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 내의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기업의 사례 연구

        노희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글로벌화 되어가면서 급격한 기술 변화와 함께 국경 없는 무차별 경쟁으로 커다란 변화과정을 거치고 있다. 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국에서는 정보 통신 분야에서 뒤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는 무한한 정보의 보고인 인터넷을 사용하는 도구인 IT와 인터넷에 퍼져 있는 정보를 읽어내는 영어능력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가 중요해 질수록 개인의 환경에 따라 영어 학습의 정도도 개인마다 차이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영어 격차가 생기게 된다. 우리 사회의 영어 격차는 사교육에 의한 투자에서 비롯되는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급성장하는 영어 사교육은 공교육의 변화 보다 훨씬 앞서고 있고, 이것이 다시 사교육 시장으로 사람들을 내몰아 영어의 ‘빈익빈 부익부’를 부추기고 있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 상황이다. 교육 분야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영어 격차는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요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영어는 채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연봉이나 인사고과를 책정하는 기준이 된 것은 이미 오래 전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업 내의 영어 격차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영어를 회사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A기업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 내에서 영어 격차는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지, 영어 격차가 직원들의 회사 생활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영어 격차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기업에 영어격차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알아본다. 영어격차가 존재한다면, 언제, 어떤 면에서 느끼는 것인지, 그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조사한다. 둘째, 영어격차는 직장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본다. 영어격차를 느끼는 상황에서, 느낌 및 태도는 어떠한지, 영어격차는 어떤 면에서 직장생활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다. 셋째, 영어격차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본다. 위의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해 A기업 직원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의 모든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모두 녹음한 후 전사하여 코딩하는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코더간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이 밖에도 지속적 관찰, 심층적 기술, 삼각측정법, 연구 참여자의 평가, 동료 검증, 참고 자료의 보관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뷰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업 내에서 직원들이 영어 격차를 느끼는 경우는 영어로 의사소통할 때와 업무 방법 및 결과에 차이가 있을 때이다. 말하고 들을 때 영어 격차를 가장 크게 느끼며 업무방법 및 결과의 차이에 있어서는 통역 절차가 필요할 때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격차가 생기는 원인은 영어 노출 정도의 차이, 개인의 특성의 차이, 조직의 특성의 차이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노출 정도의 차이에 있어서 영어 학습량이 가장 큰 차이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영어 격차가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는 영역으로는 인사고과, 업무 능력, 심리 및 태도로 나타났다. 특히 인사고과에의 영향을 가장 크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어 격차가 급여 차이와 업무의 확대 기회 및 교육의 기회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격차로 인한 심리적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응답자들이 말한 심리적 차이에는 자신감이 가장 큰 부분으로 나타났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의 경우 자신감, 우월감 등으로 드러나는가 하면 영어를 못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답답함, 위축감, 창피함 등 자신감과 정 반대의 작용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되는 영어 격차 해소 전략에 대해 개인 차원과 회사 차원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직원들은 개인적 학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회사 차원에서의 전략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에 개인 학습이 가장 우선되지만 회사 차원에서의 분위기 조성과 영어 사용 환경 조성이 함께 뒷받침되어야만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응답자의 전원이 영어 격차를 느끼고 있었고, 영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또한 영어격차 현상에 대한 해당 기업의 관리자 및 직원 스스로의 적극적인 관심과 적절한 해소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기업에서 외부 및 내부 교육과 영어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직원들이 학습을 중단하게 되는 요소를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효과적인 교육을 꾀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영어 격차 현상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Many corporations in Korea have a division between employees that speak English well, and those that don't. This is commonly referred to as English Divide.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at "English Divide" in a corpor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 of "A" corporation which uses English as the official language in the company.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English Divide developed in the company, the influence of English Divide on employees' work life, and effective ways to decrease English Divid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se goal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he existence of English Divide in a corporation in Korea. If there is English Divide, find out when employees feel English Divide and why. Second, examine how employees think English Divide influences their work life. Inquire about employees' feelings and attitudes when English Divide occurs. In addition to feelings, ask employees what other influences English Divide has on them. Third, investigate what employees think are effective strategies to decrease English Divide. To research the above questions,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y employees of "A" corporation were conducted. All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by agreement of the interviewees, transcribed, and then cod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tudy, reliability between coders was measured, and various methods were used such as constant observation, thick description,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peer debriefing, and referential adequacy. The interview results are below. Employees feel English Divide when they communicate in English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methods and results of tasks. They feel English Divide when they are speaking and listening. Also, they feel this when they need interpretation, use different methods, or achieve different task results compared to employees with a higher English ability. The reasons for English Divide are the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exposure to English, in personal qualities, and organizational situations. In particular, employees think that the quantity of English studying is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exposure to English. Employees indicated that performance evaluation, work ability, mentality, and attitude were influenced by English Divide. Performance evaluation had the biggest influence because English Divi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pay, determining opportunities to expand the work area, and training. Especially, we need focus on the differences caused by English Divide. Confidence is the biggest difference. Employees suggested a variety of effective strategies involving personal and company aspects to decrease English Divide. They think that personal studying is important, but they also demand much more support from the company. They think that it is effective for the company to make and support an atmosphere for using English. As mentioned above, employees think that English Divi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they spend much time and effort to study English. Companies should support employees' English learning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Also, companies should prepare a reasonable system to prevent employees from complaining about promotion and salary caused by English Divide. This study shows that the management and employees need to have their own positive concerns and reasonable strategies to decrease the English Divide phenomenon in the corporation.

      • 대학생의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충동성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노희주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fluence factor the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implusivity on gambl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impulsivity on moderating effect Self-Efficacy on Influence Gambl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ubjects of the study were total 265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The study was analyzed with t -test ,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using SPSS18 . 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impulsivity is effected on relating gambling motive to gambling behavior. Second, Self-Efficacyand family support is effected between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motive. Third, There is nothing to meaningful differences on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between impulsivity and gambling motive. Fourth,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s on not family support but Self-Efficacy between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motive. Fifth,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s on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n relating gambling motive to gambling behavior. Sixth,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s on gambling motive on relating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to gambling behavior. Last, there is not meaningful differences on gambling motive on relating impulsivity to gambling behavior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First, aiming to gambl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is initial adulthood, it can get to neigung of initial adulthood gambling. Second, we can understand that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motive is influence factor to effect on gambling behavior. So, Fixing irrational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motive, it can decrease to social cost cause from gambling. Third, we understood that family support is factor on gambling motive and gambling behavior. It can prevent the problem college students gambling to expanding family function. Fourth, Self-Efficacy is effect on gambling behavior and gambling motive. It is helpful to increasing Self-Efficacy by proper intervention about college students to increase of individu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e restriction on this research i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 gwangju city college students on subject of study. Second, I was looking for individual factors it's neccesary to get social factors after.

      • 소년원생의 교사애착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남녀별 자아정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희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년원생은 소년원 입소와 함께 외부환경과 교류가 단절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것을 강요받는다. 이러한 환경은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심한 경우 시설에서 지속적인 문제행동을 일으키도록 만들 수 있다. 소년원 문제행동은 시설의 질서를 무너뜨리고, 또 다른 폭력을 양산한다. 더불어 교정 효과성을 저해하여 출소 후 재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국내 소년 재범률이 심각한 수준에 있음을 고려했을 때, 소년원에서의 문제행동은 소년 범죄 관리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다.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다양한 이론을 통해 설명되고 있다. 그중 Hirshi의 사회유대이론은 사회에 대한 개인의 유대가 약하거나 깨졌을 때 비행이 일어난다고 설명하며, 네 가지 구성요인 중 애착을 중요하게 다룬다. 애착은 다양한 대상에 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에 따르면 소년원 교사 또한 소년의 비행을 억제하는 좋은 사회적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범죄 중단에 관한 인지이론은 사회유대뿐만 아니라 인지적 요인도 비행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다양한 인지적 요인 중에서도 자아정체성은 주요 연구 대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자아정체성의 긍정적인 변화는 범죄 중단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다만, 범죄의 양상과 원인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경로이론에 따르면, 성별에 따라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여성은 관계적 요인과 자아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소년원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소년원 교사 애착, 자아정체성에 주목하여, 소년원 교사 애착과 소년원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조절효과가 남성과 여성 소년원생 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2018년 실시한 '소년원 출원생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중 1차 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소년원 송치처분을 받은 20세 미만의 자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3가지 이론적 배경과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최종적인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소년원 교사 애착이 소년원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주요변수의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종속변수, 독립변수로 설정한 소년원 문제행동과 소년원 교사 애착의 평균값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소년원 교사 애착이 소년원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여성과 남성 집단 모두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여성 소년원생 집단에서, 소년원 교사 애착과 자아정체성 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소년원 교사 애착이 여성 소년원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성은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졌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가진 집단에서는 교사 애착이 좋아질수록 문제행동이 감소하였으나, 부정적인 자아정체성을 가진 집단에서는 교사 애착이 좋아질수록 문제행동이 증가하였다. 한편, 남성 집단에서는 자아정체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년원생의 문제행동을 연구할 때, 성별 차이에 기반한 접근법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법이 소년원 문제행동을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반으로, 소년원 문제행동과 각종 소년범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Juvenile students are cut off from their external environment and forced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as they enter the juvenile center. This environment causes mental and physical stress, and in severe cases, can lead to continuous problematic behavior in the facility.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destroys the order of the facility and contributes to further violence. Moreover, it can be a major cause of recidivism after release, hindering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on. Given the serious level of juvenile recidivism in Korea, addressing problematic behavior in juvenile detention centers is crucial for effective juvenile crime management. Various theories explain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 Among those theories, Hirschi's theory of social bonds posits that delinquency occurs when an individual's bond with society is weak or broken. Among the four constituent factors of social bond theory, attachment is treated as important. Attachment can be formed with various objects, and studies indicate that teachers in juvenile detention centers can function as a valuable social resource that suppresses juvenile delinquency. Additionally, cognitive factors, including self-identity, have been shown to help suppress delinquency. Positive changes in self-identity have been empirically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 However, the patterns and causes of crime may differ according to gender. According to the path theory, there are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problem behavior, particularly women are more affected by relational and self-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blem behavior of detained juvenil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to the attachment of teachers in juvenile detention centers and self-identity of juvenile students.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lf-identi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teacher attachment and juvenile problem behavior. Additionally, the study classified groups according to gender to verify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differ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Panel Survey on Juvenile Detention Inmates" in 2018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Specifically, data from the first point were used, focusing on those under the age of 20 who were sent to juvenile detention centers.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concurrently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s. First,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on problem behavior in adolescent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is, the study’s model and hypotheses are established. Subsequentl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PSS program to verify the final research model, aiming to determine whether self-identity moderates the effect of attachment to teachers in juvenile detention centers on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Particularly, the average values of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and teacher attachment, set a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differed by gender,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on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was not significant, and this held true for both female and male groups. Third, in the female juvenile group, the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between teacher attachment and self-identity. Self-identity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on female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Further examination revealed that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decreased as teacher attachment improved in the group with positive self-identity, while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increased as teacher attachment improved in the group with negative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in the male group,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ident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pproach based on gender differences is important when studying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various factors can be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Bas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depth research on juvenile institutional misconduct and various juvenile crim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노희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증가로 초고령 사회의 진입이 예상되는 상황에 놓여있으며, 치매 노인 증가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 노인 증가에 비약물적 요법을 활용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보완대체요법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운동요법과 행동활성화요법을 기반 설정하였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세부 프로그램은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행동활성화요법을 함께 적용하는 걷기 운동 기반 4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뉴얼에 대한 평가를 거쳐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검증 받았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60세 이상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모집하였다. 대상자 선정 요건에 따라 52인이 모집되었으며 실험군 27인과 대조군 25인으로 분류하여 실험군은 4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효과성 검증 도구는 한국판 간이 정신진단 검사(MMSE-K), 언어유창성(Verbal Fluency), 혈압, 심박수, 보행속도(Usual Gait Speed), 일어서서 걷기(Timed Up & Go)를 사용하였다. 효과성 검증 결과, 인지 기능의 한국판 간이 정신진단 검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언어유창성의 하위 범주 중 음소유창성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증가했으나 범주유창성은 긍정적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생리 기능의 혈압 중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감소하였으나 심박수는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 기능은 보행속도와 일어서서 걷기 모두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추적관리 인터뷰 결과, 운동 습관 형성과 신체 능력 향상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대두되고 있는 고령 노인 증가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치매 노인 증가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법을 활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도 인지장애 노인 대상 효과성 분석을 위한 신뢰성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유의한 효과성을 도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신체 기능 저하와 심리적 우울감의 주요 개선 방법으로 여겨지는 운동 습관의 형성에 큰 도움을 주어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현 시대에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보급을 통해 노인 증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하여 사회·경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is facing the impending transition to an ultra-aged socie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rising number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being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addressing the increase in dementia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by developing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lled fores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activation therapy, which a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dementia and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o have a higher risk of developing dementia compared to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To achieve the objectives, appropriate study site were selected, and a detailed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ing of four sessions based on walking exercises with the incorporation of behavior activation therapy, was validated as an appropriate program through assessments of its suitability for the target site and the program manua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forest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aged 60 and abov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Ultimately, 52 individuals were recruited, with 27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rogram for four weeks. The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Verbal Fluency, blood pressure, resting heart rate, Usual Gait Speed (UGS), and Timed Up & Go (TUG). The results of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gnitive function as measured by the MMSE-K, an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mentic fluency, the sub category of verbal fluency, the phonemic fluency showed an increase. Regarding physiological func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a de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lthough not significant),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resting heart rate.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s, both UGS and TUG improv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telemonitoring interviews confirmed the formation of exercise habits and improvements in physical abiliti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veloping a forest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various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posed by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It also contributes by selecting reliabl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mong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riving significant outcomes. Moreover, it proves the efficacy of the program as an intervention for preventing dementia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considered a major method for improving the risk factors of dementia, such as declining physical functions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Therefore, in an era of rapid aging,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forest therapy program aimed at preventing dementia and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among older adults, and through its widespread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olving the issue of increasing dementia cases and make socio-economic contrib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