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운영과 효과

        노희연 ( Hee Yeon Noh ),김민정 ( Min Jeung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운영과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의 효율적인 부모교육 실시를 위한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기간은 2005년 4월 11일부터 6월 12일까지 총 62일간이며,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 지역의 00유치원 6세반에 함께 재원하고 있는 여아들의 어머니 5명이다. 연구기간 동안의 지속적인 카페 운영과 3회의 정기 모임, 강연, 개인 저널과 메일,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로는 카페에 쓴 글과 정기 모임 전사본, 면담 전사본, 개인 저널, 메일 내용 등이며, 이를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운영’에서는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주로 친분을 목적으로 하는 글과 좋은 부모가 되고자 하는 다짐의 내용들이 매우 활발하게 개진되었던 것에 반해, 중기에는 부모교육의 내용을 직접 실천해보고자 하는 실천적인 글과 그에 대한 반성과 혼란, 격려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후기에는 부모교육을 통한 자신과 자녀의 변화를 긍정적으로 자각하며 이를 실천적인 지식으로 계속 적용하려는 의지와 자신감을 나타냈다.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효과’로는 가족간의 긍정적인 관계다지기, 자신과 자녀 새롭게 인식하기, 이해하고 존중하며 실천하기, 친밀하고 적극적인 조력자 되기 등의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향후 온라인상의 동호회의 성격을 활용한 부모교육에서는 rapport 형성기간에 대한 배려, 주 관리자의 필요성,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병행, 함께 공유할 내용에 대한 준비 등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 to develop efficient on-line parents education by exploring the management and impact of the parents education through Internet Cafe. As subjects of the study, five mothers who have six-year-old daughters in the same class from kindergarten in Kyunggi, Korea have been targeted. The study has been proceeded for 62 days from April 11 to June 12, 2005. Through continuous Internet Cafe activities, three times of periodical meeting, lectures, e-mails, personal journal and several personal interviews with the abovementioned mothers, the researchers organized and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These data were scrutin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With utilizing this procedure, the study analyzes the management and impact of the parents education through internet cafe. As a result of that, the management of the parents education is divided into three characteristic stages id. the initial, the middle and the late stag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mpact of parents education through Internet Caf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among others were namely, “Positive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Recognizing newly about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Understanding, Respecting Each Other”; “Being an Intimate and Positive Mentor.”

      • KCI등재

        영아의 배변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의 의미 탐색

        노희연(Noh Hee-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배변학습과정을 질적으로 관찰하여 이를 이해하고 영아에게 있어서 배변학습과정에서의 놀이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영아의 양육과 보육에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변학습과정을 겪고 있는 1세 영아를 대상으로 1년동안의 삶 속에서 관찰과 어머니와의 인터뷰, 어머니의 블로그, 연구자의 현장일지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영아 배변학습과정에서의 놀이의 의미는 ‘기저귀에 대한 친숙함을 표현하는 놀이’, ‘기저귀와 분리를 위한 놀이’, ‘새로운 대상의 발견으로서의 놀이’, ‘연습으로서의 놀이’, ‘격려와 지원으로서의 놀이’ 로 나타났다. 놀이는 결국 영아가 배변학습을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므로 양육자는 영아의 배변학습을 위해 놀이의 의미를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er was interested in the meaning of play in the course of the toilet learning for a toddler. So the researcher wanted to give educational views to the caring and rearing field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This research used a qualitative method and observed a one-year old toddler for a yea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by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mother, blog of the mother and field notes of the researcher.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meaning of play is to make a toddler familiar with diapers, the second meaning of play is to help the separation from diapers, the third meaning of play is to find out a new thing instead of the diapers, the forth meaning of play is the exercise for the toilet learning and the fifth meaning of play is to support the toilet learning. Finally caring people ha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lay for the toilet learning and supporting the toilet learning.

      • KCI등재

        0세 영아를 위한 신체운동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노희연(Hee Yeon No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0세 영아의 신체운동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이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세 영아의 신체운동능력 발달과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고 0세 영아 신체운동능력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0세 영아들을 위한 신체운동능력 발달의 내용을 대근육 발달과 소근육 발달로 구분하여 각각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활동을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0세 영아의 대소근육 발달을 통한 신체운동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이며, 내용은 영아의 몸을 움직이는 경험과 다양한 교재교구를 다루어 보는 경험을 하는 것이며, 교수학습방법을 모방을 통한 학습과 반복을 통한 학습이며, 교사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상호작용자, 시범자, 촉진자, 관찰자, 평가자이며 평가는 교사 관찰을 통한 체크리스트, 일화기록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motor skill program for supporting 6-12month Infant. The researcher organized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supporting systems, and evaluation of this program.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support the motor skill of 6-12month infant with various physical activitie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nsist of large motor skill and fine motor skill.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is program is imitation and repetition. The teacher interact, observe and motivate infants in this program. The evaluation method is the checklist and recording through the observation.

      • KCI등재

        영아기 자녀 양육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노희연 ( Hee Yeon No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영아들을 양육하고 있는 영아들의 어머니들이 각 양육 상황별로 어떠한 양육행동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영아 어머니들의 양육행동에 관한 적절한 지침을 세워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들이며, 모두 180 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영아의 수면지도, 이유, 식생활지도, 배변훈련, 사회 정서적 행동 지도를 위한 영아 어머니들의 양육행동을 묻는 것으로 각 상황별 영아 어머니들이 대답한 문항에 대한 빈도를 구해 분석하였다. 영아의 수면 지도 시 영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조사해 본 결과 영아 어머니는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자장가를 불러준다’, ‘안거나 업는다’, ‘원하는 대로 해준다’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이유 시에는 ‘떼야 되는 이유를 계속하여 설명해 준다’, ‘아이가 보는 데서 혹은 아이와 같이 젖병을 버리고 예쁜 컵과 그릇을 사와 음식을 담아준다’, ‘아이가 원하는대로 해준다’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다. 식생활 지도 시에는 ‘혼자 하겠다고 하면 내버려 둔다’, ‘유아용 의자와 도구를 마련해 준다’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배변 훈련 시에는 ‘자녀가 대소변을 하고 싶은 지 수시로 살피고 물어본다’, ‘수시로 변기로 데려가 쉬, 응가 라고 말한다’,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고, 사회 정서적 행동 지도 시에는 ‘다른 것으로 관심을 돌리게 한다’, ‘타당한 이유로 고집을 피울 때는 원하는 대로 해준다’, ‘화를 내거나 달랜다’ 등의 양육행동을 많이 보였다. 결국 어머니들은 영아기 자녀 양육 시 일관된 양육행동유형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의 양육행동을 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통해 영아기 자녀를 바르게 양육하기 위한 양육지침이 될 만한 교육과 상담 경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상황 별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더욱 깊이 있게 관찰하여 양육상담이나 양육프로그램을 위한 실제적인 정보를 줄 수 있는 질적연구의 필요성과 특별히 어머니와 영아 간에 갈등을 많이 일으키는 상황을 중심으로 적절한 상호작용를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써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ring behavior of infants and toddler`s mothers when they guide the behavior of sleeping, the eating habit, the weaning, the toilet learning and the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180 copies were sent out to mothers, 108 copies recollected that were answered questions given exactly. SPSSWIN program has been taken over for analysis of the data, the frequency was applied for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st of the of mothers ‘sang a lullaby or told a story’ or ‘huged or carried a child on her back’ or ‘do what the children want’ to guide for the sleeping habit. Second, Most of the mothers ‘explained the reason of weaning’ or ‘throw the baby bottle showing that for the toddler and bought a new cup’ or ‘do what the children want’ to guide for weaning. Third, Most of the mothers ‘let a child do what he wants’ or ‘prepared the materials for eating’ to guide for eating habits. Forth, Most of the mothers ‘asked if a child want to evacuate’ or ‘took a child to the pot’ for toilet learning. Fifth, Most of the mothers ‘took one`s mind off’ or ‘get angry and sooth’ to guide the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knew the rearing behavio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aring situation, so felt the need of the special program for the mothers. Through the practical rearing program, the mothers will be supported for rearing.

      • KCI등재

        어린이집에서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들이 경험하는 예술경험의 의미

        노희연(Noh, Hee-Yeon),윤춘모(Yoon, Chun-M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8

        본 연구는 영아가 경험하는 다양한 예술경험을 질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영아의 경험을 좀 더 의미있게 보고 그 속에서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고 영아 예술교육에 관한 접근법을 고려해볼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시 K어린이집에서 2016년 6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영아반을 관찰하고 예술경험과 관련된 맥락을 찾아내려고 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들의 예술경험은 어린이집 하루일과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는데, 음악, 미술, 춤, 극놀이와 관련된 예술경험이 골고루 나타났다. 예술경험을 크게 예술적 요소 탐색하기와 예술 표현하기, 예술 감상하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영아들은 예술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였다. 예술적 요소 탐색하기에서는 소리와 모양, 색깔, 움직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으며, 예술 표현하기에서는 음악, 미술, 춤, 극놀이로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예술 감상하기에서는 자연과 사물 감상하기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영아들은 자연스런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예술경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영아를 위한 예술경험 지도를 위해 교사가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한 접근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xt of art experiences of infants in child care, provides guidance to teachers about teaching art to infants, and examin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first, How infants experience the art? second, What art experience means for infants? The study observed three classes of infants in child care for four months in Seoul by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outcomes and implications. First, the infants explored artistic elements, such as sound, movement, shape and color. Second, the infants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music, painting, movement and dramatic play. Third, the infants enjoyed art. In conclusion, the infants experienced various art through daily routine in child care and teachers supported infants` art experiences with the appropriate interaction. In conclusion, infants search the artistic elements and express by art. In addition, infants can appreciate the art.

      • KCI등재

        놀이 상황을 통해 본 영아의 전이 경험

        노희연(Noh Hee-Yeon),박찬옥(Park Cha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영아가 낯선 놀이상황을 접하고 전이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방식을 질적인 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각각 21개월, 25개월, 28개월 된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제3의 놀이상황을 만들어 놓고 연구 참여자들이 참여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연구결과 영아들은 낯선 놀이 환경을 처음 접했을 때 '어머니를 안전기지로 삼기', '방관자적 행동', '자신 돌보기' 행동을 보였으며, 새로운 놀이 환경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영아들은 '능동적 놀이주체로의 변화', '새로운 놀이 창안자로의 변화', '공간적인 영역의 확장', '상호작용 대상의 확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oddler's transition experience focusing on interactions of her toddler-environment, toddler-toy, toddler-toy-mother and toddler-toy-peers when they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 dyads of mothers and their toddlers who were 21-, 25-, and 28-months old. The researcher provided toys and play environments for toddlers, and observed their play behaviors in laboratory room. The cases were collected by narrative observations on from 1, July until 30, October. Minute field notes were carried out by field jotting and recording. The cases were analyzed after coding and categorization. In this study, Toddlers played an increasingly active role on play environments. Toddlers who participated in the laboratory environment for this study showed anxiety symptom during the early adaptation period. They showed the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mother and observations, and showed the behaviors taking care of themselves. But they actively explored the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ed with peers at the end of the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 감각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노희연(Noh Hee-Yeon),박찬옥(Park Chan-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2

        본 연구는 영아의 주변 세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감각 활용능력을 기름으로써 적극적으로 주변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영아를 위한 감각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영아들의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평가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논문 및 자료들의 문헌고찰을 토대로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 감각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영아들의 감각 탐색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를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연물을 이용한 영아감각탐색 프로그램은 영아들이 적극적으로 대상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영아들은 다양한 탐색방법을 모색하여 주변 세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주된 학습능력인 감각 탐색능력을 격려하여 학습가능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ensory exploration program with natural objects designed for enhancing infant’s explor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of world around them. We organized educational goals, contents methods, supporting systems, and evaluation of this program. And then We verified the effects of the sensory exploration program for toddler with natural objects through the qualitative method. In conclusion, the sensory exploration program for toddler with natural objects has been proven to improve toddler’s explor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the world around th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nsory exploration program for toddler with natural objects has the potential as an program that encourage toddler’s exploration ability and develop learning possibility.

      • KCI등재

        예비 보육교사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연구

        노희연 ( Hee Yeon Noh ),김현자 ( Hyun Ja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그림책을 좀 더 다양하고 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바른 인식 함양과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사가 되기 이전인 예비 교사 시기부터 그림책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그림책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고 그들의 인식을 근거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여 그림책에 대한 예비 보육교사들의 생각, 느낌, 선정기준, 활용방법을 조사 연구하여 예비교사들을 교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 그림책의 활용방법, 그림책의 선정기준에 관한 개방형 질문지를 작성하여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은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알아본 결과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 특히 교훈적인 내용, 지식과 정보, 사회 정서 발달 적인 측면을 많이 떠올렸고, 재미나 감동 등의 그림책에 수반되는 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생각들도 있었다. 그림책의 활용방법으로는 유아의 생각이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경향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확장활동을 위한 매개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생각하는 경향도 있었다. 그림책의 선정기준으로는 그림책의 내용을 선정기준으로 생각하고 있는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 그림책의 표지와 그림을 선정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비보육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은 영유아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가르치기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 한정되어 있었으며, 선정 기준이나 활용방법에 대한 인식 또한 제한되어 있으므로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그림책에 대한 좀 더 다양한 가치와 접근 방법들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pective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bout the storybook. Although the importance of storybook is well known, there is limited use of storybook in the field. To make good use of storybook, specially the role of teacher is important. So this study inquired the perspectives of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about the storybook to approach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the storybook on the basis of their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prospective teachers recognized the storybook have the educational value which can teach instructive lessons; second, participants tended to agree that the thoughts and attitudes are changed by the medium of storybook; third, participants told that they will choose the storybook which include the educational factors for children. Finally, we know that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torybook is limited, so educators for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 must try to provide more various contents about the storybook.

      • KCI등재

        영아의 이유과정 이해

        박찬옥(Park Chan-Ok),노희연(Noh Hee-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영아의 이유과정을 질적으로 관찰하여 이를 이해하고 영아에게 있어서 이유과정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영아의 양육과 보육에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유과정을 겪고 있는 1세 영아를 대상으로 1년 동안의 삶 속에서 관찰과 어머니와의 인터뷰, 어머니의 블로그, 연구자의 현장일지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영아 이유과정의 특성은 어머니의 의도로 시작된 이유과정이라 할지라도 새로운 대상과 상황으로 전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결국에는 어머니의 젖이 아닌 새로운 대상과 상황으로 편안하게 전이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영아의 이유과정이란 단순히 어머니 젖이라는 구체적 대상과의 분리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 젖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적 분리가 일어나는 과정으로 영아의 준비도와 영아의 의지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the weaning course of the toddler. So the researcher wanted to give the educational views to the care and rearing field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This research used the qualitative method and the researcher observed a one-year old toddler for a yea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by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mother, blog of the mother and field notes of the researcher,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toddle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weaning course even though her mother initiated the weaning process in an effort to separate the baby from the breast feeding. In the weaning course the toddler was also confused and felt difficult because of the new objects and situation, but the baby tried to adapt to the new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wants to point out that the weaning course should be considered from view points of toddlers and the adults understand the toddler's psychological anxie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현자(Kim Hyun-Ja),노희연(Noh Hee-Yeon),이영(Lee 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예비유아교사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교육, 보육과 관련된 국내 학술지 6개를 선정하여 그 내용을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와 관련하여 연구유형은 질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질적인 자료수집방법이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은 4년제 유아교육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주제는 교사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예비교사와 관련된 연구들이 좀더 다양한 자료와 분석방법으로 시행되고,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방법과 내용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studies o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and gives suggestions on further studies. On that purpose, this study selects 6 local journals of child education & educare, and analyzes those classified contents by research type, method of data collection, method of data analysis, object on research, & subject on research. As a result, we can find the major tendencies on the studie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i.e Research type as the Quality study, Method of Data collection as the Quantity collection, Method of Data Analysis as Quality Analysis, Object on Research as Senior students, majored in Child education at University & Subject on Research as Teachers' Character.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should diversify the way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the study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ry to achieve more various education way and contents o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