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도가미학적 연구

        마승재 ( Ma Seu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동양 예술은 도(道)의 표현을 이상적인 것으로 여기며 사유의 기저에는 자연미를 중시하는 도가적 사유가 깊이 담겨 있다. 이런 사유는 노자가 『노자(老子)』 45장에서 말한 ‘큰 기교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大巧若拙]’는 철학, 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술가는 도를 깨닫고 자연을 체득해야 비로소 높은 경지에 오른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으며, 이는 노자와 장자의 도를 통해 미적인 형상을 추구하는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교약졸(大巧若拙)이란 인위적 기교가 아닌 자연을 본받아 이루어지는 최고의 단계에 해당한다. 그것은 자연을 본받는 기교이나 그것을 하고자 하는 의식마저 소멸되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기교이다. 또한 자신의 기법을 충분히 익히고 나면 다시 생경함으로 돌아가는 상태로 창작자의 예술적 개성이 발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교약졸은 서투른 듯하나 그 의미가 깊어 그윽하고, 질박하고 자연스러운 미학 사조를 설명하는데 한 범주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교약졸의 미의식이 시대사조를 뛰어넘어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예술론임을 제시하며, 하나의 미학적 키워드라는 점에서 대교약졸의 철학적·미학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대교약졸의 의미를 노자와 장자의 사유에 초점을 맞추어 노자의 도법자연(道法自然) 사상과 대교약졸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대교(大巧)의 속성을 무위자연성(無爲自然性)에 비추어 설명하였다. 또 대교약졸에서의 구조와 그 단계를 살피고 졸(拙)의 의미를 유희재(劉熙載)가 말한 유인복천(由人復天)적 사유를 통해 논하고자 한다. 노자와 장자가 말한 아름다움은 도의 본질로서 저절로 나타나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며, 대교약졸이라는 용어에서 말하는 큰 기교는 도를 체득하여 그 형상이 서투른 듯하나 자연스럽게 발휘된 형태이다. 대교약졸이 노자와 장자가 언급한 아름다움의 전부를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나 예술 창작의 기교적 측면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용어임을 제시하였다. Eastern Art regards the expression of Tao as an ideal act deeply based on the thought that Taoist puts emphasis on the beauty of nature. This thought is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Laozi said in Chapter 45: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rtists can finally create lofty artworks by realizing Tao and directly experiencing nature, which is closely relevant to Laozi and Zhuangzi’s pursuit of aesthetic forms through Tao. The phrase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implies the highest state realized by emulating nature rather than following artificial techniques. It is the technique of emulating nature, but it appears naturally when the consciousness to carry it out disappears. In addition, a creator’s artistic talent is revealed when the creator returns to unfamiliarity after mastering his techniques.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ll be able to provide a category in explaining an aesthetic thought that seems clumsy but is profound, simple, and natural with a deep meaning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aesthetic sense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is a theory of art that can be used widely beyond the ideas and thoughts of the times and seeks to review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meaning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s an aesthetic keyword.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th a focus on the thought of Laozi and Zhuangzi,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ozi’s Nature of Taoist Principles and the phrase, and explained the attributes of ‘Great Technique’ in light of ‘Naturalness of Inaction’. Also,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stages of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nd discuss the meaning of ‘Clumsiness’ through Liu Xizai’s reasoning of ‘You ren fu tian’. The beauty by Laozi and Zhuangzi is nature as it is that appears naturally as the essence of Tao,and ‘Great Technique’ in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are forms revealed naturally but with a clumsy shape by directly experiencing Tao.Although ‘Great Technique Seems to Be Clumsy’ will not be able to express the entire beauty said by Laozi and Zhuangzi, this paper suggested that it is a sufficient phrase to explain the technical aspect of artistic creation.

      • KCI등재

        장자 사상을 통해 본 장욱진 회화 연구 - 안명론(安命論)과 소요유(逍遙遊)를 중심으로

        마승재 ( Ma Seung Ja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8 No.-

        장욱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이중섭, 박수근과 더불어 한국적인 정서를 구현한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예술의 순수한 본질을 추구했으며, 단순하고 간결한 조형세계는 생전에 그가 이야기한 ‘나는 심플하다’라는 언행을 반영한다. 자유롭고 독창적인 표현을 바탕으로 하는 그의 회화는 자연을 따르고자 하는 사유와 소재들로 구성된다. 본고는 이러한 장욱진 회화에서 장자의 안명론(安命論)과 소요유(逍遙遊)정신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장자는 삶과 죽음, 실체와 현상, 속세와 열반이 하나의 존재이며, 이러한 죽음과 희로애락은 대자연의 이치에 따른 결과로서 운명이라고 말한다. 명(命)에 대한 철저한 자각과 순응의 태도는 외물(外物)의 구속에서 벗어나 불사불생(不死不生)의 경지에서 궁극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장욱진은 작품에 소재에 있어서도 구애받지 않았으며, 없으면 없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그린다고 말하였다. 또한 본인의 사는 방식에 있어서도 순리대로 사는 삶을 강조하였다.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초탈하고 관조하는 모습과 그 사유를 회화를 통하여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삶과 죽음을 구분 짓지 않고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는 장자의 명(命)에 대한 사유와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자족과 자유, 물화의 경지를 강조한 『장자』의 소요유 정신은 장욱진 회화의 예술정신과 일치한다. 『장자』에서 말하는 초월은 정신적으로 가장 높은 단계로 자기와 사물의 대립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널리 알려진 ‘나비가 된 장자’, ‘물고기의 즐거움’ 등 ‘주체와 객체의 인식-체험 방식의 전환’, 즉 물아양망(物我兩忘)의 경지이다. 장자 특유의 우언(寓言)으로 이루어진 ‘소요유’는 시간과 공간, 현실을 초월하여 자유와 해방의 느낌으로 가득 찬 장욱진 회화와 상통한다. 또한 장욱진 회화의 주된 소재인 까치와 나무는 화가 자신을 나타내는데, 화가가 자신을 자연에 투사시킴으로써 주체의 심리를 대상에 이입하였다는 점에서 장자의 물화(物化)의 경지와 연관성을 찾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장욱진의 사상과 창작태도, 그리고 이를 통해 드러난 회화를 장자의 사유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장자의 안명론과 소요유의 경지는 자연을 따르는 것을 강조하기에 이러한 사유는 장욱진이 표현하고자 했던 이상향과 예술정신에 맞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hang Ucchin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rtist who embodies Korean sentiment, along with Lee Jungseop and Park Sookeun,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He pursued the pure essence of art, and his simple and concise formative world reflects his saying “I am simple” as he said during his lifetime. His paintings based on free and original expression are composed of thoughts and materials to follow nature. This paper examined how Anminglun and Xiaoyaoyou spirits of Zhuangzi are shown in Chang Ucchin’s paintings. Zhuangzi says that life and death, reality and phenomenon, and world and nirvana are one being, and that such death and joy and sadness are fate as a result of great nature. The thorough self-awareness and conformity to Ming are that ultimate freedom can be obtained from the state of immortality, free from the restraint of the externals. Chang Ucchin said that he was not limited in the subject matter of artworks and that he would draw as much as there was without. In addition, he emphasized living in accordance with reason in his lifestyle. That he transcended and contemplated in his attitude toward life and death and he expressed such thoughts through paintings can draw a similarity with Zhuangzi's thinking toward Ming, in which he conformed to the given fat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life and death. The Xiaoyaoyou spirit of “Zhuangzi”, emphasizing self-sufficiency, freedom, and materialization, is consistent with the art spirit of Chang Ucchin’s paintings. The transcendence in “Zhuangzi” is the highest level of spirit, which is to extinguish the conflict between self and objects. This is the ‘recognition of the subject and object―change of the way of experiencing’ such as the well-known “Zhuangzi Who Became a Butterfly” and the “Pleasure of Fish”, that is, ‘Mulayangmang.’ ‘Xiaoyaoyou’, which consists of Zhuangzi's unique allegoric tales, shares commonality with Chang Ucchin’s paintings that are filled with the feelings of freedom and liberation transcending time, space and reality. Also, Magpie and Tree, the main subject matters of Chang Ucchin’s paintings, represents the artist himself; in which the connection to Zhuangzi’s state of wuhua(materialization) can be found as the artist brought the subject’s psychology into the object by projecting himself into nature. This paper examined the thoughts and creative attitude of Chang Ucchin and the paintings expressed accordingly through Zhuangzi's thinking. As Zhuangzi’s state of Anminglun and Xiaoyaoyou emphasize following the law of nature, it can be confirmed that such reason is in line with the utopia and artistic spirit that Chang Ucchin sought to express.

      • KCI등재

        장욱진 회화에 나타난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허정(虛靜)을 중심으로

        마승재 ( Ma Seung Ja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1 No.-

        도상(圖像)이란 조형예술에 나타난 상징적 요소로 도상을 통하여 관람자는 작품에 드러나는 여러 요소들과 관념, 배경 등을 통찰하고 작품의 내재적, 심미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회화에 나타난 도상을 읽어내는 작업은 작품에서 표현된 의미를 폭넓게 분석하고, 작품의 올바른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본고는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도상을 도가(道家)의 허정(虛靜)의 개념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도가적 도상으로는 와유(臥遊)하는 모습, 도인의 형상 등이 있으며, 작품 속에 표현되는 인물들은 기거(箕踞)의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누워 있는 침와(寢臥)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외부의 속박과 간섭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정신으로부터 표현되는 모습이며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 나타난 ‘허정(虛靜)’의 상태이다. 도가에서 말하는 허정의 상태는 어떠한 제한이나 간섭에서 벗어난 자유롭고 평정을 유지하는 관조의 상태이다. 즉,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와유, 기거, 침와의 모습은 허정과 상통하는 모티프(Motiv)라고 볼 수 있다. 심신을 자유로운 상태로 풀어 놓는 와유, 기거, 침와의 모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예법 또는 법도에서 벗어난 몸가짐으로 정신을 무한의 세계로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얽매임을 제거하고 마음의 고요함을 지키고 있는 그대로의 자유로운 상태라는 점에서 도가의 허정과 상관성을 갖는다. 예술 창작의 과정은 자유로운 상상과 연상을 통해 심미와 창작이 이루어지며 작가가 현실을 초월하여 자유로운 심미경계에 도달할 때, 비로소 자신의 창작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허정의 철학적, 미학적 논의를 고찰하고, 허정의 개념이 장욱진 회화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철학적 고찰을 통해 회화를 바라보는 관점은 의미와 표현들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Icon is a symbolic element in formative art, and through Icon, viewers can gain insights into various elements, ideas, and backgrounds in the work and grasp its intrinsic and aesthetic meaning. Thus, reading the icon in a painting is significant in that viewers can analyze the meaning expressed in the work broadly and identify its correct meaning.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icons appearing repeatedly in Chang Ucchin’s paintings based on Taoist’s concept of Xu-Jing. Taoist icons repeatedly reproduced in Chang Ucchin’s paintings include wòyóu (lying wandering) and the figure of ascetic, and th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work are taking the position of jījù (sitting down with legs wide apart) or qǐnwò (lying down comfortably). What they have in common are the expression of a free spirit from external restriction and interference and are the state of “Xu-Jing” in “Laozi” and “Zhuangzi.” The state of Xu-Jing in Taoism is a state of meditative contemplation and composure that is free from any restrictions or interference. In other words, wòyóu, jījù, and qǐnwò that appear repeatedly in Chang Ucchin’s paintings are seen as a motif that is in common with Xu-Jing. Jījù and qǐnwò, which release the mind and body to a free state, enable the expansion of the mind into an infinite world with a body free from manners or statutes, regardless of constraints in time and place. This is correlated with Taoist’s Xu-Jing in that it is a free state as it is, which removes the restraint and keeps the tranquility of the mind. In artistic creation, aesthetics and creation are achieved through free imagination and association, and an artist can demonstrate his or her creativity by reaching a free aesthetic boundary beyond reality. This paper reviewed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discussions of Xu-Jing and confirmed how the concept of Xu-Jing was embodied in Chang Ucchin’s paintings. Likewise, examining a painting through philosophical contemplation can provide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meanings and expressions in various ways.

      • KCI등재

        김환기 회화에 나타난 도가(道家)의 자연성 연구

        마승재 ( Ma Seung-ja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0 No.71

        자연(自然)은 도가(道家)의 가장 핵심적인 사유이며, 도가미학에서 예술은 자연의 조화와 원리를 체득한 후에 대상의 형상 너머의 경지로서의 본질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自然)을 인식하고 체득하는 것이다. 자연을 인식하는 것이란 단순히 자연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자연성을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 내재화(內在化)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김환기 회화에 나타난 도가의 자연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자연은 김환기 회화의 일관된 기조로 회화에는 산, 강, 구름, 달, 새, 나무 등의 자연의 풍경이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회화는 소재적 측면에서 자연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현방식에 있어서도 대상(자연)의 외형과 그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구분하지 않는 주객일치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후기에는 전면점화(全面點畵)의 방식으로 자연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이 김환기 회화는 자연에서 출발하여 자연을 담고, 자연의 본질을 내재화하여 추상적 화면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도가의 자연과 상관성을 갖는다. 본고에서는 도가의 자연성을 밝히고, 자연의 개념이 김환기 회화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철학적 개념을 통하여 회화를 분석하는 과정은 철학과 예술의 통합적 사고를 통해 폭넓은 미학적 연구로 이어지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동시에 이는 김환기의 예술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 심층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Nature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aoist, and in Taoist aesthetics, art aims to learn the harmony and principles of nature and express its essential image as a state beyond the shape of the object. What must be preceded to reach this level is to recognize and acquire nature. Recognizing nature is not just looking at nature, b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object and internalizing it as i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aoist naturalness in Kim Whanki’s paintings. Nature is the consistent basis of Kim Whanki’s paintings, where natural landscapes such as mountains, rivers, clouds, moons, birds, and trees repeatedly appear. His paintings not only take nature as a starting point in terms of material, but also approaches it from the perspective of uniting the subject (nature) and not separating its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terms of expression. Thus, Kim Whanki’s later paintings reveal naturalness in the all-over dot painting method. Kim Whanki’s paintings have a correlation with the Taoist nature in that it starts from nature, contains nature, internalizes its essence, and expresses it on an abstract screen. This paper revealed the Taoist nature and how the concept of nature is demonstrated in Kim Whanki’s paintings. The process of analyzing paintings through philosophical concepts can help lead to a wide range of aesthetic studies by integrating philosophy and art. At the same time, this will secure an in-depth perspective on Kim Whanki’s view of the art world.

      • 상수도시설 콘크리트 수조구조물에서의 염화이온 침투저항 특성분석

        곽규성,마승재,최성민,오상근,Kwak, Kyu-Sung,Ma, Seung-Jae,Choi, Sung-Min,Oh, Sang-Keu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5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for waterproofing and corrosion-resistant technique application on concrete water tank used in water supply. Relevant research materials and regulation were collected, reviewing for the case studies of sample structures aged over 20 years, and experimental studies on chloride conduction for the 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penetration properties of water repellency of liquid type materials. The result is that the concrete water tank in the water supply is needed for waterproofing and corrosion-resistant material coating to maintain long term durability due to the constant environmentally induced degradation deterioration often caused by chloride attack.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관련 문헌 자료 및 규정에 대한 고찰과, 20년 이상 된 수조 구조물 현장의 사례 조사를 통해 수밀 콘크리트와 침투방지재의 염소이온 투과에 대한 실험적 평가 등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고. 방수층 및 부식저항기술을 음용수조 구조물(상수조 등)의 각 시설물별 방수 방식에 대한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여야 할 필요성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는 수조 구조물들이 방수 및 침투방지재가 확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언 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의 콘크리트 침식을 발생시키는 요소와 원인들에서부터 장기적인 내구성을 화보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