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麗 무늬박이(入絲) 특성 연구

        박민선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1

        Metal has been applied for its beauty and utility early and has promoted the expansion of the culture of man. The Iron culture in China during the Chin Dynasty has created the inlay. The inlay of metal was transmitted to our country during the Han Dynasty of China. It was particularly popular being called "Ip-sa"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was described the necessaries of life during the Yi Dynasty. Inlay was succeed "Ip-sa-Jang" as ma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78. Koryo Art has been advanced for aristocracy and Buddhism and pattern of the inlay of metal was showen well aristocratism. In the period of Koryo, Inlay of metal was prevalent woodcraft, ceramic craft, textile craft and the paint of Buddhism as well as metal craft and then originated Koryo inlaid celadon. The expansion of Koryo Inlay dated from Buddhism that it was majestic Buddhistic wares by filling the surface of it with patterns gorgeously. The incense burner and ritual ewer are famous for Koryo inlaid remains. Inlay of metal of the incense burner if formative and showen the harmony of colors by using thick and thin silver lines, bronze and black bronze especially pychung-sa's incense burner proportion and shape harmonize with silver inlay. Dragon pattern and grass pattern of Tang wasn't coarse but enough. And scene of waterside pattern's incense burner is beautiful for willow, wild goose, cloud patterns. Therefore incense burner's gravity, generosity and free silver inlay make ourself found that Koryo Art isn't weak and frail. In the period of Koryo, dragon pattern, Chinese phoenix pattern and scene of waterside pattern which is shown lyric Koryo culture are used mainly and yoheedo pattern, various grass patterns and lightning pattern are used as subsidiary patterns. These patterns are mainly Buddhistic patterns because Koryo Dynas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the remains of the inlaid wares are Buddhistic ones. Inlay by beautiful lines is one of the best Koryo Art and show its characteristic clearly. However a study on Koryo Art has been insufficient for its remains which persist in Korea Today are something that is in Koryo's later yea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recognize Korean crafts of the past and transmit our traditional arts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of the Koryo Art. 금속은 일찍부터 그 아름다움과 실용성으로 인하여 인류에게 응용되어 왔으며 인류문화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철기문화의 발달은 금속의 표면을 장식하는 무늬박이{{) 본 연구자가 쓰는 무늬박이란 용어는 입사방법을 뜻하는 말로 한자어 "입사"를 한글용어로 나타낸 말이다. 따라서 입사무늬의 뜻은 "박이무늬" 또는 "실박이무늬"로 쓰고자 하며, 한글풀이용어는 강순형(미술사학, 금속공예)의 도움을 받았다.(入絲)의 창출을 가져왔으며 한반도에는 낙랑군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이후 무늬박이는 고려시대에 "입사"라는 명칭으로 가장 발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다양한 기법으로 생활용품에 나타났다. 오늘날은 중요무형문화재 제78호 입사장이 지정되어 전통공예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무늬박이가 가장 성행하였던 고려의 예술은 호화로운 귀족 생활과 불교신앙에서 촉진되었으며 무늬박이로 표현된 무늬는 고려시대 상류층을 이룬 문벌귀족이나 승려들의 취향과 정서를 보여주고 있다. 고려시대 무늬박이는 금속에서뿐만 아니라 목공예와 도자공예를 비롯한 직물과 불화 등에서도 성행하여 고려의 대표적인 무늬박이청자(象嵌靑磁)의 탄생을 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당시의 전반적인 박이법의 성행은 불교용품의 표면을 공간 없이 화려하게 채움으로써 불구를 장엄한다는 불교신앙에서 발달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의 대표적인 무늬박이 유물로는 향완과 정병을 들 수 있다. 향완에 표현된 무늬박이는 굵고 가는 은실을 적절히 혼용하여 조형미를 살리고 있으며, 바탕금속으로 청동과 오동(烏銅) 등을 사용하여 은실과의 색채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표충사 향완의 완벽한 비례와 무게 있고 든든한 형태는 은실무늬박이의 가냘픈 율동과 극적인 대비를 이루어 독특한 조형미를 창출하고 있다. 표면에 간략화된 미르무늬와 덩굴무늬는 조밀하지 않고 넉넉한 맛이 있다. 또한 물가무늬 향완은 몸에 버드나무와 기러기, 구름 등을 회화적으로 새겨 넣어 향완의 또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향완의 무게있고 기품있는 형태나 여유 있는 은실무늬박이는, 고려미술이 결코 섬약(纖弱)하거나 가녀리다라는 통념을 깨고도 남음이 있다고 하겠다. 무늬에 있어서는 미르와 봉황 등의 권위적 상징성을 지닌 무늬를 비롯하여 고려인의 서정적 분위기를 엿 볼 수 있는 물가무늬가 즐겨 사용되었다. 기타 보조 장식무늬로 여의머리무늬, 각종 덩굴무늬, 번개무늬 등이 장식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 전반적으로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사회가 불교사회인 까닭도 있지만 무늬박이 유물자체가 불교용품이므로 불교적인 무늬들이 새겨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름다운 선에 의한 무늬박이는 고려미술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것으로, 고려적인 특색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예로서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문화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 미술은 지금까지 한국에 남아 있는 것이 고려말에 치우쳐 있어 그 연구가 미흡하였다. 그러므로 좀더 고려미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여 우수한 우리민족의 예술성을 재인식하고 전통공예에 대한 주체를 회복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라고 하겠다.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시설 근무자 대상

        박민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라 여성경제활동이 증가하고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인의 돌봄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노인의 만성질환 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인 부양문제가 가족(개인)의 영역에서 국가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제도가 시행하게 되었다. 이 중 혼자서는 일상생활을 영유할 수 없는 노인들은 전문적인 기관에서 요양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런 노인들은 직접적인 수발자에 의한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문적으로 노인들을 요양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하고, 직무만족을 질적으로 확대시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노인장기요양제도 실시에 따른 노인성질환 및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을 요양하고 있는 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시설기관을 통하여 요양보호사120명을 대상으로 직접 기입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11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8부를 제외한 총 102부를 이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수준을 보면 대체적으로 직무에 대한 만족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사대상자에게 미치는 전체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은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요인과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 담당환자 수에 따른 전체직무만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근무동기에 대한 전체직무스트레스와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연령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과의 차이에서는 동료와의 관계와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에서 고연령에 비해 저연령 집단이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동기에 따른 하위변인과의 중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제외한 개인업무 및 일상업무요인, 시설 및 상사와의관계 요인, 동료관계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학력과 담당환자 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과의 차이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학력에서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고학력집단이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동료와의 관계,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개인 및 일상업요인과의 관계 순으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담당환자 수에서는 전체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하위변인에서는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개인 및 일상업무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개인 및 일상요인업무와의 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후검증을 해 본 결과 3, 4, 5명을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10명 이상의 노인을 담당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업무관련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여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에 대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 해 본 결과 전제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연령과 학력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부(-)적 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고연령이 저연령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반면 스트레스지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 있어서도 저학력의 만족도가 높은 것에 반해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위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자면 첫째, 요양보호사 및 기존 간병인, 생활보조원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비한 것으로 보이는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시 이후 명칭이 통일된 요양보호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 연구는 지역적 한계가 있어 전체요양보호사에 대한 연구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전체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기존 선행연구에 따라 직무만족이나 직무스트레스는 이를 일으키는 요인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모색하여 요양보호사의 업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이 연구에 따르면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중 개인 및 일상업무와의 요인이 다양한 방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기간이 길지 않고 과도기적 과정에 Senior care issue has become a social topic as more women are involved with economic activity and medical technology develops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 addition, as aged population with chronic diseases increase, senior support issue has developed from a family (personal) issue to a national issue, and long-term care for the old commenced in July 2008. Therefore, old people who cannot live daily life alone can get a care at a professional institute, which is expected to greatly influence a direct carer.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 managers who provide professional cares to the old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job satisfaction,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old 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For the study purposes, the current study tried to collect data through direct filling-up method from 120 care managers working at relevant institutes where old people with geriatric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are placed under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old. Among them, 110 copies were collected and 102 copies except 8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ollowing are study result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and job stress level was average. In addition, among their job stress factors, factor for personal role factor and routine duty and relationship with client factor were highest.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patients they are in charge of. Thirdly,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job stress by sex, age, marital status and reasons for working. However, as for difference in subordinate variables of job stress by age, it was found that a young-aged group presented higher stress level than an old-aged group in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nd relationship with senior workers. Also among subordinate variables according to reasons for working, factor for personal role factor and routine duty, relationship factor with facility and senior workers and relationship factor with coworkers except relationship with clients presented possibilities as influential factors on job stres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ubordinate variables for job stres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meaningfully influenced. It was observed that a highly educ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ress in the subordinate variables for job stress except relationship with clients, while the order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influencing job stress was relationship with coworkers, relationship factor with facility and senior workers, and factor for personal role factor and routine duty.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didn'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job stress,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for job stres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factor with facility and senior workers, and relationship factor with personal and routine duty factor. In addition, from the post-te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care managers in charge of 3, 4 or 5 patients, but stress level was high if they are responsible for more than 10 old people. Fourth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y job stress. That is, a group with low job stress present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high job stress group, showing negative(-) relationship presented in prior studie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for job satisfaction having the whole job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becomes lower as the whole job stress becomes higher. In the curren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lso presents negative(-) relationship. That is, an old-aged group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lower job stress than a young-aged group, while a low-educated group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lower job stress than a highly-educated group. The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of all, studies on care managers, sick nurses and life assistants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duct studies on care managers whose name was unified aft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old. Secondly, the current study is not enough to be generalized as a study on all the care mangers because of the regional limit. Hence, a study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for all the care mangers is required. Thirdly, factors f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re complicated and various by prior studie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find out other factors that are not dealt with in the current study and seek measur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care mangers. Fourthly, according to the current study, factor for personal role factor and routine duty among job stress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ffects various aspects. Since the history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old is short and it is in the middle of transitional process, it is necessary to try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settle the system through continuous study in the future. Fifthly, according to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old-aged group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job creation effect can be expected by reinforcing job training for those in 40s and 50s. Therefore, it seemed that studies on job adjustment and job guidance according to physical changes by age are required.

      • Assessment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평가

        박민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recent studies in statistics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have been emphasized as a precedence stage of formal statistical inference, which is taught at the tertiary level. Subsequently, there is an abundance of research identifying the meaning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nd exploring ways of improving students’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bilities. As research on how to instruct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grows, how to assess students’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bilities should be discussed. There has been a need for assessment methods that reflect and alig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atistics, but substantive discussion about such assessments are still lacking. Thu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nature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nd to propose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that reflect its nature. Through an epistemological analysis of statistical inference, it is found that a statistical inference consists of two thinking components, abduction and induction. Statistical inference as induction can regulate its inheren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how it deals with the uncertainty. To address the dilemmas posed by uncertainty, statistical inference uses the quantification of uncertainty using probability and applies modus tollens. Statistical inference as abduction is introduced to denote the importance of generating the simplest and most likely explanation of a hypothe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he sample and the context. Both induction and abduction serve as components of thinking in regard to statistical inference and need to be recognized as separate stages. Through a didactical review of research on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the treatment of essential concepts and thinking in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were examined. The essential concept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as expectation and variation, sample and population, the size of a sample, and sampling distribution, and the essential thinking includes abduction and induction. In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bduction and induction are carried out as construction of argu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argumentation, respectively. In particular, to address the uncertainty in verification of argumentation, students can use probabilistic representations, draw a conclus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peated sampling, and attempt to validate the argumentation by establishing norms for dealing with uncertainty during the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include that it is an informal argumentation using natural language, that it is based on context, and that it occurs within an interaction. Therefore, the realization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demands a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which communication occurs based on argumentation using verbal language. Due to the nature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ssessments must occur in parallel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this reason, the meaning of integr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was examined and several assessment models, such as the general assessment triangle model and assessment models based on inter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an assessment model for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was developed. The assessment model includes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a universal set and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s two intersecting sets. The procedure of assessment is represented in the intersection, which consists of a teacher’s providing tasks, students’ initial responses, a teacher’s interpretation based on an assessment element, a teacher’s feedback, and students’ final responses.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 assessment tasks, the assessment elements, and the proper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assessing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are described. Final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assessment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is suggested.

      • 간호사를 위한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 개발 및 효과

        박민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n inequal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time-difference design study for developing and applying 1 time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s and verifying the effects in order to improve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cts among nurses.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 is a 15-min. one composed of radiation overview, radiation exposure, radiation workers’ safety management, and radiation prot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nurses working at operating rooms in three (3)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and interventional radiologic parlor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30 individuals in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one tim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 to evaluate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act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 3 to Oct. 5, 2019.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was provided with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pre-survey, post survey 1, and post survey 2.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WIN 24.0 for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knowledg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ducated about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video (hereinafter,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not (hereinafter, control group) (F=37.34, p<.001). 2.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was more positiv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ducated about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video than in control group who were not (F=7.79,p=.001). 3.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elf-efficac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ducated about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video more than in control group who were not (F=20.22, p<.001). 4.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ct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ducated about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video more than in control group who were not (F=9.95, p<.001). Taken these findings together, it appeared that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 improved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knowledge, reinforced attitude and self-efficacy, and increased safety management acts. Therefore,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video will be used effectively for improving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cts. Further studies will need to verify the effects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 in the entire nurses including more nurses at the operating rooms and interventional radiologic parlors and conduct a follow-up study of temporal variation in the effects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video on improving the safety management acts. 본 연구는 간호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 증진을 위해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개발 및 적용하고, 1회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 연구이다.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은 방사선의 개요, 방사선 피폭,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안전관리, 방사선 방호에 관한 내용을 15분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소재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3곳의 수술실과 중재적 방사선하 시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3일부터 10월 5일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실험군에게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제공하였다. 실험군, 대조군에게 각각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조사, 직후 사후조사 1, 4주 후 사후조사 2를 시행하여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 행위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및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은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제공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이하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F=37.34, p<.001). 2.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는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긍정적이었다(F=7.79, p=.001). 3. 방사선 안전관리 자기효능감은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F=20.22, p<.001). 4.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는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F=9.95,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은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고, 행위를 증가시키며 교육의 효과도 4주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을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 증진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연구에서는 더 많은 수의 수술실 및 중재적 방사선하 시술실 간호사를 포함한 전체 간호사를 대상으로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동영상의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고, 관찰을 통한 실제 행위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행위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시간적 변화를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

      • 목분 혼합 충전제를 이용한 토기 복원용 Epoxy Putty의 제조 및 물성 연구

        박민선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earthenware artifacts were fired at 700 to 900°C and are relatively soft, these artifacts are relatively vulnerable in strength and hardness compared to ceramics. Most of them are excavated in damaged condition by soil pressure in the buried environment. Earthenware artifacts excavated in the form of fragments are scientifically preserved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fragment can be restored. Also, through preservation process, the value as a cultural property and opportunity to be used in exhibition and research can be maintained. Damaged earthenware artifacts are preserved through cleaning, reinforcement, bonding, and restoration processes. The restoration process is an important step in reviving historical, artistic, and academic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by maintaining the form of relics and reviving their original form. The restor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Epoxy, which has excellent usability, du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However, liquid Epoxy is gradually losing its popularity due to the inconvenience of mixing fillers and the high gloss which creates difference with the surface of artifacts. In addition, Epoxy Putty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cutting force due to high strength and hardness, heterogeneity from the artifact surface, poor processability due to curing time, discomfort of performers, deterioration of material properties due to yellow discoloration, and structural instability that can occur due to differences in weight and specific gravity. Preceding studies have attempted to cope with problems above. However, most of them are focused on physical properties, stability, fillers,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materials applicable to the preservation treatment of ceramic artifacts. Whereas studies on restoration materials for earthenware artifacts are insufficient. Plus, synthesis of Epoxy for restoring earthenware artifacts, manufacture of mixed putty through filler research, and research on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bility of restoring materials are necessary. Type-2 Epoxy was synthesized to produce Epoxy Putty for restoring earthenware. Wooden powder is a natural material with excellent color, texture, strength, and hardness. Optimized Putty was produced by finding the ratio of wooden powder, micro-shell, and talc (1:1:1) mixed filler. The earthenware restoration Putty was compared and analyzed along with three existing Epoxy Putty types. Optical investigation, physical property experiments, and applicability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its applicability as an earthenware restoration material. In optical investigation, Epoxy Putty for earthenware restoration was found to have about 1.43 to 3.97 times better sulfur resistance than the three existing restoration materials. The difference is attributed from the excellent sulfur resistance of the wooden powder added to the mixed filler.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ormulated putty is applicable as an alternative restoration material that can decrease yellow discolorat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current restoration materials. Also, increased resistance to yellow discoloration is expected to minimize reprocessing of artifacts and restore instability such as deterioration of materials. The epoxy Putty for earthenware restoration surpassed the surface hardness, tensile strength, wear rate, specific gravity, and curing time of the existing restoration material in the physical property experiment. High hardness and strength stemmed from wooden powder and Talc mixed filler. These traits enable the material to withstand the weight and pressure that may occur when restoring large earthenware pottery and coffin. Also, higher specific gravity comparable to hard earthenware pottery can resolve structural instability. In addition, the improved wear rate and 21 minutes of curing time improved the convenience of restoring earthenware artifacts. Thus, it is expected to have of easy formability and provide sufficient working time for users. Applicability study confirmed excellent processability, adhesion, coloring, and curing time. The brown color similar to the earthenware sample and texture due to wooden fiber minimized heterogeneity. Hence, the putty is considered highly applicable due to reduced time and convenience in color match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Epoxy Putty for earthenware restoration is a material with superior functionality and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 currently used restoration materials. Manufacturing technique development, synthesis of Epoxy, combination of fillers, and optimized formulation of putty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development of restoration materials for artifacts. In addition, stability and applicability were confirmed through applicability. Which further presents its possibility to replace existing earthenware pottery artifact restoration material. If research on various fillers such as wooden powder and study on specific are continued, it is believed that adhesive and restorative materials can be developed. 토기 유물은 700 ∼ 900℃에서 소성되어 비교적 연질이기 때문에 도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와 경도에 취약한 상태로 대부분이 매장환경에서 토압에 의해 손상된 상태로 출토된다. 파편의 형태로 출토되는 토기 유물은 구조적 안정성 회복과 문화재로서의 가치 유지, 전시·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과학적 보존처리가 이루어진다. 훼손된 토기 유물은 클리닝, 강화처리, 접합, 복원 과정을 통해 보존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복원 과정은 유물의 형태를 유지하고 원형을 되살려 문화재로서의 역사성, 예술성, 학술적 가치를 되살릴 수 있는 중요한 단계이다. 이러한 복원 과정은 사용성, 내구성, 내수성 등이 우수한 Epoxy를 이용해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액상형 Epoxy의 경우 충전제를 혼합해야 하는 불편함과 높은 광택도로 유물 표면과의 이질감 발생 등으로 인해 사용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또한 Epoxy Putty는 높은 강도 및 경도에 의한 절삭력, 유물 표면과의 이질감, 경화시간으로 인한 가공성과 작업자의 불편함, 황변현상에 따른 재료의 물성 저하, 유물과의 중량 및 비중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불안정성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도자기 유물 보존처리에 적용가능한 복원 재료의 개발 및 물성, 안정성, 충전제 등에 대한 연구로 토기 유물 복원에 필요한 복원 재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토기 유물 복원용 Epoxy의 합성과 충전제 연구를 통한 혼합 Putty 제조, 복원 재료의 물성 및 적용성 연구 등이 필요한 현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토기 유물 복원용 Epoxy Putty를 제조하기 위해 2 액형의 Epoxy를 합성하였으며, 색상 및 질감, 강도, 경도 등이 우수하고 천연재료인 목분, Micro-shell, Talc(1 : 1 : 1) 혼합 충전제의 비율을 찾아 최적화된 Putty를 제조하였다. 토기 복원용 Epoxy Putty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Epoxy Putty 3 종과 광학적 조사 및 물성 실험, 적용성 연구를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여 토기 복원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광학적 조사 결과, 토기 복원용 Epoxy Putty는 기존 복원 재료 3 종 보다 내황변성이 약 1.43 ∼ 3.97 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혼합 충전제에 첨가된 목분의 우수한 내황변성으로 인한 작용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토기 복원용 Epoxy Putty가 기존 복원 재료의 단점 중 하나인 황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대체 복원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함을 보여준 것으로 내황변성을 증진시켜 유물의 재처리를 최소화하고 재료의 물성 저하와 같은 불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성 실험 결과, 토기 복원용 Epoxy Putty가 표면 경도, 인장강도, 마모율, 비중, 경화시간이 기존 복원 재료를 상회하였다. 높은 경도 및 강도는 목분과 Talc가 혼합된 충전제의 영향으로 대형의 토기, 옹관 등을 복원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중량과 압력을 견딜 수 있을 것이며, 경질 토기와 유사한 비중은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증진된 마모율과 약 21 분의 경화시간은 간편한 성형성과 충분한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결과로 토기 유물 복원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 시켜 주었다. 적용성 연구 결과, 사용성 평가에서는 가공성, 접착성, 채색성, 경화시간이 우수하게 확인되었으며, 토기 시료와 유사한 Brown 계열의 색상과 목분의 섬유질로 인한 질감은 원 유물과의 이질감의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색맞춤의 편리성 및 작업시간의 확보 등으로 우수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기 복원용 Epoxy Putty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복원 재료에 비해 기능성과 물성이 우수한 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poxy의 조성과 제조 기술 확보, 충전제의 혼합 및 Putty 배합의 최적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문화재 복원 재료 개발 연구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성 평가를 통한 안정성과 적용성 확보는 실제 토기 유물 복원 재료의 대체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세분화된 기능성 부여와 목분과 같은 다양한 충전제의 연구가 지속된다면 유물 재질별 접착제 및 복원제에 적용 가능한 재료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생애초기 사건경험이 최초범법연령 및 재범에 미치는 영향

        박민선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최초범법연령의 재범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 생애초기에 겪는 사건이 최초범법연령에 미치는 영향과 이후 재범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최초범법 및 지속적 범법발생에 대한 적절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교도소 및 구치소 중 9개 소(所)를 선정, 각 소에서 무선 표집한 수용자를 대상으로 최초 범법 및 최근 범법관련 사항과 현재까지 살아오면서 겪을 수 있는 사건들의 경험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저 연령 수용자의 자료 총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선형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적용되었다.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대상자의 최초범법 및 최근범법관련 특성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만 14세에서 15세 전후의 시기에 가장 많은 대상자들이 최초로 범법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이전에 이루어지는 첫 범법이 전체의 6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최초범법이 아동?청소년기에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분석결과 최초의 범법행동은 이후 범법행동의 빈도, 종류, 양상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최초범법연령의 이후 재범발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첫 범법연령이 어릴수록 이후 재범이 발생할 가능성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최초의 범법시점이 재범 등 범법의 지속적 발생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연구결과를 통해 입증되었다.셋째, 첫 범법발생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생애초기 사건들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변에서 범법할수록, 패싸움에 참여한 경험이 있을수록, 친구로부터의 구타경험이 없을수록 어린 나이에 처음으로 범법행동을 시작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생애초기 사건들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있는 경우 재범발생의 가능성이 높은데 반해 친구로부터의 구타경험은 재범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첫범법연령의 재범에 대한 효과를 통제하고도 재범발생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초기사건이 있는지 검증한 결과, 초기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은 재범발생에 여전히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범법의 저 연령화, 흉포화 및 다양화 등의 추세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적절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먼저 연구결과를 통해 전체 최초범법 중 높은 비율이 아동?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범법의 저 연령추세가 확인되었으며, 최초의 범법행동이 이후 범법행동과 빈도, 종류, 양상 등에서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고, 범법의 첫 발생을 막기 위한 개입과 첫 범법요인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초범법연령의 이후 재범발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최초의 범법시점이 재범 등 범법의 지속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연구결과를 통해 검증되어 이른 범법요인의 검증 및 적절한 개입방향 모색을 통하여 최초범법연령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이 제기되었다.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첫 범법연령의 시기를 낮추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주변의 범법, 패싸움 참여 경험, 친구구타의 가해경험 등 주변환경이 이른 범법발생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어 유해한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차단 및 건강한 또래관계 조성 등에 대한 노력이 필수적으로 제기되었다.마지막으로 초기의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직접적으로 재범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재범을 포함한 지속적 범죄행동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초기 부모와의 건강한 관계를 위한 근본적 노력이 요구됨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할 때 교정복지 및 아동?청소년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분야의 제 영역에서 건강한 또래관계 및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프로그램개발, 부모교육, 공격성 프로그램 등 비행집단 상담 및 개입에의 노력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he occurrence of the first offending and the continuous offending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first onset age on recidivism and the impact of individual's traumatic life events both on the first onset and on recidivism.For this purpose,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inmates from 9 correctional institutions among nationwide prisons to carry out a self-administered survey on their first offending and recent offending as well as the experiences of traumatic life events. Total of 230 data with an age limit under 30 was analyzed for the study apply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irst offending and its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the largest portion of participants committed their first offending between the age of 14 to 15, and about 60% of the first offending occurred before adulthood, which shows that most of the first offending took place in childhood and adolescent years. Furthermore, the first offending was found ou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requency, type, and aspect of offending.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the first offending on recidivism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ge of first offending lowered which proves that the first onset age is a decisive predictor for recidivism and consistent offending.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traumatic life events on the first onset age showed that the early first onset is likely to occur when participants have people around them who commit offending, when participants have an experience of gang fight, or when participants do not have an experience of being beaten by their friends. Also, the impact of traumatic life events on recidivism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an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recidivism while an experience of being beaten by friends was proved to lower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Lastl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traumatic life events on recidivism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the first offending on recidivism showed that an early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st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idivism.Based on result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interpretations of current trends in which offending is initiated at earlier ages than before and offending become more serious and versatile than before, and to present needed interventions regard to these trends in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First of all,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first offending and the need to find ou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the first onset are suggested.Moreover, this study found out dangerous factors for the early onset such as offending of acquaintances, a participation in gang fight, or an experience of beating friends, and suggested necessary efforts to cut off harmful influenc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o foster healthy peer relationships. To prevent recidivism, a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is needed in early years of development since the experience of abuse from parents have a direct impact on recidivism. Therefore, from the domains of social welfare including correctional welfare and welf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 effective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e a healthy peer relationship and a parent-child relationship by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counselling or intervention for deviant adolescents.

      •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박민선 백석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역할과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교회음악사역을 하는 10개 교회를 사례로 선정하여 문화선교로서의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문헌 연구와 각 교회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의 개인면담과 각 교회 소장 자료 및 신문기사, 잡지 등의 각종 매체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 질문지는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여 연구 주제의 전문가들 세 분을 통해 감수를 받았다. 면담은 2017년 3월 말에서 5월 중순까지 대면 면담과 서면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각 교회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와의 면담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회음악사역의 결과에 대해 유형화하였다. 이것은 교회음악사역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총 59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서 14개의 부주제와 9개의 주제로 모아 그것을 3개로 범주화 하였다. 문화선교로서 교회음악사역은 창조질서 회복 및 복음사역으로 음악을 통한 소통의 방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기독교 문화의 가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교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교회 내·외적으로 선교와 문화 실천의 장이 되고 있다. 교회음악사역의 질적 사례연구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회음악사역은 음악선교, 음악교육, 치유와 회복 등의 역할을 하며, 지역적 특성과 교회의 형편에 따라 다양한 사역을 이루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선교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양적인 부흥을 가져왔다. 현재 군부대 사역, 음반 제작 및 카페를 통한 매체 활용, 국외 음악프로그램 지원 등 다양한 선교사역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재정적인 지원을 받고 후원함으로 선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음악교육으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음악사역의 발전을 가져왔다. 음악교육기관 설립을 통한 음악 및 타분야 전문인, 그리고 음악봉사자 등의 인재 양성과 청소년들이 음악교육을 통해 음악분야에 진학하고 있다. 또한 교회 내 음악전공자와 외부 연주자들에게 무대를 제공해 주고 있다. 참여교회는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 중심으로 음악을 기획하고 있으며, 음악학습을 통해 조화로움과 창조적인 교육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치유와 회복으로서 참여교회는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개인뿐만 아니라 교회와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인 및 가정을 회복시키고 교인들의 신앙성장과 단합을 통한 교회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참여교회는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해 관계가 회복되며, 교회음악사역을 통해 지역문화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세 가지 영역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로 복음을 문화, 즉 음악을 통한 소통의 방식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기독교 문화의 가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회음악사역의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선교적인 면에서 교회는 신앙적인 경험이 융합된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음악을 비롯한 종합예술 활동을 하는 문화사역 단체들이 선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음악교육면에서 교회는 음악관련 기관 및 음악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교회음악사역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또한 교회는 세대별, 상황별로 세분화하여 맞춤식 음악프로그램을 구상해야 한다.셋째, 치유와 회복 면에서 교회는 교회 간 협력 및 지역사회와 해외 공연예술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문화 수준 향상 및 기독교 문화 형성에 일조해야 한다. 이 세 가지 제안을 이루기 위해서는 담당목사 및 음악담당자, 그리고 기독음악인과 교회 교인들의 인식 및 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포럼이나 연구 모임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제언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본 연구를 기초로 교회음악사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해 나간다면 교회음악사역에 관한 발전가능성과 개선점들을 발견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홍보 망을 통해 각 교회의 양질의 음악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church music ministry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To achieve this purpose, 10 churches were selected for researching the documents related to church music ministry as cultural mission, personal interviews of each churches’ senior pastor and church music director, and for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materials in the churches such as articles and journals in papers and magazines. The questionnaires for the interview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supervised by three other experts in this subject.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the end of March, 2017 to around the middle of May, 2017, both face to face and written. Based on the interviews of the churches’ senior pastor and church music director, the results of church music ministry were categorized to see the roles and implications of church music ministry. Among 59 meaningful statements, 14 sub-topics and 9 main topics were stated and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categories. With communication through music, church music ministry as cultural mission is propagating the values of Christian culture in communities through restoring the order of creation and gospel ministry. Along with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churches, it has become a field of mission and cultural practice within and outside churches. By the result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of church music ministry, it plays the role of music mission, music education, healing and restoration, forming a varitey of ministry in accordance with local attributes and conditions of the chu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music mission, the participating church brought quantitative revival through the church music ministry. Currently, the ministry is carrying out various missions such as military service, music production and media utilization through cafes, and supporting foreign music programs. The church also plays a missionary role by receiving financial support and sponsoring through the church's music ministry. Secondly, as a music education, the participating chur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usic ministry through the church music ministr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usic education institution, music and other field experts and volunteers are cultivating people of talents, and teenagers are entering the music field through music education. It is also providing the stage for music majors in the church and outside musicians. The participating church plans music for the pastor and the music staff and experiences harmony and creative education through music learning. Thirdly, as a healing and restoration, the participating chur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urch and the community as well as on individuals through the church's music ministry. It restored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formed a sense of community as a church through the growth of faith and unity of the congregation. Also, the participating churches have restor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are helping them form a local culture through their church music ministry. These three areas serve as organic relationships to spread the value of the Christian culture to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gospel as a culture, a way of communicating through mus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activation of church music ministry. First, in terms of musical ministry, the church should develop a music program united with faith experiences. It should also support cultural organizations that perform comprehensive artistic activities, including music, to play a missionary role. Second,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he church should activate its music service through cooperation with music related organizations and colleges of music. In addition, churches should devise customized music programs that are subdivided into categories of generations and situations. Third, in terms of healing and restoration, the church sh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ultural standards and formation of a Christian culture through inter-churches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To accomplish these three proposals, forums or research groups should be activated with the need for awareness and education of the pastor and music staff in charge, and Christian musicians and church members. As a follow-up proposa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 First, for systematic study of church music ministry, if we collect material about church music ministry based on this study, we will find possibilities and improvements in church music service. Second, it should provide space to introduce and promote the quality music programs of each church through various public relations networks.

      •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 자료를 이용한 50세 이상 성인의 비타민 D와 골근감소증과의 관련성

        박민선 조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성인들의 비타민 D와 골근감소증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50세 이상 성인 6,63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에 의한 X선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요추와 좌측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근감소증은 DXA로 측정된 값 중 사지의 뼈와 지방의 무게를 제외한 값을 사지근육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ASM)이라고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 나이, 가구소득, 교육수준, 결혼상태, 거주지, 신체 체질량지수(BMI), 현재흡연, 최근 1개월 내 음주 여부, 신체활동, 1주일 내 근력운동, 동반질환 개수, PTH를 보정한 후(Model 3) 비타민 D 수준이 감소함에 따라 골감소증, 근감소증과 골근감소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OR; 1.68, 95% CI; 1.02-2.77 for <10.0 vs.≥30.0, OR; 1.45, 95% CI; 1.02-2.06 for 10.0-19.9 vs.≥30.0; OR, 1.92, 95% CI; 1.11-3.34 for <10.0 vs.≥30.0; OR, 2.28, 95% CI; 1.06-4.90 for <10.0 vs.≥30.0). 이러한 비타민 D 감소에 따른 골근감소증의 증가는 연령대를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모든 연령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2009-2011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타민 D가 감소함에 따라 골감소증, 근감소증과 골근감소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osteo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and participants numbered 10,533 in 2009 and 8,958 in 2010 and 8,518 in 2011 and 27,999 people participated. among them 10,372 people were adults over 50 ages. A total of 6,635 were analyzed, excluding 3,296 people who did not examined bone density and 441 people who did not perform blood test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such as the sex,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residence, smoking, physical activity, muscular strength exercise(per week) and number of morbidity, the decreased level of vitamin D was associated with osteosarcopenia in femur neck, sarcopenia and osteosarcopenia in Korean adults 50 years old and over. Conclusion: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9-201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osteosarcopenia as vitamin D decrease in Korean adults 50 years old and over. Keyword: Osteoporosis, Sarcopenia, Osteosarcopenia, Vitamin D, 25(OH)D

      • 대역별 공간 부호화를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 동영상 부호화

        박민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기반 동영상 압축 기법은 블록화 현상과 해상도 변화시 픽셀의 손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을 기반한 기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Wavelet을 기반한 동영상 부호화 기법 중 하나인 SAMCoW(Scalabl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Wavelet)에서 화면내 부호화와 움직임 보상된 오차 영상은 EZW(Embedded Zerotree Wavelet)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 한다. 그러나 움직임 보상된 오차 영상의 wavelet 변환 계수의 특성은 정지 영상의 wavelet 변환 계수의 특성과는 다르다. 신호의 에너지는 대부분의 정지 영상의 경우와는 달리 저주파 대역에 집중되지 않고 오히려 모든 주파수 대역에 고르게 분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동영상 부호화 방식을 제안하였다. EZW 부호화 대신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영상의 부호화에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진 공간 부호화를 화면내 부호화와 화면간 부호화에 적용하였다. Wavelet 기반 동영상 부호하에 EZW 부호화 대신 공간 부호화를 적용하였을 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Video compression based on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has weakpoints of blocking artifacts and pixel loss when the resolution is changed.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 based method can overcome such problems. In SAMCoW(Scalabl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Wavelet), one of wavelet based video coding algorithm, both intra frames and motion compensated error frames are encoded using EZW(Embedded Zerotree Wavelet) algorithm. However the property of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of motion compensated error frames are different from that of still images. Signal energy is not highly concentrated in the lower bands which is true for most still image cases. Signal energy is rather evenly distributed over all frequency bands. This paper suggests a new video coding algorithm utilizing these properties. Spatial band coding which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for encoding images with relatively high frequency components is applied instead of EZW to encode both intra and inter frames. It has been shown that spatial band coding gives better performance than EZW when applied to wavelet based video com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