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9-2011년 신종 인플루엔자 A (H1N1)와 계절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경과 비교

        양송이 ( Song I Yang ),노정희 ( Jung Hee Rho ),선용한 ( Yong Han Sun ),조강호 ( Kang Ho Cho ),심소연 ( So Yeon Shim ),은병욱 ( Byung Wook Eun ),김지은 ( Jee Eun Kim ),손동우 ( Dong Woo S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3

        Purpose: Pandemic influenza viruses have caused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Pandemic influenza A (H1N1) was detected in April 2009 and caused worldwide outbreak.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between pandemic and seasonal influenza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patients, (≤18 years) with influenza hospitalized to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from the 1 April 2009 to the 31 August 2011. Results: Two hundred twenty-six patients with pandemic influenza and 118 patients with seasonal influenza were included. Age, sex, and proportion of underlying diseas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Hypoxemia, shortness of breath, and tachypnea were more common in pandemic influenza.(P <0.05) Oxygen supplementation and radiologically confirmed pneumonia were more common in pandemic influenza.(P <0.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ization, proportion of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and death. Conclusion: Pandemic influenza caused more frequently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and pneumonia. However, the courses of pandemic influenza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seasonal influenza; probably, due to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including antiviral therapy.

      • KCI등재

        임신 중 체중증가가 제왕절개 후 자연분만(VBAC)의 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

        오현명 ( Hyun Myeong Oh ),안옥주 ( Ok Joo Ahn ),이순표 ( Soon Pyo Lee ),이경훈 ( Gyoung Hoon Lee ),박혜원 ( Hey Won Park ),황병철 ( Byung Cheul Hwang ),노정희 ( Jung Hee Rho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3

        목적: 임신 중 체중증가가 VBAC의 성공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MRI)를 이용하여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과도한 체중증가가 VBAC 성공에 risk factor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VBAC을 시도한 산모 1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공군 92명(82.1%), 실패군 20명(17.9%)의 임상적 특정을 비교하였다. 산모의 신장기록이 없던 36명을 제외한 76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분만일에서 마지막으로 측정한 체중을 기준으로 MRI를 구하여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를 통해서 VBAC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MRI 값을 알아보았다. 또한 정상과 과체중을 구분 짓는 MRI 26 미만과 MRI 26 이상을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상적 특정을 조사하였고 임신 중 체중의 증가에 따른 각 임상적 변수간의 차이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한편 VBAC성공군 실패군 사이의 각 변수간 차이는 Chi-square검정, 및 Fisher`s exact test을 이용하여 비교하여 p<0.05을 의미 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1. VBAC의 성공군과 실패군 간의 임상적인 특징을 보면 임신 중 산모의 체증증가가 성공군 1l.2±3.7 kg, 실패군 13.2±4.7 k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VBAC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MRI값의 유용성에 대한 검사에서 MRI 26을 기준으로 한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p=0.837). 3. MRI 26 미만의 정상체중군에서 과체중군보다 산전진찰 방문 횟수가 더 많았고, 산모의 출생시 체중이 더 가벼웠으며, 산모의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가 더 작았으며, 촉진제 사용 빈도도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생아 출생체중도 더 가벼웠다. 결론: MRI값은 VBAC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는 데는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임신기간 중 체중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은 산모에서 VBAC의 성공률 높일 수 있는 여러 임상적 특정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객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예측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gain and the success of VBAC by using body mass index (BMI).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gain and the success of VBAC by using body mass index (BMI). Methods: The study compared clinical features taken from 112 patients who tried VBAC at our institute from January 2001 through December 2006. Ther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92 patients for the success (82.1 %) and 20 patients for the failure group (17.9%). Excluding 36 patients with no BMI data, we constructed Receive-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 to make the optimum BMI value for the prediction of success of VBAC. Based on the BMI 26 or more, two groups of patient were surveyed the interrelation between weight gain and success of VBAC. Results: Between success and failure group, th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are 11.2±4 kg of the success group and 13.2±5 kg of the other one (p<0.05). A survey on the availability of the BMI date to estimate success of VBAC, the criteria with the standard BMI 26 is not statistically valuable (p=0.837). By comparing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based on BMI 26, some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number of prenatal visit, maternal weight gain, maternal weight at the time of delivery, use of oxytocin and birth weight. Conclusion: BMI value of 26 has limitations in using as an estimate criteria on success of VBAC. Patients, however, who had relatively small scale of weight gain, showed significant clinical factors to increased success rate of VBAC.

      • 크산틴 산화효소의 라디칼 생성에 대한 EDTA의 착물 효과

        이덕재,구재관,노정희,이인,홍욱희 인제대학교 1995 仁濟醫學 Vol.16 No.1

        크산틴 산화효소의 라디칼 생성에 있어서 EDTA의 착물효과를 알아보았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라디칼의 양을 측정하였는데, methional이 라디칼과 반응하여 생성된 에틸렌을 headspace가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라디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크산틴 산화효소를 EDTA와 반응시켰을 때 생성된 에틸렌은 산과 알칼리 용액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는데, 산성 용액에서의 크산틴 산화효소는 H3Y-와 Y-4와 반응하였다. 즉 크산틴 산화효소가 EDTA와 착물을 형성할 때의 EDTA는 3과 6의 리간드에서 착물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series of experiment was conduced to evaluated the effect of EDTA on radical production by xantine oxidase. Radical production was indirectly measured with the amount of ethylene produced by the reaction of methinal with radicals, using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headspace sampler. When xanthine oxidase was added to EDTA, ethylene production increased at alkali and acid solution. In the acid solution, xantine oxidase was reacted by HY- and Y4-. As above, Xanthine oxidase complex produced by the reaction of xanthine oxidase with 3 or 6 lig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