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 준비 시작 시기에 따른 학업성취 및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문찬주(Moon Chan ju),양찬주(Yang Chan ju),나윤진(Na Yoon jin),남인혜(Nam In hye),정동욱(Jeong Dong u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취업 준비 시작 시기별로 학업성취 및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의 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업 준비 시작 시기를 1학년, 2학년, 3학년 이상 시점으로 구분하여, 취업 준비 시작 시기에 따라 졸업 평점과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다중처치 상황에서 표본선택편의를 보정할 수 있는 일반화경향점수(Generalized propensity score)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 준비 시작 시기별 집단 간 개인특성이나 학교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3학년 이상 집단에 비해 2학년 시작 집단의 졸업 평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3학년 이상 집단에 비해 1학년 시작 집단과 2학년 시작 집단은 취업확률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임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취업 준비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불리한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은 아니며, 이른 취업 준비로 인해 우려했던 바와 같이 학업에 소홀해지는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노동시장 진입 및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아,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교육 측면에서 시기에 맞는 구체적인 진로 및 취업 지원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노동시장 측면에서는 채용 과정에서 결과 지향적 요소 외에 다양한 과정적 요인의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노동시장에서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이른 취업 준비로 인한 과도한 경쟁과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국가 수준에서 구직자의 생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실무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timing of starting job prepar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abor market outcome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015 graduates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nd divided students into three groups: those who started job preparation while in the first grade(first grade group), in the second grade(second grade group), and in the third grade(third grade group). Ordinary least square method were used for the analysi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hourly wage, and logistic regression for job acquisition. Also, generalized propensity score(GPS) method was conducted for rigid estimat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among three groups. Second, second grade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hird grade group. Third, first and second grade group shows significantly lower possibilities of job acquisi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urly wage. Thus, concerns of early job-preparing students being idle in their studies turned out to be untru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starting job preparation early do not necessarily result in better labor market outcomes. Based on these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imely programs for students’ career planning, and that companies should consider more process-focesed factors than outcome-focused factors when in the hiring process. To reduce unnecessary cost of job preparation, government should operate qualifications for better signaling employee’s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