planning to take on long-term practice, to obtain adequate community value education about fields, to adjust to their roles as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establish reasons for long-term practices within the limited experience available due to a lack of long-term practice programs.

      •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전략과 포트폴리오 평가

        심윤희 (Sim, Yun Hee)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3 실천유아교육 Vol.18 No.1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실제를 소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는 사랑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질적 단일 사례연구의 구조 하에서 체계적인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누리반의 유아교육프로그램은 지능의 실제성을 두는 다중지능이론에서 강조되는 ‘실천적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고 생산적인 ‘콩, 디자이너 되어보기, 돈, 지구를 살려라, 직업’ 주제를 선정하였고 유아들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의미 있는 학습과 창의적 경험을 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도입전략을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으로 유아들은 다름과 차이를 인정받으면서 다중지능을 발달시켜 나갔다. 무엇보다도 유아, 부모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과정폴리오 평가 과정을 통해 다중지능을 강화하여 유아의 사고와 학습의 확장을 살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being made, and portfolio assessment to b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real-placed. To this end, pre-schoolers in Nuri class at Sarang Day Care Center were chosen for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o the project approach, were studied in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analyzing the project-based education curriculum of Nuri class and interpreting the implementation of an early childhood program that applie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e Nuri class program focused on practical knowledge emphasized i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on productive themes: Beans, Experience What it`s like to be a Designer, Money, Save the Earth and Occupations. The preschoolers engaged in meaningful learning and creative experiences. Through a project that adopted a strategy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they were able to develop multiple intelligences while having their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recognized. More than anything, the portfolio assessment proces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which incorporates the children and parents, helped to build multiple intelligences to expand the children`s reason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