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예측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

        이찬희 ( Chan Hee Lee ),장우진 ( Woo Jin Chang ),정현희 ( Hyun Hee Chung ),김현정 ( Hyun Jung Kim ),박상현 ( Sang Hyun Park ),문준성 ( Jun Sung Moon ),이지은 ( Ji Eun Lee ),윤지성 ( Ji Sung Yoon ),천경아 ( Kyung Ah Chun ),원규장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당뇨병의 선별 검사로서 경구당부하검사는 재현성이 낮으면서 시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 좀 더 쉬운 검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이 한국 성인의 당뇨병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건강 증진 센터를 방문한 환자 2,045명(남자 1,276명, 평균 연령 47.8±9.0세)를 대상으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 다른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4년 후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저시점 검사에서 AST, ALT, 총 빌리루빈치가 높은 환자와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결과: 4년 후 새롭게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2,045명 중 32명(1.6%)이었다. 당뇨 발생군은 비발생군에 비해 나이가 많았으며 혈압, 공복 혈장 혈당, 당화혈색소,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GGT, LDH가 높았다(P<0.05). 다중 회귀분석에서 공복 혈장 혈당(OR 1.124)과 당화혈색소(OR 4.794)는 당뇨병의 발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교호작용에 대한 OR은 1 이상으로, 두 가지의 조합은 당뇨병의 발병을 예측하는데 있어 상승 작용을 나타내었다. 당뇨병 예측을 위한 두 인자의 ROC curve에서 당화혈색소와 공복 혈장 혈당의 기준치는 각각 5.35% (AUC=0.944), 102.5 mg/dL (AUC=0.930)였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5.35% 이상의 당화혈색소와 102.5 mg/dL 이상의 공복 혈장 혈당을 가진 경우에 각각의 경우보다 당뇨병의 발생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한국 성인에서 제2형 당뇨병의 예측 인자로서 공복 혈장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조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for detection of diabetes is difficult to perform in clinical setting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more practical detection test, combined fasting plasma glucose (FPG)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as a predictor of diabetes mellitus (DM) in a Korean sample. Methods: We examined 2,045 (M=1,276, mean age=47.8±9.0 yrs) medical check-up program participants between January 2002 to December 2003. FPG, HbA1c and a number of other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four after years after initial screening. Patients who originally presented with diabetes were ex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newly-diagnosed DM patients and non-diabetic patients were compared. Results: The incidence of newly diagnosed diabetes was 1.6% (32/2,045) after four years of follow up. The subjects in the DM group were older, had higher levels of SBP, DBP, FPG, HbA1c,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GGT and LDH (P<0.05).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PG (odds ratio [OR] 1.124) and HbA1c (OR 4.794)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set of diabetes (P<0.05). The interaction parameter between FPG and HbA1c was more than 1.0, indicating that the two effects are synergistic. The predictive cut-off values of HbA1c and FPG were 5.35% (area under curve [AUC]=0.944) and 102.5 mg/dL (AUC=0.93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HbA1c above 5.35% and FPG above 102.5 mg/dL predicted the onset of diabetes in a Korean sam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FPG and HbA1c may be useful for predicting progression to type 2 diabetes in east Asians. (Korean Diabetes J 33:306-314, 2009)

      •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문준성,원규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5 No.1

        Liver abscess in children is rare in developed countries; the incidence is 25 per 100,000 admissions in USA. Common complications are pleural effusion, empyema, pneumonitis, hepatopleural or hepatobronchial fistula, intrapentoneal or intrapericardiac rupture, septic shock, cerebral amebiasis, etc. These complications may lead to death if the management is delayed. However, recent management results in a mortality of less than 15%. We report a case of liver abscess in a child. He manifested with fever and abdominal pain in the right upper quadrant. On computerized tomography scans, multiple cystic lesions were seen in both lobes of the liver and were 5 to 55 mm in size. In laboratory findings, neutrophilic leukocytosis, peripheral eosinophila, elevated values of ESR, C-reactive protein, and elevated serum AST, ALT, ALP and GGT were detected. Furthermore, we determmed the organisms in the blood culture and serum. Blood culture was positive for Streptococcus spp., and amebic indirect hemagglutination antibody titer was increased to 1:512.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 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입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 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추성 요붕증이 동반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김진호,문준성,문선중,이지은,최재원,은미정,천경아,조인호,윤지성,원규장,이경희 신덕섭,이형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2 No.2

        Central diabetes insipidus (DI) is a syndrome characterized by thirst, polydipsia and polyuria.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s one of the etiologies of DI. Recently we experienced a central DI associated with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The 44 years 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right hip pain polydipsia and polyuria. We carried out water deprivation test. After vasopressin injection, urine osmotic pressure was increased form 109mOsmol/Kg to 327mOsmol/Kg (300%). Brain MRI showed a thickened pituitary stalk and at hot bone CT.CT guided biopsy revealed abnormal histiocytes proliferation and abundant lymphocytes, The final diagnosis was central DI associated with systemic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vading hip bone, L-spine and pituitary stalk. Desmopressin and etoposide chemotherapy were performed to the pa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