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교직 경력에 따른 차이

        문형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ch group when the group of teachers is divided into low and high experi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ird, does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ve a differe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In order to solve this study, a sample of schools was selected for each educational support office across the country and the questionnaire data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fir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to analyze job satisfaction.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teacher's background, the mean comparison between groups was performed. Third, 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variables used in the study. Fourth,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ignificant on job satisfaction was specifically confirmed by dividing the teacher group into low and high experience. The main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level as high.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the number of years of current school principals whe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osition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of the principal, hours of administrative work, and location of the school. Third,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variable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variable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Fourth, job satisfaction of low- and high-experience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social competence of the principal in the case of low-skilled teache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it can be said that among the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ies, social competenci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However, in order to demonstrate social competence well, it is necessary to have good personal competence, so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the overall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ly by the teacher's gender and the number of years the principal served in the current school. It was analyzed that male teachers had higher job satisfaction with their job as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and as the number of years the principal served as an incumbent became longer, his understanding of school members could be deepened. Thir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low-skilled teachers than in high-skilled teacher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low-skilled teachers, it is important for the principal to properly demonstrate emotional leadership.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직 경력에 따라 교사 집단을 저경력과 고경력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집단에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만족도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경력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 본 연구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교육지원청별로 학교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방법은 첫 번째로 직무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로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 간 평균 비교를 하였다. 세 번째로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감성리더십 하위 역량과 교사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네 번째로 교사 집단을 전체 집단, 저경력 집단과 고경력 집단으로 나누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독립 변수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주요한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도에서도 초등교사는 대부분이 현재의 직무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직무만족도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을 때 성별과 학교장의 현임교 근무 년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보직 여부, 최종 학력, 학교장의 성별, 행정 업무 시간, 학교 소재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변인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저경력 교사인 경우에만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사회적 역량과 유의한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데에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감성리더십 역량 중 사회적 역량이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역량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개인 역량을 잘 갖추는 것이 필요하므로 감성리더십 역량 전반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성별과 학교장의 현임교 근무 년수에 의해서만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교사라는 직업에 직무만족을 좀 더 높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교장의 현임교 근무 년 수가 길어져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 함께 근무하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고경력 교사에 비해 저경력 교사에게서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더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저경력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이 감성리더십을 적절하게 발휘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 연구 : 기업의 공헌활동 사례 중심으로

        문형주 예원예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실태를 분석하고 기업이 우리나라에 서 사회공헌 활동을 어떠한 방법으로 동참하고 소비자 단체나 관련 당국 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어떻게 유도하는데 초점을 맞췄는지 알아보고 자 공헌 활동에 대한 조사를 재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2014년 전국 경제인 연합회는 한국 대기업의 사회 공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사용할 수 있기에 자료를 재분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사회적 책임이론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전국 경제인 연합회에서 발간한 사회공헌 활 동 관련 자료들을 활용하였으며 삼성경제연구소, 장애인고용촉진공단, 기 타 복지재단 등에서 실시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실태조사를 통한 통 계자료를 활용하여 기업의 기부금, 자원봉사활동, 비영리단체와의 협력 현황 및 사회복지사의 고용 등 우리나라 사회공헌 활동의 실태를 분석하 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실천방 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기업은 NGO와의 파트너십을 활용한 긴밀한 관계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둘째, 기업은 사회공헌 활동을 기업이미지 제고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활용, 그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실적인 도움을 주는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기업은 전략적인 기업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해야 한다.

      • 독백의 효율적 무대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자극의 주체에 대한 포커스의 활용을 중심으로

        문형주 한국예술종합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 study upon an effective method for building a stage monologue>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essential qualities of a monologue and method for using a focus towards a stimulative subject. A process of delivering a monologue begins with a character waking up his(her) inner impulse towards his(her) stimulant subject. As a reaction to such an impulse, the character begins his monologue. By understanding the essential qualities of a monologue, I was able to grasp its' feature of 'spontaneous reaction'; A reaction that comes out spontaneously from a character as he perceives his given circumstances. From this, I was able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energy of a monologue is directed towards not outward but towards expanding & developing within the character. It is due to the fact that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thoughts, it builds up frame direction of a monologue. And from this characteristic of monologue form, the actor is able to expand passive & internalized monologue into that of an external by using the focus on stimulant subject inward & outward; expanding the monologue's dramatic meaning as it aims at becoming an interchanging medium as a stage language. This thesis proceeds by focusing upon the inner & outer usages of character's focus. When one says a character is 'laying his(her) focus', it means he(she) is consciously concentrating on giving his(her) attention. The character's focus is given to the stimulant subjects such as his given environment, partner and an image. It not only intensifies the specific awareness upon the stimulant, but also induces a strong inner impulse. I define this process as the inner phases upon stimulant subject; An inner personalizing phase to intensify character's inner impulse. It not only builds up an energy for inducing a monologue, but brings about the character's action as it enables him(her) to react within the situation by internally expanding the character's energy while he(she) is doing his(her) monologue. The character's inner energy intensified through this inner phases could be projected out by the support of a specific outward direction during the phase for external stage expression. By designating his(her) 'focus point' on the space, he(she) is able place a specific image created from character's inner world. By making a mutual response to the image placed on the 'focus point', the character's eye direction and action obtain their outward direction. Therefore, while building the character's monologue, it suggests many ways to create a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 and image placed on the spatial spot 'the focus point' which directs the character's focus out to the space; resulting as the external expansion of the character's energy direction while he(she) is building up his(her) monologue. Such a mutual response with the stimulant subject created through the inner & external use of a focus not only intensifies character's impulse but also guides to audiences' response as it obtains a direction towards an external expression. This thesis <A study upon an effective method for building a stage monologue> has been made as 1) to analyse the essential feature of a monologue; characterized by its' action of spontaneous reaction as a stage language and 2) to look throughly upon the using of focus directed both inward & out. I expect this thesis will suggest one of a many specific methods to build up an effective monologue and support actors whom are working on their monologue. 본 논문 <독백의 효율적 무대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는 독백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독백 구현 시 인물에게 충동을 주는 자극의 주체에 대한 포커스의 활용 방안을 주된 내용으로 담고 있다. 독백 구현의 과정은 인물이 자극에 대해 내적인 충동을 일으킨 다음, 그 충동에 대한 반응으로서 인물의 혼잣말이 유발된다. 연구자는 먼저 독백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혼잣말의 특성상 주어진 상황 안에서 인지되는 자극의 주체에 대해 인물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반응하는 ‘자발적 반응 행동’ 특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독백은 인물이 사고하는 바에 집중하면서 진행되기에 인물의 내면으로 향하는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었고, 따라서 독백의 에너지는 외부를 향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 내면에서 증폭되고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백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내면화되기 쉬운 독백을 자극의 주체에 대한 포커스의 내, 외적 활용을 통해 인물의 에너지를 외적으로 확장시켜 무대 언어로서의 교감을 목적으로 하는 독백의 극적 의미를 배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자극의 주체에 대한 포커스의 내, 외적 활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포커스를 둔다’는 것은 인물이 어떠한 점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인물의 포커스를 독백 속 자극의 주체인 주어진 환경과 대상 그리고 이미지에 둠으로서 자극에 대한 인식을 구체화시킬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인물의 강한 내적 충동이 유발되는 것을 돕는다. 연구자는 이 과정을 자극의 주체에 대한 내적 단계 즉, 인물의 내적 충동을 강화시키는 내적 자기화 단계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혼잣말의 충동을 만들 뿐 아니라, 독백 구현 중에는 인물의 에너지를 내적으로 증폭시켜 인물이 상황 안에서 반응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내적 단계를 통해 강화된 인물의 에너지는 외적 단계, 즉 무대 구현의 외적 표현의 단계에서 외적인 방향성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공간에 놓인 지향점에 인물 내면에 형성된 이미지를 그려두고 교감함으로서 인물의 시선과 행동이 외적으로 발산되도록 돕는다. 연구자는 포커스의 외적 활용에서 독백 구현 시 자극의 주체를 공간 안에 꺼내두고 교감하는 방법들을 제시하면서 인물의 포커스를 외적으로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독백 구현 시 인물의 에너지의 방향을 인물 내면을 벗어나 외부로 확장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포커스의 내, 외적 활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극의 주체와의 교감은 인물의 충동 강화뿐 아니라 외적인 표현의 방향을 획득함으로서 관객과의 교감을 이끌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 <독백의 효율적 무대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는 무대 언어로서 자발적 반응 행동 특성을 지닌 독백의 본질을 분석하고 포커스의 활용법을 내, 외적인 방향성에 중심을 두어 연구한 것으로 효율적 독백 구현을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고, 이러한 연구가 독백 구현 시 인물의 에너지를 확장시키는데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미세먼지가 도시민의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종로구를 대상으로

        문형주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세먼지는 인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각종 암을 유발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미세먼지의 건강위협에 대응하여 도시민은 미세먼지 농도 등에 따라 활동패턴을 변화시키며 이는 미세먼지에 대한 도시민의 회피행동이라 할 수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도시민의 회피행동은 도시활동 유형, 도시민의 연령, 도시활동 장소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국내에는 이를 규명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심 중 하나인 종로구를 대상으로, SKT의 휴대전화신호 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연계하여 도시활동 유형별 일단위 활동인구 수를 추출하고 미세먼지 농도, 미세먼지 지속일 수, 미세먼지 경보 여부에 대한 일단위 시계열모형을 구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회피행동은 도시활동 유형과 도시민의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야외에서 수행되는 활동일수록, 미세먼지에 취약한 어린이와 노인일수록 도시활동의 위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 에피소드가 지속됨에 따라 도시민의 회피행동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상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 경보는 도시민의 회피행동을 크게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ticulate matter(PM)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lung cancer. Recognizing its considerable risk to human health, people change their behaviors when a concentration level of PM is high. However, the degree of the adverse behaviors expected to be different by activity type. For example, the impact of PM on indoor activities is likely to be smaller than on outdoor activities. Despite such a speculation on its impacts, not many studies, especially in Korea, have attempted to analyze its impacts on different urban activities.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PM on different types of urban activity, including labor, indoor and outdoor shopping,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and different age groups, by performing a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with an year-long real-time floating population data from SKT Smart Cell for Jongro-gu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outdoor shopping and leisure activities are reduced with an increase in PM concentration level, while the impacts of PM on labor and indoor shopping activiti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mpacts of PM are more sensitive for the case of children and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PM, with more adverse behaviors. In the meanwhile,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verting behaviors are even strengthened with long-lasting high PM episodes.

      •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형주 한영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traditional art program is provided as an element of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of community child center. Despite their high popularity, the traditional art programs are provided only at a few community child centers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 program host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raditional arts and group art therapy. A previous research discovered that a traditional art program, a group art therapy and traditional etiquette programs were combine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ltruism, an element of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That research prov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suppressed self through art therapy together with self-reflection, pleasur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traditional etiquette program provides stable emotions and these emotions are expressed into care and consideration of others. However, that research concentrated only on the altruism as an element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art program on sub-variables of social development such as leadership, morality, and altruism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traditional art program combin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with a traditional etiquette program not only suitable for children’s characteristic and ability but also balanced with sense of modern. The brief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art program on the soci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Second, how does this effect vary according to the childre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related literature about traditional etiquette, personality education, art therapy, traditional games, and tea ceremony were reviewed. A total 60 participants of two community child centers in Seoul – 25 of a center in D region and 35 of a center in O region – were analyzed as an experimental group. Except 4 participants who stop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for personal reasons, finally a total 56 questionnaires and pre-and post-analysis papers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Utilizing after-school classroom program, those children participated in one-hour traditional art program once a week twelve times for twelve weeks from July to September 2013. For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Version 18.0 program.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scores of leadership, morality, and altruism after their participations of the program.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etiquette program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an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its difference according to childre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ar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altruism(t=6.068), morality(t=5.393), and leadership(5.265) in order. Second, concerning the change of those effects according to childre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gender variable were not significant for all leadership(t=1.82), morality(t=.09), and altruism(t=.16) less than level of significance p<.05. The variables of school-year also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ll leadership(t=.17), morality(t=1.37), altruism(t=1.91). The effects of family circumstance variabl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for all leadership(t=1.57), morality(t=.86), altruism(t=.394).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demonstrat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traditional art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I rais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ough etiquette educations are being provided in schools and traditional culture programs are developing, those programs are not dealt with as regular subjects. Furthermore, those programs are different from school to school. Thus, the traditional art programs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subjects every semester. Second, the traditional art programs of community child centers should be invigorated. Due to both economic or policy circumstances and the scarcity of experts who can perform both art therapy and traditional etiquette education, only a few community child centers provide those traditional art program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ate and the society need to provide various supports for local children centers, and they also need to foster art therapy experts who can lead traditional etiquette programs. 현재 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교육의 하나로 전통예술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다. 지역아동센타 아동들의 호응도가 매우 높고 많은 수의 아동이 지원하고 있으나 전통예술과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진행자의 수가 많지 않아 소수의 지역아동센터에서만 실시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전통예절프로그램과 집단미술치료를 병행한 전통예술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전통예술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발달의 한 분야인 이타성에 정적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전통예절 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성찰과 기쁨, 성취감과 함께 미술치료를 통한 억압된 자아 표출로 인해 안정된 정서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온정으로 나타나 전통예술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는 사회성발달의 하위 분야인 이타성에 대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리더십과 도덕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특성과 능력에 적합하고 현대적 감각과 조화될 수 있는 전통예절 프로그램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접목한 전통예술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여 전통예술프로그램이 사회성발달의 하위변수인 리더십과 도덕성, 이타성에 나타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구성한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전통예술프로그램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가? 본 연구는 문헌연구 검토를 기초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문헌적 연구는 전통예절과 사회성, 미술치료, 생활예절과 관련된 전통놀이, 다도 ·다식 등의 선행연구와 단행본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D 지역아동센터 아동25명과 O 지역아동센터 35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60부 중 개인사정으로 중도 하차한 4명의 결과를 제외한 56부의 설문지와 사전· 사후 검사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방과후 교실 프로그램시간을 활용하여 주 1회 60분씩 총 12주에 걸쳐 12회기의 전통예술 프로그램 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과 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의 리더십, 도덕성, 이타성의 점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발달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에 대해 연구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성발달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타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이타성(t=6.068), 도덕성(t=5.393), 리더십(t=5.265)의 순으로 모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발달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사회성발달의 향상은 리더십(t=1.82), 도덕성(t=.09), 이타성(t=.16) 모두 유의수준 p<.05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년에 따른 사회성발달 향상은 리더십(t=.17), 도덕성(t=1.37), 이타성(t=1.91) 모두 유의수준 p<.05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상황에 따른 사회성발달 향상은 리더십(t=1.57), 도덕성(t=.86), 이타성(t=.394) 모두 유의수준 p<.05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발달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학교 현장에서 예절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통문화를 알리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타 과목같이 정규적으로 시간 배정이 되어 있지 않으며 학교에 따라 사정을 달리 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전통예술 프로그램이 교육과정에 분기별로 정규 편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전통예술 프로그램의 활성화다. 현재 지역아동센타 내부의 경제적ㆍ정책적 상황과 미술치료와 전통예절교육을 병행할 전문가를 찾기 어려운 이유로 인해 전통예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지역아동센타의 수는 많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타에 대한 사회와 국가로부터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전통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하다.

      • 메타정보기반 이미지얼굴표정인식개선 : 이미지 얼굴 표정 인식 개선

        문형주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mproved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s in Images based on Meta Information Moon, HyeongJu Advisor : Prof. Shin, JuHyun Ph.D. Department of Software Convergence Engineering Graduate Schoo lof Industrial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Chosun University Due to the impact of the pandemic and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se of non-face-to-face /unmanned systems is expanding, huma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research o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human facial expressions has been ongoing for a long time. Recently,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achieving higher performance in various applications than conventional methods that do not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1] In this regard, many researchers are propos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to improve image facial expression emotion recognition, and most emotion recognition studies are solving problems in various fields by using deep learning models after extracting various facial expression features of facial images [2].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imag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by utilizing meta-information of Korean complex image data of AI Hub (AI-Hub), an integrated platform operated by the Korea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gency. Existing facial expression emotion recognition studies utilize a large amount of data to improve accuracy. However, learning a large amount of data requires high computing power and require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the collection of a large amount of data. To improve this, we propose an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age and gender, which are meta information of image data, to improve emotion recognition performance even with a small amount of data. The face was detected through the Yolo v2 Face model in the original image data, and a series of emotion classification processes were proposed to classify emotions after age and gender classification with the VGG16 model using the meta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ta-information included in the image data, data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y age (10-50s) and gender (male and female), and then 10 emotion recognition models were created using the EfficientNet model with the best emotion recognition performance among VGG, ResNet, and EfficientNet models.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performance of the learned model improved by classifying meta-information-based data and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arned model with the whole data that was not classified. The total data that is not classified is a total of 70,000 sheets, and the data of the proposed model is 7,000 sheets, which is 1/10 of the total data. For this reas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with low computing power when recognizing the proposed meta-information-based image facial expression.

      • 일개 대학병원 교대 근무 여성 간호사의 범죄 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문형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교대 근무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범죄 피해 두려움 정도를 평가하고, 범죄 피해와 관련한 변인과 범죄 피해 두려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7년 1월 5일부터 1월 15일까지 10일간 C지역의 일개 대학병원에서 교대 근무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범죄 피해 두려움 17문항, 일반적 특성 27문항, 범죄 피해 경험 20문항, 사회 통제 요인 인식 21문항, 범죄 피해 인지도 18문항으로 총 103문항이며, 설문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15~30분이었다. 총 140부를 배부하여 140부(회수율 100%)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 응답 11부를 제외하고 총 129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평균 연령은 28.79세 이었고, 무교가 69%로 가장 많았고, 대학 졸업이 93.8%로 가장 많았다. 71.3%가 미혼이었고, 결혼 한 28.7% 중 22.5%에게 자녀가 있었다.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간호사가 59.7%이었고, 주거 형태는 아파트와 빌라가 47.3%로 가장 많았다. 간호사 중 93%가 음주를 경험하고 있었고, 음주 횟수는 한 달에 5회 이하가 67.5%로 가장 많았다. 음주 후에는 44.2%가 자정 이후에 귀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형태는 낮 번, 초 번, 밤 번의 교대 형태로 낮 번은 오전 6시부터 7시 이전에 69.8%가 출근하였고, 초 번은 오후 2시부터 3시 이전에 67.4%가 출근하였으며, 밤 번은 오후 10시부터 11시 이전에 62%가 출근하였다. 퇴근 시간은 낮 번이 오후 3시부터 4시 이전에 82.2%가 퇴근하였고, 초 번이 오후 11시부터 자정 이전에 90.7%가 퇴근하였으며, 밤 번이 오전 7시부터 8시 이전에 90.7%가 퇴근하였다. 퇴근 후 평균 귀가 시간은 낮 번이 오후 3시부터 4시 이전에 63.6%가 귀가하였고, 초 번은 오후 11시부터 자정 이전에 75.2%가 귀가하였으며, 밤 번은 오전 7시부터 8시 이전에 69.8%가 귀가하였다. 출근 및 퇴근을 위해 50.4%가 보행을 이용하였고, 이동 거리는 500m이내가 52.7%, 왕복 이동 시간은 10분부터 20분 이내가 39.5%로 가장 많았다. 둘째, 간호사로서 병원에 종사한 이후에 직접적인 범죄 피해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10.2%이었고, 지난 1년 동안 간접적인 범죄 피해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11.6%이었다. 셋째, 사회 통제 요인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은 2.89점이었고, 하위 요인의 평균은 이웃 통합 요인이 2.83점, 무질서 인식은 2.58점, 지역 경찰 활동에 대한 신뢰는 2.93점, 미디어의 영향은 3.63점 이었다. 넷째, 범죄 피해 인지는 5점 만점에 평균 2.78점이었고, 하위 요인의 평균은 범죄 피해의 위험성 인지가 2.59점이었고, 범죄 피해의 심각성 인지는 2.78점 이었다. 다섯째, 범죄 피해 두려움은 5점 만점에 평균 3.37점 이었고, 하위 요인의 평균은 추상적 범죄 피해 두려움이 3.75점으로 가장 높았고, 일상적 범죄 피해 두려움이 3.44점, 구체적 범죄 피해 두려움이 2.93점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범죄 피해 두려움과 범죄 피해 경험, 사회 통제 요인 인식, 범죄 피해 인지와 같은 상위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사회 통제 요인 인식(r=.318, p<.01)과 범죄 피해 인지(r=.535, p<.01)가 범죄 피해 두려움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피해 경험과 사회 통제 요인 인식, 범죄 피해 인지의 하위 요인과 범죄 피해 두려움의 상관관계는 직접 피해 경험(r=.261, p<.01), 사회적 무질서(r=.349, p<.01), 물리적 무질서(r=.272, p<.01), 미디어의 영향(r=.305, p<.01), 범죄 피해 위험성(r=.563, p<.01), 범죄 피해 심각성(r=.313, p<.01)이 범죄 피해두려움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범죄 피해 경험과 사회 통제 요인 인식, 범죄 피해 인지의 각 하위 요인이 투입된 결과 조정된 R2는 .441으로서 범죄 피해 두려움을 44.1% 설명하였다. 미디어의 영향(β=.251, p<.01), 범죄 피해 심각성(β=.183, p<.05), 직접 피해 경험(β=.144, p<.05)은 범죄 피해 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범죄 피해 위험성(β=.387, p<.001)이 범죄 피해 두려움에 가장 큰 영향요인 이었다.

      • 합성섬유 보강된 고성능 시멘트복합체를 사용한 구조부재의 성능평가

        문형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외의 건축기술의 발전과 함께 건설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 다양화되기 시작했다. 건축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건축 구조물은 대형화 및 장지간화 되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건설재료인 콘크리트 구조재료의 요구 성능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고 재료의 고성능, 고강도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콘크리트는 재료 자체의 취성, 폭열, 건조수축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며, 압축강도에 비하여 낮은 인장강도와 휨 강도에 기인하는 낮은 연성과 흡수능력 때문에 콘크리트가 취성적인 재료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의 취성 및 단점, 재료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섬유를 이용한 고연성,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에 구조부재별로 나누워 각각에 맞는 합성섬유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고연성 시멘트복합체와 초고강도 섬유시멘트복합체를 배합하였다. 고연성을 요구하는 바닥구조의 경우 PVA섬유를 활용하여 고연성시멘트복합체(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SHCC)를 배합하였다. PVA 섬유가 혼입된 SHCC는 시멘트 복합체 내에서 최초 균열이 발생될시 혼입된 단섬유가 균열면에서 가교 작용을 통하여 응력과 파괴에너지를 부담하여 최초균열 발생 후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즉시 파괴하지 않고, 2차 균열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한 재료이다. 이로 인해 섬유시멘트복합체는 1축 인장 하에서 다중미세균열이 유발에 따라 큰 연성을 갖는 변형경화형 시멘트복합체이다. 이를 바닥구조의 하단부 인장측에 일부의 두께별로 적용하고 성능평가를 통해 우수한 성능을 확인 및 평가하고자 한다. SHCC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복합바닥구조는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실내 SHCC 및 RC 복합바닥구조 실험체와 장지간화 연구를 위한 하프프리캐스트 SHCC-RC 복합바닥구조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성능 평가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구조성능 평가 결과 다중미세균열 거동에 의한 초기균열 제어, 국부균열 제어, 처짐개선, 처짐 제어 효과를 확보하였으며, 휨 내력 또한 크게 개선되어 고연성적인 성능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Vectran 섬유를 활용한 초고강도 섬유시멘트복합체 개발이다. 초고강도 섬유시멘트복합체는 고강도를 필요로하는 구조 부재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내 연구 진행을 하였다. Vectran 섬유시멘트복합체의 구조 성능 평가 결과 섬유 혼입율 1.0% 적용시 120% 이상 휨 내력이 향상되었다. 전단평가에서는 전단균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단 위험단면을 설정하여 실험하였음에도 Vectran 섬유시멘트복합체에서 230% 이상 내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초고강도 Vectran 섬유시멘트복합체가 신축성과 유연한 Vectran 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시멘트 매트릭스 내 뭉치는 효과 없이 분산 및 부착 성능이 뛰어나 균열폭 증가를 억제함으로 인해 전단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단보강근인 스터럽과 유사하게 전단보강 및 구속력이 발현됨으로 인해 휨 단면이 전단 단면을 지배하는 것으로 보이며, 전단보강 철근을 최소화해도 전단 보강 및 강도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실제 현장 보 구조부재에 활용할 시 전단 철근량 저감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Construction structures have begun to become large, high-rise, and different buildings with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ology. A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the building structure was larger and long span, concrete which was used construction material is required to have high performance of structural material. In addition, high performance and high strength of concrete is required to overcome disadvantages. Concrete has several disadvantages which are brittleness, thermal expansion and shrinkage of itself and it is known brittle material because of low ductility and absorption ability due to low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compared to compressive strength.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high ductility and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fiber as a method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such as brittle fracture of original concrete. High ductility cementitious composites and ultra high strength fiber cementitious composites were developed using synthetic fibers. This researcher is conducted experiments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using by developed concrete. Strain 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SHCC) using PVA fiber is applied to the slab since slab is required to have high ductility.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SHCC with PVA fiber. When the initial cracks occur in the cementitious composites, the short fiber in the cementitious composites has a bridge reaction at the cracking surface and bear stress and fracture energy. Therefore, even after the initial cracking, it is not immediately destroyed over time, and secondary cracks can be induced. In addition, it has a large ductility due to multiple micro-cracks induced in uniaxial tensile. In this study, it is applied to the bottom part tensile side of slabs for 10mm, 20mm, 40mm and 60mm thickness,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labs is tested to confirm and evaluate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members. There are two types of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floor structure using SHCC. SHCC and RC composite specimens and half-precast SHCC-RC composite floor specimens for the study about long span of slab are manufactured. This is carried out and analyzed for structural performance. I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tes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itial crack by multi-micro crack behavior, and local crack control, deflection improvement and deflection control are effective. And the bending strength is improved much, and the high performance is confirmed.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is improved much and high ductility performance is confirmed. The second study is the development of ultra high strength fiber cementitious composite using Vectran fiber. The ultra-high strength fiber cementitious composites have been studied for application to structural members requiring high strength. Vectran fiber cementitious composites showed more than 120% flexural strength when the fiber content ratio was 1.0%.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test of structural member with 1.0% Vectran fiber, the structural member using Vectran fiber cementitious composite improves the bending strength more than 120% than ordinary RC member. In shear test results, critical section is set up to induce shear cracking. The Vectran fiber cementitious composites is more than 230% improvement in strength compared with ordinary RC members. The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shear strength is that the ultra-high strength Vectran fiber cementitious composit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lexible Vectran fibers that prevents the increase of crack width due to the dispersion and adhesion of fibers in the cementitious matrix. In addition, it has similar shear and restraint forces of the shear stirrup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bending section is dominated by the shear section. It will have effect on shear stirrup strength when the shear stirrup is minimized and It will be effective to reduce the rebar amount when it is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in the construction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