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로컬리티는 로컬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인 사람, 사회ㆍ문화조직과 제도, 건조 환경, 공간 등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지고 변화하는 실체로 규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은 로컬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존재와 활동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공간을 매개한 로컬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로컬리티의 특성들 가운데 하나인 공간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는 ‘로컬리티 인문학’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을 수립하고, 이와 관련지어 다양한 규모의 공간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비평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론적 틀은 ‘사회ㆍ역사 구성주의’와 ‘활동’ 개념에 근거하여 수립되었고, 다섯 편의 기존 연구는 핵심내용, (비)공간적 요소들, 주체(혹은 행위자), 학습과 창조 등의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이론적 틀을 만드는 데 토대가 된 ‘사회ㆍ역사 구성주의’와 ‘활동’개념은 보다 더 정교하게 분석하여 재구성하고, 이에 기반을 둔 경험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론은 로컬 사람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 문제의 해결에 어떠한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spatiality of local produced by people's space-mediated activities for the making of a base of humanities on local and loc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of understanding the spatiality of local as one of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locality and to critically analyze the already published studies on the spatiality of different scales. The former is done based on socio-historical constructionism and activity, and the latter from a perspective of main contents, (non)spatial elements, subjects (or agent), learning and creation, et cetera. In the follow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rticulate socio-historical constructionism and activity to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appropriate to the understanding of local and locality and to apply the established theoretical framework to various cases. And the present problems of local and local people ought to be deeply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 KCI등재

        제3의 공간과 전이성에 의한 결혼이주여성의 유동적,혼종적 정체성

        박규택 ( Kyu Taeg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hange of married immigrant women`s identity. The reason of choosing married immigrant women among different types of immigrants coming in South Korea is for their identity defined as self consciousness or belonging to influence on their family as well as their parents and residential local negatively or positively. To understand married immigrant women`s identity systematically, a conceptual framework is made based on the ``third space and liminality.`` Married immigrant women`s fluid and hybrid identity is produced through their liminal experience in the third space. Such an identity cannot be predicted logically or a prior whether it has a new characteristic not included both in their motherland and Korea or not. It will be decided by married immigrant women`s positive actions implemented under a specific context. The change of married immigrant women`s identity is investigated through the third space and liminality at a home and local as a living space and at a nation of implementing law and ideology. As a general, it depends on a context and is implemented through the media such as language, custom, food, and children education.

      • KCI등재

        대구화교중고등학교 학생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

        박규택(Park, Kyu Tae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대구 화교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어와 한국어 혹은 중국인과 한국인이라는 요인이 교차하는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적 활동들에 의해 생성하고 변화한다. 화교학교 학생들은 유아기에 한국 어머니와 외가로부터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운 뒤, 성장하면서 화교 아버지와 친가로부터 중국어를 학습함에 따라 이중적 언어습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교학생의 상당수는 한국학교에서 유치원 교육을 받고 있지만 초등학교 이후부터 거의 모든 학생들은 화교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중국의 사회・문화・역사를 학습하였다. 화교학생은 가정, 학교 그리고 로컬에서 부모, 형제와 자매, 교사, 친구, 이웃과 중국어와 한국어를 매개로 대화를 한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중국어와 한국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두 언어를 특별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화교학생은 자신의 정체성을 중국인과 한국인 모두로 이해하는 혼종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일부는 자신의 정체성을 한국인 반, 중국인반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본 연구 결과의 객관화를 위해 서울, 인천, 부산에 위치한 화교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al language and hybrid identity of the students of Daegu Chinese Middle・High School. Such a phenomenon is being produced and changed at the site or zone of meeting different or conflict factors such as Chinese and Korean. The Chinese Korean students had learned Korean from their mother and her relative at a young age, and their dual and complex language habit was produced due to the learning of Chinese from father and his relative.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were educated at a Korean kindergarten, but they were formally learned Chinese and China’s society and culture at a Korean Chinese school after primary school. The Chinese Korean students talk with parents, brother and sister, teacher, friend and neighbor at home, school and local by Chinese and/or Korean. They use a dual language of Chinese and Korean based on various situations, but they do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both language in cognition. The students have a hybrid identity of simultaneously recognizing Chinese and Korean. But some of them think Chinese or Korean. It is necessar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objectified from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students of Chinese Middle・High School in Seoul, Incheon and Busan.

      • KCI등재

        이질적 인식과 실천의 장으로서의 로컬, 부산 차이나타운 -상해거리, 축제, 화교학교를 중심으로-

        박규택 ( Kyu Taeg Park ),하용삼 ( Yong Sam Ha ),변광석 ( Kwang Seok Byu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세계화, 탈산업화, 도시의 재구조화 등과 관련되어 나타나고 있는 대도시 도심의 쇠퇴를 막고 나아가 도심을 재개발시키고자 실행한 부산 차이나타운의 건설을 비평적으로 논의한다. 부산 차이나타운의 개발과 유지 과정에 화교를 포함한 지역주민의 능동적 참여가 배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100년의 역사 속에서 만들어진 화교 문화와 건조환경, 장소성 등이 거의 고려되어 않았다. 로컬의 인식은 역사적으로 만들어진 로컬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주체들의 새로운 가치(혹은 이념)에 따라 만들려고 하는 인식의 로컬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자는 상이한 주체들의 인식에 의해 로컬을 새롭게 만들려는 노력이다. 이러한 로컬의 인식과 실천의 사례는 부산 차이나타운의``상해거리``의 명명(naming)과 축제를 통해 고찰해 볼 수 있다. ``상해거리``의 명명은 부산 화교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전통경관과는 무관하게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의도적으로 공간에 각인되었고 이를 시각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수행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징물이 세워지고 축제가 개최되었다. 주체들의 상이한 인식에 따라 로컬을 새롭게 만들려고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로컬 문화, 장소의 정체성, 로컬인은 주변화 혹은 타자화되기도 한다.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Busan Chinatown`` whose purposes is to regenerate the urban center of Busan Metropolitan City degraded due to globalization, re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deindustrialization.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and performing Busan Chinatown, Chinese and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and also Chinese culture and society, and placeness have not been considered. It is necessary for Local cognition to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related to the local developed historically, and the other is about the local newly being made by various subjects` values or ideologies. The naming of ``Sanghae Street`` in Busan Chinatow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latter. It was forcefully given by the local government, and it was not related to the culture, society, and landscape of the local developed historically. To perform the Sanghae Street visually and socially, Chinese symbolic materials have been built and also festival opened every year. In the processes of making a new local by various subjects, local culture, placeness, and local people can be excluded or marginalized.

      • KCI등재

        전이공간으로서 차이나타운 : 부산광역시 상해거리의 사례

        박규택 ( Kyu Taeg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1

        The oversea Chinese in Korea has been newly focused due to both globalization and the restructuring of Korean economy after the early 1990s,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ave built Chinatown to induce oversea Chinese capital and Chinese tourists. Based on a liminal space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h‘eongwan Street as a traditional living place of the oversea Chinese in Busan has been changed as the Shanghae Street constructed and named by the autonomous government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three aspects. Firstly, after the Korea War, the localized Ch‘eongwan Street had been transformed as a liminal space because the dislocalized Texas Village had built at its neighboring area. That is, the liminal space was produced as an undeciding and risk location of cro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sea Chinese - rooted Ch‘eongwan street and those of the U.S. Army - based Texas Village mobile and uncertain. Secondly, after the 1990s, the autonomous government of Busan Metropolitan City has built Chinese-styled architectures and symbols in the Ch‘eongwan Street remaned as the Shanghae Street. As a result of such a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Ch‘eongwan Street was dislocalized and its name itself was erased. Thirdly, the oversea Chinese‘s life had been very much hard in the the Ch‘eongwan Street as a liminal space. And the traces of overthrowing the existing order and authority of a Korean society and of pursuing freedom from the existing institutions were not seen the oversea Chinese‘s life in the liminal space. 100년 이상의 역사성을 간직한 한국화교는 1990년대 이후 지구화의 진전과 세계와 국가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조명을 받게 되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화교자본과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차이나타운을 건설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이공간의 관점에서 부산화교의 삶의 터전인 “청관거리“가 “상해거리“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6.25전쟁 이후 로컬화한 “청관거리“는 탈로컬적 성격을 띤 “텍사스촌“이 이웃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성질을 띤 전이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즉, 전이공간은 일정한 장소에 뿌리를 내린 화교 중심의 “청관거리“ 특성과 유동하고 불확실한 미군 중심의 “텍사스촌“ 특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되었다. 둘째, 1990년대 이후 부산광역시와 동구청은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여 쇠퇴하는 도심을 재생시키기 위해 청관거리에 중국풍 건축물, 상징물 등을 세우고, 명칭도 상해거리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위는 “청관거리“ 를 탈장소화, 탈로컬화, 시켰다. 마지막으로 화교의 삶 속에서 전이공간에서 표출될 수 있는 기존 질서 혹은 권위의 전복, 기존 제도로부터 자유 등을 추구하려는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 KCI등재

        간판 기호의 맥락성,다층성,다의성: 일본 大阪市 生野區의 재일한인 상가를 대상으로

        박규택 ( Kyu Taeg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세계화와 로컬화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로컬의 간판 기호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언어경관(linguistic landscape)``에 토대를 둔 개념적 틀을 수립하고, 이를 大阪市 生野區에 위치한 재일한인 상가의 간판 기호에 적용해 보았다. 20세기 초반 이후에 (반)강제적으로 해외로 이주한 우리 민족의 치욕과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生野區의 재일한인 상가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전통의 지속과 새로운 변화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大阪市 生野區의 재일한인 상가의 간판 기호는 맥락성, 다층성, 다의성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간판 기호는 추상적·규범적 관점이 아닌 세계, 국가, 로컬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生野區상가의 간판에는 다국적 언어, 기호, 상징물, 색깔 등이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체계적·종합적인 이해를 위해서 단일한 관점이 아닌 다층적 관점이 필요하다. 간판 기호는 언어적 측면에서 그리고 언어와 기호, 상징물 등의 결합적 측면에서 다의성를 지니고 있다. 간판 기호의 의미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사회·문화·경제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linguistic landscap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signs of shop and its street of locals in the processes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the framework has been applied to the signs of Japanese-Korean shop and its street in Ikuno ward, Osaka city. The Ikuno wad of Osaka city is the place for the Koreans to forcefully (or freely) move to Japan and live under the severe oppression by Japanese government and people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ism to the 1980s. After the early 1990s, its business streets mainly occupied by Japanese-Koreans are being largely changed due to globalization, new liberalism, etc. The signs of Japanese-Korean shops and their street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xtualization, multiple layers, and diversified meanings based on linguistic landscape. They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of world, nation, and local.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m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because the sign boards of Japanese-Korean shops and their streets in Ikuno ward consist of multiple languages, symbols, colors, pictures, and so on. The meanings of analyzed signs can be multiply interpreted in terms of both a linguistic aspect and the connection of language, symbols, colors.

      • KCI등재

        글로벌 자본에 대한 로컬인의 인식과 실천 -수입자동차 소비 사례-

        박규택 ( Kyu Taeg Park ),하용삼 ( Young Sam Ha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자본의 세계화가 로컬에 어떻게 작동하며, 초국적 자본이 생산한 상품을 로컬인이 어떻게 소비하는가를 밝히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초국적 기업이 생산·판매하는 고급 자동차를 사례로 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 이후 국내에 수입된 자동차의 소비는 특정 도시에 집중화되어 있다. 둘째, 수입자동차에 대한 정보의 획득과 의사결정은 연령별, 성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젊은 층은 수입자동차를 구입하기 전에 인터넷, 광고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비교해 보지만 장년층은 지인을 통한 정보, 브랜드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기호로서 수입자동차는 사회가 부여한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되며, 이들은 언어적 수행 혹은 체험을 통해 활성화된다. 고급 수입자동차를 구입하여 타고 다니는 행위는 차별에 의한 정체성 형성, 사회적 시선 등과 연관되어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globalization of capital works on locals and how local people consume the products by transnational capital. To achieve the goal, luxury imported cars made by transnational company have been selected as a case example. The results are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 consumption of imported cars since the late 1980s have been concentrated on a few metropolitan cities. Secondly, it is different by age and gender in the acquiring and analysis of informations on imported cars. Young people get and compare the variety of information on imported cars through internet, advertisement, and so on. Old people tend to buy imported cars based on informations from familiar people, brand. Thirdly, imported car as a sign has various meanings given by society, and those meanings is (re)produced through their linguistic performance and people s experience. The buying and driving of luxury imported car are related to the differential identity and social view.

      • KCI등재

        사진과 구술을 통해 본 민중의 삶과 터전

        박규택 ( Kyu Taeg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사진과 구술의 결합을 통해 20세기 고난의 역사를 온 몸으로 체험한 민중들의 삶과 터전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틀은 세 가지 개념, 재현의 정치(politics of representation), 기억, 환대 (hospitality)에 토대를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소수의 사진과 간단한 이야기를 다루었기 때문에 특별한 내용 혹은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수학여행, 근로봉사, 졸업식 사진을 통해서 본 식민지 시대 초등학교의 재현은 단편적이고 간결한 반면 생애사 구술은 보다 다양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20세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민중은 여러 지역을 이동하면서 고통스럽게 살아 왔다. 이것은 개인과 가족 혹은 집단의 정체성을 혼성적·유동적으로 만드는데 기여했을 것이다. 셋째, 해외 동포의 상당수는 고국에서도 그리고 타국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스스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의심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는 해외 동포를 배타적이고 차별적인 민족 혹은 국가의 이념이 아닌 존중받아야 할 인간으로 환대하고 정당하게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rprets peoples life and its place in the 20th century much turbulent through the systemic combination of photography and oral history. Its framework is built on three concept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memory, and hospitality.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Firstly, it is not easy for me to find particular contents or trends because a few pictures and oral histories are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the pictures expressed the elementary school in a Japanese colonial period is simple while oral histories toward the elementary school are various and complex. Secondly, peoples life moved among regions or countries were so much painful. It is assumed that such a life causes the identity of person and his/her family to be dynamic and hybrid. Thirdly, many Koreans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re not respectful both in their homeland and in their presently living countries, and they are not sure about their identity by themselves. They are hospitably accepted as an independent person, not as an ethnic group and nationality exclusively operated.

      • 로컬리티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

        박규택(Park Kyu-Tae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

        본 연구는 1980년대~199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영미권의 로컬리티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중요한 논쟁적 주제인 로컬리티 개념, 토대 이론, 사회와 공간의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로컬리티 연구에 관한 논쟁들 가운데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는 ‘로컬리티의 개념화’이다. 로컬리티는 “로컬의 사회ㆍ경제 조직과 활동이 시간ㆍ 공간을 매개로 어떻게 이루어지며, 형성된 사회ㆍ경제 공간은 로컬 사람들의 인식과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틀(frame)로 개념화되고 있다. 로컬리티 연구의 토대를 이루는 이론은 구조화론와 실재론이다. 전자는 구조와 행위가 상호작용하는 측면에서 사회를 설명하려는 이론이며, 후자는 이원론 (dualism, 이론 - 경험, 추상 - 구체, 필연 - 우연)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사회 이론가들에 의하면, 사회와 공간은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사회와 공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에 문화, 장소, 성, 민족 등의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locality studies done mainly in England and America from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It is also to discuss their controversial topics, the concept of loc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spac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locality was conceptualized. It i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activities of local people implemented through the mediat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effects of the produced socio-economic space to local people's cognition and practice. The basic theories of locality studies are structuration and critical realism. The former is to explain a society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and the latter to suggest a theoretical framework to overcome the dualism formed between theory - experience, abstract - concrete, necessary - contingent, and so on. It is asserted that society and space are not separated, but exist in interaction by political economy -oriented theorists after the 1970s. Such a perspective did not seriously consider various factors like culture, place, gender, ethnicity in the interaction of society and space. To deeply understand of the locality studies done from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individual paper or authors' sequential ones ought to be investigated in detail. It is worth to interactively examined Marx's political economy, critical realism, and post-modernism to establish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locality-mediated humanitie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