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冷齋夜話』의 국내 수용과 활용 양상

        류화정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1 No.-

        Naengjeyahwa (『冷齋夜話』 : abbreviation, Yahwa 『夜話』) by Hyehong, was the first text that had ever contained Hwang Jeong-gyeon(黃庭堅)’s theory of rebirth or adaptation(換骨奪胎). After Yi In-no (李仁老) quoted Yahwa(『夜話』) in his work Pahanjip(『破閑集』), Hwang Jeong-gyeon’s theory came to be known steadily in the Goryeo literary circle which had been entirely influenced by the Sosik(蘇軾) style. Joseon literary circle naturally accepted the Jangsi poetry school (江西詩派) large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llection of stories about poetry(詩話集) of the Song-Yuan (宋 元) period including Yahwa. In addition, Yahwa became the origin of the critical terms frequently employed, while some critical terms and outstanding phrases in it were mentioned in other collections of stories about poetry at the time. These terms were also found to have been us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lthough Yahwa, in this regard, deserves to be further examined for the study of the late-Goryeo and early-Joseon literary criticism, this work has never been yet explored in earnest. In this paper, An Annotation to Collections of Selected Tang-Yuan Writers’ Masterpieces(『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增註』:abbriviation An Annotation) was chosen as auxiliary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aspects of Yahwa's use. While 22 collections were selected in this work, and Yahwa was cited six times. The patterns of the citations in this book range from basic to advanced. While reviewing the texts of this An Annotation (『增註』) and Yahwa, a need for the study of the version was raised. In addition, An Annotation needs to be studied with Sirimgwanggi(『詩林廣記』) compiled by Chae Jeong-son (蔡正孫). At first, An Annotation was used as an auxiliary material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the academic world of Yahwa. But various research tasks have float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Hopefuly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interest in An Annotation and Yahwa, as well as follow-up researches. 慧洪의 『冷齋夜話』(이하, 『야화』)는 黃庭堅의 換骨奪胎 이론이 처음으로 실린 텍스트다. 李仁老가 『破閑集』에서 『야화』를 인용하면서부터 蘇軾一色이었던 고려의 문단에 황정견의 이론이 서서히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조선에서 江西詩派를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것도 『야화』를 비롯한 宋ㆍ元代 시화집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그 외에도 『야화』는 다른 시화집에서 用事와 琢句 등을 언급하면서 구사했던 비평적 표현의 발원지가 되기도 했는데, 그것이 고려와 조선에서도 활용되는 모습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이렇듯 여말선초 문학비평에서 『야화』는 검토해 볼 가치가 있음에도 아직 본격적으로 다룬 적이 없다. 조선 초기에 『야화』가 활용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본고에서는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이하, 『연주시격』) 增註를 분석해보았다. 증주에 동원된 송ㆍ원대 시화집은 총 22종인데, 『야화』는 여섯 차례나 인용되었다. 詩格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속에서 증주는 反切音이나 字句의 풀이에서부터 『야화』를 인용한 문학 이론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증주와 『야화』의 원문을 검토하면서 明代를 기준으로 판본이 선명하게 양분되는 것과 증주의 독특한 인용 방식을 발견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蔡正孫의 『詩林廣記』와 함께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애초에 『야화』를 학계에 알리는 목적으로 『연주시격』 증주를 보조자료로 제시했지만,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과제들이 쏟아졌다. 고려 중기에 『야화』가 황정견의 이론을 알리고, 수사학적 문학비평이 발전하는 원동력이 되었듯이 본고에서도 『야화』를 통해 국내에 수용된 송ㆍ원대 시화집 연구와 여말선초 문학비평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재고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이를 계기로 『야화』뿐만 아니라, 『연주시격』 증주에 대한 관심과 후속 연구도 이어지길 바란다.

      • KCI등재

        柳希齡(1480-1552)의 『唐宋聯珠詩格附錄』 板本 정리 및 수록 작품 분석

        류화정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 규장각 Vol.61 No.-

        이 글은 柳希齡이 편찬한 『唐宋聯珠詩格附錄』(이하, 『부록』)의 판본들을 정리하고, Web DB에 들어있지 않은 宋詩와 東人詩를 일부 분석해 본 것이다. 『부록』은 중국 시선집인 『唐宋千家聯珠詩格』(이하, 『연주시격』)을 바탕으로 각 詩格마다 우리나라 작품을 덧붙여 기록한[附記] 형태다. 하지만 단순하게 ‘덧붙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유희령이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우리 작품들을 중심으로 『연주시격』의 내용을 적절히 취사선택하고, 필요에 따라 ‘補’라는 형식으로 새로운 시격[補格]을 만들기도 했다. 유희령이 補格을 만들면서 제시한 唐宋詩 중에서 宋詩는 四庫全書 DB에 나오지 않는 것이 있었다(21首). 분석한 결과, 이 작품들은 모두 『연주시격』 안에 다른 시격의 사례로 실려 있었다. 유희령이 『연주시격』의 내용을 확실히 장악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東人詩 중에서도 『東文選』ㆍ『韓國文集叢刊』을 비롯해 각종 고전번역서가 담긴 한국고전 DB에 검색되지 않는 작품(84首)들의 출처도 일부 찾아보았다. 생소한 작품이 가장 많았던 徐居正의 경우는 유희령이 활동하던 시기에 간행되었던 『四佳集』 판본(戊申本:1488년)과 DB에 있는 판본(乙酉本:1705년)이 양적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서거정 생전에 간행된 무신본은 70여 권에 달하는 巨帙이었던 반면, 을유본은 무신본의 절반도 안 되는 30여 권에 불과한 것이다. 현존하는 무신본은 零本 3권1책(故 李丙疇 박사 소장)이라고 하니, 『부록』에 실린 서거정의 시가 초간본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유희령은 『破閑集』과 『補閑集』에 수록된 작자 미상의 작품도 보격에 활용했다. 좀 더 살펴봐야겠지만, 『三韓詩龜鑑』과 『靑丘風雅』도 참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우리 작품을 선집한 양상만 보아도 유희령의 폭넓은 독서와 비평적 안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부록』은 1996년에 황위주 교수가 유희령이 편찬한 漢詩選集 7종을 소개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추가로 수집한 판본을 정리하고, 그 과정에서 분석한 내용을 간단히 보고했다. 판본을 대조하면서 생긴 서지적 문제나 선명하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이것은 앞으로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유희령이 편찬한 다른 선집들도 연구자들의 관심이 닿길 바라고, 추후 논고에서 조선에서 제작한 『연주시격』의 주석본[增註]에 대한 연구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KCI등재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增註와 인용된 문학서

        류화정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3 No.-

        The JeongSunDangSongCheonGaYeonJuSiGyeok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hereinafter referred to as YeonJuSiGyeok (聯珠詩格) is an annotation of DangSongCheonGaYeonJuSiGyeok(唐宋千家聯珠詩格), which was made in the years of King Seoungjong of the Joseon Dynasty. The DangSongCheonGaYeonJuSiGyeok is a collection of Chinese poems, which was compiled around 1300 by Yúji(于濟) and Càizhèngsūn(蔡正孫). In this study, the overall aspect of the supplemented annotation published in Joseon was examined. This study categorized the supplemented annotation into an interpretation of the words and phrases, a commentary of work, and a literary criticism. Both an interpretation of the words and phrases and a commentary of work are the helping hands for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a work, and literary criticism is to expand the scope of learning of readers in diverse domains. This study also classified the literature cited in the annotation into three domains such as a collection of pictorial poems, a collection of selected poems, and a collection of selected works of Neo-Confucians. The result revealed 22 types of the book of poetry and 4 types of the anthology of selected poems. The SeongLiGunSeoGuHae(性理群書句解) was mainly cited in the works of Neo-Confucians. The citation methods employed involve a direct citation specifying the source and an indirect citation that enables to recogniz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originals. In addition, some parts, which have not been elucidated yet, still remained in the annotation because the contents of the supplemented annotation and the cited literature are very broad. Furthermore, it is also an important task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YeonJuSiGyeok (聯珠詩格) on the education of Chinese poetry and literary criticism during the Joseon era.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이하, 『연주시격』)은 成宗 연간에 만든 『唐宋千家聯珠詩格 의 주석서다. 『당송천가연주시격』은 于濟와 蔡正孫이 1300년 경에 편찬한 중국 詩選集이다. 본고에서는 조선에서 제작한 주석인 增註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석은 字句 풀이ㆍ작품 해설ㆍ문학비평으로 나누었다. 자구 풀이와 작품 해설은 작품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것이고, 문학비평은 다양한 독자층을 고려하여 학습의 폭을 넓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석에 인용된 문학서는 詩話集ㆍ詩選集ㆍ性理學者의 작품 선집으로 분류해 보았다. 시화집은 22종, 시선집은 4종이 있었고, 성리학자의 작품에 인용된 서적으로는 『性理群書句解』를 주로 다루었다. 인용 방식은 출처를 명시한 직접 인용과 원문 대조를 통해 알 수 있는 간접 인용이 있었다. 이외에도 증주에 수록된 내용과 인용된 서적은 매우 광범위하여 미처 해명하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다. 나아가 『연주시격』이 조선의 한시 학습과 문학비평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 채엽시기에 따른 한국산 녹차의 성분비교 연구

        류화정,고영수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95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3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reen tea which were harvested at four different times(May, July, August, September)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varied according to their harvested times as follows. 1.Water(2.4%, 2.8%, 2.2%, 1.9%) Waterextract(35%, 34%, 37%, 34%), Carbon(28.6%, 28.9%, 29.5%, 49.0%), Hydrogen(6.8%, 6.5%, 6.6%, 6.3%), Total Nitrogen(5.98%, 4.12%, 3.21%, 3.08%), Oxygen(32.3%, 33.1%, 32.6%, 33.0%) 2.Crude fiber(7.2%, 8.3%, 10.2%, 11.2%), Crude fat(1.38%, 1.45%, 2.52%, 2.15%), Crude protein(31.3%, 20.4%, 17.1%, 16.9%) 3.Total sugar(5.5%, 7.1%, 10.6%, 11.8%), Reducing sugar(0.21%, 2.52%, 2.50%), Sucrose(0.45%, 2.86%, 5.42%, 6.32%), Fructose(0.25%, 0.12%, 0.09%, 0.03%), Glucose (1.62%, 1.02%, 0.54%, 0.45%) 4.Tannin(11.2%, 15.1%, 13.1%, 12.3%), Theaflavin(0.007%, 0.09%, 0.06%, 0.056%) 5.Catechin was conposed of GA(0.17%, 022%, 019%, 0.18%), (-)-EGC (2.71%, 3.21%, 3.01%, 2.8%), (-)-CA(0.15%, 0.16%, 0.16%, 0.17%), (-)-EC(1.21%, 1.34%, 1.36%, 1.3%), -EGCG(6.81%, 8.21%, 7.45%, 7.24%), (-)-ECG(1.41%, 1.91%, 1.62%, 1.50%) 6.Amino acids(1.90%, 1.07%, 0.99%. 0.72%), Caffeine(3.12%, 2.96%, 2.01%, 1.48%)

      • KCI등재

        조선 전기 『苕溪漁隱叢話』의 수용과 활용 사례

        류화정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7 No.-

        『Chogyeeoeunchonghwa(苕溪漁隱叢話)』(hereafter,『Eoeunc- honghwa』) is an anthology completed by Hoja(胡仔, 1110~1170) in 1151(for earlier collection) and 1167(for later collection). In the preface of 『Doinsiwha(東人詩話)』, it was mentioned as a model critique along with 『Sihwachongjip(詩話總龜)』, 『Siinoaksul(詩人玉屑)』, and 『Silimgwanggi(詩林廣記)』.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secure enough data to identify their existence or usage patterns through previous searches using book names or authors as keywords . In this paper,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aid attention to two annotation books compil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In the annotation work,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king's order, various books including Confucian scriptures, history books, thought books, and anthologies were cited. Among the literary books, anthologies in the Song and Yuan dynasties, which existed only in records, were directly or indirectly cited abundantly. 『 Eoeunchonghwa 』 was also able to supplement data that could not be found by keyword search through examples cited in the annotations. For the annotations, there were quotations by way of identifying sources like 'Eoeunchonghwa(漁隱叢話)', 'Eoeunsiwha(漁隱詩話), 'Hochogye(胡苕溪)', 'Chogyeeoeun((苕溪) 漁隱)' etc, and there were also cases where the actual original texts were taken from Eoeunchonghwa while ostensibly referring to other texts. It is presumed that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use of collection is efficient compared to searching for individual anthologies one by one, since related materials were collected centering on a specific writer or material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collection. In particular,『Eoeunchonghwa』 placed the writers in chronological order, and it is thought that, even at the time, they were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 discussion and dialectic were strictly recorded. In addition to 『Eoeunchonghwa』 , there are many unknown literatures in two annotation books , and among books in other fields, there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reviewed in relation to literature . In the future, we will continue to widely introduce the existence and utilization aspects of individual collections of poems and pictures cited in the annotations, and furthermore, it will be also a task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s. If these works are accumulate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苕溪漁隱叢話』(이하, 『어은총화』)는 胡仔(1110~1170)가 1151년(前集)과 1167년(後集)에 완성한 詩話叢集이다. 『어은총화』는 『東人詩話』의 서문에서 『詩話總龜』ㆍ『詩人玉屑』ㆍ『詩林廣記』와 더불어 본보기가 되는 비평서로 언급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書名이나 作者를 키워드로 한 검색으로는 이 책의 존재나 활용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조선 전기에 편찬된 주석서 2종을 주목했다. 왕명으로 진행되었던 주석 작업에는 經ㆍ史ㆍ子ㆍ集을 망라하는 다양한 서적이 인용되었다. 문학서 중에서는 기록에서만 존재했던 宋ㆍ元代 시화집들이 직ㆍ간접적으로 풍부하게 인용되어 있었다. 『어은총화』도 키워드 검색으로는 찾을 수 없었던 자료들을 주석에 인용된 사례들을 통해 보완할 수 있었다. 주석에는 ‘漁隱叢話’ㆍ‘漁隱詩話’ㆍ‘胡苕溪’ㆍ‘(苕溪)漁隱’등과 같이 출처를 밝혀서 인용한 것이 있고, 표면적으로는 다른 텍스트를 언급했지만, 실제 원문은 『어은총화』에서 재인용한 경우가 있었다. 이런 현상은 叢集의 특성상 특정 작가나 소재 등을 중심으로 관련 자료들을 모아놓았기 때문에 개별 시화집을 일일이 찾는 것보다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어은총화』는 작가들을 연대순으로 배치했고, 의론과 변증이 엄격하게 수록되었다는 점을 당시에도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으리라고 생각한다. 『어은총화』 외에도 두 주석서에는 알려지지 않은 문학서들이 많이 있고, 다른 분야의 서적 중에서도 문학과 관련하여 검토가 필요한 것이 있다. 앞으로도 주석에 인용된 개별 시화집의 존재와 활용 양상을 두루 소개해 나갈 것이고, 더 나아가 주석의 내용과 성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런 작업이 축적된다면 조선 전기 문학비평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로 접근해 보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전기 『精選古今名賢叢話詩林廣記』의 판본과 활용 사례

        류화정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JeongSunGoGeumMyeongHyeonChongHwaSiRimGwangGi(精選古今名賢叢話詩林廣記) (hereinafter called SiRimGwangGi) is the anthology that was completed around 1289 by Chae Jeong-son(蔡正孫, 1239∼?). This book, which is estimat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id of the Goryo era, was cited many times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annotation book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era. The examples include the cases that were applied in the footnote of ChanJooBoonRyuDooSi (纂註分類杜詩) published in 1444 and the additional notes of JeongSunDangSongChun GaYeonJooSiGyeog(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of which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1485. In these cases, it is noteworthy that the original text of SiRimGwangGi was indirectly cited, unlike the cases that the sources were disclosed directly such as ‘SiRimGwangGi(詩林廣記)’ and ‘MongJae (蒙齋)’. In other words, the externally revealed source and the actual original tex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ose cases are just a re-quote of the content of SiRimGwangGi. This study put more weight on empirically analyzing various indirectly cited aspects. Chae Jeong-son and SiRimGwangGi have an association with DangSongChunGaYeonJooSiGyeog(唐宋千家聯珠詩格) (hereinafter called YeonJooSiGyeog) that was widely known as a poetic textbo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ae Jeong-son significantly enlarged and appended the original text of YeonJooSiGyeog and added a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to each work by himself. In addition, those evaluations and interpretations contain a lot of content of SiRimGwangGi. Various citations of SiRimGwangGi in the footnotes of YeonJooSiGyeog will not be irrelevant to this fact. However, the influence of this on the additional footnotes of ChanJooBoonRyuDooSi requires more study. Many unknown anthologies of the Song or Yuan era are found in the two annotation books besides SiRimGwangGi. This is a very difficult fact to identify during the database search process of various literature data based on the keywords such as book titles or authors. This is not intended to give prominence to the fact that it was cited in the footnotes. A way to find out the existence and utilization aspects of anthologies that were accepted in the early Joseon era becomes available. If such data are accumulated, it is thought to be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Goryeo and Joseon eras from a different angle. 『精選古今名賢叢話詩林廣記』(이하, 『시림광기』)는 蔡正孫(1239∼?)이 1289년 전후로 완성한 詩話集이다. 고려 중기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책은 조선 전기 주석서에서 직ㆍ간접적으로 다수 인용되었다. 1444년에 편찬된 『纂註分類杜詩』의 補註와 1485년에 1차 완성된 『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의 增註에 활용된 사례다. ‘詩林廣記’ㆍ‘蒙齋’와 같이 직접적으로 출처를 밝힌 것과 달리 『시림광기』의 원문을 간접적으로 인용한 사례가 주목할 만하다. 표면적으로 밝힌 출처와 실제 원문이 다른 것으로, 『시림광기』에 실린 내용을 재인용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간접 인용 양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집중했다. 채정손과 『시림광기』는 조선 전기 詩學書로 널리 알려진 『唐宋千家聯珠詩格』(이하, 『연주시격』)과도 관련이 있다. 채정손이 『연주시격』의 초고를 대폭 增補했고, 작품마다 직접 評釋을 붙인 것이다. 게다가 평석에는 『시림광기』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주시격』 주석[增註]에 『시림광기』가 다양하게 인용된 것은 이런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찬주분류두시』 보주에서의 영향력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두 주석서에는 『시림광기』 외에도 알려지지 않은 宋ㆍ元代 詩話集이 많이 발견된다. 이는 각종 문헌 자료 데이터베이스에서 書名이나 作者를 키워드로 한 검색에서는 찾기 어려운 것이다. 주석에 인용되었다는 사실을 과하게 부각하려는 게 아니다. 조선 전기에 수용되었던 시화집들의 존재와 활용 양상을 찾아볼 수 있는 방법이 생긴 것이다. 이런 자료가 축적된다면, 고려와 조선의 문학비평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동죽(Mactra veneriformis)가공에 따른 정미성분의 변화

        류화정,고영수,Ryu, Hwa-Jeong,Ko, Young-Su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동죽은 자숙하여 천일건조시료, 열풍건조시료로 만들어서 일반성분과 정미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핵산관련물질, 유리아미노산, glycogen의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은 가공전후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회분함량은 가공후 21.5%가 증가하였다. 핵산관련 물질은 생시료에는 ATP, ADP, IMP 및 Hypoxanthine이 많았으나 건조시료에서는 ATP는 상당량(78%)줄었고 다른 핵산관련물질도 모두 줄어들었다. 유리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및 arginine이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85%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건조후 유리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생시료의 60%정도를 함유하고 있었다. 동죽자건품의 중요한 정미성분은 glycine, alanine, arginine과 같은 유리아미노산 및 ATP 분해생성물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The taste compounds including glycoge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Raw, Boiled and Sun-dried and Boided and 1lot-air dried surf clam(Mactra veneriformis) were investigated.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changed little after processing, but ash content of processed surf clam was increased 21.5%. Glycogen content was increased 6.7% in a processed surf clam. I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here are much ATP, ADP, IMP and Hypoxannthine in raw material, ATP, ADP, IMP content was decreased and Hypoxannthine disappeared after processing, In the raw extract, glycine, alanine, arginine were abundant, holding 85% of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After processing, generally 60% of raw material free amino acids content were existed.

      • KCI등재

        수사적 표현을 통해 본 성리학적 문학관의 수용 양상―李詹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화정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본고에서는 성리학적 문학관의 수용과 이해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李詹(1345~1405)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첨은 여말선초 대표적인 문인 관료이다. 그가 성리학의 근원을 탐구하고 다채로운 문체를 창작했다는 선행 연구를 계승하되, 그가 성리학을 이해했던 구체적인 경로와 성리학적 문학관을 드러낸 실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이첨이 읽은 성리학 서적 중에서 문헌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擊壤集』・『性理群書句解』・『近思錄』・朱熹의문집・『伊洛淵源錄』이다. 왕조의 교체를 겪고, 서적의 수용과 간행이 활발하지 않은 시기임에도 다양한 성리학 서적을 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370년 전후로 추정되는 <朴判事日本行錄跋>과 1396년에 쓴 <漁樵唱和詩序>를 분석해 보았다. <毛詩序>와 <詩集傳序>를 인용하고, 한유의 <荆潭唱和詩序>에서 수사적 표현을 활용하여 성리학적 문학관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첨이 성리학과 성리학적 문학관을 이해했던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했고, 그가 구사한 표현의 출처가 한유의 산문에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논의가 좀 더 설득력이 있으려면, 이첨이 읽었던 성리학 서적이 그의 창작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s a method to empirically examine how neo-Confucian literary views were accepted and understood by scholars of late K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this study dealt with Lee Cheom(李詹, 1345~1405). Lee was a leading scholar in those days. The fact that Lee had explored neo- Confucianism and created unique colorful writing styles has been discovered by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d the path through which he had come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and the cases where his neo-Confucian literary views were revealed. Through various bibliographical document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Lee read books like Gyeokyangjip(『擊壤集』), SeongrigunseoGuhe(『性理群書句解』), Geunsarok(『近思錄』), writings of Juhi(朱熹), Yirak- yeonwonrok(『伊洛淵源錄』), etc. We can recognize that, even if it was not easy to publish books and, thus, acquire them, Lee could access various good books. Based on such exploration, this study analyzed what Lee wrote: ‘Parkpansa Ilbonhaengrokbal’[<朴判事日本行錄跋>, ‘Excerpts of Records of Judge Park's Travel to Japan’] written in around 1370 and ‘Eochochang- hwasiseo’[<漁樵唱和詩序>, ‘Preface to Eochochanghwa Poem’] in 1396. In these two writings, Lee effectively revealed his neo-Confucian literary views by citing ‘Mosiseo’(<毛詩序>) and ‘Sijipjeonseo’(<詩集傳序>), and using rhetorical expressions of ‘Hyeongdamchanghwasiseo’(<荆潭唱和詩序>) of Han Yu(韓愈; 768~824), a famous poet of Tang dynasty. Through such searche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concrete path through which Lee formed his neo-Confucianism and neo-Confucian literary views, and that his expressions were greatly influenced by writings of Han Yu.

      • KCI등재

        조선 전기 문선집 『송파방(宋播芳)』, 『원파방(元播芳)』 소고(小考) -자료 소개를 중심으로-

        류화정 ( Hwa Jeong Ryu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조선 전기 산문 창작 경향을 텍스트 수용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당시 공식 실용문 학습에 활용된 문선집인 『宋朝(聖宋)名賢五百家播芳大全文粹』와 『聖元名賢播芳續集』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참고한 『송파방』은 四庫全書 110권 본이며, 『원파방』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日本內閣文庫 소장 복사본이다. 『송파방』과 『원파방』에는 송·원대 문인들의 다양한 산문들 중에서 주로 공식적인 성격을 띤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奏議類 산문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 序跋·箴銘類 등의 산문들도 대체로 왕실이나 名賢·尊官 등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것들은 사대외교나 조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서들이다. 또한 『송파방』과 『원파방』 안에 있는 表□文은 대구가 안 되는 글자들은 大字로 쓰고, 4·6·8·10字로 대구가 맞추어진 글자는 細字雙行으로 大字 한 칸의 간격을 두고 적혀 있다. 이러한 형태는 까다로운 형식과 화려한 수사를 동반해야 하는 騈儷文과 같은 산문을 학습하거나 작성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전기에 『송파방』은 세종·중종 연간에 간행되어서 大小 문신들에게 반포되었다. 이후에도 이 책은 전국 각지에 수집령이 내려지기도 하고, 구매 목록에 오르는 등 끊임없이 수요가 있었다. 특히 세종은 이 책을 표전문 학습서로 권장하기도 했다. 『원파방』은 고려 말에 인쇄되고, 이후 중종 때에 『송파방』과 함께 간행되었다. 『송파방』과『원파방』은 세종 연간부터 하나의 시리즈로 문신들의 공식 문서 작성에 참고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시험에서 존중하는 표본이 되었다. 요컨대 『송파방』과 『원파방』은 조정의 문신들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산문들을 뽑아 놓았고, 형식적인 부분도 학습이 용이하도록 구성해 놓았다. 그래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반포되어 학습서로 권장되었다. 그런 점에서 조선 전기에 두 텍스트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공식 문서를 작성하거나 각종 실용문을 학습하는데 좋은 참고서로 활용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d prose collection of Song Pa Bang(宋播芳)ㆍWon Pa Bang(元播芳) used for learning or writing formal docume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t is part of study to analyze prose style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is article is referred to classical database in Siku Quanshu(四庫全書) and copies is in the Library of Japanese Cabinet Library(內閣文庫). The work to be formal is collected mostly in Song Pa Bang, Won Pa Bang. Especially, Jui-eui-ryu(奏議類) prose accounts for more than 60 percent of the books. The rest of proses are for the royal family and a high official. The part of PyoJeons(表箋) is made up of Chinese characters with small size-two lines(細字雙行). Most officials in the Joseon are required to master writing documents formally. In this regard, two books are useful to learn how to write the documents. They are printed and distributed in late Goryoe and early Joseon. They are treated not only as a reference book of Diplomatic documents (Pyojeons, 表箋) but also as a typical sample fo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Gwageo(科擧) from King Sejong. In short, Song Pa BangㆍWon Pa Bang have a prose anthology. Moreover, the books are also considered as the documents that are needed to learn how to write formally. Therefore, two books might be used for learning or writing formal docume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