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이중 변화형태 모형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분류 및 예측

        노언경 ( Un Kyung No ),홍세희 ( Se 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변화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동시에 추정하고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 초4패널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잠재계층을 동시에 도출하기 위해 준모수적 집단중심 접근방법의 확장모형인 이중 변화형태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따돌림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각각 2개의 잠재계층들로 분류되었고, 변화형태에 따라 가해 저수준 집단과 가해 중간감소 집단, 피해 무경험 집단과 피해 지속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가해경험 잠재계층에는 성별, 공격성, 친구의 폭력이, 피해경험 잠재계층에는 성별, 우울 및 불안, 공격성, 부모와 친구의 폭력, 부모와 친구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집단따돌림을 경험하는 초기 청소년들을 위한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국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은 이중 변화형태 모형을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early adolescents` bullying and victimized experiences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classes. For these research goals, we used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which is 5-year longitudinal data from 4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2nd graders of middle school.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in bullying and victimized experience simultaneously, we applied dual trajectory model by extending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bullying and victimized experience, respectively, have two latent classes. The latent classes were defined as low-level bullying group, midium-decreasing bullying group, no-victimized group, and continuous victimized group according to their trajectory patterns. Gender, aggression, and friends` viol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ed latent classes. However, depression/anxiety, parents` violence, and stress from parents or friends affected siginificantly the victimized latent classes only.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ing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ho experience bullying and victimization. The present study also contributed methodologically by applying an advanced, novel statistical model, dual trajectory model, to substantive issu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노언경(Un Kyung No),김경미(Kyoung Mi Kim)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한 보육교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상태에 따른 사직 및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내·외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만족도, 난이도, 효능감, 스트레스)에 따라 유형을 분류해 보고, 각 유형의 특징을 살펴본 후, 유형에 따라 사직 및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에 실시한 보육실태조사에 응답한 3,40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은 '만족도·효능감 고수준 집단(31.6%)’,‘일반 집단(56.9%)’,‘만족도·효능감 저수준 집단(2.3%)’,‘난이도·스트레스 고수준 집단(9.2%)’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형화된 네 가지 집단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상태, 자녀현황, 기관유형, 총 근무경력, 현 어린이집 근무경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난이도·스트레스 고수준 집단’은 사직 및 이직의도가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상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it is necessary to stably secure healthy childcar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ign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te and to explore internal and external improvement measur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ate of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difficulty, efficacy, and stres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and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signation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latent profi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3,400 respondents of a childcare survey conducted in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a high-level satisfaction and efficacy group (31.6%), a general group (56.9%), a low-level satisfaction and efficacy group (2.3%), and a high-level difficulty and stress group (9.2%).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ategorized groups, including age, marital status, child status, institutional type, total work experience, and current work experience at daycare centers, were examined. The high-level difficulty and stres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resign and turnov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status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의 변화 양상

        노언경(No, Unkyung),이현정(Lee, Hyunjung),이은수(Lee, Eunsoo),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청소년의 학교폭력은 행복한 학교생활을 저해하는 요소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으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6차 자료 중 292개 학교에 속한 중학생 3,627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multilevel growth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탄력성, 교우관계,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별, 자기통제력,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생예방교육, 교직원예방교육, 학교만족도, 교사인식,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경험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교수준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은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위계적 자료의 성장모형을 다변량으로 검증하였기에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자세한 논의와 정책적 함의는 아래에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trajectories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4th-6th wave, containing data from 3,627 middle school students. Multivariate multilevel latent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school decreased through middle school 1st grade to 3rd grade. Second, the student level, gender, resilienc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victimization and gender, self-control,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bullying. Third, at the school level, schoo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bullying. Finally, our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 · 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노언경(No, Unkyung),정송(Jung, So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 청소년의 비행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가족, 학교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년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비행의 잠재 프로파일은 모두 4개로 각각 분류되었으며, 그 형태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음주 ? 폭행 ? 도박을 많이 하는 집단, 절도를 많이 하는 집단, 흡연 ? 음주를 많이 하는 집단, 비행을 거의 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중학생의 경우에는 모든 비행을 중간 수준으로 하는 집단, 대부분의 비행이 높은 수준이며 특히 무단결석을 많이 하는 집단, 음주 ? 음란물 관련 비행을 많이 하는 집단, 비행을 거의 하지 않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초등학생은 성별, 정서조절, 낙관주의, 학업유능감이, 중학생은 성별, 정서조절, 가족관계의 질, 부모정서지원, 학업유능감, 친구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대규모 자료로 아동 ? 청소년 집단이 어떤 유형의 비행 형태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 비행 유형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영향요인들을 검증하였으므로, 비행 예방과 적절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delinquency patterns of children,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profiles. We used the surve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collected in 2011,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latent profi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e., drinking/violence/gambling group, theft group, smoking/drinking group, and low-level delinquency group) 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e., middle-level delinquency group, high delinquency and absence group, drinking/pornography group, and low-level delinquency grou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emotional regulation, optimism, and academic competenc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On the other h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motional regulation,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parental emotional support, academic competence, and friend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appropriat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the future delinquency of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 유형 분류 및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검증

        노언경(No, Un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애학습역량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를 위해 수집한 대학생 1,000명 자료를 활용하여 9가지 생애학습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잠재프로파일의 예측요인으로 성별, 학업성취, 지각된 경제수준, 가족 내 학습지지를, 결과요인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역량 수준에 따라 3가지 잠재프로파일(저역량, 중역량, 고역량)이 도출되었으며, 예측요인으로는 성별, 지각된 경제수준, 가족 내 학습지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잠재프로파일별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생애학습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profiles of th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can be called the cor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with the relevant variables. To achieve the purpos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nine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using data collected by 1,000 university students for the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I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distal outcomes and gender, academic performance,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family learning support wer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s. As a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low, middle, and high competencies) were derived depending on the level of competency, and among the predictors, gender, perceived economic level, and family learning support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each latent profile were differ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showed similar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were presented,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서울시 고3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중·고등학교수준 영향요인 검증 :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노언경 ( No Unkyung ),임혜정 ( Lim Hyejung ),손수경 ( Son Soo Kyoung ),김수혜 ( Kim Suehye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을 개인 및 학교수준에서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급을 동시에 고려한 교차분류무선효과모형(CCREM: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의 최종 성취도인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도에 대해 개인수준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학교 시기의 교우관계와는 부적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시기에 교사의 학생성취에 대한 기대 및 학교수준의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분위기가 고등학교 3학년 수학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울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 관련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dividual and school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using data from 4th wave to 9th wave of the 4<sup>th</sup>-grade panel i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SELS: 2010). In particular, we apply the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CCREM) into unpacking the black box of achievement gap from a detailed perspective of the input- Process-output model in which various factors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ecause the SELS 2010 cohort students were cross-classified by the middle school as well as by the high school, the CCREM approach properly accounts for the cross-classified data structure. Drawing on a methodological rigor of the CCREM, our study analyzes multiple membership random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Seoul city. Key findings of our study demonstrate that mathematics achievement of 12th grader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 what extent students have spent in private tutoring during their high school years. Also,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igh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SELS 2010. Meanwhile, those with a strong peer attachment in the middle school years are likely to show a low achievement of the mathematics assessment. In terms of school effect, we find that teacher’s expectations and school climate seriously matter for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achievement gap in Seoul city.

      • KCI등재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교폭력 집단 분류와 개인 및 학교요인 검증

        노언경 ( Unkyung No ),이은수 ( Eunsoo Lee ),이현정 ( Hyunjung Lee ),홍세희 ( Sehee H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잠재집단이 각 유형별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따라 어떻게 나눠지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에 개인과 학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2010)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5차 자료 중 학교폭력을 한번 이상 경험한 학생 2,195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층 잠재프로파일 모형(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을 종류별, 수준별로 모두 고려하였을 때 가해피해 고수준집단(1.7%), 가해위주집단(2.1%), 피해위주집단(3.7%), 언어적 폭력경험집단(92.5%)의 4가지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 검증 결과, 학생수준에서 성별, 탄력성, 자기통제력, 친구관계, 부모자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학교수준에서 교사학생관계, 학교폭력 예방교육, 학교 내 성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경험을 모두 포함하여 빈도별, 유형별로 집단을 한 번에 분류하여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였고, 다층자료임을 반영하여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을 동시에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school violence depending on bullying and victimized experience by type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For these research goal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5th wave, containing data from 2,195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s more than once. Multilevel latent profile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high-level bullying and victimized group (1.7%), mainly bullying group(2.1%), mainly victimized group(3.7%), verbal bullying and victimized group(92.5%). Gender, resilience, selfcontrol, peer relationship, parent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at student lev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chool violence prevention, gender ratio of school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at school level. The present study contributed to extending theoretical discussions by classifying students into groups based on frequency and different form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oreover,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student and school level simultaneously by dealing with multilevel data.

      • KCI등재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노언경(No Un-Kyung),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른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개인·가족·학교·또래·지역사회체계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 사용 목적에 따라 4가지 잠재프로파일, 구체적으로 소통위주집단, 저사용집단, 중간사용집단, 위험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결과, 여자 청소년이거나 또래와 의사소통이 잘 되거나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소통위주집단에, 학습활동을 잘 하거나 학교규칙을 잘 지키는 청소년일수록 저사용집단에, 또래에 대한 신뢰수준이 높거나 소외감 느낄수록 중간사용집단에, 남자 청소년은 위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 밖에 부모감독과 부모애정 변수, 교사관계 변수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비행 등을 예방하고, 올바른 컴퓨터 사용을 위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profiles) in the motivations of adolescents’ use of computers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 on determining these latent profil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ppli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ir response patterns; the communication-based group, the low-level using group, the intermediate-level using group, the risky group. By testing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 all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parental control), parental attachment,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s.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use of computers and to prevent delinquency related to excessive computer use.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노언경 ( Un Kyung No ),홍세희 ( Se Hee Hong ),이현정 ( Hyun Jung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1 조사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의 다양한 변화형태를 추정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적합도(전공적합도, 교육수준적합도, 기술수준적합도)와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년패널 2001의 만 15∼29세 청년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의 잠재계층을 동시에 도출하기 위해 준모수적 집단중심 접근 방법의 확장모형인 이중 변화형태 모형(dual trajectory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도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은 4개로 분류되었고, 변화형태에 따라 증가집단, 감소집단, 중간수준집단, 고수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직의사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은 3개로 분류되었고, 변화형태에 따라 저수준집단, 유지집단, 급감소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시간의존적 변수인 전공적합도, 교육수준적합도, 기술수준적합도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도가 낮거나 이직의사가 높은 집단에는 교육수준 적합도 또는 기술수준적합도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오랜 기간 직무만 족도가 낮거나 이직의사를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청년 취업자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잠재계층 모형을 확장시켜 두 가지 변수의 잠재계층을 동시에 도출하고, 그 잠재계층을 결정짓는 데 미치는 시간의존적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증하는 종단연구 방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youth employees` trajectori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2) to test the effects of person-job fit(major fit, education level fit, skill level fi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using Youth Panel 2001. In order to estimate latent classes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changes simultaneously and study probabilities linking latent class membership in trajectory across the two variables, we applied dual trajectory model, an extension of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Results showed that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for job satisfaction, which were defined, based on the trajectory patterns, as increasing group, decreasing group, medium-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And, three latent classes estimated for turnover intention were defined as low-level group, maintaining group, and rapidly decreasing group. To test the effects of person-job fit variables, we added the variables as time-dependant variable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The effect of education level fit and skill level fit were found significant in the groups which are low in job satisfaction and have high in turnover inten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rajectory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youth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o capture the dynamic dimension of overlap between the two constr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