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YC8에 의한 rad53 돌연변이의 표현형 억제에 대한 연구

        박경준,최도희,권성훈,김준호,배성호,Park, Kyoung-Jun,Choi, Do-Hee,Kwon, Sung-Hun,Kim, Joon-Ho,Bae, Sung-Ho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2

        RAD53은 효모의 검문지점 경로가 DNA 손상을 감지하여 여러 가지 후속적인 세포 내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산화 효소일 뿐만 아니라, dNTP 생성에 중요한 RNR 유전자 등의 전사 활성화 과정에도 관여하는 효모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rad53${\Delta}$ 돌연변이의 hydroxyurea에 대한 민감성을 억제하는 억제자로서 CYC8을 동정하였다. CYC8 유전자가 많은 사본으로 존재할 때 rad53${\Delta}$ 균주의 hydroxyurea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였으나, CYC8과 복합체로 작용하는 TUP1은 다사본 억제자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반면, 삭제 돌연변이의 경우, cyc8${\Delta}$과 tup1${\Delta}$ 모두 억제자로 작용하였다. CYC8은 효모에서 프리온 단백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과량 발현되면 정상적인 CYC8 단백질의 잘못된 접힘을 유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우성의 $cyc8^-$ 표현형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CYC8이 다사본 억제자로 작용하는 이유는 이러한 프리온의 특성 때문으로 추측된다. CYC8이 다사본이거나 cyc8${\Delta}$ 돌연변이일 경우 모두 RNR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CYC8에 의한 rad53${\Delta}$ 돌연변이의 억제는 RNR 증가에 따른 세포 내 dNTP 증가 때문으로 생각된다. RAD53 functions as an effector kinase of checkpoint pathway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plays a central role to regulate many downstream cellular processes in response to DNA damage. It also involves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various genes including RNR genes which encode the key enzyme required for dNTP synthesi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CYC8 as a suppressor for the hydroxyurea sensitivity of $rad53{\Delta}$ mutation. $Rad53{\Delta}$ mutant transformed with a multi-copy plasmid containing CYC8 showed increased hydroxyurea resistance. In contrast, TUP1 which forms a complex with CYC8 did not function as a suppressor. In the case of mutations, both $cyc8{\Delta}$ and $tup1{\Delta}$ suppressed hydroxyurea sensitivity of $rad53{\Delta}$. Since CYC8 can propagate as a prion in yeast, overexpression of CYC8 induced misfolding of the normal CYC8 proteins, resulting in dominant cyc8-pheno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YC8 can act as a multi-copy suppressor due to its prion property.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s of RNR transcription were increased in the yeast strains containing either multi-copies of CYC8 gene or $cyc8{\Delta}$ mutation, suggesting that the increased level of RNR will elevate the intracellular pools of dNTPs, which, in turn, suppress the phenotype of $rad53{\Delta}$ mutation.

      • KCI등재

        퇴옹 성철의 현실 참여 문제 一考(일고)

        박경준 ( Kyoung Joon Par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1980년대는 실로 격동의 시기였고 갈등의 시기였다. 현실 참여를 지향하는 민중 불교가 불교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매김했던 시대에, 퇴옹의 행보는 어떠했는지를 알아보고 그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살피는 것이 본 논문의 중심 과제이다. 퇴옹은 출가수행자로서 그 청빈한 삶과 투철한 수행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불교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의 존경을 받았다. 하지만 13년간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이라는 불교계 최고의 공적 위치에서 있으면서 민중의 고통과 정치적 현실을 외면한, 역사의식이 결핍된 인물로 비판받기도 한다. 퇴옹은 국가적으로나 교단적으로 참으로 혼란스런 갈등의 시대를 살았다. 국가적으로는 5.18광주민주항쟁과 쿠데타로 인한 고난이, 불교적으로는 10.27법난의 시련이 있었으며, 특히 1980년대에는 민중불교라는 새로운 불교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격동의 시대상황에도 불구하고 퇴옹은 오히려 출가자로서의 본분을 지키는 것이 최선이라는 신념과 수행자의 참모습을 구현하여 추락한 불교계의 위상을 높이려는 사명감을 견지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겉으로 드러난 은둔적인 삶의 모습과는 달리, 퇴옹은 늘상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했고 수행과 기도불공의 사회적 회향을 중시했다. 그가 출가자로서 계율을 철저히 지키고 불자들에게 내적인 수행을 강조하여 가르쳤던 것은 출가자로서의 사회적 의무와 책무를 다하려는 사회의식의 발로 때문으로 판단되며, 그의 행적은 은둔과 회피라기보다는 오히려 간접적 참여였고 소극적(개인표현지향형) 사회운동에 속한다고 추정된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법어도 불교적 또는 선적진리만이 아니라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중의적(重意的) 표현의 산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In the 1980s Korea underwent a period of conflict and turbulence, during which Minjung Buddhism (Buddhism for the masses or engaged Buddhism) rose to the forefront as a new social ideology(social though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during this period, Master Toeong Seongcheol (1912~1993) served as an exemplar of Buddhist practices and though, and whether or not his approach was problematic. A renouncer monk, Toeong Seongcheol has been respected not only by Buddhist monks and laity, but also by Koreans in general, due to his lifelong pursuit of simple living and his enthusiastic practice. Moreover, he served for thirteen years as both the Seventh and Eight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Nevertheless, he has been often criticized because he avoided directly addressing political issues and he is thought to have ignored people’s suffering despite having lived and served in an era of extraordinary conflict, both nationally and with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us, in some respects he has been dismissed as a lacking in historical consciousness. Nationally, the most tragic and disgraceful example of Buddhist community conflict to which Toeong Seongcheol is alleged to have turned a blind eye is the massacre and subsequent sympathetic uprising associated with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May 1980. In the Buddhist community, there was suppression (‘purification’) of the Buddhist temples and orders by force under the statute known as 10.27 Beopnan beginning in October 1980. In the wake of the crackdown a new movement, Minjung Buddhism, arose and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Despite the tumultuous era, Toeong Seongcheol emphasized the Buddhist renouncer’s duty to focus on the true figures of Buddhist practitioner as the best way. It seems to me that his practices led him to believe that this primary responsibility was to improve the status of Buddhism under these strains. On the other hand, in spite of his ostensible seclusion, Toeong Seongcheol regularly communicated with ordinary people to whom he emphasized the social importance of the dedication of merit from practice and prayer including repetition of the name of the Buddha. As a renouncer he strictly adhered to the Vinaya rules and encouraged Buddhists to practice what he considered to be their intrinsic social responsibilities. His religious life seemed to emphasize indirect social engagement rather than either complete seclusion or direct activism - a practice that might best be summarized as a personal expression - oriented approach culminating in a passive social movement. In this respect it might be said that the dharma phrase, “Mountain is mountain, water is water”, is not only true of Buddhism or Seon Buddhism, but political messages as well, and therefore, it seems to be pregnant with double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불교생태학 연구 동향

        박경준(Park, Kyoung-J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약 60여 년 전부터 지구의 환경 위기에 대해 많은 지식인들이 경종을 울려 왔다. 하지만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환경과 생태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졌다. 우리나라 불교학계에서도 1980년대 이후 불교의 연기사상과 생명존중사상을 바탕으로 생태문제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주로 응용 불교학의 한 분야로서의 ‘불교생태학’에 관한 것이지만, 융합학문 또는 학제적 연구로서의 ‘불교생태학’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 한국 불교계에서 환경과 생태 및 생명에 관련된 본격적인 연구는 ‘에코포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에코포럼은 불교와 생태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학제적 접근을 통해 생태와 환경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2004년 10월 창립되었다. 불교생태학 관련 단독 저술도 몇몇 출간되었다. 그 가운데 김종욱의『불교생태철학』(2004)과 서재영의 『선의 생태철학』(2007)은 불교생태학의 기본 이론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불교생태학은 ‘생태 변증론’이 중심이었지만, 앞으로는 우리가 어떤 태도와 행동으로 뭇 생명과 자연물에 다가갈 것인가 하는 실천론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Regarding the Earth’s environmental crisis, many intellectuals have warned about the serious consequences of the destruction of worldwide ecosystems. However, in the midst of continue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gradation, academic research on ecology has actively increased. Since the 1980s, within Buddhist academia in Korea, ecological discussions and research on the basis of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and life-respecting thought have been sporadically made. They have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Buddhist ecology in the field of applied Buddhist studies, but Buddhist ecology in interdisciplinary and fusion studies hs also been paid attention. A full-fledged Buddhist environment, ecology, and life research in Korea started with the foundation of the Eco-Forum. The Eco-Forum was established in October 2004, in diverse disciplines including Buddhism and ecology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focus o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ssues with the aim of seeking practical solutions. Some Buddhist writings have been published exclusively for ecological purposes. Among them, The Eco-philosophy of Buddhism (2004) by Jonguk Kim and The Eco-philosophy of Seon (2007) by Jaeyoung Seo have provided the basic theory. Until now, Buddhist eco-apologetics has played a key role in Buddhist ecolog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a practical aim of Buddhist ecology is to get closer to all sentient beings and natural objects. This concept will be researched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불교경제학의 미래 지향

        박경준 ( Park Kyoung-joon ),장성우 ( Jang Sung-woo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8 No.-

        불교는 초세간적인 것만이 아니라 세간의 현실도 중요시하는 종교이다. 경제에 대해서도 불교는 재화의 획득과 증식에 관심을 가지고 올바르게 벌고 올바르게 쓸 것을 설한다. 나아가 불교는 물질적인 충족이 아니라 총체적 삶의 질을 높이는 경제학을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열반의 경제학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현재 인류는 코로나 19로 대변되는 환경재앙과 기후변화, 부익부 빈익빈 등, 근본적으로 보면 경제에 기인하는 문제로 큰 위기에 봉착해 있다. 불교는 어떤 종교보다도 생명을 존중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관계를 중시하므로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은 위기에 봉착한 인류에게 새로운 미래를 제시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는 2004년에 불교생태학의 기치를 내걸고 ‘에코포럼’을 출범한 이래로 총 28회의 포럼과 3회의 심포지엄을 진행하였고, 2006년에는 건학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관련 책자를 출간한 바 있다. 불교의 경·율·론 삼장에는 불교경제학과 불교생태학, 그리고 불교경영학에 대해서도 지혜를 줄 수 있는 내용이 많이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보면, 귀납적 또는 연역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면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공동연구와 융합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와 타종교의 사회교리를 비교하는 연구도 개척 가능하며, (가칭)‘불교경제연구소’와 같은 연구기관의 설립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uddism is a religion that puts emphasis on not only the supra-mundane world but also the mundane world. Buddhism preach that one should interest in making money and spending money on correct method about economy of laypeople. Furthermore Buddhism pursue economics that enhance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nirvana above the material satisfaction. Now mankind are facing big crisis of environmental disaster like corona 19, climate change, polarization of wealth which basically result from economy. Buddhism hold sacred life and lay stress on the mutual 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an other religions so that Buddhist economics and Buddhist ecology could provide hopeful future. Since Ecoforum launched in 2004, Dongguk University had proceeded altogether 28 forums and 3 symposiums, besides hoste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in 2006 commemorating 100th anniversary of school and published related books. Tripitaka of Buddhism contains abundant contents that share wisdom on Buddhist economics, Buddhist ecology, Buddhist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ifying roughly, there would be inductive research method and deductive research method,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ith related studies are possible. And comparative study of social doctrine betwee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c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tentatively named 'Buddhist economy research lab' deserve consideration.

      • KCI등재

        「풍경소리」글의 성격과 내용 분석

        박경준(Park, Kyoung Joon)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대기설법(對機說法)'의 오랜 전통이 21세기 한국의 도시사회에 독특하게 표출되고 있는 것이 바로 「풍경소리」를 통한 포교이다. 풍경소리는 1999년 <(사)한국불교종단협의회부설 법음을 전하는 사람들의 모임 「풍경소리」>가 설립되면서 서울지하철공사 소속 115개 역사에 460개의 게시판을 설치 완료함으로써 출범하였다. 지금은 그 게시판의 수가 2300을 넘어섰으며, 불교인뿐만 아니라 이웃종교인과 일반인에게도 애독되고 있다. 한 지하철 역사에는 두 편의 풍경소리 글이 게시되고 대략 3주에 한 번씩 교체되는데, 지금까지(2009년 7월 기준) 총 67명의 필진이 238여 편의 풍경소리 작품을 썼다. 풍경소리 글은 작가들의 순수한 창작과 불전에 나오는 내용의 각색, 그리고 경전에서 발췌한 것으로 삼분(三分)된다. 또한 풍경소리의 문학적 형식은 시, 수필, 우언(寓言=寓話), 잠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문학계에서는 「풍경소리」에 의거한 새로운 ‘불교우언'의 가능성이 탐색되고 있다. 「풍경소리」는 치열한 경쟁과 속도, 끝없는 욕망에 지친 시민들에게 열차를 기다리는 1~2분을 통해 절간의 풍경소리와 같은 휴식과 평화, 진지한 자기성찰의 시간을 제공한다. 풍경소리의 내용은 크게‘생활의 지혜'에 관련된 내용, ‘마음의 위안과 여유'를 주는 내용, ‘자기 성찰'에 관한 내용, ‘인간관계'에 관한 내용, ‘본래의 참나를 돌아보게 하는 종교적 주제'를 다룬 내용 등,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풍경소리는 앞으로도 ‘법음'을 전하는 소리로서의 불교적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이야기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불교적 세계관, 인생관, 가치관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풍경소리는 앞으로 선적(禪的)인 내용과 함께 ‘생활의 지혜'에 관한 내용도 좀 더 보충되어야 한다. 또한 더욱 다양한 직업의 필진을 찾아내어, 특정 작가들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풍경소리가 되어야 한다. 풍경소리의 삽화도 위원회의 충분한 검토 과정과 시민 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풍경소리가 불법홍포를 위한 선교방편의 현대적 상징으로서 더욱 발전해 가기를 기대한다. The long tradition of “Daegisulbup"(a sermon by the mental capacities of listeners) is expressed in 21st century Korean society in the form of propagation through Pungkyungsori (The Tinkling of Wind-bell). Pungkyungsori was established in 1999 when <Pungkyungsori, the gathering of the people who spread Buddhist sermons, affiliated with the Korean Buddhist Group Conference> was formed and 460 bulletin boards were installed in 115 stations of Seoul Subway Public Corporation. Currently, the number of the bulletin boards increased to over 2300, and the boards are frequently read not only by Buddhists, but also people with other religions. In every subway station, two Pungkyungsori writings are posted, and the writings are changed every 3 weeks. Until now, 67 writers of Pungkyungsori produced 238 writings. The writings can be divided into 3 types: pure creation, dramatization of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and extracts from Buddhist scriptures. Poetry, essay, allegory, and aphorism are the main form of the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literary world, the writings of Pungkyungsori have showed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of “Buddhist allegory" as an independent genre.

      • KCI등재

        문수스님 소신공양의 의미와 평가

        박경준(Kyoung Joon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6

        2010년 5월 31일 오후 3시경,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사직리의 한 낙동강 강둑에서 문수스님은 분신을 결행하였다. 스님의 죽음에 관한 정황과 유서가 밝혀지면서, 스님의 죽음은 단순한 자살이 아니라 종교적 ``소신공양(燒身供養)``이라고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소신공양은 불교의 다비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여러 불교문헌에는 소신공양에 관한 이야기가 종종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빨리 불전에는 인연이야기(Nidana-Katha) 중에 ``소신공양``이라는 제목의 기록이 있고, 『법화경』에는 일체중생희견보살(一切衆生喜見菩薩)의 소신공양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근래에는 1963년 사이공의 한 거리에서 베트남의 틱쾅둑 스님이 분신하였다. 문수 수님의 소신공양은 이러한 불교 전통의 연장선 위에 위치한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문수스님의 소신공양은 부처님과 법과 뭇 생명에 대한 마지막 법공양이었다. 붓다의 가르침은 괴로운 중생에게 큰 기쁨과 행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 가르침을 설해준 붓다와 그 법의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예배하고 공양한다. 법공양은 이러한 불교 전통에서 유래한다. 둘째, 문수스님의 소신공양은 ``생사해탈의 자기검증``이었다. 불교의 최고선인 해탈과 열반은 생사의 속박에서 벗어난 세계이다. 불교의 선가에서는 이러한 해탈과 열반을 스스로 검증하는 전통이 있어 왔다. 셋째, 문수스님의 소신공양은 생산적인 정치적 저항이었다. 그것은 이명박 정권은 4대강 사업을 즉각 중지하라. 부정부패를 척결하라.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라는 스님의 유서를 통해 알 수 있다. 문수스님의 소신공양은 우리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준 것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지만, 살아남은 우리의 행동과 실천이 뒤따를 때 그 의미는 더 밝은 빛을 발할 것이다. Around 3 pm, on May 31, 2010, Ven. Munsu did self-sacrifice by burning himself on the bank of Nakdong river located at Sajik-ri Gunwi-eup, Gunwi-gun, Gyeongsangbuk-do. As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his death and last will were revealed, his death should be considered by most to be a religious offering of self-sacrifice by burning his body, but not a mere case of suicide. The custom of self-burning immolation derives from the ritual of Buddhist cremation and this has often been recorded in various Buddhist literature. To take a few example of such tradition, there is a record by the name of self-burning immolation in a Nidana-Kathain contained in Pali texts, and also an account related to the self-burning sacrifice of the Bodhisattva Beautiful (喜見菩薩) in the Lotus Sutra. Not long ago, Thich Quang Duc, a Vietnamese Buddhist priest, burned himself to death in the street of Saigong in 1963. Munsu`s immolation is basically an extension of such a tradition. Ven. Munsu`s sacrifice, the author think, has significance in three respects: Firstly, his is the ultimate offerings of the Dharma to the Buddha, Dharma and Sattva. People worship and make offerings to the Buddha who taught them the Dharma, which give the afflicted sentient beings great joy and bliss. The Dharma-offering stems from this tradition in Buddhism. Secondly, his self-burning offering was the ``self-verification of the liberation from samsara``. The ultimate stage in Buddhism, Vimukti (liberation) or Nirvana (cessation of suffering), is that which is free from all the restraints of suffering. Seon (Zen) Buddhism still preserves the tradition of verifying these stage of Vimukti and Nirvana for oneself. Third and lastly, his case was that of productive political resistance. This is revealed in his last will which states vehemently toward the current administration of President Lee, Stop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immediately! Eradicate corruption! Do the best for the good of the poor and underprivileged!

      • KCI등재

        초기불교의 지출이론과 사분법(四分法)

        박경준(Kyoung Joon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불교의 지출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四分法`의 본래 내용은, 수입의 1/4은 생계비로, 1/4은 생산비로 사용하고, 1/4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저축하는데, 1/4은 이자를 받고 경작자나 상인에게 빌려 주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지출을 강조하는 개략적인 가르침으로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사분법의 내용 중에는 자비와 보시의 정신에 바탕한 `사회적 지출`의 항목이 빠져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어떤 이는 경전의 내용을 왜곡시키기도 하고, 어떤 이는 의도적으로 기존의 한 항목을 삭제하고 `사회적 지출`의 항목을 새롭게 포함시키기도 하여 사분법의 설명은 혼란스러운 지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혼란을 불식시키고자, 먼저 사분법을 설하고 있는 경전의 原文을 꼼꼼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사분법을 설하는 경전구절의 전후 내용을 살펴 전체적인 맥락에서의 사분법의 참 의미를 밝혔다. 나아가 불교적 경제 이념과 윤리라는 거시적 틀에서 사분법의 의미를 재해석해 보았다. 앞으로의 사분법은 그 항목을 조금 늘려서라도 `사회 환원` 및 `교단에 대한 보시`의 항목을 명시해야 할 것이다.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in early Buddhist scripture is that each one fourth of the income is for livelihood, production, saving and lending to merchant or farmer for interest. However, explanations are not compatible because the item of `social expenditure` was not mentioned explicitly in the scripture. `Social expenditure` should be included in terms of fundamental idea of Buddhist economic ethics. Some distorted scripture by misinterpreting it. Others deleted article that `lend it for interest` and added `social expenditure` instead. Great Vehicle Sutra of Contemplation of the Mind Ground(大乘本生心地觀經 The Dasheng benshengxindiguan jing, abbreviated as the 心地觀經) suggests new form of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including social expenditure. It raised confusion because all is called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As professor Lee Jae chang interpreted, if `saving` is considered that it is not only for oneself but also for others, there is no problem. However, it should apply to other articles. If we take a look at it carefully, it looks far fetched. As far as we attach to `four division, we cannot settle the fundamental problem. The special feature of the Buddha`s teaching is `expediency` that satisfy every people and all kinds of situation. So we have to discard a fixed and stereotyped idea regarding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Instead, we have to keep the idea of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that `a planned and reasonable expenditure`. Also we have stick to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t economic ethics. In this respect, article of `offering to Sanga` and `returning to society` is indispensable ones in `the principle of four division`.

      • KCI등재
      • KCI등재

        A Consideration of the Economic Aspect of Korean Buddhism

        Kyoung Joon Park(박경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석존 당시의 출가자들에게는 씨앗을 뿌리고 농작물을 가꾸는 농삿일이라든가 물건을 사고파는 장삿일 등, 일체의 생산노동과 경제활동이 금지되어 있었다. 정사(vihara)를 건립하고 관리하는 등의 부득이한 일이 있을 때에는, 절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로 출가자들을 받들고 돕는 공인된 재가불자인 정인(淨人)을 통해 돈이나 귀금속을 취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불멸(佛滅) 이후 교단의 분열이 확산되면서, 불교교단 내에 대여를 통해 이자 수익을 올리는 ‘탑물무진(塔物無盡)’ 제도가 성립하여 일종의 금융기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탑물무진 제도에도 나타나듯 경제활동을 승가에 수용한 전통은 중국불교를 거쳐 우리나라 불교 교단에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그리하여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국가나 왕실의 사급(賜給)에 의한 사원전(寺院田)이 형성되었으며 사원노비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불교는 국가권력과 결탁되어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면서 사원전의 규모를 크게 확장시켰다. 술과 마늘, 옷감과 청자 등의 많은 물품을 만들어 판매함은 물론 보(寶)를 운영함으로써 재산의 증식을 꾀하기도 하였다. 호화로운 사원 건립이 끊이지 않고 갖가지 법회로 국고는 낭비되었으며 백성은 노역에 시달렸다. 사찰이 재화의 증식에 집착하고 축적된 부를 사회에 충분히 환원하지 못함으로써 여러 폐해가 드러나자 고려 말엽에는 승려들의 활동을 제한하는 금령(禁令)이 공포되기에 이르렀다. 고려시대 사원경제의 과다한 팽창은 조선조의 숭유억불 정책을 자초하게 된다.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불교에 대한 억압과 배척은 본격화된다. 사원전이 몰수되고 사원노비는 군정(軍丁)에 충당된다. 뿐만 아니라 불교 종단은 통폐합되고 사찰은 감축되며 스님들은 사대부들의 가렴주구를 견뎌야 했다. 이러한 와중에서도 스님들은 사찰의 관리와 유지를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한다. 스님들은 탁발을 하고 전지를 개간하였으며, 짚신과 미투리, 종이와 누룩을 만들어 팔기도 하고 품팔이까지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각종 계(契)를 조직하여 공동의 자구책을 강구하기도 하였다. 오늘 날의 한국불교에서는 이와 같은 스님들의 직접적인 경제활동의 전통은 대부분 단절된 반면, 스님들이 돈을 직접 만지고 관리한다. 사찰의 재정은 대부분 재가불자들의 보시와 시주, 또는 입장료 수입 등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삼보(三寶)의 정재(淨財)는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찰의 수입이 출가자 모두에게 적절하고 공평하게 분배되지도 않고 있다. 그로 인한 불미스러운 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폐습은 빨리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불교는 초기불교의 경우와는 달리 출가 자들의 생산노동과 경제활동을 인정하고 수용하였으며 부의 창출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백용성 스님의 ‘선농일치(禪農一致)’ 운동은 그 한 예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의 한국불교 교단은 초기불교의 ‘출가-재가’ 이원 구조에 바탕한 역할 분담을 통해, 출가자는 수행과 전법교화에 매진하고 재가자는 사찰 재정 운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해야 한다. 사원경제가 투명성과 합리성을 확보할 때, 불교의 진정한 발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Renunciant monks during the Buddha`s lifetime were prohibited from farming, running a business, and conducting all kinds of productive labor and economic activities. But as Mahayana Buddhism rose in India, the system of attaining profit from interest by way of loaning some money inside the Buddhist order was set up, and it functioned like a sort of a banking organ. As is shown in this system, the tradition of sangha`s accepting economic activitie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Chinese Buddhism to our country`s Buddhist orders. So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emple farmland offered by the nation or the royal family was formed, and temple slaves` labor forces were needed. In the Goryeo Dynasty, as the Buddhist community gathered strength through colluding with government powers, it greatly expanded the size of temple farmland. They also made an attempt to increase wealth by way of not only producing and selling liquor, garlic, cloth, and celadon but also running “bo” (寶: monastic fund). The construction of luxurious monasteries was continued, state coffers were wasted because of all sorts of Dharma meetings, and people suffered from hard labor. As various harmful effects became evident as temples were attached to increasing their wealth and failed at sufficiently returning their accumulated riches to society, monks were on the verge of being forbidden from doing their work by the proclamation of a ban on all economic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excessive expansion of the monastic economy in th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brought about the policy of suppression of Buddhism and respect for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Entering the Joseon Dynasty, the policy of suppressing and excluding Buddhism was in earnest. Temple farmland was confiscated, and temple slaves were enlisted into the army. Furthermore, Buddhist orders were merged, the number of temples was reduced, and monks had to tolerate the extortion of taxes by sadaebu (aristocrats). Meanwhile, monks made their best endeavors to secure sources of revenue for the purpose of managing and maintaining their temple. They begged for food, cultivated farmland, made and sold paper and yeast, and even worked for w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also sought joint measures to save themselves by organizing all sorts of gye (契; fraternity). While this kind of tradition of monks` engaging in direct economic activities has been almost abandoned, monks still handle and manage money in person. Nowdays Temple finance mostly relies on the offerings and donations by lay Buddhists or the income from admission fees. But the pure wealth on the basis of revering the Three Treasures is not administered transparently and reasonably, and temple income is not distributed to all of the renunciant monks properly and equally either. Because of this, shameful things frequently occur. Such harmful customs should be stamped out and replaced by improved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