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민강기,장희대,조미경,박경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0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7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discriminative factors in seventh curriculums in special education and to suggest a right direction to revise the curriculums.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 First, It have to eliminate 'The man has ability and willness for overcome one's disability' that the last item of concrete an image of men that purpose of the curriculums. Second, It have to eliminate the basic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at makes another discrimination. Futhermore, Disabled people's participations on making decision to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have to increase more. So the curriculums more reflect disabled people's opinions.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장애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분석하고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보완 시점에서 올바른 변화의 방향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에 따른 고찰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구체적 인간상 중의 마지막 항목인 ‘바. 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을 갖춘 사람’은 삭제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장애인의 교육경험에 따른 교육적 요구가 수렴되기 위해 교육과정의 결정 및 의사결정에서 장애인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마지막으로 지적 장애학생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키는 기본교육과정은 없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관련서비스 운영 및 요구 연구

        김영걸,민강기,도성화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And identifying the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result is as follows:Above all, the survey target was one personnel from each of the 201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owever, as a result of leaving out 62 centers whose personnels refused to respond or had no experience in the field, 139 centers remained as targets. Result of the survey concluded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is highly limited. The professionalism of personnel was not secured and there were not enough plan and budget to the service. 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factors of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websites and operating plans in fou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 thre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ree in rural area were researched.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centered around rental service promoting assistive technology, acknowledging the needs in assistive technology, student information gathering, student diagnosis, selecting and applying matching equipment, service evaluation and equipment maintenance management.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는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보조공학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조공학 기기와 관련서비스의 제공을 담당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139개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있는 보조공학 지원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며, 보조공학 담당자들의 전문성 확보와 별도의 보조공학 지원 예산과 계획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 업무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와 운영계획을 조사하였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조공학 홍보 및 요구파악, 학생정보수립 및 기초진단, 기기 선정 및 적용, 활용 평가 및 기기 관리의 대여업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보다 체계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서비스 모형의 현장 적용을 통한 지속적인 모형의 수정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재택ㆍ순회교육 담당교사의 치료교육활동운영 현황 및 요구 분석

        전헌선,민강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재택ㆍ순회교육 담당교사의 치료교육활동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요구 분석을 통하여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ㆍ순회교육 대상자의 교육과정은 치료교육활동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하고, 그 필요성이 높게 인식되고 있지만 담당교사의 배치가 미흡하다. 둘째, 재택ㆍ순회교육 대상자의 수업은 담당교사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되어 그 효율성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재택ㆍ순회교육에서의 치료교육활동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재ㆍ교구 및 행ㆍ재정적 지원이 증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류전동기의 벡터제어를 위한 공간벡터에 기저한 전류 제어기

        이윤종,임남혁,민강기 한국통신학회 199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5 No.9

        본 논문에서는 전류 제이형 PWM 인버어터를 위한 새로운 전류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종래 히스테리시스 제어기법은 우수한 과도 응답 특징을 갖지만 랜덤한 스위칭 패턴 때문에 저촉영역에서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지게 된다. 제안된 새로운 전류제어기는 3단계 히스테리시스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 EPROM 테이블을 통해 알맞은 인버어터 출력전압 벡터를 선택하는 제어기법이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종래 히스테리시스 전류 제어기와 비교 검토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current control strategy for current regulated VSI-PWM lnverter. The conventional hysteresis control method has good dynamic response, but the switching frequency in lower region are high because it does not optimise switching patterns. Proposed current control strategy can optimize switching patterns. As regulater, three level comparator are used, the output of comparator select appropriate inverter output voltage vectors via switching table stored in EPROM.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hysteresis strateg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 재택ㆍ순회교육 대상아동의 언어훈련을 위한 치료교육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옥정달(Ok Jung-Dal),민강기(Min Kang-Gi) 한국재활과학회 2004 難聽과 言語障碍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therapeutic education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elementary school, child who is educated at home.<BR>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BR>  First, the therapeutic education to elevate basic motor performance is focused upon the reflective function, posture controlling function, function of mobility etc.<BR>  Second, the therapeutic education to promote oral speech mechanism were practiced to tongue and respiration motor.<BR>  Third, the therapeutic education to promote language level is centered to discrimination of concrete things, things and coordination of figure care, discrimination of two figure cares, finding appropriate figure cares.<B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erapeutic education was done to be elevate language understanding than those of language expression.

      • KCI등재

        특수교육현장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 및 요구

        오유정,김종무,김영걸,민강기,정해진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8 No.1

        첨단 공학 (technology) 및 정보 ·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생활의 효율성과 편리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공학의 활용은 장애학생이 학습 및 일상생활에서 겪어 온 어려움을 해결해 주어 장애학생의 삶의 질 향상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 (needs) 에 적합한 보조공학이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특수교육 현장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해서 장애학생의 학업능력 향상 및 통합교육, 나아가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보조공학 활용이 활성화되고, 실제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 단계는 문헌 연구를 통해 특수교육 현장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 및 요구조사에 도움이 되는 국내외 단행본, 학위논문, 세미나 자료집, 조사보고서 등의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2단계는 질적 연구로 포커스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장애유형별(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정서 및 행동장애, 지체장애)로 특수학교 교사 1 명, 특수학급 교사 2명,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5명 등 총 11 명이 참여하여 약 2시간 10여분에 걸쳐 포커스 집단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공학 요구 조사지를 작성하였다. 3단계는 조사 연구로 ‘특수학교 보조공학활용 실태 조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활용 실태 조사’, ‘보조공학 요구 조사’등 총 3 종의 조사지를 활용하여 150개 특수학교, 132개 특수교육지원센터 , 985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현장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를 조사한다. 둘째, 특수교육 현장의 보조공학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를 살펴보면, 특수학교에서는 체계적인 보조공학 지원 계획 없이 보조공학을 장애학생에게 제공 및 적용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업무 및 전문가가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에게 제공되는 보조공학기기 대부분의 영역에서 양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구비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의 활용도도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장애학생의 독립생활 능력을 향상 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일상생활영역의 보조공학기기 보유 현황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수학교에서는 주로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보조공학기기의 구비를 결정하였으며, 결정할 때의 주요 기준은 학생의 요구와 수준을 참고하였다. 보조공학기기를 구비할 때는 인터넷, 관련 문헌, 보조공학 관련 회사들이 제공하는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보조공학 관련 재정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지원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보유 및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관내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하여 전반적인 보조공학 지원 계획과 업무를 바탕으로 보조공학 지원이 이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공학 지원 계획은 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소속 특수교사와 장학사(관)가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었고, 특수교사가 보조공학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공학 업무 담당자의 보조공학 관련 교육 및 연수 경험은 상당수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보조공학과 관련된 전문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조공학기기 구비와 활용 실태는 특수학교의 양상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장,장학사, 특수교사 등 혹은 이들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바탕으로 보조공학 구비 품목과 수량을 결청하였으며. 관내 장애학생의 요구와 수준을 충분히 고려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 기본 예산과 상위 교육기관의 지원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상황에 따라 보조공학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 특수학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관련 요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각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교사들은 보조공학기기가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및 수업참여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이뿐만 아니라 장애학생 개개인의 자신감, 사회성, 독립성, 발달 측면에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문제점으로는 개별 학생의 보조공학 요구 파악과 관련한 체계적 진단-평가 체제가 없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보조공학 환경 구축과 체계적인 보조공학기기 선정 및 제공 시스템 구축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