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에 따른 초등교사의 소진

        박새미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교육이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기에 교사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고, 학생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 지도를 포함한 업무수행 과정에서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긴장을 경험하며 스트레스의 누적은 교사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교사 소진을 이해하고 예방하기 위해 교사 효능감과 소진 간 관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 두 차원의 효능감을 모두 고려하여 교사 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에 따른 초등교사의 소진이 어떠한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의 교사 소진 설명력은 어떠한가? 둘째,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의 차이에 따른 교사 소진의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 인천 소재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300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교사 효능감, 집단적 교사 효능감, 교사 소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 소진에 대한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의 설명 효과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의 차이와 교사 소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 교사 소진의 상관분석 결과 세 변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교사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집단적 교사 효능감과 교사 소진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이 교사 소진 전체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개인적 교사 효능감이 집단적 교사 효능감보다 교사 소진 전체에 대한 설명력이 더 컸다. 교사 소진 하위 변인 중 신체적 증상, 미래에 대한 불안은 개인적 교사 효능감의 설명력이 더 컸으나 관계불만족은 집단적 교사 효능감의 설명력이 더 컸다. 셋째, 개인적 교사 효능감 고-저와 집단적 교사 효능감 고-저에 따라 집단별 교사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네 집단 간 교사 소진 전체와 소진 각 하위 요인별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교사 개인이 자신의 효능감을 지각하는 정도와 집단의 효능감을 지각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B집단(개인효능 저-집단효능 고)과 C집단(개인효능 고- 집단효능 저)의 경우, 교사 소진 하위 변인 중 관계불만족과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C집단이 B집단에 비해 관계불만족이 높았고, B집단이 C집단에 비해 미래에 대한 불안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효능감을 단일 차원으로 고려하지 않고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으로 구분하여 교사 소진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과 교사 개인이 지각한 두 효능감의 차이와 교사 소진 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교사 소진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개인적 교사 효능감과 집단적 교사 효능감과 관련하여 교사 소진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도 타당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경사에 따른 보행수 변동이 심박수와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박새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지와 경사도에서 개인 선호 보행수와 변동된 보행수로 보행 시 심박수와 산소섭취량,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건강한 20대 여성 10명(연령 : 23.7±1.3yrs, 신장 : 160.8±3.5cm, 체중 : 58.1±8.9kg)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트레드밀에서 3.5kph 속도로 총 25개의 보행 실험을 무작위 순서로 실시하였다. 처음에는 5가지 경사도[20% 내리막(20D), 10% 내리막(10D), 0% 평지(F), 10% 오르막(10I), 20% 오르막(20I)]에서 5분간 편안하게 보행하며 선호 보행수(PSF)를 측정하였다. 그 후 5가지 경사도에서 변동된 보행수(80%PSF, 90%PSF, 110%PSF, 120%PSF)로 메트로놈 소리에 맞춰 5분간 보행을 진행하였다. 5분 동안 심박수와 산소섭취량, 에너지소비량을 측정했으며 항정 상태의 데이터 추출을 위해 5분 중 마지막 2분의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경사도와 보행수 변화에 따라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이원반복측정 분산분석(two - way repeated measure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 - way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은 Scheffe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PSF는 20D, 10D, F, 10I, 20I에서 각각 116.8±7.1, 113.6±6.5, 105.0±3.7, 98.7±4.4, 98.4±6.4 step/min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20D, 10D, F, 10I, 20I에서 PSF의 심박수는 102.0±2.8, 95.6±2.0, 94.8±2.2, 129.0±2.5, 165.9±2.1 beat/min, 산소섭취량은 13.0±2.0, 11.0±1.8, 14.6±2.1, 26.3±2.7, 36.3±2.9ml/kg/min으로 나타났으며 각 경사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심박수는 F에서 최소로 나타났고 산소섭취량은 10D에서 최소로 나타났다. 모든 경사도에서 5가지 보행수로 보행 시 PSF에서 최저의 심박수가 나타났고, 120%PSF에서 최대의 심박수가 나타났다(p<0.001). 각 경사도에서 변동된 보행수의 심박수는 PSF와 비교해서 20D-90%PSF와 10D-90%PSF를 제외하고 모두 심박수가 증가한다(p<0.05). 각 경사도에서 변동된 보행수의 산소섭취량은 PSF와 비교해서 F-80%PSF, F-120%PSF 및 10D-120%PSF에서 산소섭취량이 증가했다(p<0.05). F-PSF와 비교하여 산소섭취량은 10I와 20I의 모든 보행수에서 증가하였고(p<0.001), 10D와 20D에서는 20D-120%PSF를 제외한 모든 보행수에서 감소하였다(p<0.05). F에서는 F-80%PSF와 F-120%PSF에서는 산소섭취량이 증가하였으나(p<0.05) F-90%PSF와 F-110%PSF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3.5kph 속도에서 오르막 보행의 PSF는 평지에서의 PSF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오르막 보행 시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내리막 보행 시 PSF는 평지보다 감소하지만,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지와 오르막, 내리막에서 PSF로 보행 시 최저의 심박수를 나타내고 보행수를 변화시키면 심박수가 증가한다. 하지만 내리막에서 PSF보다 10% 이내의 보행수 변동은 심박수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산소섭취량과 에너지소비량은 오르막에서는 보행수 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20% 내리막에서도 보행수 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평지에서 보행수를 PSF보다 20% 이상 혹은 이하로 변동시키면 산소섭취량과 에너지소비량은 증가하며, 10% 내리막에서도 보행수를 PSF보다 20%이상 증가시키면 산소섭취량은 증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ep frequency changes during a leveled and slope walking on metabolic responses. Ten healthy young women (23.7±1.3 yrs, 160.8±3.5 cm, 58.1±8.9 kg) participated in a total of 25 randomly ordered testing sessions. In all sessions, they walked on a treadmill at a speed of 3.5 kph for 5 min. The condition of each session was one of the combinations of 5 slopes (20% Decline (20D), 10% Decline (10D), Flat (F), 10% Incline (10I), and 20% Incline (20I) by 5 step frequency (Preferred step frequency (PSF) and 80% (80PSF), 90% (90PSF), 110% (110PSF), and 120% (120PSF) of PSF. At first, their PSF was determined at each of 5 slopes, then their step frequency were calculated. Except for 5 PSF conditions, their step frequency during testing was maintained by a metronome. In all sessions, their heart rate (HR) and oxygen uptake (VO2) were measured. PSF at 20D, 10D, F, 10I, and 20I was 116.8±7.1, 113.6±6.5, 105.0±3.7, 98.7±4.4, and 98.4±6.4 step/min, respectively. PSF at F was lower than 10D and 20D (p<0.05). HR and VO2 in PSF at 20D, 10D, F, 10I, and 20I was 102.0±2.8, 95.6±2.0, 94.8±2.2, 129.0±2.5, and 165.9±2.1 beat/min, and 13.0±2.0, 11.0±1.8, 14.6±2.1, 26.3±2.7, and 36.3±2.9 ml/kg/min, respectively. HR and VO2 in PSF at F was lower than 10I and 20I(p<0.001). Step frequency changes from PSF within each slope showed an increased HR (p<0.05) except during 20D-90PSF and 10D-90%PSF, and an increased VO2 during F-80PSF, F-120PSF, and 10D-120PSF (p<0.05). Compare to F-PSF, VO2 increased during F-80PSF and F-120PSF (p<0.05), but not changed in F-90PSF and F-110PSF. As a result, beyond 10% free uphill walking at 3.5 kph, HR and VO2 increased without changing the step frequency from the leveled walking. During downhill walking at 3.5 kph, the preferred step frequency reduced than the leveled, but HR and VO2 did not change. During uphill walking with or without changing step frequency, During downhill walking with or without changing step frequency, in general, HR increased and VO2 decreased.

      • 외국인 이주자의 헌법적 보호 : 노동이주자와 혼인이주자를 중심으로

        박새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raditionally the phenomenon of migration has been described by a cost-benefit analysis of a sending country and the receiving country respectively. Because of migration, the sending country could lower its unemployment rate and at the same time migrant workers are able to send a remittance to their home country which increases national wealth.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country also benefits by positive changes like solving a manpower shortage, changing age structure and population increase. However, if we approach the phenomenon of migration from only an economical perspective, it may neglect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Also, there will be a risk of a lack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n the process of migrants’ moving or settling. Due to this reason, the sending country may not guarantee or protect its citizens’ human rights and in the receiving country’s position it may lower migrants’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nation’s development; increasing social integration cost, et cetera. Eventually it may be an even more substantial reason that may increase social and economic cost. Furthermore, if the sending country and receiving country want total symbiosis from this migration phenomenon in the future, not only do these countries must consider the subtleties of the existing cost-benefit analysis due to the migrants’ remittance, reducing unemployment rate, creating cheap labor, population growth, et cetera; they should consider the social and economic values of migrants’ human rights, including migrants’ cultural values. The highest percentage of visas granted by categories given to foreigners coming to Korea are the ‘non-professional work(E-9) visa’, the ‘work and visit(H-2) visa’ and the ‘marriage migrant(F-6) visa’ which most of them fall under the category of “low-skilled migrant worker”. On this dissertation, I will mainly cover their constitutional issues and consideration of its improvement plans for what labor and marriage environments immigrant’s currently have. The fundamental cause of constitutional issues through current legislation that low-skilled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ignore value of human beings and tends to only treats migrants as a means to fix all sorts of domestic problems like the population issues, economic issues, et cetera, which leads to a lack of respect for migrants’ fundamental human rights. Foreigners who wish to stay and work in Korea as low-skilled migrant workers are subject to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Work Permit System are the most typical system that supply foreign workers. The Work Permit System authorizes every migrant to a right to stay and a right to work, whereas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uthorizes the employer to have the right to hire foreign work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low-skilled migrant workers have a very strong dependency on an employer. On this account, low-skilled migrant workers are easily at a risk of having their fundamental rights infringed upon such as the right to labor, the freedom of choosing an occupation, their right to family reunification, etc. Meanwhile, a fundamental problem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s based in its short-term rotation. Throughout the globe, short-term rotation is going down the tubes. Migrants can never be an abstract form of pure manpower, and because they are human beings who desire the reunification with their family and a stable residency status, there needs to be a concrete recognition that short-term rotation doesn't function properly in todays reality, even though its intentions in the beginning were good. Germany adopt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based on short-term rotation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2005, new legislation on migration revised and practically abrogated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Korea must learn from other countries’ success and failures on the migration system by study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migrant community of Korea, improving legislation for the demand and supply of foreign workers and so on. Korea must take a proactive approach to prepare for the future. Germany has transitioned to a system that now allows already existing low-skilled migrant workers who meet certain requirements the rights to stay and establish family reunification and the influx of the professional foreign workers are completely supported and encouraged. Such a study on Germany’s case can be one of the models that help Korea to seek new solutions to help and propose new legislation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and eradicate existing non-working current legislation. Furthermore, economic migrants, including low-skilled migrants, disguise themselves as asylum seekers with the purpose of gaining the right to stay and work. So, a clear distinction between economic migrants and asylum seekers is necessary and vital. Moreover, it appears that female foreign workers have been put in far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Once these issues are recognized, a plan for countermeasure research and improvement is necessary. A high percentage of female foreign workers work in small-scale business or home nursing which the concerning laws on labor like Act on The Employment, Etc. Of Foreign Workers, doesn't usually apply to them. For this reason, a study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an accurate observation is required to move forward. Meanwhile, concerning migrants of marriag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truth of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those who are in the international marital process and a person with marital status in Korea who plans to stay in Korea to continue his or her marriage. Then, constitutional issues and improvement of the laws concerning marriage migrants should be examined. The major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formed by migration of marriage, and various constitutional issues concerning immigrants by marriage eventually leads to issu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epublic of Korea, etc., laws concerning the support and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has a few of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the laws duplicate the subject of application. Secondly, if both parties of married couple are foreigners, even though their life is entirely based in Korea, they are completely disintermediated from all sorts of support and benefits. Thirdly, compared with general immigrants, supports and benefits are still heavily weighted in favor of any foreigner in Korea who has a marital relationship with a Korean national. Compared with other groups of immigrants, immigrants by marriage have long been viewed as having a relatively more stable qualification for residency status and this group is often treated as a subject of positive preferential treatment and support policies. Moreover, among immigrants by marriage, even though 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under the identic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as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it is true that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happen to receive more pro-active interest and attention from our government’s policies. Nevertheless, immigrants by marriage increased rapidly by the 1990s, because it was a government policy to solve marital issue of older bachelors living in a rural areas. This means that perception of immigrants by marriage aren’t different from foreign workers. That is to say, current laws concerning immigrants, especially as for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e mostly still in the stage of not considering immigrants as pure human beings, but as a means of solving domestic issues. In the process of commercialized marriage brokerage, apart from problems regarding foreign spouse’s human rights, a foreign spouse being invited to Korea by Korean nationals’ necessity and the current system which ensures foreign spouse’s residency in Korea is decided by Korean nationals are a result from seeing foreign spouses as an object of policies to promote international marriage, not as a subject of international marriage. These approaches first began as a way to solve marital issue of older bachelors living in a rural area by encouraging international marriage with neighboring Asian countries’ women. Which these countries often have less economic power than Korea. But the problem of factoring in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foreign women as a means of solving domestic issues possibly violates the terms of human rights. In other words, immigrants by marriage have always been evaluated by connection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nurturing relationships with Korean nationals. And in principle, if these connections fall apart, they become subjected to possibly being returned to their countries of origin. These points of views of only seeing human beings as without self-worth and value which all human beings hold and instead viewing them as the means to an end for a problem, creates an amalgamation of problems. The current policies violates human dignity by eventually invading the rights of residency status and the visitation right of immigrants by marriage. In our current legislative system, that residency status of foreign spouses depends too highly on a Korean national regardless of the fact that most immigrants by legitimate marriage tend to settle down in Korea permanently or at the very least a long period of time as the spouse of a Korean national. This system should and must be reconsidered. In addition, the guarantee of residency status of immigrants by marriage should be reinforced by expanding the requirements for simple naturalization in Nationality Act, etc. 전통적으로 이민현상은 송출국과 유입국 각각의 ‘비용-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es)’에 의해 설명되어 왔다. 즉, 송출국은 이민을 통하여 자국의 실업률을 낮추는 한편 이민근로자들의 송금을 통해 국부를 늘리게 되고, 그 반면에 유입국은 노동력의 유입을 통해 인력난의 해소, 인구의 증가 및 연령구조의 긍정적인 변화 등 이익을 누리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이민현상을 접근할 경우 이민자의 인권을 경시하게 되어 이민자의 이주과정이나 정착 과정에서 인권에 대한 존중이 결여될 위험이 있고, 이로 인해 송출국으로서는 자국민의 인권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게 됨은 두말할 필요가 없으나, 유입국의 입장에서도 이민자가 유입국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키고 사회통합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등 결과적으로 유입국의 사회적·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결국, 송출국과 유입국이 이민현상으로 인한 발전이득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이민자에 의한 송금이나 실업률의 감소, 값싼 노동력의 창출이나 인구의 증가 등 기존의 ‘비용-편익 분석’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들뿐만 아니라, 이민자의 문화적 가치를 포함한 이민자 인권의 사회적·경제적 가치에 대하여도 반드시 논의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의 체류유형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체류유형인 단순외국인력에 해당하는 비전문취업(E-9)과 방문취업(H-2), 그리고 결혼이민(F-6) 등을 위주로 이들이 처한 노동환경 및 결혼이민환경이 지니고 있는 헌법적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외국인력과 결혼이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행 법제의 근본적인 헌법적 문제점은, 이민자를 단순히 인구문제, 경제문제 등 각종 국내문제를 해결할 수단으로서만 인식하는 경향으로 인해 그들의 인격적 가치를 간과한 나머지 이민자의 기본적 인권에 대한 존중이 부족하다는 점에 있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체류하며 근로하고자 하는 단순외국인력은 고용허가제의 적용을 받는다. 고용허가제는 노동허가제와 함께 외국인력의 수급에 관한 대표적인 제도로서, 노동허가제가 이민자 개개인에게 체류 및 근로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과는 달리, 고용허가제는 사업주에게 외국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고용허가제의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그 적용을 받는 단순외국인력은 고용주에 대한 종속성이 매우 강하며, 이 때문에 단순외국인력은 근로의 권리, 직업의 자유, 가족결합권 등 기본권이 더욱 침해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된다. 한편, 현행 고용허가제에 있어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단기순환원칙을 그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있다. 단기순환원칙은 세계적으로는 실패한 제도인바, 이민자는 결코 추상적인 형태의 순수한 노동력일 수가 없고, 가족의 결합과 안정적인 체류를 의욕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외국인력을 순수 노동력으로만 전제하고 있는 단기순환원칙은 그 취지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실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기 힘들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중반 단기순환원칙을 바탕으로 한 고용허가제를 채택하였다가 2005년 신이민법을 통하여 동 원칙을 사실상 폐기하기에 이른 독일의 역사 등 우리보다 먼저 각종 이민법제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한 타 국가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이민사회의 성패를 미리 예측하고 외국인력 수급에 관한 법제를 개선하는 등 미래에 능동적으로 대비하여야 한다. 특히, 이미 유입된 단순외국인력의 체류 및 가족결합을 일정한 요건 하에 허용하는 한편 전문외국인력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장려하는 체제로 전환한 독일의 사례는 우리 외국인력 법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덧붙여, 단순외국인력 등 경제적 이민자들이 국내 체류를 목적으로 난민을 가장하는 이른바 ‘취업형 난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외국인근로자 중에서도 특히 열악한 지위에 처하여 있는 여성 외국인근로자의 노동환경 등에 관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 개선방안에 관하여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여성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근로관계법령의 적용이 제외되거나 통계적인 조사가 미치지 않는 소규모 영세 사업장, 가사간병근로 등의 업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여성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정확한 현황의 파악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결혼이민과 관련하여서는 국제결혼의 과정 및 그 이후의 국내 체류 과정에서 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인권 침해 현실을 파악하고, 결혼이민관련 법령의 헌법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족의 대부분은 결혼이민을 통하여 형성되므로, 결혼이민자가 겪게 되는 각종 헌법적 문제는 결국 다문화가족의 문제로 이어진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등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과 사회통합에 관한 관련 법제는 그 적용대상이 중복되는 문제, 부부 쌍방이 외국인인 다문화가족의 경우에는 국내에 생활의 기반을 가지고 있더라도 각종 지원과 혜택에서 완전히 배제되는 문제, 외국인근로자 등 일반적인 이민자와 비교하였을 때 우리 국민과 혼인한 외국인배우자에 대한 혜택과 지원으로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문제 등을 안고 있다. 결혼이민자 집단의 경우 다른 이민자 집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체류자격과 지위를 향유하는 등 보다 적극적으로 우대 및 지원 정책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더욱이 결혼이민자 중에서도 결혼이주여성은 국제결혼이라는 동일한 조건과 상황에도 불구하고 남성결혼이주자 집단에 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관심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이민 역시 그 시작이 1990년대 농촌에서 급증하기 시작한 노총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된 것이다 보니 결혼이민자에 대한 인식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인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바, 즉 현행 이민관련 법제에 있어서 결혼이민자, 특히 결혼이주여성을 하나의 인격이 아니라 국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측면이 많다는 것이다. 상업화된 결혼중개 과정에서 외국인배우자가 겪게 되는 인권침해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내국인의 필요에 의해 외국인배우자가 국내로 초청되고, 내국인의 의사에 따라 외국인배우자의 국내체류 인정여부가 결정되는 현행의 제도는 외국인배우자를 국제결혼의 주체가 아닌 국제결혼장려정책의 객체로 바라보는 시각에 기인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애초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붐이 시작된 배경, 즉 농촌 노총각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제력이 낮은 주변 아시아국가 여성과의 혼인을 국가적으로 장려하면서 외국인여성을 국내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았던 역사적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나, 이는 인권의 관점에서 분명 문제의 소지가 있다. 즉, 이들을 항상 혼인관계, 양육관계 등 내국인과의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하여서만 평가하고, 내국인과의 연결고리가 소멸되면 원칙적으로 본국으로 돌아갈 대상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인간을 자기목적적으로 보지 않고 수단으로 대하는 것에 다름 아니고, 이는 결국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자녀에 대한 면접교섭권 등을 침해하는 인간의 존엄에 반하는 정책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위장결혼 등이 아니라 합법적으로 결혼이민을 한 이상 영구적이거나, 또는 적어도 매우 장기간 대한민국 국민의 배우자로서 대한민국에 정착할 생각으로 이민을 온 경우가 대부분일 것임에도, 외국인배우자의 체류자격을 지나치게 내국인배우자에게 의존하게 하는 현행 법제에 관하여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외국인배우자에게 독자적인 체류권을 부여하고 있는 독일의 법제가 하나의 시사점이 될 수 있는바, 우리 국적법상 간이귀화 규정의 요건을 확대하는 등 결혼이민자의 체류권 보장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 의미변별을 활용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새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teaching Korean synonyms with semantic distinction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vocabulary practices among advanced Korean learner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synonyms, semantic distinction method is investigated. Futhermore, the substitution test method, the opposite test method, the arrange test method, the component analysis method and the grammar system test method have been investigated, too. In the substitution test method, meanings can be inferred from the context as a synonym pair to discriminate the meaning. In order to examine the overall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synonyms shown up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en studi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didn't set aside the meaning by lexical field. Universities textbook materials through the synonyms assessment questions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synonyms assessment questions shown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were seen; three questions in beginner level, four questions in intermediate level and two questions in advanced-level. It is certain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synonyms assessment questions are set at TOPIK steadily. To propose Korean Thesaurus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verifying synonym pairs in the advanced-level in TOPIK using substitution test method. Also, it analyzed meaning difference between synonym pairs of native-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본 연구는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효율적으로 유의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의미변별을 이용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 유의어의 개념 및 유형을 살펴본 후, 유의어의 의미변별 방법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의미변별 방법에는 치환 검증법, 반의 검증법, 성분 분석법, 나열 검증법, 문법 체계 검증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문맥을 통해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치환 검증법으로 유의어 쌍의 의미를 변별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에서의 유의어 교육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유의어 제시 현황을 찾아보았다. 이 교재에서는 대부분 유의어 교육의 장을 따로 마련하지 않고 의미별로 어휘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나타난 유의어 평가문항은 초급 3문항, 중급 4문항, 고급 2문항으로 꾸준히 일정량의 문항이 출제되고 있었다. 한국어 유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제시되었던 고급 단계의 유의어 쌍들을 치환 검증법으로 의미 분석을 하여 고유어와 한자어 간의 유의어 쌍을 대상으로 의미 차이를 분석하였다.

      • 단편 애니메이션 〈MIRA〉 제작 보고서 : 캐릭터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박새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D 단편 애니메이션 <MIRA>의 제작보고서이며, 조형요소 중 형태와 색채를 중심으로 작품 내 캐릭터 제작과정을 다룬다. 작품 <MIRA>에서는 미지의 행성 안에서 벌어지는 일상을 다루며, 하늘과 지상이라는 나눠진 공간에서 같은 시간대에서로 상반된 일과를 하는 모습을 대조시키면서 현대인의 정서를 일깨우려고 하였다. 대중들에게 애니메이션 작품이 주목받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작가의 개성 있는 캐릭터 디자인이 필수적이다. 작품 안에 생기 있고 재미있으며 독특한 캐릭터가 있다면 자연스럽게 대중의 뇌리에 깊이 박힐 것이며, 그 결과에 따라서 작품의 몰입도가 결정되고 결국 흥행여부가 판가름되어지게 된다. 작가가 구상한 애니메이션 작품의 배경과 캐릭터의 성격유형에 따라 조형적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과 조형성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조형요소 중 형태와 색채는 사람의 시각적인 감각을 자극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로부터 조형언어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수단들이다. 형태와 색채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석은 향후에도 다양한 개성적인 캐릭터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적으로 조형요소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함께 조형요소와 심리적 작용의 연관성에 대해서 여러 사례를 들어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저자의 작품 <MIRA> 속 캐릭터를 형태와 색채를 기반으로 설계한 과정을 기술하였다. 본 제작 보고서를 통해서 작품 <MIRA>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작가들의 애니메이션 작품 제작과정에서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캐릭터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production report of the 2D short animation <MIRA>, focusing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character with form and color among the sculpture elements. The story of <MIRA> deals with everyday life on an unknown planet, and tries to awaken the emotions of modern people by contrasting the daily routines in a divided space between the sky and the ground. In order for animation works to get public attention, the author's unique character design is essential. A lively, fun, and unique character in the work will naturally sink deep into the public's mind, and the result will determine whether it will be a box office hit or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tion character and formativeness is very close becaus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differs from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type in the animation work. Form and color are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formative elements that stimulate a person's visual senses, and are the most efficient means of expressing a formative language with an animated character. Analysis of animation characters based on form and color is an area that enables the production of various individual character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the formulation and the psychological stimulation is described with several examples of animation characters. Next, the process of designing characters in <MIRA> is described based on form and color. This production report is intended to help other authors not only understand <MIRA> but also develop unique characters that appeal to the public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imation works.

      • 청소년의 역할모델이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박새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역할모델의 존재가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이었다. 연구 대상은 안산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200명을 편의표집하여 실시되었고 비실험 연구로써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도구들은 살펴보면 역할모델의 존재를 묻기 위하여 모방하기를 원하는 특정 인물이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그러한 인물이 존재한다면 그의 성별, 자신과의 관계, 그를 선택한 이유, 모델과 자신이 얼마나 유사하다고 인식하지 등의 질문을 추가적으로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은해, 신숙재와 송영주(1992)가 개발한 자아지각 척도, Achenbach(1991)이 개발하고 오경자 등이 번안,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orean Youth Self-Report;K-YSR)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역할모델의 존재 유무는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행동문제 중에서는 총 행동문제, 우울 그리고 공격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서 역할모델을 지닌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더 높은 행동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역할모델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하지는 않으나 가족을 역할모델로 삼은 집단이 자아존중감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였고 또래를 역할모델로 갖은 집단이 가장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 그리고 행동문제에서는 외현화·내재화 행동문제, 우울/불안, 주의집중, 공격성 그리고 총 행동문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서 이에 대해 사후분석을 실시해보니 또래를 역할모델로 삼은 집단이 가족을 역할모델로 삼은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행동문제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할모델과의 인식된 유사성, 자아존중감 그리고 행동문제를 상관 분석한 결과 인식된 유사성은 신체적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모든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고 행동문제에 관해서는 사회적 미성숙과 주의집중 문제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드러나서 인식된 유사성은 행동적 측면보다는 인지적 요소와 더 큰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major purposes of this study were whether role models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or no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o hundred students who attended a korean middle school located in Ansan, Korea. As a non-experimental study,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a role model, self esteem and behavior problems was used. At first, it asked them whether or not they had a role model who made them imitate and if they said yes, they responded some questions about role model's sex, the relationship with them,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the role model and self, and the reason why he was own rol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role models didn't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but did negatively on behavior problems. Also the levels of self-esteem and behavior problems depended on who was their role models, especially family and peers. In addition, similarity between role models and adolesc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negatively with behavior problems.

      • 탁상형 캘린더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연구 : 팬시용 캘린더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박새미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캘린더는 전 세계에 널리 보급되어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 되었다. 과거의 캘린더는 단지 시간개념을 알게 해주는 합목적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캘린더의 주목성이 강조됨에 따라 심미적인 만족을 주는 중요한 시각물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요소가 바로 일러스트레이션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러스트레이션을 활용한 대표적 캘린더인 팬시용 캘린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2013년도 팬시 캘린더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2013년 캘린더 제시를 위하여 먼저 2012년도 팬시용 캘린더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크게 4가지 범주로 나누어 캐릭터의 유형, 형태, 메인 색상 및 레이아웃으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능미에만 충실하던 과거 캘린더와는 다르게 조형성에 있어 크게 발전된 모습을 보였으나 다양성의 부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감성적 가치를 구하는 현대인들의 성향에 맞추어 다양한 구도와 접근을 통하여 실험적인 캘린더 작품을 제작하여 구체화 시켜 보았다. Calendar is widespread in the world and has become a necessity indispensable in our daily lives. Calendar of the past had only the feature to know concept of time; however, recently it became importan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give aesthetic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hasis of attention. And representative elements consisting thes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re illustr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on illustrations, very important component of fancy-brand calender, and present 2013 fancy calender. This researcher grasped the current state of 2012 desk calender to suggest 2013 calender, an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examined; Type of character, the main form, main color, layout. As a result, compared to the past calendar focu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the plasticity is greatly enhanced but diversity is becoming lack. Therefore, this study visualized the diversity by producing experimental calendar through a variety of approach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modern people to obtain a new emotional value.

      • 일반화 선형모형에서 TISP(Thresholding based iteration selection procedure)을 이용한 변수선택에 관한 연구

        박새미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반화선형모형에 벌점함수를 부여한 벌점화 일반화선형모형에 대해 TISP을 이용하여 모형을 설정하고 축소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ISP은 Thresholding based Iteration Selection Procedure의 약자로 어떠한 파형이나 진동의 불필요한 소음과 잡음을 제거, 분계화시킨다는 개념의 Thresholding함수를 이용한 방법이다. “Wavelet denosing”으로부터 시작된 Thresholding은 회귀모형에 적용할 경우 변수의 계수를 추정하여 필요한 변수는 남기고 불필요한 변수의 계수를 0으로 수렴시켜 변수를 선택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 다양한 벌점함수에 대응하는 Soft, Hard, Scad, Hybrid TISP에 대하여 살펴보고 가장 적합한 TISP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실제계수와 추정된 계수와 차이와 실제 0의 값을 갖는 계수를 0으로, 0이 아닌 값을 0이 아닌 값으로 바르게 추정하는 비율에 있어 회귀행렬 간의 분산과 상관관계가 높아질수록 그 성능이 좋지 못하였다.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 4가지 TISP 중 대부분 Soft TISP과 Hybrid TISP의 경우가 좋았고 특히 분산과 상관계수가 커지는 경우 여타 TISP들보다 Hybrid TISP의 성능이 뛰어났다. 그러나 변수의 개수가 충분히 많아진 경우 대체적으로 그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충분한 표본크기, 벌점함수의 설계와 모수의 설정 등에 대한 심화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