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 준비 시작 시기에 따른 학업성취 및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문찬주(Moon Chan ju),찬주(Yang Chan ju),나윤진(Na Yoon jin),남인혜(Nam In hye),정동욱(Jeong Dong u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취업 준비 시작 시기별로 학업성취 및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 준비 시작 시기를 1학년, 2학년, 3학년 이상 시점으로 구분하여, 취업 준비 시작 시기에 따라 졸업 평점과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다중처치 상황에서 표본선택편의를 보정할 수 있는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준비 시작 시기별 집단 간 개인특성이나 학교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3학년 이상 집단에 비해 2학년 시작 집단의 졸업 평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3학년 이상 집단에 비해 1학년 시작 집단과 2학년 시작 집단은 취업확률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임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취업 준비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은 아니며, 이른 취업 준비로 인해 우려했던 바와 같이 학업에 소홀해지는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노동시장 진입 및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아,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교육 측면에서 시기에 맞는 구체적인 진로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노동시장 측면에서는 채용 과정에서 결과 지향적 요소 외에 다양한 과정적 요인의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이른 취업 준비로 인한 과도한 경쟁과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국가 수준에서 구직자의 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실무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timing of starting job prepar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bor market outcome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015 graduates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nd divided students into three groups: those who started job preparation while in the first grade(first grade group), in the second grade(second grade group), and in the third grade(third grade group). Ordinary least square method were used for the analysi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hourly wage, and logistic regression for job acquisition. Also, generalized propensity score(GPS) method was conducted for rigid estim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among three groups. Second, second grade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hird grade group. Third, first and second grade group shows significantly lower possibilities of job acquisi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urly wage. Thus, concerns of early job-preparing students being idle in their studies turned out to be untru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tarting job preparation early do not necessarily result in better labor market outcomes. Based on these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imely programs for students’ career planning, and that companies should consider more process-focesed factors than outcome-focused factors when in the hiring process. To reduce unnecessary cost of job preparation, government should operate qualifications for better signaling employee’s productivity.

      •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찬주(Moon, Chan Ju),한지혜(Han, Jihye),정동욱(Jeong, Dong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졸자의 교육-직무 불일치가 노동시장 성과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6년 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교육-직무 불일치 중, 수직적 불일치 양상에 주목하여 적정 수준, 과소교육, 과다교육의 세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불일치 양상의 임금 효과, 직무 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보다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표본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역확률가중치(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방식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직무 불일치는 약 35%정도였으며, 특히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둘째, 과소교육불일치의 경우, 임금효과가 부적이었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임금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경우, 과소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낮고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과다교육 불일치는 직무만족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전공일치도가 높을수록 과다교육 불일치와 과소교육 불일치 모두에서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직무 불일치 중, 과소교육 불일치의 경우 성과와 적응 측면에서 모두 부적인 효과가, 과다교육 불일치의 경우, 생산성 제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교육-직무 수준 불일치의 생산성 제고와 적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대책으로 교육-직무 수준의 수평적 일치, 즉 전공일치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수요에 반응하여, 전공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 수준 및 역량 제고와 진로적성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에 특화된 직무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구성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진입 인력의 생산성 증대로 이어지고,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ducation-job mismatch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o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6 survey data from the Graduate School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classified education-job inconsistencies into the three groups which are appropriate levels, under-education, and over-education. Among these mismatches, this study focused on vertical inconsistency and its effects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get a more precise estimation, we tried to solve the selection bias problem by using the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by the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job mismatch was about 35%. Especially, the case of over-education mismatch has been increasing. Second, in the case of under-education mismatch, the wage effect was negative, and over-education mismatch did not have any effect on wages. Third,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nd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turnover intention, and over-education discrepancy showed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turnover intention. Fourth, as the degre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higher, more productive effect was shown in both over- and in-education discrepanc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and consider the students choice of careers with a high degree of concordance. In addition, the company-level job-oriented training program should be firmly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 KCI등재

        대학 진로체험학점제의 효과 분석

        이민욱(Lee Min Wook),문찬주(Moon Chan Ju),김정현(Kim Jung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진로체험학점제의 확대를 위해 이 제도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체험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5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참여학생 과 미참여학생 그룹 간의 진로체험학점제 경험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엄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표본선택편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향점수 매칭을 실시한 후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체험학점제에 참여한 학생의 진로결정자기 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체험학점제가 진로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음을 드러낸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더불어 진로체험학점제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프로젝트를 구 성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졸업을 앞둔 고학년 학생들이 주로 학점제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이 설정한 진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탐색하고 싶은 진로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스 스로 구성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볼수 있다. 진로체험학점제를 통한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 상승을 부르나 전공만족도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진로 체험학점제를 확대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to expand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in universities. To do this, we surveyed students of 5 universities running this system and conduct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regression analysis to minimize sample selection bias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ion more strictly to this credit system betwee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other group who did no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scale, school satisfact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are higher than of non-participating students in this program. This result wa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system in a career educational aspect. In addi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leads to more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at students voluntarily construct a project, and relatively high-grade students who are about to be graduated tend to participate in the credit system. It also provi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organize their own career-related program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career they have set up or want to explore. Inducement of students motivation through the credit system led to an increase in satisfaction in school life but did not lead to major satisfaction. Base on this, we proposed some plans to expand the career experience credit system and suggested a follow-up study.

      • KCI등재

        한국 개발NGO의 교육개발협력 사업성과 분석

        박환보(Hwan bo Park),조혜승(Hye seung Cho),유혜영(Hye young Yu),문찬주(Chan ju Moon),구양흔(Yang heun Goo),우승희(Seung heui Woo)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한국의 개발NGO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수행한 교육개발협력 사업의 성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개발NGO인 굿네이버스가 2012년부터 5년 동안 아프리카 지역에서 실시한 희망학교지원사업의 성과를 ‘학교의 교육여건, 재학생의 교육경험, 학교의 교육성과’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 7개 국가의 희망학교와 동일 지역에 위치한 비희망학교 총 45개 초등학교의 4학년과 6학년 재학생 총 2,756명(25개 희망학교 재학생 1,489명, 20개 비희망학교 재학생 1,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희망학교 재학생들의 학교시설 만족도가 비희망학교 재학생에 비해서 높았으며, 특히 선택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희망학교 재학생은 학교시설 이외에도 교육프로그램과 교사의 생활지도 영역에 대해 비희망학교 재학생에 비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성과의 측면에서도 학교지원사업은 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프리카 지역에서 학교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으로 교육성과를 고려한 학교시설 개선 사업,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된 시설사업, 교사지원의 중요성, 학부모 참여를 고려한 지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by Korean development NGOs in Africa.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the Good Neighbors Hope School Project, a total of 2,756 students (1,489 students in 25 hope-schools and 1,267 students in 20 non-hope schools) from 45 schools in 7 African countries were surveyed.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we have developed research framework and survey instrument that include three aspec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the education experience of the current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ducational condition of the school improved in all aspects and the educational condi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in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o the school facilities, Hope School students were relatively positive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ers life guidance areas compared to the non-hope school students. Finally, in terms of educational outcomes, the school facility support project has shown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support projects in Africa were discussed as follow: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facilities project considering the educational achievement, the facility project connect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the importance of teacher support, and the integrated support considering parents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