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지분형 크라우드펀딩 규제에 관한 연구

        노은영 ( Eun Young Roh ),국정훈 ( Jeong Hoon Guk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中國硏究 Vol.66 No.-

        Crowdfunding in China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financing method for ventur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at experience difficulties fulfilling the conditions of getting listed on the stock market. Especially, a few have suggested that crowdfunding should be designated as the fifth new market and be included as one of the multi-layer policy of the capital market. The China Securities Regulatory Commission, a supervision institution for equity crowdfunding, has set up the regulations for the equity crowdfunding platform on August 2015, and has even designated equity crowdfunding as one of the 5 major businesses of the China Securities Regulatory Commission in 2016. Under such active suppor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equity crowdfunding is on the rise as a new method of financing in the Chinese capit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future prospects and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key legal issues related to the much discussed equity crowdfunding in China.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the concepts and classes of equity crowdfunding in China, as well as similar concepts shall be examined in Chapter 2. Furthermore, equity crowdfunding in China shall be classified into public equity crowdfunding and private equity crowdfunding according to the openness and transparency of the fundraising, which will then be discussed and suggestions of its future prospects and implications (Chapter 3, 4) for Korea shall then be made based on related legal issues and precedents (Chapter 5)

      • KCI등재

        중국의 P2P금융 규제에 관한 연구

        노은영 ( Roh Eun-you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8 상사판례연구 Vol.31 No.3

        중국에서 P2P금융이란, 개체(個體)와 개체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진행하는 직접적인 대출을 의미하여 계약법과 민법통칙 상의 규제대상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기업이 본인이 지배하는 소액대출회사를 통하여 온라인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소액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소액대출도 P2P금융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중국의 P2P금융 시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18년 시장규모는 한화 51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최초의 P2P금융 서비스업체인 'PaiPaiDai’가 2007년 설립된 이래 그 동안 국유기업에 밀려 상대적으로 제도권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웠던 중소형기업, 그리고 개인의 투자수단 등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한 P2P금융은 중국 정부의 인터넷금융 지원정책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그 법적지위가 불명확하고 관련 규제 등이 미비하다는 점이 최근 문제플랫폼의 급속한 증가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P2P금융의 최신 규제이슈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중국의 규제방향에 대하여 전망해보고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P2P금융의 개념과 특징, 시장현황과 중국 P2P금융의 성장배경에 대해 살펴보고(Ⅱ), P2P금융에 대한 중국의 법제 현황 및 쟁점사항에 대하여 고찰할 것이다(Ⅲ). 그리고 최근 발생한 부실플랫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국의 최신 규제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Ⅳ). In China, P2P finance refers to direct lending between individuals through an online platform, which is stipulated to be regulated by the contract law and civil law. In addition, online microcredit, which provides microcredit services to customers through online by an internet firm’s microcredit company, is also considered as a form of P2P finance. China's P2P finance market is growing fast every year and is expected to reach 510 trillion KRW in 2018. Since the establishment of China's first P2P finance services company, 'PaiPaiDai', P2P finance industry has rapidly grown in China as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hich had a difficulty of raising financing through institutionalized banking system before, grew with the help of governmental internet banking support policies and attracted individual financial investors. However, its unclear legal status and insufficient related regulations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reason for the rapid increase of improperly-run platforms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direction of China in the future by looking into the latest regulatory issues of P2P financ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I look into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2P finance in China,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and the growth background of P2P finance in China (Ⅱ),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legal system in P2P finance (Ⅲ). I also study the latest regulation in China to solve the recent problem of the improperly-run platforms (Ⅳ).

      • KCI등재

        중국 인터넷금융의 감독법제에 관한 연구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증권법학회 2015 증권법연구 Vol.16 No.2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금융(互??金融, Internet Finance)이란 용어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논의되고 있는 핀테크(Financial Technique, FinTech)와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올해 초 개최되었던 양회(??)의 정부업무보고에서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는 중국 인터넷금융의 발전을 “새로운 세력의 갑작스런 출현(??突起)”이라는 표현과 함께 그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터넷금융의 발전을 위해 다방면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는 2014년도 정부업무보고에서 “인터넷금융 발전을 촉진시키겠다”라는 추상적인 표현을 사용했던 것에 비해 구체적으로 제도적 기반 구축을 언급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최근 중국에서 인터넷금융은 중국 금융업뿐 아니라 중국 사회 전반을 이해하는 핵심용어가 되었다. 2014년 말 기준, 중국의 인터넷금융 이용자수는 전체 인터넷 이용자 수의 62%에 해당하는 4억여 명에 달하고 있으며, 인터넷금융 시장규모도 10조 위안(약 1,800조원)을 돌파하였다. 본고에서는 최근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금융의 감독법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중국 내 인터넷금융의 의미와 서비스 영역, 법률관계 등을 중국인민은행과 중국최고인민법원의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금융의 분야별 감독법제 현황과 쟁점사항, 문제점 및 입법동향 등에 대해 검토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중국 금융제도의 변화를 전망해보고, 중국 인터넷금융의 경험과 법제 준비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여러 가지 규제 속에서 부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Finance in China hit its stride with Alibaba selling a financial instrument ‘Yuebao’ online in June, 2013, and for this reason, China is making the year 2013 as the first year of Internet Finance. The craze for Chinese Internet Finance triggered by Yuebao is leading to the Internet bank formation by an Internet business like Tencent, together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existing P2P Internet loan like ppdai, continuing to grow into a financial innovation model for financing for smaller businesses, reformation of the state-owned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clusive Finance. This paper is to set up the supervisory legislation of the Internet finance in China which is recently continuing rapid growth as the study object, and to look into the meaning and business area of the Internet finance in China, and legal relation thereof, etc.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presented by the People’s Bank of China and the Chinese Supreme People’s Court. In addition, this paper is intending to examine the legislative system status, problems and legislation trend according to the business area of the Internet finance.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is paper is aimed at forecasting the changes of the Chinese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time to come and providing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Korean FinTech Industry which becomes sluggish in the midst of many regulations.

      • KCI등재

        중국 비은행 지급결제기관의 모바일결제에 관한 규제 연구

        노은영 ( Eun-young Roh ) 한국금융법학회 2019 金融法硏究 Vol.16 No.3

        중국은 다른 국가와 달리 현금사회에서 신용카드 사용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모바일결제 단계로 진입하면서, 시장규모 4경원이라는 글로벌 최대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중국의 모바일결제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는 IT기업의 기술개발, 전자상거래 산업의 발전, 현금사용 기피에 따른 소비자 수요증대 등의 요인 외에도 정부의 모바일결제시장에 대한 제도적 기반 구축과 빅테크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 등이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모바일결제의 규제감독기관인 중국인민은행은 2010년 관련법 제정을 통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금융기관에 대해 ‘비은행 결제기관’이라는 법적지위를 명확히 하며 은행업 금융기관과는 다른 별도의 규제체계를 마련하였다. 또한 결제업무를 영위하기 위한 라이센스인 ‘결제업무허가증’ 취득을 의무화하는 등의 진입규제, 리스크 관리시스템 구축 및 정보공개 내용 등에 대한 행위규제 및 건전성 규제에 대한 법안을 제정하면서 금융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구체적인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결제협회가 제정하는 자율규범과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내부기준의 비중도 높은 편인데, 이러한 모바일결제 분야에서 중국의 선제적 운영 경험과 중국 정부의 빅테크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 연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비은행 지급결제기관으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성장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주도의 중국 모바일결제 시장현황과 주요 법제에 대해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중국의 모바일결제 시장규모와 주요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다(II장). 그리고 비은행 지급결제기관의 모바일결제 서비스 관련 주요 개념정의와 함께 입법현황 및 주요 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III장), 모바일결제 분야의 감독기관과 소비자보호 이슈에 대해 검토하였다(IV장).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모바일결제 시장 확대를 위한 규제방안 마련 및 전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V장).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China’s simple payments(mobile payments) show that as China jumped from cash society to mobile payment society, skipping the stage of credit cards unlike other countries, the Chinese government’s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big-tech support policies played an instrumental role in addition to factors such as IT industry’s technology development, e-commerce industry development and consumer demand growth until it grew into the world's largest market with a market size of 4 quadrillion won. The People’s Bank of China, the regulatory watchdog of mobile payments, clarified the legal status of non-financial institutions that provide payment services as a “non-bank payment agency” through the enactment of relevant laws in 2010, and prepared a separate regulatory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banking industry. It also supports financial innovation by enacting bills on regulations for entry such as mandating the acquisition of ‘certificate for payment business’, behavioral regulations such as establishment of risk management system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gulations for soundness. As for the specific operation method, the self-regulation established by the Payment Association and the internal standards prepared by the operators themselves occupied a large share. Research on China's preemptive operation experiences in mobile payments and the Chines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or big-tech companies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 KCI등재

        창작 뮤지컬 의상 디자인 연구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 뮤지컬 작품의 무대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여 실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창작 뮤지컬의 무대의상 제작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창작 뮤지컬의 작품 분석과 무대의상의 기획 · 디자인 · 제작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택한 뮤지컬은 2016년 11월 16일에서 20일까지 5일간 서경대학교 문예홀에서 공연된 ‘청 이야기’이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작 분석결과와 연출가의 연출의도를 토대로 뮤지컬 의상을 기획하고 디자인하였다. 또한, 디자인에는 무대의상의 요소와 원리를 기초로 현대적 이미지가 반영되고 캐릭터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여자 배역들은 X형 실루엣의 원피스 드레스, 남자 배역들은 H형 실루엣의 포 형식의 코트를 기본으로 디자인하였다. 동양적인 이미지는 서플리스 네크라인과 전개형(前開型) 디자인을 활용하였다. 각 인물들의 특징은 컬러, 소재, 디자인 원리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계급은 소재와 대칭 · 비대칭균형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둘째, 작품의 분석에서 공연의상 디자인 및 제작을 거쳐 창작 뮤지컬 공연에서의 실제 사용과정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duction process of a stage costume for a creative musical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a real-size costume through planning & designing of the stage costume for a creative musical work. The study limited its research scope to work analysis of a creative musical, and planning, design, and production of a stage costum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Cheong Story’ which was performed at MOONYE HALL of Seokyeong University for five days from Nov. 16 to 20, 2016.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d theoretical research with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lanned and designed the musical costum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director’s directing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made a design which could reflect a modern image and express characters’ image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a stage costume. Also, this study made a design of one-piece dress in X-type silhouette for female parts, and a coat of bracket set system of H-type silhouette for male parts as a base respectively. To create an Oriental image, this study utilized surplice neckline and extensive-form design. In addition, this study utilized color, materials and design principles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of each character, and particularly, expressed a rank by utilizing materials and the balance between symmetry and asymmetry. Second, in the analysis of a work, this study showed an actual use process of a costume in a creative musical through design and production of a performance costume.

      • KCI등재

        문화소비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 인식과 소비의도 비교

        노은영(Eun Young Roh),박은정(Eun Jung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소비성향을 기준으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분류하여 문화예술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별 소비자의 문화소비성향을 파악하고,세분된 문화소비 집단별로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어떤 유형의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이 향후 시장에서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며, 문화소비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의도를 조사하여 문화예술상품의 기획과 제작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의 수집을 위해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본조사는 2012년 11월 24일부터12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751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분산분석(Duncan-test), 요인분석(주성분분석법, Varimax), 신뢰도분석, 군집분석(K-means)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문화소비성향은 ‘가치 소비’, ‘우월적 소비’, ‘합리적 소비’, ‘유행 추구적 소비’, ‘정보공유적 소비’, ‘상징적 소비’, ‘자기만족적 소비’로 분류되었다.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인식은 ‘확장성’과 ‘미래지향성’, ‘감성적 체험’, ‘감성욕구 자극’, ‘사회적 교류’, ‘문화수준 충족’, ‘예술수용 용이성’, ‘전통적 가치 저하’로 분류되었다.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의도는 ‘확장적 공연문화 소비의도’와 ‘기술지향적 공연문화 소비의도’, ‘기술지향적 패션문화 소비의도’, ‘상황적 소비의도’, ‘확장적 패션문화 소비의도’, ‘대중문화 소비의도’로 분류되었다. 둘째, 문화소비성향의 차원을 기준으로 분류된 세집단의 소비 실태와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인식과 소비의도는 다음과 같다. ‘상징적 소비형(37.9%)’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거나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높고 광고와 정보의 영향을 받는다. ‘확장성’, ‘미래지향성’, ‘감성적 체험’, ‘감성욕구 자극’으로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을 인식하며, 새로운디지털기술과 융합되어 미래지향적 특성을 지니며 다른 영역들 간의 구분이 서로 모호해져서 생기게 되는새로운 특성을 가진 상품이라고 인식한다. 하이브리드문화예술상품의 소비의도에서는 ‘기술지향적 소비의도’는 낮지만, ‘대중문화 소비의도’와 ‘확장적 공연문화소비의도’는 높다. ‘우월적 소비형(37.0%)’은 유행을 따르거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여 문화예술상품을 소비하는 경향이 높다.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다른 집단에 비해 ‘사회적 교류’와 ‘전통적 가치 저하’는 높으며 ‘확장성’, ‘미래지향성’,‘감성적 체험’, ‘감성욕구 자극’은 낮다. 즉, 하이브리드문화예술상품이 예술분야의 품격을 떨어뜨리고 정통예술분야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인식한다. 하이브리드문화예술상품의 소비의도는 ‘대중문화 소비의도’, ‘확장적 공연문화 소비의도’, ‘상황적 소비의도’, ‘확장적패션문화 소비의도’는 낮으며 ‘기술지향적 패션문화소비의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일반 대중들에게 보편적이지 않은 디지털지향적 패션에 대한 소비의 도가높게 나타난 것은 이 집단의 과시적 성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자기주도적 소비형(25.0%)’은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할 때 작품성이나 예술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가격에 비해 품질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관련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 문화예술상품을 소비하고, 소비 후에 다른 사람들과 그 정보를 공유하는 경향이 높다.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인식은 ‘사회적 교류’와 ‘전통적 가치 저하’에서 낮고, ‘확장성’, ‘감성욕구 자극’, ‘감성적체험’, ‘미래지향성’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즉,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이 문화의 다양성을 넓히고 예술의 영역과 개념을 확대시켜주며 창의적인 발상을 가능하게 하고 예술·감각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으로 예술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의 소비의도는 전반적으로 ‘확장적 공연문화 소비의도’, ‘확장적 패션문화 소비의도’, ‘상황적 소비의도’가 높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상징적 소비형’은 사회적인 교류와 대인 관계를 중요시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좋은 하이브리드 문화예술상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월적 소비형’은 대인과의 관계를 중요시하지만 형식이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데는 적극적이지 않는 성향을 가진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자기주도적 소비형’은 하이브리드문화예술상품의 실질적 소비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우월적 소비형’은 낮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segmentation of the culture-art market by classifying the consumers of culture-art package on the basis of cultural consumption inclination, confirmation of what type of Hybrid culture-art package will have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in the later market by grasping the perception of Hybrid culture-art package by the segmented culture consumption group, and proposal of the basis data that will be helpful to planning & making of culture-art package by surveying the consumer’s intention of Hybrid culture-art package consequent on cultural consumption typ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or 14days (Nov. 24.~Dec. 7. 2012). Responses of 751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OVA, Factorial analysis, Cronbach’s alpha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ith SPSS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ultural consumption propensity was classified into ‘valuable consumption’, ‘superior consumption’, ‘rational consumption’, ‘seeking fashion consumption’, ‘self-contentment consumption’, ‘information sharing consumption’, ‘symbolic consuming’. The recognition of hybrid culture-art products was classed as ‘extensive’, ‘future-oriented’, ‘emotional experience’, ‘sensibility desire stimulus’, ‘the cultural level satisfaction’, ‘social interchange’, ‘art-acceptance easiness’, ‘traditional values degeneracy’, consump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ultural consumption was classified into ‘extensive performing art-consuming intention’, ‘technologyoriented performing art-consuming intention’, ‘situational consuming intention’, ‘extensive fashion cultureconsuming intention’, ‘pop culture consuming intention’. Second, the results that cultural consumption propensity, re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consump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cultural consumption in three groups divided by the propensity to consume-wide as follows. Symbolic consuming group(37.9%) had a tendency purchasing cultureart products to keep relationship with men neighboring, were affected by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The awareness of hybrid cultureart product were ‘extensive’, ‘future- oriented’, ‘emotional experience’, ‘sensibility desire stimulus’, which showed that they recognized hybrid cultureart as a new product future-oriented under digital convergence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domains seemed to have blurred. ‘Extensive performing art-consuming intention’ was high ranked, while ‘technology oriented’, ‘performing art-consuming intention’ were low-ranked in consumption propensity of hybrid cultureart products. Superior consuming group(37.0%) tend to purchase hybrid cultureart products in self-conscious about others for maintaining dignity, following the trend. The awareness of hybrid culture-art products were ‘social interchange’, ‘traditional values degeneracy’ as high ranked, while ‘extensive’, ‘future-oriented’, ‘emotional experience’, ‘sensibility desire stimulus’ as low ranked. These results showed superior consuming group regarded hybrid culture-art products as an effective in social relationship however it was detracting and might shrink authentic art too. The recognition of hybrid culture-art products in this group were that ‘technology oriented fashion art-consuming intention’ high ranked while, ‘pop culture consuming intention’, ‘extensive performing culture-consuming intention’, ‘situatiolal consuming intention’, and ‘extensive fashion culture-consuming intention’ as low-ranked. The result of high ranked ‘digital-oriented fashion’ showed that this group had the conspicuous propensity of consume for hybrid art productions. Self-contentment consumption group(25.0%) had a tendency to consume artistic valuable products compraison with price, seek and shared information of cuitureart products with others. The awareness of hybrid cultureart products showed that ‘extensive’, ‘situational consuming intention’, ‘emotional experience’, ‘future-oriented’ were in high ranked while, ‘so

      • KCI등재

        중국 국유상업은행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 연구

        노은영(Roh, Eun-Young),강효백(Kang, Hyo-Baik) 경희대학교경희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2

        중국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을 시작으로 시장경제 체제를 받아들인 후, 장쩌민과 후진타오 정권을 통하여 경제의 외연을 넓히며 세계 경제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시켜 왔다. 하지만 평균 9%성장이라는 경제성과에 비하여 중국 금융시장의 발전은 더딘 편이었다. 중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한 삼자기업법이 70~80년대에 제정되었던 것과 달리 금융시장의 근간이 되는 『인민은행법』과 『상업은행법』은 1995년에 와서야 비로소 제정된 것만 보아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01년 WTO 가입을 기점으로 금융시장의 점진적인 개방을 약속한중국정부는 자국 금융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게 되었고, 그 결과 최근에는금융영역에서도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 금융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추진한 정책 중 대표적인것이 바로 4대 국유상업은행의 지배구조에 대한 개혁이다. 그리고 2002년 6월 인민은행이 『주식제 상업은행 지배구조 지침』과 『주식제 상업은행 사외이사 및 외 부감 사 지침』을 연이어 발표하며 국유상업은행 지배구조 개혁을 위한 법률적기반을 마련하였고, 2003년 공산당 16기 3중 전회를 통과한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 개선에 관한 결정』을 통하여 은행의 지배구조 개선을 국가적 차원의 정책 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은행지배구조에 대한 중국의 선제적 법제준비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중국 금융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식 사회주의 법률체계가 은행지배구조와 관련한 정책 및 법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After initially accepting market economy by Deng Xiaoping’s revolutionary opening, China has been strengthening economic influence within world economy, expanding economic frontiers by political regime of Jiang Zemin and Hu Jintao. However, in comparison with economic growth at an average rate of 9%, Chinese financial market was slow in growth. This can be induced from the fact that the enactment of 『People’s Bank of China Law』 and 『Commercial Banking Law』 as the base of the financial market were enacted only in 1995, while Three Capital-Related Laws was enacted already in 1970s and 1980s taking the role of growth engine for Chinese economy. However, starting from entry into WTO system in 2001 with the promise of gradual opening of financial market, Chinese government focused o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domestic financial industry. Resultantly, China is recently expanding influence in financial area as well. The most outstanding policy among the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financial industry was the governance restructuring on four state owned commercial banks. And in June of 2002, PBOC established the legal base for state owned commercial banks’ governance restructuring, by announcing 『Share based commercial banks’ governance guideline』 and 『Outside directors and external audit guideline for share based commercial bank』 successively, In 2003, China proceeded improvement of banks’ governance as national level policy by 『The decision on improvement of socialist market economic regime』 adopted at Communist Party 16th period 3rd Central Committ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nhancing understanding on Chinese financial system as well as analyzing how Chinese style socialist legal system was reflected in the policies and legal system related with bank governance, by studying China’s anticipatory legal system preparation case on bank governa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내 스타일테크(StyleTech) 비즈니스의 현황과 분석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타일테크 비즈니스의 개념을 살펴보고 유형을 분류 · 분석하여 국내 스타일 산업의 기술 융합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스타일테크의 개념과 해외의 대표적인 스타일테크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스타일테크 기업의 현황을 유형화하기 위해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는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스타일테크 용어가 첫 보도된 2019년부터 2021년 1월까지의 자료들이며, 이 자료는 국내 대표적인 검색엔진인 네이버와 구글에서 ‘스타일테크’ 관련용어로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수집한 자료들은 2021년 3월 현재 자사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타일테크 비즈니스 유형은 서비스의 방향성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 및 추천 서비스, AR · VR 기반 가상체험 및 사이즈 측정 서비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제품 공유 및 대여 서비스, 개인별 데이터 기반 맞춤형 제조 서비스, AI 활용 B2B 솔루션 및 디자인 기획 서비스, 기타 서비스로 분류되었다. 소비자 입장에서 봤을 때 스타일테크 비즈니스가 추구하는 방향은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AI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이다. 둘째, AR · VR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가상공간에서 제품을 확인하고 구매함으로써 구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이다. 셋째, 기업과 소비자가 지속가능을 실천하는 플랫폼이다. 넷째, 소비자가 자신만을 위한 특화된 제품을 설계하고 제공받는 개인 맞춤 생산서비스이다. 다섯째, 기업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B2B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스타일테크 비즈니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styletech business in Korea, and classify and analyze typ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nvergence &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style industry in Korea. The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that investigated representative overseas style tech cases and analyzed related cases to categoriz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tyle tech compan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styletech and representative cases of styletech abroad, and to analyze related cases to categoriz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tyletech companies. The subject of analysis is data from 2019, when the term styletech was first reported, to January 2021, an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with terms related to ‘styletech’ in Google and Naver, the leading domestic search engine. 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target was limited to companies that maintain their own website or mobile app as of March 2021.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ervice, styletech business was classified into big data analysis and recommendation services; AR & VR-based virtual experience and size measurement services; product sharing and rental services through data analysis; personal data-based customized manufacturing services, AI-enabled B2B solutions and design planning services; and other services.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the direction that styletech business pursue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First, it is a curation that accurately identifies consumers’ tastes and recommends products that can satisfy them through big data analysis using AI. Second, it is a platform that enables consumers to increase purchasing efficiency by checking and purchasing products in virtual spaces using AR & VR technologies. Third, it is a platform where companies and consumers practice sustainability. Fourth, it is a personalized production service in which consumers design and receive specialized products only for themselves. Fifth, it is a B2B business platform that can win-win with compan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vitalize the styletech business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 KCI등재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표현방식 연구

        노은영(Roh, Eu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희곡이나 소설에서 출발하여 뮤지컬, 연극 등의 무대공연용 예술로 재가공되고 영화 같은 영상상영용 예술로 재가공되는 작품의 의상을 비교하여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디자인 표현방식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에서 공연 및 상영된 ‘스위니 토드’의 주요 등장인물들의 뮤지컬 의상과 영화의상이다. 연구의 범위는 두 장르에 등장하는 동일 인물들 중 주요 배역들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고찰과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요소 중 형태와 소재에 비해 색상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형태는 아이템과 실루엣에서 유사하게 표현되었고, 소재는 영화의상이 뮤지컬의상보다 고급 소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뮤지컬의상이 영화의상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두 장르 모두 역사적 고증에 기초한 시대의상으로 디자인되었다. 뮤지컬의상은 완벽한 재현이 아닌 당대를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영화의상은 대체로 정확하게 고증되어 디자인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현대적 해석도 가미되었다. 셋째, 뮤지컬의상은 인물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색상의 차이와 변화를 이용하였고, 영화의상은 아이템, 실루엣, 소재의 사실적인 표현 방법을 이용하였다. 넷째, 뮤지컬에서는 연출가의 개성보다 무대상영이라는 공연의 특성이 부각되었고, 영화에서는 감독의 개성이 영화 전체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의상의 표현에도 드러났다. 다섯째, 뮤지컬은 공연의 원활한 진행과 배우의 움직임 및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의상을 사용하여 퀵체인지의 수를 줄인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보다는 공연에 적합한 의상디자인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카메라의 근접 촬영을 통해 사실적인 촬영이 가능하므로 의상디자인 제약이 적고 장면에 어울리는 의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을 통해 재현된 다양한 의상디자인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은 시대적 배경과 공간적 배경을 표현하고 등장인물들 각각의 캐릭터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시각적 요소이자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비언어적 도구이다. 장르별로 의상을 표현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표현양식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표현 특징에 차이가 있다. 장르별 의상디자인 기획 및 제작 과정에 대한 부분을 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관련 분야의 의상디자이너 전공자 및 실무자의 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a design expression mode of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by comparing the costume of works which are reprocessed as the art for a stage performance like musicals and theatricals, etc., and the art for an imagery performance like a movie starting from a drama, or a novel. The study subjects include the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of the main characters of ‘Sweeney Todd’ which has been performed and screened in Korea.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main cast members among the same characters appeared in both genres.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were used as the methods for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finite difference in color in comparison with forms and materials among design elements. Also,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a form was expressed similarly in items and silhouettes while fine quality materials were more used in movie costume than in musical costume; in addition, color was used more diversely in musical costume than in movie costume. Second, both of the two genres were designed as period costume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Musical costume was created by the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time dramatically other than a flawless reproduction. Movi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on the whole, and in some cases, modern interpretation was also added to movie costume. Third, musical costume used mainly the difference and variations of color to express personalities of characters while movie costume used a graphical expression technique of items, silhouette and materials. Fourth, in musical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age showing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a director’s personality, and in movies, a director’s personality had an influence on the whole of a movie, which was exposed even in the expression of costume. Fifth, musicals were found to reduce the number of quick changes using the minimum costume for the sake of smooth progress of a performance, actors and actresses’ movements and safety. It seems that a musical might pursue costume design suited for a performance rather than background research to meet its purpose. In contrast, it’s possible for a movie to do realistic filming through the close-up of a camera, so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costume design, and the costume fit for a scene is available. Accordingly, it seems that diverse costume designs, which are reproduced through background research, are feasible for its purpose. Putting the above things together,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are important visual elements for expressing time setting, and spatial background as well as respectiv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also non-verbal tools leading a narrative.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costume expression by genre, and also in expression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ccording to an expression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