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레인지의 조작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념모델에 관한 연구 : 태스크 플로우와 버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노미진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We are living in communications with everything as well as human beings millions times a day as we are unaware. How well I deliver our ideas to right direction as we intended, whether the counterpart or equipment receives and performs my message correctly, and how satisfactory the performance result i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come mixed even in a day. The concept of interface had been only understood as hardware or software in merely mechanical terms in the past. The contemporary concept of interface transformed to the means that help the human and replace their works as shape and function were separate thanks to technology advancement; the users face difficulties in use of product, and it comes beyond the concept as a simple tool. It gets to do the good communication role between the product and the human. The initial design in the mechanic times was that the shape followed the function. The technology to make a product was not good enough then and also the relation of the form and the function was viewed with the direct product. That means that how to use and handle is guessed and used easily when the product is looked. This is how it went in the earlier times than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echnology. Yet, it is regarded important for a user to see how to handle the product merely with looking at it. Nevertheless, this problem grew as products got electronized along with the times of science development and IT. Thanks to micro chip, the modern electric products are shaped with separate shape and function and furthermore developed to have multi-functions. Accordingly, it became difficult to find a clue how to use or operate products from the design and even to use them in the easy and correct way. Ahead of this, we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 of the products and the human not as one-way handling in the past but mutual communication process now. Mutual communication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for both a product and a user to exchange messages. The message to the product is about how to use. This sends the message that a user understand how to use the product and order to operate. The product receiving the message sends back a feedback on the operation, by whic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t and the human. To make this process, the user model about handling method of one product should be same as the actual product’s handling method. As past products of the mechanical times had been shaped closed related with function, a user could guess how to handle equipments, handle them as intended and guess consequences. Of course, the guess was right. However, in the modern times of the technology, the product is developed as product shape does not need much association with function and changing product shape goes simple. By this, the clue telling how to handle the product is hardly found from the shape and users undergo confusions while using and handling the product. This mean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t and the user goes harder.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the product going multi-functional requires more knowledge of moderners to use equipment. This led to many problems in human-product communications by the design not considered users. User interface should be designed for good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ts and be developed for easy understanding and easy use. This study was about interface concept model to improve handling of microwave range and was made mainly about relevance of task flow and buttons. In order to make the right understanding of interface and to make users use the product easily as intended, it tried to find solutions with case studies, suggest excellent concept model and prepare base frame applicable to the actual design works. The study process with the said purpose was done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tion set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 suggested where the product design should go in consideration of its trend. Chapter III looked at interface concept, purpose of interface design and interface process to understand the interface concept. Chapter IV dealt with mental model, human error and task to solve the problems and groped why the problems occur and how to solve. Chapter V suggested concept model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by which the relevance of task flow and buttons was identified and the efficiency of the handling was compared. The study was made with the hope that the foregoing content would be applied to microwave range design, which eventually becomes the design giving users satisfaction. 우리는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하루에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빈번하게 인간뿐만 아니라 그 밖에 모든 것과 대화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것을 자기가 원하는 생각과 방향으로 얼마나 잘 전달하고, 그 전달 메시지를 상대방이나 혹은 기기들이 정확히 내가 요구한 것을 제대로 받아들이고 수행하고 있는지, 그 수행결과에 얼마나 만족하는 것인지 하루에도 불만과 만족이 교차한다. 과거에는 단순히 기계적인 의미로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만 이해되었던 인터페이스의 개념은, 현대에 와서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제품의 형태와 기능이 분리되어지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부딪히며 단순한 도구의 개념에서 벗어나 인간을 도와주고 대신해서 일을 하는 수단으로 변화 되었다. 제품과 인간의 제대로 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처음 기계시대의 디자인이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것이었다. 제품을 만드는 기술도 미약했을 뿐만 아니라 형태와 기능의 상호관계는 직접적인 제품의 가시화로 나타났다. 이것은 제품을 보고 사용방법, 조작방법을 쉽게 예측하고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테크놀로지의 눈부신 발전 이전의 초기 시대의 이야기를 의미하며, 지금도 여전히 이 기능, 즉 사용자가 제품을 보는 것만으로도 조작방법을 알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제품이 전자화 되어감에 따라 이 문제점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현대의 제품은 마이크로 칩으로 전자제품의 형태와 기능이 분리되어진 모습을 갖게 되었고 더욱이 다기능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품의 디자인만 보고는 어떠한 형태적인 단서로도 제품의 작동하는 방법이나 작동에 관한 단서를 찾기 어렵게 되었으며, 더 깊게는 쉽고 정확하게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이에 앞서 우리는 제품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하여 과거의 일방적인 조작방법에서 벗어나 상호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제품과 사용자가 서로 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제품에 메시지는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내용은 사용자가 제품의 사용방법을 이해하고 작동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고, 그 메시지를 받은 제품은 작동에 관하여 피드백으로 돌려줌으로써 제품과 인간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 제품의 조작방법에 관한 사용자 모델이 실제 제품의 조작방식과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과거의 제품은 기능이 형태와 밀접하게 관련된 모습으로 보여졌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기기의 조작을 예측하고 원하는 대로 조작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예측 할 수 있었다. 또 그 예측은 옳은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테크놀로지시대에서는 반드시 제품의 형태가 기능과 많은 상관성이 없어도 되게 발전하였고 점점 더 변화하는 제품의 형태는 간결해지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조작을 판단할 수 있는 단서는 그 형태에서 찾아보기 힘들 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제품의 사용과 조작성에 있어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 점점 더 제품과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힘들어 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특히 점점 다기능화 되어가고 있는 제품의 기능은 현대인에게 기기 사용에 있어서 많은 지식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인간과 제품의 커뮤니케이션에도 많은 문제를 낳았다.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제품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디자인 되어야 하고, 더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함을 위해서 발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자레인지의 조작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념모델의 연구로서 태스크 플로우와 버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인터페이스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자가 쉽게 제품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례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훌륭한 개념모델을 제시하면서 실제 디자인 작업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에 의거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Ⅰ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정하고, Ⅱ장에서는 제품디자인의 흐름을 살피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법론을 이야기 하였다. Ⅲ장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과 태스크, 버튼에 관한 개념을 이해하고, Ⅳ장에서는 현황 파악과 문제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념모델을 제시함으로서 태스크 플로우와 버튼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고 조작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 연구 내용을 정리하였다. 정리한 위의 과정을 거쳐 전자레인지 조작성 향상을 위해 전자레인지 조작부 디자인의 현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전개방향을 제시하여 태스크 플로우와 버튼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연구한다. 그리하여 전자레인지 조작부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외상적 기억의 상징적 이미지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노미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예술은 작가의 경험과 기억으로부터 비롯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작용해 왔으며 예술가의 내면의식을 통하여 고유한 표현방법이나 언어로써 형상화 되고 표현되어져 왔다. 이러한 감정의 세계를 예술적 형식을 통해 더욱 구체적, 개별화된 형태의 자기표현으로서 예술작품을 표출한다. 특히 예술 작품은 작가 자신이 경험 한 것에 대한 특별한 사고를 반영 한 것으로써 이런 특별한 사고가 과거의 관련된 경험에서 비롯된 것 일 때 그 특이성은 더욱 가중된다. 이러한 경험은 내면에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중에서도 유년기의 부정적인 경험과 기억은 무의식에 장기기억으로 남아 트라우마로 발현된다. 프로이트가 심리적 외상을 뜻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된 이 개념은 장기간 개인을 속박하는 강렬한 기억 혹은 체험을 뜻하며, 현대 심리학과 정신의학에서는 특정한 순간이나 기억이 고착되어 강박적으로 반복하는 현상을 트라우마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본인은 이러한 연관 요소 중에서 예술가들이 유년시절의 외상적 기억인 트라우마로 인해 손상된 감정과 억압된 상태의 내면을 창작활동이라는 적극적인 자기 인식을 통해 승화시킴으로써 독자적 세계를 구축하고 지난 시간에 대한 상실감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그 이유는 본인 역시 유년기의 기억과 사건의 단상들이 트라우마로 발전되었으며, 이로 인한 정신적인 충격과 상처, 불안과 공포의 감정들이 본인의 작품 창작의 동인으로 작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 유년 시절의 외상적 기억으로 인한 불안과 공포의 감정의 표출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면에 나타나는 형태와 색채는 본인의 불안의식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작활동을 통해 트라우마적 사건을 기억해내는 과정은 반복적인 선긋기의 행위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행위를 통해 내면에 억압되어있던 불안과 공포의 감정들이 해소됨을 경험하게 되었다. 따라서 반복적인 선긋기의 행위는 과거의 두려움과 공포 불안과 같은 감정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감을 경험하도록 하려는 의도이며, 잠재의식에 내재되어있는 기억을 표출함으로써 상처받은 감정을 치유 받고자 함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상적 기억인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된 불안과 공포의 감정들이 창작활동을 통해 어떠한 과정으로 승화되고 치유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노미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전문대학 진로 상담현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사회적지지, 진로준 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에서는 강원, 서울·경기, 영남, 충청, 호남, 제주 소재의 2·3년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하여 총 371 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진로장벽 척도, 진로탄력성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와 AMO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구조모형의 타탕성과 적합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탄력성, 사회적지 지, 진로준비행동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과정에서 진로탄력성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를 거쳐 진로탄력성에 이르는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대한 지각은 곧바로 진로준비행동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두 변인의 관계를 이중매개한다. 이는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전문대학생이 주변의 지지적인 도움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진로관리를 해나가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상담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를 고려한 상담개입을 보다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진로준 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경로와 매개변인을 확인하였 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전문대학생에게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주목한 상담 개입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ays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elasticit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are conscious of,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the junior college career counseling situ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cogniz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elasticit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a total of 371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through an on-and off-line survey of the two or three-year college students. Measurement tools used a career wall scale, a career elasticity scale, a social support scale, and a career-preparatory behavior measure.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study, SPSS 21.0 was used to calculate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factors, and AMOS 21 was us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intermediat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sions, the career barrier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preparatory.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showed each other'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do not directly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process, career elasticity was found to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and social status did no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preparatory behavior had double-mediating effects from social support to career elasticit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has identified specific paths and parameters for how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Also, social support and career elasticity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junior college students who are highly aware of career barriers.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social support and career elasticity in promoting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 김종삼 시의 음악적 상상력 연구

        노미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for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IM, JONG-SAM's poetical world by deducing the musical effect of music revealed over KIM, JONG-SAM's poetry and exploring how music is given shape to material technique and image.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empt of KIM, JONG-SAM to give form to music by poems. KIM, JONG-SAM has stated his poetry is influenced by music. Such impact comes into being by imaging his poetical works based on musicians, Debussy's and Marlor's music. Also KIM, JONG-SAM's poems show the structures to associate with sonata style and Fuga, which are alternating two contrastive images at time gap and counterpoint and imitation technique through juxtaposition of poetical words. After all, KIM, JONG-SAM designed combining music and poetry by composing his poetry according to images music calls forth. That is, like music, art that form becomes the very content, KIM, JONG-SAM can be found to have pursued of unifying form and content with poetry. Another feature of KIM JONG-SAM's poetry, is that arraying images looking indifferent with one another has general meaning through musical association. Each image looks unrelated as different basic note sounding at its own position. However, as one independent sound influences other sound and creates one musical work, so in KIM, JONG-SAM's poetry, one image has an effect on other sound. This means doubling effect in music is applied to KIM, JONG-SAM's poetry. Yet all the meaning of sound doubling effect turning up at KIM JONG-SAM's poetry is not always disclosed. That is because he does not put meaning on each poetical word, but more meaning on creating wholly sounding beauty with little related abrupt images by musical association. Like realistic looks were not significant to KIM, JONG-SAM, the nature comes out when it positions over the meaning beyond KIM, JONG-SAM's apparent attempt. Musical imagination in KIM JONG-SAM's poetry appears expanding as purifying power to clean up self residing in the irrational reality, will to overcome the reality by making the unfortunate reality strange, and yearning for now obsolete pure existence and space. Its media is music. By coinciding a great musician and himself to make the reality strange, he grants to the miserable reality tragic romantism. Also through a improvised and morbid child symbolizing absolute purity, he expresses strong nostalgia for what disappeared in this world. KIM, JONG-SAM regarded music as the god's world, wanted him purified through music, and hoped his poetry would become music and purify the impure reality. The reason is derived from this cause why differences of KIM, JONG-SAM's poems from the existing ones in style and content such as consistence in form and content, beauty of meaningless poetical words giving out doubling sound. The musical imagination shown at KIM JONG-SAM's poetry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his ceaseless effort and struggle for standing and accepting the impure reality. The reason why KIM JONG-SAM's poetry borrows the frame of music, and purses absolute pure literature, but does not become astray from the reality is derived from this fact.

      • 일본의 납치의제 메커니즘

        노미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일본인 납치 문제가 북한의 핵, 미사일과 함께 3대 대북 의제이자 일본 정부의 최우선 과제임에도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는 이유를 조명하고자 일본의 국내정치적 측면에서 납치 의제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일본의 납치 의제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분석틀로 Hagström과 Hanssen의 연구를 통해 일본의 피해자 정체성을 설명하고, 보통국가론의 선행연구를 통해 보통국가 정체성을 정의하였다. 일본인 납치 문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일본 사회에서 개인의 행방불명 사건으로 여겨졌지만, 1990년대 이후 일본인 납치피해자 요코타 메구미(横田めぐみ)를 중심으로 일본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2002년 김정일의 납치인정 이후, 납치 시민단체, 언론, 국회, 정부가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정치적 의제로 대두되었다. 2006년 아베 1기 정부 이후부터 2012년 노다 정부까지 납치 의제는 대중의 지지와 관심을 토대로 초당파적인 정치적 의제로서 관리되었다. 납치문제대책본부(또는 일본 정부)는 요코타 메구미를 강조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활용하여 일본 사회에서 피해자 정체성을 형성하였고, 그 결과 납치 의제는 성역화되었다. 2012년 아베 2기 정부 이후부터 현재까지, 일본 사회에서 납치 의제는 일본 정부의 주도로 지속되고 있으며 보통국가론의 근거 또는 여론기반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납치 문제 대책본부(또는 일본 정부)는 납치 의제를 안보 또는 국제인권 의제로 확대하는 활동을 진행해 보통국가 정체성을 구축하려 시도하였다. 일본 내각부의 설문조사를 통해 일본 대중은 납치 의제에 관심이 저하되었고, 납치 의제의 확대를 통한 보통국가 정체성 구축은 2022년 현재까지 일본 대중에 설득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납치 의제의 확대와 보통국가 정체성 구축은 납치 시민단체의 고령화와 세대교체, 납치 문제의 장기화를 불러왔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mechanism of the abduction agenda in Japan's domestic political perspective to analyze why the Japanese abduction issue has not been solved, even though it is one of the three major North Korean agendas along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and the top priority agenda of the Japanese government.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clarify Japan's abduction agenda mechanism, I explained the victim identity of Japan through the study of Hagström and Hanssen and defined the normal state identity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normal state. The Japanese abduction issue was regarded as a disappearance case in Japanese society since the late 1970s, but since the 1990s, suspicion of kidnapping focusing on Japanese abduction victim Megumi Yokota’s case has drawn attention from the Japanese public. After Kim Jong-il's abduction was recognized in 2002, abduction civic groups, the media, the National Diet, and the government had closely connected and emerged the Japanese abduction issue as a political agenda. From the first Abe administration in 2006 to the Noda administration in 2012, the abduction agenda was managed as a nonpartisan political agenda based on public support and concern. Headquarters for the Abduction Issue (or the Japanese government) had created and utilized public content that emphasized Megumi Yokota to form victim identity in Japanese society, and as a result, the abduction agenda is sanctified. From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in 2012 to the present, the abduction agenda in Japanese society has been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s being used as the reason for public opinion in favor of the normalization.Headquarters for the Abduction Issue (or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ed to establish the normal state identity by expanding the abduction agenda to the security 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agenda.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the Cabinet Office, the Japanese public's interest in the abduction agenda has decreased, and the building of the normal state ident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bduction agenda has not been convincing to the Japanese public until 2022.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the abduction agend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ormal state identity has led to the aging and generational change of abduction civic groups, and prolonged abduction issues.

      • 慶南地域 社會福祉館의 住民參與 現況 및 活性化 方案 硏究

        노미진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주민참여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며 주체적인 참여의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경남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가운데 2003년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사회복지관 운영평가의 대상인 개관한지 3년 이상이 되는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담당자 12명과 자원봉사자 126명, 당사자단체 회원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위원회 운영은 지역의 대표자 회의를 통해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 있으나, 사회복지관은 운영위원의 위촉, 의견반영 등 에는 실제적인 운영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자원봉사자는 직접적인 서비스제공자로서 활용되고 있지만, 사회복지관에서 일상적으로 활동하면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사회복지관에 의견을 제안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당사자단체의 경우 사회복지관 사업을 잘 몰라서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해 홍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넷째, 자원봉사자와 당사자단체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주민참여의 의견반영 정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어서 주민참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형태를 유도하기 어렵다. 다섯째, 자원봉사자와 당사자단체의 주민참여 인식정도는 낮은 수준인 것에 반해,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었다. 주민참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당사자단체회원이 자원봉사자에 비해 주민참여의 범위를 좀더 구체적인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담당자, 자원봉사자, 당사자단체 회원들은 주민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주민참여 제도마련과 지역주민들의 의식변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참여 방안에 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복지관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보장을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관은 지역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교육과 의식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관 사업운영에 주민참여의 제도적 장치인 운영위원회가 주민참여 실천방법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자는 사회복지관 정책결정에 제안, 자문의 역할을 수행하는 적극적인 형태의 참여가 유도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관은 구체적인 주민참여 제도마련과 사회복지관의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awaken people in the community the importance abou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12 community welfare center's community workers and 126 volunteer workers, 45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2003 in Health and Welfare class among the social welfare government situated in Gyongsang-namdo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management committe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is in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institutionally through the community's representative's meeting. However community welfare center is suffering trouble of an appointment of committee's commission members, reflection of various opinions, etc. Second, volunteer worker is utilized as a direct service worker in community welfare center, but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advance opinion as being active routinely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as examined that is not settled perfectly. Third, the reason of not offering opinions, to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by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re not knowing the services well community welfare center offers. Fourth,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have difficulty in that recognition of reflection degree of residents opnions are low. Therefore, motivating continue interests and participation are difficult. Fifth,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degree of recognition is low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is shared. For the area of necessity in resident's participation,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re specifically recognized the range of resident's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volunteers. And sixth, for motiv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welfare enter's community worker,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have to provide specialized institu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change of thought, active public information. The suggestions for activ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of analying form of residents who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grasp type special quality and institutionalize participation structure by various way. Second, community welfare center must endeavor effort for residents education and consciousness improvement so that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to the subjects. Third, committee which is institution device residents participation in community welfare center business operation should be presented concretely by practice method being residents participation. Fourth, volunteer workers need to have roles such as community welfare center policy decision proposal, active participation of role achievement of inquiry. And Fifth, community welfare center worker in charge ha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specific residents participation and need system preparation and necessity of active public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