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류진아(Jin-A Ryu),오은경(Eunkyung OH)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경험을 경험과정, 개인적-사회적 경험, 남한사회 정착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여성 삶의 경험과정은 북한이탈 이전과 이후로 크게 나누어지며, 북한에서의 경험, 북한 이탈 이후 제3국을 포함한 탈북과정에서의 경험, 남한 입국 이후 경험으로 나누어진다. 이 3가지 경험의 과정 범주는 그 환경적, 상황적 맥락이 아주 이질적이어서 하나의 맥락이나 공통적인 맥락으로 이해하고 분류·분석하기 어렵다. 북한이탈여성의 삶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과 삶의 장의 변화가 특징이다. 하지만 그들의 내면적 경험은 시간과 장을 아우르고 있으며 하나의 전체적인 인간으로서 내면의 경험이 이어지고 있다. 둘째, 3개의 이질적인 삶의 장에서의 개인적-사회적 경험 주요개념을 살펴보면, 북한에서는 출신성분 및 가부장적 문화, 경제난과 가장 역할, 지옥세계와 생계형 범죄, 가족 붕괴, 인권유린이었다. 북한이탈 과정에서는 불안한 도피와 차별(불법이민자), 심리적 위축과 PTSD, 빈곤 속 상품화된 여성, 가족해체와 재구성이었다. 한국 입국 이후는 남한정착 과정의 요인과 남한 사회정착이었다. 셋째, 남한사회 정착은 다시 시작하는 (여성으로서) 삶, 고통의 계속(외상), 노후와 미래불안, 적응보다 존재적 욕구, 외상 후 성장이었으며, 남한사회 정착관련 요인은 울타리, 장벽과 방해, 강점과 노력이 상호작용하고 순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depth, focusing on the experience process, personal-social experiences, and factors related to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24 qualitative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experience process of a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is largely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n, and it is divided into the experience in North Korea, the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fection, including experience in third countries after the departure from North Korea, and the experience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se three experiences are very different in their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contexts,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classify, and analyze in one context or a common context. Th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are characterized by the passage of time and changes in the places of life. However, their inner experience encompasses time and places and the inner experience as a whole human being continues. Second, looking at the main concepts of personal-social experiences in the three different places of life, in North Korea, the main concepts included the origins and patriarchal culture,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role of the household head, hell world and livelihood crimes, family collapse, and human rights abuses. In the process of leaving North Korea, it was about uneasiness from escape and discrimination (against illegal immigrants), psychological disturbance and PTSD, commodification of women in poverty, and family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After entering Korea, it was about the factor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South Korea and social settlement in South Korea. Third, the settlement of South Korean society was about re-starting life (as a woman), lasting pain (trauma), aging and future anxiety, existential need rather than adapt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e factors related to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fences, barriers and obstacles, strengths and effort interact and influence with each other cyclically.

      • KCI등재

        공선옥의 『폐경전야』와 김훈의 『언니의 폐경』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류진아(Ryu, Jin-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에서는 공선옥의 <폐경전야>와 김훈의 <언니의 폐경>의 상호텍스트성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에서는 두 작품의 영향관계에 주목하기 보다는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성작가와 여성작가에 의해 쓰여 진두 소설에서 자궁이 지닌 공간적 의미의 차이와 갱년기를 맞은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앞서 살펴본 공간으로서의 자궁에 대한 인식과 중년여성의 자아 찾기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았다. 공선옥은 『폐경전야」에서 폐경기를 맞은 여성의 몸을 소외의 대상이 아닌 가치있고 성숙한 몸으로 그리고 있으며, 남성과는 다른 몸을 가진 여성의 경험과 여성이 가지고 있는 모성, 그리고 생명의 생성과 소멸의 공간으로서의 자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김훈 역시 『언니의 폐경」에서 중년의 여인인 언니와 머지않아 폐경을 맞게 될 화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자궁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그 과정 중에 느끼는 갱년기 중년 여성의 심리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한 작품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여성의 진솔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에 반해 다른 한 작품은 실제적인 여성의 경험보다는 폐경기 여성의 심리나 상황이 다소 신비롭게 그려지고 있다. 이는 폐경기를 직접 경험한 여성작가와 그러한 경험에서 소외된 남성작가의 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두 작품의 두드러진 차이는 『언니의 폐경』에서 언니는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함께 찾아든 자신의 갱년기 증상, 즉 폐경 증상을 순응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반면에 『폐경전야』에서 화자는 자신의 갱년기 증상을 부정과 저항의 과정을 통해 역기능적 행동을 보이다가 자신의 몸의 변화를 점점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언니의 폐경』에서는 폐경을 맞은 언니가 폐경과 함께 자신의 여성성에 대해 문제 삼거나 미련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현명한 어머니의 삶을 사는 것과는 달리, 『폐경전야』에서는 임신한 제자의 모습을 보고 자신도 아기를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하다가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잉태하는 생명을 사랑하는 한정적 모성에서 벗어나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을 사랑하는 확대된 모성애를 가지게 된다. 두 작품이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남성 작가에 의해 쓰여 진 『언니의 폐경』은 여성에 대한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기존 질서를 그대로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고생각할 수 있다. 두 작품이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작가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사회적 관념들을 따르고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작품에서드러나는 차이는 작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문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ong Seon-ok's <The Night before Menopause> and Kim Hoon's <Elder Sister's Menopause> the feminist investigated the perspective of intersexuality. Research examine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rather than 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the studies. And written by male authors and female writers Jean uterus with two new spatial differences between a rights-. Menopausal women with a map of how to get his ego investigation Moreover, as shown above, in the womb space of self-awareness and find middle-aged woman and looked to reconsider a feminist standpoint. Gong Seon-ok's of "The Night before Menopause" hit menopause in a woman's body that they are not subject to alienation and the value of the mature body, and the bodies of men and women with other women have the 'experience and mother's instinctive love, and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life talk about the space as a womb. Kim Hoon's, too, "Elder Sister's Menopause" in the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 menopause and soon his story about the speakers that will be what happens in the womb and during the process of middle-aged women feel menopause, which will talk about psychology. The most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Elder Sister's Menopause" and the sudden death of her husband, in which she finds out all the menopausal symptoms, is her acceptance to these symptoms. On the other hand, "The Night before Menopause" the spokes man their menopausal symptoms and dysfunctional behaviors denied through the process of resistance to change in their body shape that looks more and more recognition and acceptance to show. Also "Elder Sister's Menopause" about menopause and menopause, along with his sister on the subject of female sexuality, or he has no regrets buying as opposed to the life of a wise mother, "The Night before Menopause" pregnant in the eyes of the disciples themselves I want to have a baby while it is impossible to know, to understand a life of love for life with limited maternal love for all things that have expanded into motherhood. These differences in the nνo works written by male authors see are real "Elder Sister's Menopause" for women in a patriarchal system society, because of the existing order, as it can be thought of as follows. These differences in the two works are not meant to be the artist who did not follow the existing social stereotypes, because they show can be maintained. The work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problem, rather than the artistic community as a whole to be able to see the problem.

      • 여성 소설의 주제 형상화 방식 연구 : - 환상소설과 리얼리즘 소설을 중심으로 -

        류진아(Jin-A Ryu)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0 젠더와 사회 Vol.31 No.-

        이 연구의 목적은 환상문학과 리얼리즘문학의 형식을 띤 여성 소설의 분석을 통해 소설의 주제 형상화 방식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소설의 시대적 흐름을 살피는 것이다. 여성 소설에서 다루는 주제의 공통점은 여성주의시각을 통해 여성의 삶을 면밀히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각 작품마다 여성의 삶을 형상화 하는 데 있어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주제를 형상화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여성 소설 중에 환상성을 통해 주제를 표현한 소설과 리얼리티를 통해 주제를 표현한 소설을 살펴보았을 때, 작품의 주요 서사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지만 폭력에 대한 고발과 대응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폭력에 대응하는 주인공 영혜의 심리와 주변 상황을 그리고 있는데, 폭력에 대응하는 방식이 환상을 추구하는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통해 묘사되고 있다.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은 리얼리즘 경향의 소설로 우리사회의 여성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폭력들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가부장제 남성 중심 사회의 여성에 대한 폭력을 증언을 통해 고발하고 있다.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는 사회의 억압과 부조리함으로 인한 피해자를 여성에 한정짓지 않으며, 우리사회의 억압과 차별의 대상을 권력의 하위계층으로 설정하고 있어 앞의 두 작품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종합하면, 환상을 주요 모티프로 한 소설에서는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이 내면의 심리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폭력 대응 방식에서는 직접적 대응과 증언보다는 폭력 피해자의 심리적 고통과 사회와의 단절을 통해 간접 증언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작품에서는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이나 폭력에 대한 대응이 보다 구체적이며 상대방을 향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리얼리즘 소설을 발표한 시기가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여성 폭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이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어 보다 더 적극적인 고발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여성 문학에서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bodiment of the theme through the analysis of feminine novels in the form of fantasy literature and realism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trend of feminine novels based on this. The common theme of feminine novels is that they deal with women s lives closely through the idea of feminism. However, each novel shows a difference in shaping a woman s life, and these differences affect shaping of the theme. Among feminine novels, when we look at novels that expresses themes through fantasy and through reality, the main narrative of novel has a deep connection with violence against women,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cusation of violence and method of respond. Han Gang s 『Vegetarian』 depicts the psychology and surrounding situations of the main character Young-hye, who is victim of the violence. Her reaction tells through her psychology which is pursuing fantasy. Cho Nam-ju s 『Kim Ji-young Born in 1982』 is a realism novel that directly expresses the various violence suffered by women in our society and shows violence against women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through testimony. Kim Hye-jin s 『About My Daughter』 does not limit the victims of social oppression and irrationality only to women, but sets the subject of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in our society as a lower class of power, which makes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two novels. Thus, fantasy novels reveals theme by focusing on inner psychological change. In addition, reaction to the violence indirectly testifies through psychological pain and social disconnection of victims of violence rather than direct response and testimony. On the other hand, in realism novels, the main theme and reaction to violence is more specific and active toward the other side. There was a social consensus of violence against women when realism novel was published. But violence against women was still happening after the consensus. Therefore, more active accusation and reaction was needed in feminine literature.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식 연구

        류진아(Ryu Jin-A) 국어문학회 2014 국어문학 Vol.57 No.-

        장소개념을 연구한 몇몇 학자들은 인간이 경험하는 심오하고도 복잡한 측면을 장소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인간의 경험에 따라 장소는 개개인 마다 다르게 인식되며 그 장소에 정체성, 즉 장소감이 부여된다고 말한다. 또한 우리의 몸을 공간을 인식하는 도구로 보고, 몸을 공간을 체험하는 주체의 조직에 속한다고 말한다. 다른 한편으로 몸은 그 자체로 공간, 즉 개인 공간이기 때문에 인간의 몸 자체가 우리를 둘러싼 공간의 일부로 보았다. 김승옥의 단편 소설 『무진기행』, 『야행(夜行)』, 『서울의 달빛 0장』의 분석을 통해 작품 속에서 여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장소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세 작품에서는 각각 여성이 ‘삶의 도피처’와 ‘오염된 장소’ 그리고 남성이 갈망하는 ‘영원한 안식처’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는 작가 김승옥의 개인적인 생각을 넘어 그 시대 사회의 전반적인 여성에 대한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에게 읽히는 소설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그려진 소설 속 이야기들은 새로운 실제가 되고 현실이 되어 독자 대중들의 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여성을 주체가 아닌 타자로, 주체인 남성에 의해 그려진 여성에 대한 인식을 그리고 있는 작품은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Some of the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concept of place formulate the profound and complex side that a person have experienced as a place, they also say that the place is recognized differently for each individual depending on people"s experience and the identity, namely the sense place, is granted to that place. In addition, they add that our body is an object which recognizes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body belongs to the main organization which experiences the space. On the other hand, the body itself is a space, that is to say the personal space, so the human body itself is seen as part of the space that surrounds us. Through the analysis from Kim Seung-Ok"s short stories : 〈Journey to Mujin〉, 〈Night Travel〉 and 〈Moonlight of Seoul Act 0〉, I examined with the concept of place how women were recognized in the novelettes. In the three literatures, each woman was expressed as a "life refuge", "infested place" and as the "eternal resting place" which man lust for, and this is the recognition for women of the overall society of that period, which is beyond Kim Seung-Ok"s personal thought. The novels that the general public reads do not largely deviate from the historical facts. The stories of the novels described this way become the new truth and reality and influence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readers. Therefore, the novel describing women"s recognition, depicted by the man who is the subject, with the woman as the other and not as the subject, must continuously be subject of the debate in the future.

      • KCI등재

        톳(Hizikia fusiformis) 당단백질에 의한 HepG2 세포 증식 억제기전

        류진아 ( Jin A Ryu ),황혜정 ( Hye Jung Hwang ),김인혜 ( In Hye Kim ),남택정 ( Taek Jeong Nam ) 한국수산과학회 201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5 No.6

        Hizikia fusiformis, a brown alga that is widely consumed in Korea, Japan, and China, possesses a number of potentially benef icial compounds, including antioxidants and anticoagulant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H. fusiformis in hepatoma cells have not been elucid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a glycoprotein from H. fusiformis (HFGP) in HepG2 human hepatoma cells. In an MTS assay, 25 μg/mL HFGP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HepG2 cells by 52.36±2.37%. HFGP caused the dose-dependent growth inhibition of HepG2 cells by inducing apoptosis and a sub-G1 phase arrest.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HFGP was conf irmed based on the expression of several apoptosis-related proteins, which was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s of Fas, Fas-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Bax, and Bad was signif icantly up-regulated in HFGP-treated cells, and HFGP induced the translocation of Bax to mitochondria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sol. Therefore, HFGP might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 페미니스트 나혜석을 말하다

        류진아(Ryu, Jin-A)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0 젠더와 사회 Vol.21 No.-

        이 연구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여성해방론을 주장하고 실천하려고 했던 신여성 나혜석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나혜석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신여성으로 활동했던 나혜석을 통해 신여성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나혜석의 페미니스트로서의 기질을 살펴보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나혜석이 쓴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품에서 나타나는 여성해방사상의 주장과 그 실천양상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해서 살펴보았다. 하나는 자유주의 여성해방사상의 성격이 드러나는 글로, 이 작품들에서는 주체적인 삶을 위한 여성교육의 필요성과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남녀평등, 봉건적 사회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결혼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자유연애와 자유결혼을 주장하는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잘 드러나고 있다. 또 다른 하나는 급진적인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들로, 이 작품들에서는 그동안 여성들에게 강요되고 신화화된 모성에 대해서 새롭게 정의하는 한편, 가부장제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강한 저항과 가부장적 권력의 폭력성을 자신의 글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또한 나혜석은 당시 여성들에게만 강요되어지던 정조론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한편 정조란 여성들에게만 강요되어지는 것이며, 정조란 법률로 정하거나 강요되어지는 것이 아닌 개인의 취향이며 취미일 뿐이라고 자신의 글을 통해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나혜석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해방사상이 자유주의에서 급진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나혜석이 살았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나혜석 자신이 실제 생활에서 겪게 되는 경험들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모두 종합해 보면, 나혜석은 여성으로서 많은 한계 상황 속에서도 작품을 통해 자신의 여성해방사상을 주장하고 자신의 전 삶을 통해 여성해방을 실천하려고 했던 시대를 앞선 페미니스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analysis of Na Hye-Seok's literary works, which supported the liberation of women, this thesis intends to right the wrongs of our understanding and establish a new perception of New Women as well as examine the spirit of Na Hye-Seok as a feminist. This thesis divides Na Hye-Seok's works into two parts; her thoughts on feminism and how those ideas are put into practice. Na Hye-Seok's nature was liberal. Her writings display this nature through her positive view on and push for the education of women. The ideas Na Hye-Seok supported were independent lives for women, sexual equality, free love and open marriage. She maintained that this type of liberation would be possible by way of education. She also expressed that the existing marriage views of women involved the feudal system. As such education could open women's minds and was a necessity in the fight for equality. Given her character of a radical feminist, she gave a new definition of enforced and mythified motherhood. She revealed a strong resistance to patriarchal ideology as well as violence by way of patriarchal power through her writings, Na Hye-Seok also criticized the notion of chastity, which at the time was a practice reserved only for women. She insisted that chastity should not be forced by law or by any other means. Such practices, she believed should be followed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Her writings during this period were quite revolutionary and shocked the people of that time. After put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rk together, it is obvious that Na Hye-Seok was a woman who advocated for feminism through her literary works. She did so under a stressful and suppressed social situation and chose to practice feminism for her entire life. She was, without a doubt, a feminist who was ahead of her time.

      • KCI등재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류진아(Jin A Ryu),장은경(Eun Kyung Jang) 한국농촌지도학회 2015 농촌지도와 개발 Vol.22 No.2

        This study explored at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a type of families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from husbands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with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ask about marital conflict, and then,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analysis. In sum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cisive events that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experienced in marital conflict with their wives were disrespect toward husbands and parents-in-law, husbands with a low level of trust, feelings of pressure due to financial support for wives' families and children and lack of practical sense about marriage. Second, development of marital conflict that husbands often experienced included aggravated cultural conflict between a couple and between members of the family, difficulty in managing blame and anger, signs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wives leaving home and limitations in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as to how husbands tried to deal with marital conflict, they tried to be patient and comfort wives,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gether, find something that they could focus on, turn to religion or gatherings, use service from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trust and develop rules and limit the range of their wives activities.

      • KCI등재

        나혜석의 급진적 페미니즘 연구

        류진아(Ryu, Jin-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여성해방론을 주장하고 실천하려고 했던 나혜석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나혜석이 주장했던 여성해방사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나혜석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그동안 여성들에게 강요되고 신화화된 모성에 대해서 새롭게 정의하는 한편, 가부장제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강한 저항과 가부장적 권력의 폭력성을 자신의 글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또한 나혜석은 당시 여성들에게만 강요되어지던 정조론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는 한편 정조란 여성들에게만 강요되어지는 것이며, 정조란 법률로 정하거나 강요되어지는 것이 아닌 개인의 취향이며 취미일 뿐이라고 자신의 글을 통해 주장하고 있다. 나혜석은 여성으로서 많은 한계 상황 속에서도 작품을 통해 자신의 여성해방사상을 주장하고, 그러한 그의 주장은 작품을 통해 시대를 초월하여 후대의 여성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급진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나혜석의 선구적 여성 해방사상은 당대는 물론이며, 후대의 여성들의 의식변화에 더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radical women’s liberation of Na Hye-seok by analyzing her work who claimed and tried to carry women’s liberation. She redefined motherhood that had been forced to women and mythified through her work. Also, she revealed her resistance to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violence of patriarchal power through her writings. And she strongly criticized chastity that was forced to only women at the time and claimed that chastity was only be forced to women, and was a personal taste or a hobby rather than being defined as a legal or being forced through her writings. Although being in the clutched of woman she contended women’s liberation and her meaning got across to many women of the same age through the work. Women’s liberation of Na Hye-seok was thought to influence the changing mind of not only herself but also women of the age.

      • KCI등재

        다문화 내담자를 위한 표현예술치료 개입 연구동향

        류진아(Ryu, J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다문화 내담자를 위한 표현예술치료적 개입을 연구한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총 58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다른 치료 기법들보다 많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개입 연구는 2011년부터 2013년에 갑자기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최근까지 꾸준히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부분 아동/청소년과 영/유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실험집단만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와 실험-통제 집단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가 비슷하였다. 자료 수집은 실험 후 사 전-사후 질문지를 통하여 검증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 후 면접, 투사검사 분석, 참여자 및 치료자의 보고를 분석한 경우도 많았다. 넷째,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사전-사후 t-test가 가장 많았으며, 기술통계, 변량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면접, 투사검사 분석, 참여자 및 치료자의 보고를 질적 분석한 경우도 많았으며,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함께 실시한 혼합분석도 다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8 papers from 2008 to August 2018 in the Korean Journals about Research Trends in Expressive Arts Therapy of Multicultural Client. More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publishing status,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subject, research area, use and methods of expressive arts therapy,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other methods of demograph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sed therapy was art therapy and the amount of researches steadily increased in 2011-2013. Second, research on the child and youth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Studies were not composed of various areas, and the percentile of the study about child and adolescent area was the highest. The types and methods of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within the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methods commonly used in quantitative research were used in the following order of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nc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and mixed methods research were used.

      • KCI등재후보

        청소년 인터넷 중독 비용분석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류진아 ( Jin A Ryu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청소년 인터넷 중독 연구의 주된 흐름인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원인분석 차원에 머물러왔던 한계를 넘어 사회적 비용 발생과 국가적 경제력 상실이라는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중독 비용분석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 비용분석의 필요성, 분석론과 분석단계, 유형 및 항목을 제시하고 비용분석 결과를 활용함에 있어서 의의를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인터넷 중독 비용분석 방법론으로 기존의「질병비용연구」와「국제물질오남용비용추정지침」의 연구 결과와 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인터넷 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분석단계는 식별(identify), 수량화(quantify), 가치평가(value), 할인(discount)의 4단계로 제안하였으며,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의 비용유형을 개인직접비용, 개인간접비용, 외부직접비용, 외부간접비용의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후 청소년 인터넷 중독이 초래하는 시간적 손실 요소와 심리적, 환경적 요소의 계량화 및 개인의 노동력 및 사회적 경제활동역량 추산분석은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 정립과 해소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information to evaluate cost side by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the costs, the analysis theory, the analysis steps, and the analysis types and items of analysing the costs by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o analyse the costs by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could be used for the theories and ways which were utilized other studies such as cost-of-illness studies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estimating the costs of the substance abuse. The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analysing the costs by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re as follows: 1. strenthening the public relation of internet addiction and preventive discipline, 2. establishing the integration maneuver system, 3. vitalizing preliminary studies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4. expanding institutions and tightening up the law, 5. building the community based on coopera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