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ho Considers Leaving a Job in a Pandemic?: Determinants of Online Job Search Behavior in COVID-19

        도보람,윤여림,김혜진,최정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專門經營人硏究 Vol.25 No.4

        Drawing from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turnover and behavioral immune system theory, we proposed and tested a theoretical model of how the perceived severity of a pandemic affect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their virtual job-search behaviors. In an analysis of matched survey and mobile application usage data, we found that the perceived severity of COVID-19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which is, in turn, positively related to the usage of mobile job-search apps. Our findings further disclosed that these relationships were weakened when employees perceived their organizations as more adaptive to COVID-19. When employees perceived their coworkers as more supportive in coping with COVID-19, however, the relationships were strengthen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직무만족도와 모바일 생산활동: 결정요인 연구

        도보람 ( Boram Do ),윤여림 ( Yeo Lim Yoon ),김태년 ( Taenyeon Kim ),최정혜 ( Jeonghye Choi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1 지식경영연구 Vol.22 No.1

        현대 지식사회에서 모바일 기기는 유용한 업무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언택트로 대표되는 코로나19의 감염병 상황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모바일 생산활동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직장인들의 직무만족도와 모바일 생산활동 증가의 선행변수로, 코로나19의 감염우려, 리더의 주체성향 및 교감 성향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40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데이터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의 감염우려는 직무만족도나 모바일 생산활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리더의 주체성향 및 교감성향 모두가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리더의 교감성향은 모바일 생산활동과도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염병 상황에서 직장인들의 기술 도입과 지식생산성을 이해하고 고취시키고자 하는 연구자 및 관리자에게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In the current knowledge society, mobile devices have become a useful tool for performing work. In the context of COVID-19 which has made digital transformation inevitable, the importance of mobile work behaviors - performing work tasks through mobile devices - is further highlighted. Drawing from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theory and cognitive appraisal theory of emotions, this study proposes that individual workers’ concern about getting infected by COVID-19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but positively related to mobile work behaviors. We further propose that leaders’ communality and agency trait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both job satisfaction and the increase of mobile work behaviors. Analyses of a matched dataset comprising survey data and mobile application usage data from 407 workers showed that their leaders’ agency and communa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However, their mobile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only to the communality of their le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managers who aim to understand and promote the technology adoption and knowledge productivity of workers in a pandemic situation.

      • KCI등재

        업무상 재해 경험의 심리적 극복에 대한 이론적 모형: 극복 이론과 반응(EVLN)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서현정,도보람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극복 이론과 불만족 반응 모형(EVLN)을 업무상 재해 맥락에 도입하여, 업무상 재해 경험 극복의 심리적 기제와 그 결과인 극복 행동을 고찰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업무상 재해 경험으로 인한 극복의 심리적 기제를 감정 중심과 문제 중심으로 구분하고, 감정 중심 극복은 순응과 태만행동으로, 문제 중심 극복의 경우 발언과 이탈 행동으로 이어짐을 제안하며 각 경우의 예시 행동을 현장의 업무상 재해 맥락에서 제공한다. 또한 구성원들이 높은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인식 및 직무열의를 가질 때, 발언이나순응행동과 같이 건설적이고 능동적인 업무상 재해 극복 행동이 더 강하게 증대될 것이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심리적 안전 풍토와 임파워먼트 풍토가 높은 조직 환경일수록 업무상 재해를 경험한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인식 및 직무열의가 감소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동영상 플랫폼상의 식품 광고 타겟팅의 효과: PC와 모바일 비교를 중심으로

        Li Yiling,도보람(Boram Do),장수령(Sue Ryung Chang),최정혜(Jeonghye Choi) 한국유통학회 2021 流通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식품 산업 내 디지털 광고 전략과 효과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광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타겟팅 전략이 식품 브랜드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러한 타겟팅 효과가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달라짐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동영상 플랫폼상의 사전광고 및 동영상 시청 데이터를 확보하고, 세 가지 타겟팅 전략이 식품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저관여 소비재인 식품 광고에 대한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먼저, PC에서 높은 조회수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인기 콘텐츠 타겟팅과 인구통계 및 시청 시간 중심의 오디언스 타겟팅 모두 콘텐츠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맥 타겟팅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바일에서는 문맥 타겟팅 대비 인기 콘텐츠 타겟팅의 긍정적인 효과는 약화되어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반면에, 오디언스 타겟팅의 긍정적인 효과도 약화되지만 모바일에서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여전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광고 타겟팅 전략과 디바이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지털 광고 문헌과 식품 기업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동영상 플랫폼상의 식품 광고 타겟팅의 효과: PC와 모바일 비교를 중심으로

        LI YILING,도보람,장수령,최정혜 한국유통학회 2022 流通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식품 산업 내 디지털 광고 전략과 효과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광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타겟팅 전략이 식품 브랜드의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러한 타겟팅 효과가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달라짐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동영상 플랫폼상의 사전광고 및 동영상 시청 데이터를 확보하고, 세 가지 타겟팅 전략이 식품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저관여 소비재인 식품 광고에 대한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먼저, PC에서 높은 조회수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인기 콘텐츠 타겟팅과 인구통계 및 시청 시간 중심의 오디언스 타겟팅 모두 콘텐츠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맥 타겟팅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바일에서는 문맥 타겟팅 대비 인기 콘텐츠 타겟팅의 긍정적인 효과는 약화되어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반면에, 오디언스 타겟팅의 긍정적인 효과도 약화되지만 모바일에서 광고 재생완료 여부에 여전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광고 타겟팅 전략과 디바이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디지털 광고 문헌과 식품 기업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직장 내 스트레스원과 긍정 정서에 대한 모바일 앱 사용의 조절 효과 연구

        김태년,윤여림,최정혜,도보람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

        Drawing from the job demand-control model, we proposed and tested a theoretical model of how the stressors in the workplace (i.e., challenge work stressors and hindrance work stressors) influence employees’ positive affect and how the mobile application usage, as a new form of leisure behaviors,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In an analysis of matched survey and mobile application usage data, we found that hindrance work stressors are negatively related to employees’ positive affect. Our findings further disclosed that these relationships were weakened when employees used mobile entertainment applications more. When employees used self-development applications more, howev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hallenge work stressors and positive affect was strengthen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work stress literature by shedding light on the roles of mobile application usage.

      • KCI등재

        R&D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Task Specialization and Met-Expectation

        이승윤,유성재,박성주,도보람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6

        In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rapid change and innovation. the need to maximize R&D performance and efficiency is paramount. In particular, science and engineering is one of the key areas that drive the development of current Korean economy. However, the qual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outputs of Korea indicated by science citation indices is much less than that of more developed countries, despite recent large investment in R&D activities. This suggests that there may be another important success factors in R&D productivity in addition to the R&D investment, and it is critical to discover the factor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factors that can improve R&D performance and effective ways to manage R&D professionals. One of the key social factors is known to enhance R&D performance is R&D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Despite endur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little has been discovered in terms of under what conditions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or weakened, This study suggests R&D workers’ task design as a key boundary condition, and analyzes the dynamics between task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ir combined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R&D professionals in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in Korea. For empirical test, data was collected from 695 Korean R&D professionals in 26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in Korea.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Korean R&D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identity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a worker perceives his or her work as a professional one, and the value the worker attaches to the work. Past research shows that knowledge workers exhibit higher performance when they possess professional identity or professionalism.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enhances job satisfaction which leads to higher performance. This research revealed that R&D professional’s strong identity increased job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ask specialization as a structural variable that can enhance R&D professionals’ job satisfaction. Knowledge workers such as R&D professionals tend to be career- oriented, rather than organization-oriented, so task specialization can be an important motivator for them. However, Korean R&D professionals tend to invest majority of their time on the activities other than research-oriented activities including research project development, market research, and administrative work. This study showed that R&D workers’ professional identity increas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stronger for those who invested most of his or time in research-oriented activities. Finally, this study found the influence of met-expectation (i.e., to the extent that the R&D professionals’ expectations on task specialization has been met) on the R&D professionals’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strength of professional identity. More specifically, the R&D professionals whose initial expectation on task specialization was met experienced stronger professional identity and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task specialization for R&D professional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청년세대의 집단주의 성향과 호감 및 행동 평가의 관계에 미치는 세대의 조절효과

        안세진(Sejin Ahn),도보람(Boram D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관련하여 해당 구성원의 세대별로 형성된 고정관념이 있음을 가정하고, 이에 부합하거나 반대되는 성향을 보이는 구성원(대상자)에 대해 사람들은 어떠한 평가를 하는지 기대위반이론(expectancy viol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대위반이론은 한 개인이 보여주는 긍정적인 성향이 해당 개인이 속한 사회적 범주의 고정관념을 위반하는 경우, 동일한 성향이 자신이 속한 사회적 범주의 고정관념에 부합하는 개인의 경우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는 이론이다. 이를 세대의 맥락에 적용하면 청년세대의 구성원이 소속된 세대의 고정관념에 반하는 긍정적 성향인 집단주의 성향을 보여줄 때, 기성세대가 동일한 집단주의 성향을 보일 때 보다 더욱 호의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상정할 수 있다. 실증적으로 먼저 277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 설문을 통하여 청년세대(20-30대 초반)가 기성세대(40대 후반 이상) 대비, 집단주의 성향이 낮고 개인주의 성향이 높다는 고정관념이 한국 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280명의 추가 패널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참가자는 집단주의 또는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청년세대(29세) 혹은 기성세대(50세) 대상자를 묘사하는 시나리오를 읽고 대상자를 동료로 상상하여 질문에 응답하도록 했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집단주의 성향일 때(개인주의 성향일 때보다) 평가자의 대상자에 대한 호감을 매개로 대상자의 도움행동 및 역할내행동 예측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집단주의-개인주의 조건 영향의 차이는 대상자가 청년세대일 때(기성세대일 때 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구성원과 관리자에게 세대 갈등 및 관리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고정관념 연구 확장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Assuming the stereotypes attached to younger and older generation employees regarding their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traits in organizations, this study draws from expectancy-violation theory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members showing counter-stereotypical behaviors are perceived and reacted to in organizational contexts. In the preliminary study,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277 panelists confirmed the assumed stereotypes that respondents believed the younger generation has stronger individualistic trait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In the main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n additional 280 panelists. Each participant read a scenario describing a younger or older protagonist with individualistic or collectivistic traits and was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imagining the protagonist as a co-worker.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protagonist's collectivistic traits are positively related to respondents' liking of the protagonist, higher expectations of the protagonist's in-role behaviors, and helping behaviors. In addition, these positive effects of collectivistic traits were stronger when the protagonist in the scenario belonged to the younger generation, thus showing counter-stereotypical traits, than in the case of the older generation showing stereotype-confirming traits.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stereotype literature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nagers interacting with others from different social catego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