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for social justice. In the two years of research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 model, forty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two schools in Seoul participated as participants for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ents' SES in each group is in the high and average levels, respectively.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12 mathematical classes for social justice, and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ere tested by using mixed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and tendency toward mathematics were changed posi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s on mathematics and tendency toward mathematics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 ability, inclination, and condition rather than parents' socio-economic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 qualified and diverse mathematical materials for social justice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ability that flexibly copes with future society.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look at mathematics education in a broader and deeper perspective such as seeing mathematics with humanistic imag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초등수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2년 동안의 연구에서 문헌 연구 및 수업 모형 개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가정환경이 상 수준과 하 수준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 각각 21명과 19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12차시 분량의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을 실시하여 수학에 대한 인식과 수학적 성향에 대하여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의 학생들 모두 수학에 대한 인식과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이 모두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과 수학적 성향은 부모의 사회 경제적인 차이보다는 개인별 능력, 성향,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할 창의융합인재의 육성을 위하여 수학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소재의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사회정의 자료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들에게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수학교육을 보다 넓고 깊은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내실 있는 교사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연구 동향

        박만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nd to present the meanings to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For Korean mathematics educators and teachers, interest and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s still insufficient.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cerned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ccording to the study, international research on social justice were started with Freire's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1970s and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has been applied to their mathematics lessons. However, domestic studies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have recently been started. The impl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s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traditional mathematics lessons and enables integration and convergence with humanities perspective. This approach can also foster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deepen the view of mathematics and the world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earcher proposed to include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ism by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continue to develop a more sophisticated education model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정의에 대한 국외의 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Freire의 비판적 수학교육부터 시작하여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고,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판교육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수학수업에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을 적용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 입시 등 교육 체제에서 적용이 쉽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 우리의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은 전통적인 수학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통합과 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며, 교사나 학생들에게 수학과 세상을 보는 관점을 보다 넓고 깊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 KCI등재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초등 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를 중심으로

        박만구,박혜민,최은미,표정희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初等 數學敎育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의 초등수학교과서의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하여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수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학생들이 자주오개념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이를 표현하는 최근 초등수학교과서의 비교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한국의 초등 수학교과서와 TIMSS나 PISA와 같은 국제성취도 연구에서 높은 수학 성취도를 나타내는 일본, 싱가포르, 핀란드에서 널리 사용하는 초등 수학교과서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과 관련한 초등 수학과교육과정, 지도 시기와 내용, 실생활 소재, 시각적 모델의사용, 알고리즘의 형식화 방법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관련 수학과 교육과정은한국과 핀란드의 경우 어림을 포함하고, 일본과 싱가포르는 실생활 연계를 보다 강조하며 핀란드는 중등에서 연산이 완성되도록 하고 있다. 지도 시기와 내용은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지도하거나 여러 학년과 학기에 분산하기도 한다. 실생활의 소재는 모든 나라에서 간단한 문장제형식으로 제시하였고, 시각적 모델의 사용이나 알고리즘의형식화 방법은 단위 환산 등에서 자연수의 연산과 연계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교과서 개발 및 교사 연수에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텐저블 코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박만구,김동훈,김지영,김혜진,이보람,조영석,홍제훈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tangible coding program through Moblo at the school sites. For this study, forty 1st and 2nd grade students at one elementary schools(M) in Seoul and another elementary school(J) in Gyeonggi province were taught 15 classes each.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verified by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n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 students who were selected through a public recruitment program participated at the 15 lessons in the second semester during October and December, 2017. In the lesson, the students learned coding during after-school hours. Also, the radar charts were presented for the attitude test results for the elements of the attitude.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nd grade students in M school and the 1st and the 2nd grade students in J school who participated at this study improved their thinking skills. Seco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improved because communication for problem solving was actively occurred in the game activities in the tangible coding education using the Moblo. Third, the learning psychology scores were improved even though M school students who were already receiving abundant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ir academic studies in mathematics and English subjects. Fourth,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the coding education game lessons were changed very positively. In the follow up study, we proposed a more detailed study on how students' personal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grow. In addition, the researchers argued that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oding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igh-quality materials for coding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저학년을 대상으로 모블로를 활용한 코딩 교육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컴퓨 팅 사고력, 협력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본 연구 참여 아동들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2학년 한 팀과 경기도내 초등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된 한 팀으로 총 두 개 팀으로 구성하였다. 각 팀별 구성 인원은 각각 20명이며, 학생의 모집은 공개 모집을 통하여 2017년 10∼12월 1주일에 2차시씩 15차시의 수업을 하였다. 수업은 방과 후 시 간을 활용하여 텐저블 코딩 교육 게임을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양적 연구의 실 험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전후에 컴퓨팅 사고력 검사, 협력적 문제해 결력 검사, 그리고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요소별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에 대하여 방사형 차트를 사용하여 분석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본 연구 에 참여한 M초 2학년 학생과 J초 1학년 및 2학년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모블 로 교구를 활용한 텐저블 코딩 교육 게임 수업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협력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수학, 영어 과목의 학업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지원 을 풍부하게 받고 있는 지역의 M초 학생들의 수학 학습 심리 점수는 사전점수가 이미 매우 높게 나온 상태임을 감안해도 대부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점수가 향상되었다. 넷째, 모블로 교구를 활용 한 텐저블 코딩 교육 게임 수업 후,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의 코딩 교육 게임 수업에 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학생 개인별 컴퓨팅 사고력 신장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보다 세 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또한, 현장의 교사들의 코딩 교육을 위한 양질의 자료 개발 및 보급 및 코딩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초등 수학에서 메타버스 수업 공간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박만구,이윤경,정보화,정유진,김지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 Vol.62 No.1

        본 연구는 메타버스 학습 공간에서의 수학 수업이 가능하도록 메타버스 플랫폼인 젭(ZEP)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 수학수업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과 효능감, 교과 흥미, 내재적 동기, 수업 만족도및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가진 교실 수업에서 서로 다른 미션을 수행함으로써 학생 수준별맞춤형 수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분석

        박만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신장은 가장 핵심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나 우리나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길러 주어야 할 것으로 창의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 55명이 2주 동안 실습을 하면서 지도교사나 예비교사들이 공개적으로 실시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학 수업 중 수학 창의성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관찰하고 기술한 것을 분석하여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학 수업에서 창의적인 활동, 대안적인 활동 등을 포함하여 이들이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의 요소로 주로 융통성과 독창성으로 보았고, 수학 수업에서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있음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고려한 수업을 위해서는 수학 창의성을 고려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 수학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수업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개발과 함께 현직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in Mathematic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and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report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mathematics lessons from the perspectives of 5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55 mathematics lessons focusing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during their two-week-student-teaching perio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narrow perceptions on creativity in mathematics. Second,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ation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a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creativity in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definitions and practice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econd, mathematics textbooks should include creativity in mathematics in a sophisticated manner. Third, creativity-rich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eachers. Finally, well-designe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