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교수창의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문병환,이상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ing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The study subjects were 305 teachers located in City G.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of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using SPSS 25.0. First, the teachers’ autonomy and play support competence and teaching creativ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when teachers’ autonomy affected play support competence, with teaching creativity as a quasi-moderator variable, play support beliefs, execution, and assessment, which are sub-factors of play support competence, act as quasi-moderator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ducational program needs be develop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such teachers to demonstrate teaching creativity so that early childhood play can be expanded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stable and balanced autonomy of such teachers. In addi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lay support competence differs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of teaching creativit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ncrease teaching crea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유아교사 30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에 기초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 교수창의성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자율성이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칠 때 교수창의성이 유사조절변수로 작용하였으며, 놀이지원역량의 하위요인 놀이지원신념, 놀이지원실행, 놀이지원평가에서도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안정적이고 균형을 갖춘 자율성에 기초하여 유아의 놀이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도록 교수창의성 발휘를 위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수창의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놀이지원역량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교수창의성을 높여야 한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비교

        문병환,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necessity of male teachers that affects professional status as male teacher’s profession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y examining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bout male teache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144 in-service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160 pre-service teachers in the graduating classes of young child education at the college located in G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t-test. In the results, both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mal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recognized male teacher’s social status better than pre-service teachers did. Also, expectation awareness on male teacher’s performance of his duty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남자유아교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위상과 동료교사들의 수용에 대한 이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전문대학 이상 유아교육과 졸업반의 예비유아교사 160명과 현직유아교사 144명으로 총 304명이었다.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배부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빈도, 백분율, x^2-검증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남자 유아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으로서의 남자유아교사에는 예비․현직유아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남자유아교사 직무 수행에 대한 기대 인식차이는 남자유아교사가 돌발적인 사고 대처 및 현장견학시 유아 통솔에 능숙하고 맡은 업무에 창의력 발휘와 동료교사와 원만한 관계 유지한다는 인식이 현직유아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탐색 미술활동이 심미적 태도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고은별,홍혜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 aesthetic attitude program based on creative crafts and appreciation activity on aesthetic attitud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81 students in two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universities (experimental group 42, control group 39) located at G-cit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he first study, the aesthetic attitude program based on creative crafts and appreciation 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esthetic factor in shaping attitudes and contents then representation, aesthetics, art history, art criticism of the pre-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 aesthetic attitude program based on creative crafts and appreciation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ependence, openness, flexibility, curious and creative personality contents then elements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aesthetic attitude program based on creative crafts and appreciation activity can be used as teaching methods for aesthetic attitud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e-kindergarten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탐색 미술활동이 심미적 태도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과 3년제 2개 대학교 81명(실험집단 42, 비교집단 39) 이었으며,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탐색활동 진행은 미술활동 전과 활동 중에 우리 주변의 자연속, 예술속, 일상속 사람에게서 쉽게 지나쳤던 것을 보다 자세히 듣고, 보고, 생각하고, 주의 깊게 탐색하게 하여 심미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탐색 미술활동이 심미적 태도와 하위요소인 조형표현, 미학, 미술사, 미술비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탐색 미술활동이 창의인성과 하위요소인 독자성, 개방성, 집요성, 호기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심미적으로 재발견 된 자연과 사물, 사람, 그리고 미술 재료감에서 열린 감각과 의지를 가지고 느끼고 관찰하며, 다양한 세계와 자신의 관계를 표현하는 심미적 탐색 미술활동을 통하여 미술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심미적 태도와 창의인성 발달 증진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탐구중심 유아수학 활동이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문병환,조은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탐구중심 유아수학활동이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2학급의 총 40명(실험집단 20, 통제집단 20) 이었으며, 예비실험과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후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탐구중심 유아수학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누리과정 주제에 따른 수학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탐구중심 유아수학활동이 수학적 성향과 하위요소인 융통성, 지속성, 자신감, 자기점검, 흥미성, 적용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탐구중심 유아수학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하위요소인 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에게 수학교육 활동을 실시할시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활동이 되도록 교사가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함을 시사하며 특히 다양한 매체를 통한 탐구중심 수학활동은 유아들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문제해결능력 발달 향상을 위한 교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 based mathematical activity for young children o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student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20 in the comparison group) in two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in H day 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procedure, and post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quiry based mathemat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carried out, and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mathemat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opics of Nuri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inquiry‐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be effective on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ub‐factors such as flexibility, self‐confidence, persistence, self‐check, applicability, and interest. Second, inquiry‐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a sub-factor, algebr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systematically guide inquiry‐based mathematical education activities to young children when conducting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for them, and especially suggest that inquiry‐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various media can be utilized as a teaching method for development of an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문병환,김세루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15개소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53명과 그들의 아버지 25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 화합 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통제 지향성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버지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연구

        문병환,홍지명,김희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라 창의적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78명(남 98명, 여 8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월령은 74.65개월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인기도와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 그리고 하위 요소인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사회적 리더십 및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인기도가 높은 상집단이 중․하집단보다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그리고 사회적 리더십과 하위요소인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또래 인기도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 자발적인 자기관리, 그리고 대인관계 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제한설정 방식이 유아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김세루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imit setting method and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self-esteem, and to find out how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imit setting method affects the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6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96 children each working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G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imit setting method was found to have a correlation with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nd to have an effect on sub- factors.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imit setting method was found to have a correlation with children's self-esteem, and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ub-facto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eacher education measures necessary to promote effective limit setting methods for teachers to control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and help develop self-esteem.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제한설정 방식과 유아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밝혀보고 유아교사의 제한설정 방식이 유아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와 유아 각 19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제한설정 방식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유아교사 제한설정 방식 하위요인인 강압적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의 자기중심성, 산만/행동과다,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제한설정 방식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유아교사 제한설정 방식 하위요인인 허용적방식, 논리적방식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조절하고 자아존중감 발달을 돕기 위한 교사의 효과적인 제한설정 방식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교사교육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유아교사 자율성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교수창의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문병환,이상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율성이 교수창의성 정도에 따라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칠 때 그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교수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G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305명이며, 유아교육기관 23개소에 직접방문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317부 중 최종 305부가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자율성은 종속변인 놀이지원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955, p<.001). 교수창의성은 종속변인 놀이지원역량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954, p<.001). 유아교사의 자율성의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유아교육기관 사무, 유아교육기관 경영참여, 교직생활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교수창의성은 조절변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성의 연구 및 연수활동은 놀이지원역량에 영향을 미치나 교수창의성이 조절변수 역할은 하지않았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환경소양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환경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문병환,김세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6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using frequency, percentage, moment-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l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mediated when environmen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susceptibility, and environment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partly. Confirm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value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the environ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 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문병환,조은정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유아교사 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G시, M시 유치원 교사 17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 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영향 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의 변인에 따라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질적 향상과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able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175 teacher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s in G Metropolitan City and M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variable and empowerment and between individual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individual variable is reliable predictors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