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원 문화예술교육 지원프로그램 연구

        정은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modern society, based on knowled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requires the best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individual. This makes the arts education important more than ever. A lot of countries create the environments for people to express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ere more leisure is guaranteed, different values are respected, and the self-expression and experiment are permitted, with the emphasis on arts education. The government set up 'the build-up of cultural ability by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the first one of twenty-seven assignments in 'Creative Korea' issu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4, and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by arts education' as the priority in 'The Power of Arts'. These changes of policies focu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clear analysis of the real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Korea and a desirable alternative for it are required.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 way to become a creative person required by modern society,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s where characters are formed were reviewed first. The culture and arts course of the seventh curriculum, aimed for creativity, is great in theory and idea, but needs more practical strategies. Moreover,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mostly focused on knowledge, and the subjects, such as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not foster enough creativity and cultural sensibility. It is required to educate the teachers, keystone of education in school, to activat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s. In an effort to do this,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teachers is now being conducted to re-educate the in-service teachers. This paper, with the sense that re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are very important to activat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 examines the kinds, the curriculum, and the current management condi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teachers. It also analyzes the evaluation, aimed for the effective and substantial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nd suggests the activation plan for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divided into arts, music, play, movie and etc., should set the educational objectives fit for each subject, establish the creative contents, provide professional teachers, and be related to the school settings. In addition, the problems regarding the operation of each facility, the satisfaction of trainees, the scale of support, and marketing should be solved and the evaluation standard, designed to support the leading organizations and programs in conducting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omplemented. In policies, qualification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centering on particular subjects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qualification, in-service, and self-directed trainings in culture and arts should be activated. The continuous connection not only with public schools but with culture facilities should be supported, to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nds the improvement that makes the best of the different qualities of each subject by examining each subject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teachers conducted last year, and suggests the activation plan by investigating the evaluation standard and the actual record of the program. But it has a limit that the investigation is dependent upon limited materials and that more activation plans for support program for teachers should be found.

      • 軍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극교육프로램 '밀리-플레이' 개발 연구

        허혜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play for the military arts & culture education activation which have been proven through real cases in Military Arts & Culture Education Busines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in detail in the aspect of military life adjustment of soldi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lay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schools, companies and other social welfare fields, and other studie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rts & culture. Mili-play Program, the new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be suitable to military environment, because the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oldiers has not developed yet or there is no verified paper with theoretical basis. With the unique circumstances of military soldiers taken into consideration, 38 soldiers for 2 battalions in Gangwon-do and Gyeonggi-do was selected t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order to observe the participants’ changes,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Saturdays, with a total of 20 sessions over a 20 week period. The effects of the Mili-play Program were as follows: The first step including ‘Open mind’, ‘ Positive thinking’ and ‘Forming the rapport’ of Mili-play Program ha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by reconciling their ideas and listening to each other after expressing their opinions. The second step including ‘ A sympathy professional’, ‘A worry troubleshooter’, ‘A compliment king’ and ‘A feeling tester’ is highly effective to relive stress and understand others. The third step including ‘ Meeting a script’, ‘Taking a role’, ‘ Training scene’, ‘Technical rehearsal’ and ‘Performing arts’ is very effective in building trust and promoting communal spirit. Ultimately, it is effective to adjust their military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is program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play reflected in essential process to the adaptation of military life. In particular, this study includes the 20 periods lesson plan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play considering the military characteristics, and will be applied to other military organizations with this lesson plan. In other words, Mili-play program will be new alternative replacing existing program abou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 the military, and i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soldiers to experience the play in person. I expect that Mili-play Program in this study will be help to activate the military arts & culture. 본 연구는 군 장병 문화예술교육에 적합한 연극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군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경험이 곧 장병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 안정에 기여하고 군의 사기진작에 영향을 미치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력 향상과 인성 배양이 미래사회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시대의 요구와 장병들에게 유용하고 의미 있는 교육을 하여야 한다는 교육적 요구가 맞물려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장병들의 여가시간이 늘어나면서 여가활용변화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인식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군 장병 연극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군 조직에 적응을 하지 못하거나 군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정서적 불안감 • 사기저하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군 장병들을 위한 병영캠프・비전캠프・문화예술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실행하고 있다. 특히, 군 장병들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효과가 군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 만아니라 나아가 군 조직 활성화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증명되면서 군대에서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곳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문화예술활동 중에서 연극은 종합예술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얻어지는 효과를 연극을 통해 통합적인 효과들을 얻을 수 있어 어떤 형태의 예술보다도 활용도가 높다. 연극은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를 통해 얻는 교육적 효과가 매우 커서 학교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복지관등 각종 사회현장에서의 연극 프로그램을 적용 후 긍정적 성과를 얻은 사례는 수없이 많은 연구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 종합예술로서의 특성을 가진 연극이야말로 군 장병들이 직접 문화체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공동체의식 강화, 의사소통 활성화 등 조직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군 장병 특성을 고려한 연극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아 군 장병을 위한 연극교육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군 장병들이 직접 참여하여 마음을 교류하고, 공연 제작의 과정을 놀이형식으로 접근을 하여 군 장병들이 연극을 쉽게 인식하고, 열린 마음으로 공연제작에 접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극수업 끝나고 서로 느낌을 나누며 이야기 하고 수업을 정리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을 담담하고 있는 정훈장교와 연극을 참여한 장병들의 인터뷰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연극교육프로그램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의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밀리-플레이’프로그램의 효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밀리-플레이’프로그램은 통제된 계급 사회인 군 조직은 다른 조직에 비해 매우 강제적이고, 획일적이며 폐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연극이라는 예술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내세우고,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하며 경청하고, 서로 의견을 조율하면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본 ‘밀리-플레이’프로그램은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적이다. 고민상담사를 통해 자신의 스트레스 해소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 및 타인수용의 계기가 되었다.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연극교육이 진행되는 시간 자체가 또 다른 인간관계가 형성되고, 소속이 다른 중대원들이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모여 함께 활동을 하면서 Rapport가 형성된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셋째, 본 ‘밀리-플레이’프로그램은 군 생활 적응에 효과적이다. 공동체 유대 속에 집단성을 강요하는 군부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극이라는 예술을 통해 집단 속에서의 협력과 협동, 공동체, 단결력 등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장병들이 군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적응 병사나 관심병사들이 연극 활동을 시작한 이후부터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변하면서 부대원들과의 관계가 개선이 되고, 자존감과 자신감이 높아지면서 생활관 생활, 임무수행 의지 등 군 생활에 적응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 또한 공연을 통해 다른 참가자들과 하나가 되는 일체감을 느꼈고, 협동심을 발휘하여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참여하여 하나가 되었음을 느끼면서 공동체의식이 강화되어 군 생활 적응에 동기화 된 긍정적인 심리상태가 구성원 전체에 확산되어 군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학생들이나 전문 연극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에서 벗어나 군 장병들이 군 생활 적응에 꼭 필요한 내용이 반영된 연극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군 장병을 위한 밀리-플레이프로그램은 연극적인 놀이와 즉흥성을 강조하는 창조적인 연극인 것은 물론 마지막에 공연발표를 하면서 참여자들이 하나가 되는 일체감과 서로를 배려하는 다양한 연극적 경험 후 그들이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연구의 목표에 도달하였다. 외부강사와 교류를 통해 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제대 후의 삶에 대한 상담 등을 통해 단절감이 해소가 되고, 전문 강사들의 지도를 받으며 문화적 소외에서 해소가 되었다. 또한 교육 참관 또는 발표회 관람을 통해 부대원 전체에게 문화 혜택이 파급되어 문화 향유 기회를 획득하였다. 연극을 활용하여 스트레스 감소․정서적 안정․소통․이해와 배려 등 군 생활에 적응하고 군 조직 사기진작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그로 인해 군 문화예술교육 활성화가 되었음을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문화예술 활동이 군 장병들에게 미치는 효과가 큰 만큼, 본 연구를 통해 군 조직 활성화를 위한 연극교육의 본격적인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제 연극교육프로그램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20차시로 구성된 밀리-플레이프로그램 수업지도안을 참고자료로 첨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군 장병들을 위한 연극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지역문화재단의 기금 모금을 통한 재원조성 연구: 광주문화재단, 전주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신현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1997년 지역문화재단의 첫 출범 이래로 현재까지 많은 지역문화재단이 설립되었고 현재도 설립을 추진 중인 지방자치단체가 있다. 이는 지역문화재단이 지역 문화예술의 보전과 발굴 그리고 지속적인 발전에 이바지하는 바를 지방자치단체들이 확인하였고 그 필요성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문화예술 향유에 대해 모르거나 혹은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소외계층을 찾아내어 지역민 모두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과 교육, 그리고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문화재단의 노력은 지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향상에 일조하였고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 향유 기회 등 많은 불평등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문화재단의 노력과 성과가 미래 세대에도 지속적이고 발전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 지역문화재단의 운영에 관한 재정의 안정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도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의 출연금을 통하여 설립된 후 매년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과 국가 공모사업 참여 등을 통해 재원의 많은 부분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화예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재단이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의 보조금, 공모사업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을수록 자율성과 독립성이 훼손되어 지역문화의 보전과 발전, 지역민의 균형 잡힌 문화예술 향유와 문화예술 교육 보급을 위한 지역문화재단의 주도적인 사업 추진 동력이 크지 않아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방향과는 멀어지고 각 지역이 가진 특색있는 다양한 문화자원, 인프라를 활용한 지방행정과 예산 및 정책을 만들어 가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정부 사업의 개별적인 사업비용 전달 구조를 총액 일괄 사업비용 전달 구조로 바꾸고 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가 아닌 정책 협의와 조정으로 문화재단과 지방자치단체, 정부의 관계 재정립 필요성이 대두된다. 조정윤, 경쟁에서 협력과 공진(供進)의 지역문화 지원을 기대한다, 부산문화재단 전자아카이브, 2021.02 본 연구에서는 지역민의 기부 참여를 통해 지역문화재단의 자립에 긍정적인 모델이 되는 광주문화재단과 전주문화재단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광주문화재단은 2015년부터 매월 만원의 금액을 기부하는 시민 참여형 문화 메세나 운동인 문화보둠10000운동을 운영하고 있다. ‘미디어아트’라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부자가 기부한 만큼 자신의 묘목이 자라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부자 예우공간인 문화보둠10000센터를 조성하여 센터에서 직접 기부도 가능하고 기부자가 자기 묘목을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직접 기부의 기능뿐 아니라 지역 예술인의 작품을 전시하여 전시장으로도 활용하여 공간 임대도 지원하는 등 지역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2015년부터 시작된 문화보둠10000운동은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기부금의 변동은 있지만, 현재도 꾸준한 기부자의 유지 및 증가라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전주문화재단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문화예술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는 2021년 5월에 이팝프랜즈라는 기부 후원회를 발족하여 기업과 개인으로부터 기부금을 모금하여 후원회의 발족 이전인 2019년 대비 5배, 2020년 대비 9배에 달하는 기부금을 기록하였다. 후원회를 통해 모여진 기부금은 2021. 2022년 이팝프랜즈 예술상, 이팝프랜즈 후원인상을 선정하는 등 지역 문화예술인의 후원과 지역민을 위한 예술사업, 지구환경을 위한 예술적 활동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광주문화재단의 문화보둠10000운동과 전주문화재단의 이팝프랜즈 사례를 통해 지역의 독창적인 기부문화 운동이 지역문화재단의 재정 안정화에 중요한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부금의 규모가 지방자치단체 보조금과 국가의 공모사업과 비교하면 적은 금액 일지라도 지역문화재단이 지역에 부합하는 기부문화 운동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해 나가면 지역문화재단과 지역민이 함께 지역 문화예술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세부적인 방안으로는 지역민이 기부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가벼운 마음으로 기부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화폐와의 결합, 기부자에게 제공되는 혜택의 질적 강화, 포인트 제도 도입을 통한 기부에 동참한 개인과 기업 간의 상생 방안, 지역민의 생활 현장 가까운 곳곳에 기부환경 조성, 아주 적은 금액도 정기적인 후원이 가능한 기부 금액의 다양화를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20대와 20대 미만의 젊은 세대의 저조한 기부 참여율이 통계로 확인되는 상황 속에서 문화재단과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힘을 모아 기부와 후원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 고민하여야 미래 기부문화의 퇴행을 막을 수 있으며 문화재단과 지역민이 함께 만들어 가는 기부문화 활성화야말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문화재단의 재정 안정화와 재정 독립에 중요한 버팀목이 된다. 기부문화가 지역민들 삶 속에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게 되면 지역문화재단을 지키고 성장시켜야 할 주체자로서 지역민이 지역문화재단의 자립도 향상을 이끄는 주체자가 될 것이다. 또한, 지역 문화진흥기금의 설치 의무화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지역 문화진흥기금은 지역민으로부터 기부 금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현재 48곳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문화진흥기금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물론, 지역 문화진흥기금이 설치되어야지만 기부금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기부금 사업보다 공모사업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현재 지역 문화진흥기금의 설치가 의무가 아닌 ‘할 수 있다.’라는 임의규정이기에 소극적 행보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한 2020 지역 문화 실태조사에서는 지역 문화진흥기금의 설치 여부 지표가 보여주는 의미를 “일반회계나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 중앙정부에서 지역 간의 균형적인 발전과 재정 격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로 지원하는 예산 가 아닌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문화 관련 진흥기금 설치 여부는 지역의 문화 및 예술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2020 지역 문화 실태조사 문화 관련 진흥기금의 설치 여부가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의지로 여겨지는 만큼 임의규정을 강행규정으로 개정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문화재단이 스스로 기부금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재원 확보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Many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RCF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1997 and more are under establishment at the moment. Local governments have found RCFs very useful in discovering, preserving, and continuously developing regional culture and arts. RCFs have worked progressively to find people or hierarchy that are left out of enjoying the regional culture and have provided those in need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ctivities, and simply enjoying the culture. These efforts have improved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local people and reduced inequity in terms of cultural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RCF’s budget, which is crucial in sustain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efforts and successes in the future, remains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difficulty since its establishment. RCFs were established through contributions from local municipalities. Their current operating budget is supported by the municipalities’ financial aid and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public offerings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many concerns are raised regarding the governmental dependency of RCF as its finance relies too heavily on governmental financial aid and offerings. Specifically, the concern lies in the fact that it is hard to maintain the RCF’s momentum in developing regional culture and providing balanced cultural activities for local people if finance depends too heavily on the government. RCFs should consider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nd distinct infrastructure that each region has and develop policies accordingly. To break through the aforementioned difficulties, it is important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CF, regional municipality and state central government. The relationship must become one of cooperation, where policies are discussed and adjusted by the government, not directly managed. This also applies to finance, as governments should stop supporting individual activities directly but rather simply provide a total budget to RCFs, from which they can independently decide how the budget will be split. This research did case studies on Gwangju RCF (GRCF) and Jeonju RCF (JRCF), which are successful models of becoming financially independent through fundraising among the local people. GRCF has been operating ‘The Movement for 10,000 Cultural Gathering’ (Munhwa Bodeum 10000 Undong), a citizen participatory movement where locals donate 10,000 KRW monthly for the GRCF. Using digital technology, ‘Media Art’, GRCF developed a system where all donors can check how much their saplings have grown, using a digital icon that grows based on how much each donor has donated to GRCF. Also, it established a 10,000 Cultural Gathering Center, a space specifically designated for the donors, where donors can directly donate and check their saplings. This space is also utilized as an exhibition center, where local artists can display their artwork. This movement has successfully maintained and even increased the number of donors since 2015. The only variance lies in the COVID-19 period, where any outside activities were difficult to hold. JRCF inaugurated ‘E-POP Friends’ back in May 2021, when the cultural arts sector was under heavy stress due to COVID-19. The donations from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amounted to five times the amount gathered in 2019 and nine times the amount gathered in 2020. The donation has been used in areas like awarding regional artists with ‘E-POP Friends Arts Award’ in 2021 and 2022, ‘E-POP Friends Donor Award’, and supporting cultural activities for local people. These two case studies prove that regionally distinct fundraising activities can serve as a key to stabilizing the financial problems that RCFs innately have. Even though the amount of funds raised may be small compared to the capital received in forms of financial aid and governmental offerings, continuing these regionally distinct fundraising movements and further developing them will bring the RCF and local people together to play a main role in preserving and developing the regional cultural ar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as specific methods: connecting donations to regional currency so that the psychological barrier that people might have can be lowered; increasing the quality of benefits that donors can enjoy; implementing a point-system in order to create a win-win scenario for the participating donors and corporations; shaping fundraising environment in many areas close to local people’s daily lives; and diversifying the donation amount so that donors can regularly donate a small amount of money. The RCFs and local municipalities should cooperate to raise awareness among young people, considering the low participation rate that the young generation has shown.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long term, considering that this generation will be the next generation of main donors in the future. The young generation’s participation will not only stop the regression of donating culture but also bring a positive future outlook for RCF’s financial stability and independence. As donating cultures take root in local people’s lives, they will become the main subjects responsible for preserving and developing RCFs. This will allow people to play a key role in leading RCFs to become independent. In addition, a legal foundation must be established to enforce the mandatory establishment of the “Arts Promotion Fund”. This fund allows the RCFs to receive money and other articles from the local people, and it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 48 different local municipalities. Obviously, the promotion fund is not a necessary step before a RCF starts a fundraising movement. However, considering that fundraising takes a lower percentage compared to financial aid and that a promotion fund is not mandatory, the possibility that a municipality will neglect establishing this fund cannot be ignored. Specifically, the MCST report in 2020 on regional culture state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Arts Promotion Fund, unlike the general accounting or special accounting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distinguish the local municipalities’ will to activate and develop the regional arts and culture”. Thus, the establishment of the Arts Promotion Fund is very important, and it should be enforced legally by changing the discretionary regulation to a mandatory provision, shaping the environment so that RCF and local municipalities actively search for ways to secure finance through fundraising.

      • 지방문화예술 공공지원 사례분석 연구 : 경기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원준호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에 접어들면서 지방문화정책은 문화유산 관리 및 문화공간의 확충사업 뿐만 아니라 지역예술을 발전시키고,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한 사업으로 다양하게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문화예술진흥기금을 조성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문예진흥기금의 운용은 문화적 인식의 결여, 재정의 불안정성, 문화행정의 전문성과 지원의 일관성 결여 등의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지역문화예술진흥기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 관리하고 기금 지원사업을 합리적으로 추진할 민간주체의 문화재단 설립 방안이 논의되기 시작했고, 90년대 후반 들어서 경기문화재단을 비롯해, 강원문화재단, 강릉문화재단, 강릉문화예술진흥재단, 부천문화재단, 제주문화예술재단이 이미 설립하여 운영 중이고, 인천문화재단과 서울문화재단이 2003년 설립을 예고하고 있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문화재단을 설립해 독자적 문화예술진흥기금을 조성하여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지원사업을 전개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출연으로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독립재단으로 출범한 ‘경기문화재단’의 조직운영 및 문예진흥지원사업 등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지방문화재단이 수행해야 할 과제와 극복해야 할 문제들을 지적하고 지역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올바른 정책대안들을 제안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경기문화재단의 운영 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최근 시장 금리 하락에 따른 기금 지원사업 규모의 축소 위기,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재단 이사회 운영의 문제, 지원 원칙의 실행상의 문제, 지원대상 선정에 있어서의 장르별 불균형, 자생성 확보가 결여된 일회성 사업 지원, 체계화된 지원 평가의 부재가 주요 과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경기문화재단은 첫째, 자생성 확보를 위한 문화예술인프라 집중 지원, 둘째, 문화정체성 확립과 특성화 전략을 위한 프로젝트 지원, 셋째, 문화참여와 문화향수권 증진을 위한 사업지원 강화, 넷째, 연구.교육을 통한 인적네트워크 지원사업 강화 등이 향후 지향해야 할 지원정책 개선방향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국내 문화재단의 위상과 역할을 지역문화예술진흥체계의 정립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의 뉴욕예술재단과 영국의 굴벵키안재단의 사례를 통해 해외의 지역문화진흥체계와 문화재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연관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경기문화재단의 운영사례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지방 문예진흥기금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으로는 첫째, 지방 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조정 및 평가기능 강화, 둘째, 지역의 개성을 살리는 지원정책 실현, 셋째, 중앙문예진흥기금과 유기적 관계 구축, 넷째, 직접지원에서 간접지원방식으로의 지향, 다섯째, 민간전문가들과 시민단체들의 정책 참여 활성화 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이 다른 영역과는 다르게 특별하고 전문적인 판단이 선행되는 만큼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운영과 지원정책이 지역의 문화예술발전에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21세기 들어 문화예술 환경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문화예술이 대중이나 주민들로부터 유리된 몇몇 전문예술가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지기보다는 대중들에게 친밀한 향수대상으로 바라보려는 시민문화 향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지방자치시대에 경기문화재단과 같은 지방문화재단은 단순한 문화예술지원 기관에서 벗어나서, 지역주민이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고, 보다 다원적이고 실험적인 비주류 예술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즉, 경기도 등 우리나라 지역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지역문화 정책모델은 고급문화예술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지역문화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주민문화생활의 활성화에 있다고 하겠다. In 1995, the nation widely opened the era of local autonomy. Since then, local culture policies had expanded into important projects in order to control cultural heritage and expand cultural spaces, in addition to developing local arts as well as enhancing the quality of local residents' cultural life. Moreover, each local autonomy organization had tried providing stable support system to these local culture policies through forming local cultural art foundations. However, there were several problems in using culture foundation funds, such as a lack of cultural recognization, unstable funds, and inconsistencies in cultural administration and suppor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iscussions arose to establish nongovernmental foundations which will not only operate local funds for culture and art effectively but also promote fund support projects reasonably. In the late 90's, many foundations were established such as Kyonggi Cultural Foundation, Gangwon Cultural Foundation, Gangneung Cultural Foundation, Gangneung Culture and Art Promotion Foundation, Bu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Jeju Cultural Foundation. Besides, Incheon Cultural Foundation and Seoul Cultural Foundation will be founded in 2003. Thus, more local autonomy organizations come to organize cultural foundations and raise promotion funds for culture and art in order to develop support projects for local culture and art. Based on the tendency in Korea, this thesis focuses on pointing out problems which the foundations will deal with and suggesting alternative polices in order to advance local culture and art, by means of examining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promoting projects for liberal arts in Kyonggi Cultural Foundation which is the first foundation independently established in Korea to promote local culture and art. A few problems are discovered from analyzing the managing examples in the foundation: for example, the crisis of reducing the fund raising project due to the drop in market interest rates, the problems in managing the board of the foundation which is the supreme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the imbalance of genre in selecting the objects to help, in consistent supporting projects without having any independence, and the absence of systemic evaluations on supporting policies. To improve the foundation, a few suggestions are offered: firstly, to make intense aids for culture and art infrastructure in order to get spontaneous generation in culture; secondly, to support projects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and specialize in culture; thirdly, to enhance the project support for improving cultural participation and appreciation; lastly,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projects of human network through researches and education. Moreo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role of cultural funds in Korea as the way of setting up the system of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the thesis tries to seek the related suggestions from analyzing foreign local culture promoting systems and examples of foundations such as New York Foundation for the arts in USA and Gulbenkian Foundation in UK. Until now, the thesis presents several policy suggestions through examining the management examples of Kyonggi Cultural Foundation: first, the foundation should coordinate policies for local culture and strengthen the role of evaluation; secondly, it should make supporting policies to emphasize local characteristics; thirdly, it should build an organic relation with central culture fund foundation; fourthly, it should switch its supporting manner from direct to indirect way; lastly, it should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civilian specialists and citizen organizations. Because it is different to support culture and art from other areas and it needs specialized decisions to support them, it is anticipated that the management of cultural funds and supporting policies by local autonomy organizations will have an important role to develop local culture and art. Moreover,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environment for culture and art changes rapidly, the importance of citizens' appreciation comes to have an important status because culture and art are considered not sole possession of professional artists but intimate things to appreciate and enjoy of the public. Consequently, it is time for local cultural foundations such as Kyonggi Cultural Foundation to have interests in the plural and experimental art which is non mainstream and to help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the art, getting out of the role of the mere organization for supporting culture and art. In other words, the proper policy model of local culture for developing local culture and art in Korea is not to improve the circumstances of the high class art but to activate the citizen culture life in order to give life to the local culture identity.

      • 복권기금 문화예술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 문화복지의 관점에서

        성기현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Entering the global age in the 21st century, competitive edge based on "culture" has increasingly replaced material competitivity as the deciding factor of a nation's competitive power. In Korea, it's been already almost ten years since the government employed cultural welfare as one of the major directions in its cultural policies.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 still no systematic laws regarding cultural welfare. Thus this study set out to search for the ways to activate cultural welfare through the lottery fund. Currently Korea is in the early stage of cultural welfare, and so is the lottery fund. Since 2004 when the influx of the lottery fund started into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a focus has gradually shifted in support for the community from the projects that emphasize artistic originality and creativity to those that try to appease the materialistically and economically alienated class. The global village is changing from the "welfare state" to the "welfare society" and from "passive welfare" to "active welfare." The current policy directions of the Lottery Committee definitely seem to go in reverse to those changes. It's even likely that they can be regarded as an element of a nanny state and detrimental to the growth of Korea's cultural welfare in its infancy. Trying to address the problems with the lottery fund-aided project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Lottery Committee and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public projects based on the lottery fund. In case of the Promotional Fund for Culture and Art which receives grants from the lottery fund, it's hard to predict future projects due to the constant changes to its budget caused by the instability of the lottery fund itself and the approach of collecting fund publicly. The current movement to privatize the Promotional Fund for Culture and Art can jeopardize the influx of the lottery fund. They should find some ways to guarantee long-term influx of the lottery fund in order to prevent it from happening. It seems like a good idea to apply fixed distribution rat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llocating the lottery fund because the current fluid distribution rates,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problems of lottery fund-aided projects, do hamper the growth of the projects.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 solid grounds in respect to the specific distribution rates. Thus it's necessary to introduce a procedure of collecting public opinions to build grounds for such policies and induce an agreement from people, who are the actual resource of the lottery fund. It's also necessary to reform the perceptions of the staff in charge of the business of the lottery fund-aided project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Arts Council Korea should define each others' roles clearly and thus reduce unnecessary frictions between them, making a contribution to heightening the quality level of culture and art projects aided by the lottery fund. The artists and concerned organizations also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s. It's an often case that they don't analyze the recipients of the lottery fund thoroughly in planning project contents, which has led to the multiplication of one-time projects aiming at benefiting from the lottery fund. Such projects can shorten the life of culture and art projects aided by the lottery fund. Also essential to the longevity of lottery fund-aided projects are the changes to people's perceptions. The majority of lottery buyers are from the middle- or lower-income class. There are some questions raised about the regressivity of income, arguing that it doesn't serve the principles of equality to collect money from those classes and use it for public projects. It's also been criticized that it's not right to collect money appealing to the speculative spirit of people and to grant it to public projects. Those questions and criticisms can be resolved if people change their perceptions of lottery fund-aided projects and understand they are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There will be no ongoing growth of cultural welfare without the expansion of its meaning. The cultural welfare policies by the Korean government including the lottery fund focus on "passive cultural welfare." The benefits of cultural welfare should expand from the current economic domain to include the entire population in order to meet their intellectual needs as well as their economic and material ones. Once necessary funds are secured to activate cultural welfare, they should take on educating professionals in cultural welfare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cultural welfare. The education of cultural welfare workers and culture coordinators recently suggested by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will work to solidify the infrastructure of Korea's cultural welfare. The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culture. A nation's cultural growth can create chances to promote its excellence home and abroad. The study results reveal som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Korea's cultural welfare and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lottery fund, whose influx to the culture and art community started in recent years. But it was not easy to maintain research consistency throughout the study because of the blurry boundaries of cultural welfare, which highlights even more the absence of laws and policies regarding culture welfare. The investigator felt sorry not to provide more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impacts of lottery fund-aided projects on the culture community. It'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ulture and art projects aided by the lottery fund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cultural welfare.

      • DMZ 문화예술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타당성 연구 : DMZ 가치 속성이 문화예술산업 영향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백식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한국은 전 세계의 유일한 분단국가로서 전쟁을 통한 오랜 분단으로 인해 독특한 환경을 지니고 있다. 한반도 허리를 관통하는 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 현대사의 전쟁과 분단이라는 민족비극의 상징성과 자연생태계가 살아있는 등의 가치는 지구상의 마지막 냉전 국가에서 평화 공간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까닭에 국내 및 국외의 관심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자원적 가치로서 개발에 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DMZ의 공간적 특성, 클러스터 대한 이론적 특성을 분류하여, 각각 요인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한 연관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종합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DMZ의 복합적 가치를 가지는 문화예술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활용키 위한 계획수립의 추진 방향과 틀을 모색하게 하여 관련된 지침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이다. DMZ 문화예술산업 클러스터 조성과 관련하여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측정 문항의 신뢰도 분석, 측정 항목의 타당성을 확인을 위한 확인 요인 분석 및 주요 변수와의 상호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항목으로 측정된 DMZ 문화예술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구조모형에서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과 적용성이 확보되었으며 모형 검증결과 모든 전반적 부합지수는 학술적으로 지지를 받는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설을 설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MZ 가치속성은 문화예술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DMZ 가치속성은 문화예술산업 경쟁력 강화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문화예술 선택속성은 문화예술 산업경쟁력 강화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DMZ 가치속성은 문화예술 영향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문화예술 선택속성은 문화예술산업 영향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문화예술산업 경쟁력 강화지원은 문화예술산업 영향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위한 DMZ 가치와 자원의 개발 분야와 최 관련된 문헌 연구로부터 DMZ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산업에 끼치는 영향 요인(요소)의 분석과 영향을 끼치는 각각 요인간에 상호관계 구조의 이론모형을 개발한 후 사용될 측정 항목과 척도를 끌어냈으며 이 모형에서 개념변수 간에 상호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한편 기존의 사례 중심의 분절적 연구의 분석 틀에서 벗어나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산업 클러스터에 관여되는 다른 영향 요인에 대한 검증과 동시에 요인들 상호 간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 성과를 만들어 내고자 했다는 결과와 노력에 의의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의의와 성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시·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한 일반국민집단에 대한 의견수렴이 다양화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나름의 연구자료 분석 결과에 따른 ‘새로운 모형’이라 할 수는 있으나 ‘일반화된 모형’이라고 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논제의 실증분석 결과는 이론 연구에서뿐만 아니라, 실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이론모형의 개발 및 검증을 통해 발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Korea is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and has a unique environment due to long-term division through war. The DMZ (demilitarized zone), which runs through the waist of the Korean Peninsula, symbolizes the national tragedy of war and division in Korea's modern history and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s a space of peace in the last Cold War country on earth due to its values, such as the survival of the natural ecosystem. For this reason, there is high interest in development as a resource value, not onl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also nationally. This study class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MZ and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 and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 an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is to find a direction and framework for establishing a plan to utilize the DMZ in the future to create a culture and arts industry cluster with complex values, and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practically reflected in related guideline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creation of the DMZ Culture and Arts Industry Cluster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items,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and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interrelationship with key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secured in the relationship structure model between factors affecting the DMZ culture and arts industry measured by items, and as a result of model verification, all overall compliance indices exceeded the academically supported stand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hypothes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MZ value attributes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cultural arts industry. Second, DMZ value attributes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arts industry.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selected attributes of the culture and arts w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Fourth, DMZ value attributes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influence of the culture and arts. Fifth,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influence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Sixth, support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influence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The significance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lained as follows.From research on literatu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MZ values and resources for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alysis of factors (elements) influencing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centered on the DMZ and a theoretical model of the inter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each influencing factor were developed. After development, the measurement items and scales to be used were derived, and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 variables in this model was empirically proven. Meanwhile, breaking away from the analysis framework of existing case-centered segmental studies, this study verifies other influencing factors involved in the cultural arts industry cluster and simultaneously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creating basic research results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The results and efforts you were trying to achieve may be meaningful. However, even thoug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nd results, it has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the general public was unable to diversify due to time and space constraints. Second, although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 ‘new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its own research data analysis, it has limitations as it cannot be called a ‘generalized model.’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topic attempted in this study are judged to be usable not only in theoretical research but also practically, but progressive research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more specific and diverse theoretical models.

      • 한국기업의 문화예술지원과 분야별 편중성에 대한 연구 : 한국메세나협의회의 연차보고서를 중심으로

        鄭美蘭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기업의 사회공헌 일환으로 시작된 메세나는 기업이 얻는 반대급부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도 문화 혜택의 기회가 증가되고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인프라 증대 및 발전을 위한 기반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는 등 각계의 호응과 함께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수와 지원액 등 양적인 증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현실적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경제적인 지원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점에서 볼 때, 메세나의 활성화는 문화예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필요한 재원을 충당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관련자료를 통해 살펴보면 메세나를 통한 지원이 문화예술 분야 중 인기 분야에 속하는 일부에만 편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비인기 분야에는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세나를 통한 문화예술 분야의 지원현황을 분야별로 나누어 편중 정도를 확인하고 편중이 일어나는 원인과 타당성을 목적에 대비해 살펴보고 메세나 활동을 통해 기업이 얻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에 부합하면서 각 개별 문화예술 분야의 전반에 걸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기업메세나의 활성화 배경을 살펴보고 기업이 실제로 메세나를 활용하게 된 목적을 분명히 하였다. 다음으로 한국메세나협의회에서 발행된 연차보고서를 참고하여 기업메세나의 지원현황을 확인하고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편중되고 있는 분야와 지원이 미미한 분야를 분류하고 편중의 원인 및 타당성을 분석하고 기업이 메세나를 활용하고 있는 목적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본 논문의 목적인 편중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기업메세나가 활성화된 배경으로는 기업환경의 변화를 들 수 있겠다. 기업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상품의 복잡화에 따라 개별 상품을 각각 광고 혹은 홍보하는 것보다는 기업의 브랜드나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이 보다 높은 마케팅 효과를 얻게 되었고, 소비자의 문화예술에 대한 의식변화와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문화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은 메세나를 마케팅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하게 된 것이다. 기업에서 문화예술 분야에 지원한 지원금을 각 분야별로 나누어 지원비율로 분석한 결과, 인기분야에 속한 서양음악, 미술/전시, 인프라 등에 지원이 집중되었고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비인기 분야에 속한 국악, 무용, 전통민속, 문학, 영상/미디어 분야 등에는 관심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이 마케팅의 일환으로 메세나를 활용한 결과에 따른 경제적 요인, 대기업 위주의 소수 지원주체에 따른 구조적 요인, 지원분야에 대한 정보부족과 비전문성에 따른 정보부재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지원이 미미한 분야의 발전 필요성을 국가 이미지의 경제적 가치와 과소지원 분야의 문화발전 가능성을 통해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편중성 해소와 소외 분야의 발전을 위해 지원이 확대 될 수 있도록, 첫째 기업이 속한 산업분야와 업의 근간을 바탕으로 한 기업별 차별성과 문화적 다양화를 통한 지원, 둘째 소재지의 지역과 연계한 지역별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 셋째 각종 문화예술 분야 지원의 공급자 및 수혜자의 정보교류를 위한 메세나 전시회 개최를 제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기업메세나의 지원 분야 편중성이 완화됨에 따라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이 좀더 다각적으로 이루어져 문화예술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과 함께 사회적인 혜택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라며 본 논문을 마감하였다. Mecenat, a part of corporate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is receiving favorable responses from various areas. The activity brings benefit not only to companies but to customers by extending cultural opportunities and relevant infrastructure. Hence, the number of corporate participants and amount of contributions has kept increasing. Nevertheless, some data show that Mecenat has been concentrated on a few popular areas such as culture and arts while relatively unknown areas are alienated from the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deals with the degree of such concentration through research on current states of Mecenat activities and analyzes the reason as well as the validity in comparison of the purpose of the support. In addition,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activity so that the support can benefit various areas of the society in accordance of the ultimate goal of the corporate efforts. With respect to the target areas of the Mecenat activities, some of the popular fields include Western music, arts/exhibitions, cultural infrastructure while relatively little support is given Korean music, dance, traditional folk culture, literature, media, and so on. The reason lies in economic factors that companies uses Mecenat as a means of marketing, structural factors that major participants are limited to conglomerates, and lack of information or expertise in target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conomic value as well as cultural potential of developing such neglected areas on a national leve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 sugges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mbalance and neglected areas. First, the support shall be provided with differentiated corporate strategy and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participant belongs. Second, the support shall be given in cooperation with the target local areas. Third, Mecenat exhibitions can promote information exchange among providers and beneficiaries. This study aims to alleviate the unbalanced corporate support so that their efforts to develop arts and culture can be made in more diversified ways, brining greater benefit to the society.

      • 지역문화 자산을 활용한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방안 연구 : 당진 아트 투어 사례를 중심으로

        인치수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해당 지역이나 민족의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관광객을 위한 문화예술 관광투어 프로그램의 개발은 모든 국가의 핵심 산업 중 하나이다. 이러한 국제화의 흐름에 맞추어 현재 한국정부에서도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재로 한 다양한 문화유산투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또한 지역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경쟁적으로 개발 및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유산의 관광적 자원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확산적 양상’에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동전의 양면처럼 존재한다. 이러한 긍정부정의 논의에는 실질적이고도 직접적인 문화유산 활용에 있어 양적 확산과 질적 확산, 선순환적 접근과 악순환적 접근, 자본적 접근과 비자본적 접근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하며 결과적 측면에서 커다란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현실은 지역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프로그램이 난발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이성과 독창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지속적 가치와 의미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자산을 매개로한 국가적·지역적 문화예술활성화 프로그램의 확산에 근거한다. 특히 지역문화자산을 매개로 한 국제 도시 문화활성화 프로그램의 다양한 양상들을 살펴보고 그 지점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프로그램의 공통적 특성과 차별성을 고찰함으로써 대안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지난 3년간 실험적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그 가치와 의미에 대한 검증과정을 통과한 당진 아트 투어 프로그램의 기획의도와 진행계획, 결과 등을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선행 프로그램과의 공통점과 차별점, 개선방안 등을 도출함으로써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한다. 연구 진행 절차는 다음과 같은 단계적 검증 절차를 거쳐 진행할 것이다. 첫째, 지역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지역문화(로컬)에 대한 사전적 개념을 정리한 후 전통적 개념을 벗어나 확장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글로컬, 트랜스 로컬리티, 플레이스 브랜딩의 개념을 정리하여 연구의 토대적 개념으로 사용한다. 지역문화에 대한 사전적 개념과 문화진흥법의 규정 내용 및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외 대표 문화예술 활성화 프로그램의 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대표적 사례들이 갖는 기획의 의도와 실행 방법, 프로그램의 차별성 등을 주로 검토하여, 각 사례들의 의미와 가치를 도출하고자 한다. 아울러 향후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과 의미, 가치를 정립하고자 한다. 셋째, 선진적 프로그램의 검토 결과를 중심으로 당진 아트 투어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및 방법론에 대한 비교고찰을 진행한다. 2021년부터 23년까지 3차에 걸쳐 진행하며 수립된 각 년도별 기획의도와 진행방법, 결과 및 매년 수정 보완한 내용 등을 상세히 소개함과 더불어 기획 및 추진 의도에서 변화의 수용양상, 결과들의 발전상을 서술하고 한다. 넷째, 지금까지 살펴본 당진 아트 투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러 선결 문제들을 살펴봄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발전적 과제들을 고찰하여 기존 본 연구자가 기획하였던 프로그램과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그 예측되는 방향성과 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하여 본 논문은 당진 아트 투어 프로그램이 어떠한 목적으로 실행되었으며, 2021-23년까지 년도별 프로그램들은 어떠한 방향성을 지니며 추진되고 있는가를 조망한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들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고찰함과 동시에 지역의 문화예술활성화 및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tourism programs for tourists who want to experience the culture of the region or nation is one of the core industries of all countries. In line with this trend of international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is currentl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heritage tour programs based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competitively developing and promoting programs centered on local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o this 'diffusion aspect of program development for the use of tourism resources of cultural heritage' like two sides of the coin. In this positive and negative discussion, i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usion, qualitative diffusion, virtuous cycle approach and vicious cycle approach, capital approach, and non-autonomous approach act as important factors in the practical and direct use of cultural heritage, and that can make a big difference in terms of results. However, the reality in Korea is that programs through local culture and arts are increasing,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ind continuous value and meaning without acquiring difference and origin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spread of national and regional cultural and artistic revitalization programs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a new direction for an alternative and future-oriented local cultural and artistic revitalization program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international urban cultural revitalization program through local cultural assets and examin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of each program occurring at that point.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 plan for a program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nd arts. In particular, a new model is proposed by closely analyzing the planning intentions, progress plans, and results of the Dangjin Art Tour program, which has passed the verification process for its value and meaning by operating an experimental program for the past three years, to deriv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improvement measures with previous programs. The research process will be carried out through the following step-by-step verification procedure. First, to explain the concept, meaning, and content of local culture and art programs, the dictionary concepts of local culture (local) are first summarized, and then the concepts of glocal, translocality, and place branding, which are used as expansive concepts beyond traditional concepts, are summarized and used as the foundation concepts for the study. It examines the dictionary concept of local culture,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Promotion Act, and various concepts. Second, I would like to review the case of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ation programs. In particular, the intention, execution method, and program differentiation of representative cases are mainly reviewed to derive the meaning and value of each case. In addition, it intends to establish concepts, meanings, and valu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in the future. Third, a comparative review of the planning intention and methodology of the Dangjin Art Tour program will be conducted, focusing on the review results of the advanced program. It will be conducted three times from 2021 to 23, and will describe the plan intention, method of progress, result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contents for each year established in detail, as well as the acceptance patterns of changes in planning and promotion intentions and the development of results. Fourth, we will examine the various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ngjin Art Tour program so far and examine the developmental tasks of the program to establish a strategy that differentiates it from the program planned by the previous researcher and examine its predicted direction and status.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is paper looks at the purpose of the Dangjin Art Tour program, and what direction and are the annual programs being implemented from 21 to 23. And while examin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ach program,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to revitalize the local culture and art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 미술관의 대중접근성 강화방안연구

        이영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공공미술관의 설립목적은 국민의 문화수요 충족 및 현대미술의 발전과 창작활동에 기여이다. 문화예술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문화활동을 활성화시켜주는 사회적 역할을 하며, 국민을 위한 미술관을 지향한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교육수준과 소득, 여가시간 증가 등의 요인으로 보다 주체적으로 문화활동을 즐기려는 대중의 욕구는 다양한 소비문화의 팽창을 불러왔다. 대중문화에 익숙해지고 친숙해진 대부분의 관람객들은 미술관에서 보다 흥미롭고 자극적인 볼거리를 원하지만 소수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진 전시에 어렵고 지루함을 느낀다. 이러한 미술관의 고답적인 자세는 대중의 부재와 소통단절이라는 문제를 야기 시켰다. 관람객이 없는 미술관은 존재의 의미를 상실하는 것과 같다. 이에 미술관과 대중의 소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역인 전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관심이 수반되어야 한다. 전시를 통하여 보다 많은 대중들이 예술작품과 만나고 예술적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대중의 관심 및 기대, 성향의 연구가 필수적이며, 현대사회에 미술관이 존립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요구와 필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미술관이 대중을 위한 바람직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역사적, 사회적 상황을 의식하고, 관람객의 미적 경험이 일정한 주제를 통한 전시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대중의 문화적 취향을 반영하는 관람객지향주의 마인드를 가지고 관람객 만족을 위한 적극성과 능동성을 갖추어야 한다. 공공적 지원을 받는 미술관은 대중을 위한 실질적인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요구된다. 미술관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열린 공간으로서, 되도록 다양하고 포괄적인 관람객 층을 설정하고 대상별, 매체별, 내용별로 분화된 전문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새로운 문화예술 창조와 향수의 공간, 교육, 여가의 공간으로 보다 많은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한다.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공간으로서 문화와 예술 환경에 쉽게 정보를 제공, 교환하여야 하며, 관람객들이 미술관에서 체험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발전되고, 다양한 가치를 추구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a public art museum established is to meet national cultural demand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art and artists' creative activity. The museum plays the social role of revitalizing cultural activity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a national life through cultural art, aiming at an art museum for the people. A popular desire for enjoying cultural activity more subjectively by the factors such as increasing educational level, income and leisure time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expanded various consumptive cultures. Most of spectators who are used to and are familiar with popular culture want more interesting and stimulating sights in an art museum, but feel that it is difficult and boring to see an exhibition intended to please a small number of spectators. Such an aloof attitude of the museum caused the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the public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An art museum without any spectators means losing the meaning of existence. A museum should be concerned about what an exhibition mean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domain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it and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study public interest, expectation and tendency in order for an exhibition to enable more masses to meet a work of art and share artistic values. The existence of an art museum in modern society requires meeting popular demands and necessities. It is effective to be aware of historical, social situation and have spectators' aesthetic experience implemented as an exhibition through a given motif so as to enable the museum to be used as desirable cultural space for the public. The museum should also satisfy its spectators positively and actively with spectator-oriented mind reflecting public cultural taste. An art museum with public support should play the substantial social role for the public. Basically, a museum program as open space should exist for more people as the space for creating and enjoying new cultural art and space for education and leisure by setting as diverse and comprehensive audience as possible and operating the specialized programs differentiated by objects, by media, and by substances. As general and complex space it should also easily provide information to cultural and artistic environment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environment. It should supply spectators with convenience in order to enable them to experience and feel pleasure in the museum and pursue various developed values.

      • 컬처노믹스 시대의 문화마케팅 활동에 관한 연구 : 금융기업을 중심으로

        강동식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87

        With the advent of Cultural era, human being's lives have been growing greatly over the past few years. Due to the fact that people's life is culture itself, cultural desire will be enlarged in 21 century. These days, as year goes by, there are various contents and investment of company lively in art fields. As a result, human think that Cultural Marketing is effective approach and an important means of being company's main concern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Moreover, big company has a variety of programs which are able to create a new corporate image and build brand recognition by means of Cultural Marketing's activity. In Culturenomics era, most of the companies approach with direct way's Cultural Marketing's activity to create a new corporate image and build brand recognition. Also, large companies are attempting to cultural access via sports and events. When you have already established bland image for your corporation you get tremendous benefits of making profit and brand value. In that sense, it is a sort of empowering your marketing strategies. That is why people begin to think brand image is one big asset of companies. Now, companies concentrate on finding factors to create cultural marketing. There are sentimental connections in cultural marketing which customer can get easily familiar with and which give companies good corporations image and luxurious brand image. Therefore long term cultural marketing give companies, when it comes to investment, keeping market predominance, high quality product image, differentiated brand image in comparative world, public contribution, and cultural sentimental management leading 21st century's new strategies. Here are the motivations why corporations invest in cultural and art activities. It gives such as giving back profits to society, contributing culture and art, improving company image, and for the effect of advertisement. Cultural marketing gives effective impacts to boost corporation image and market predominance leading activ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f companies. Thereafter it is called Culturenomics which creates new additional values combining culture and economy. Service industries are more sensitive to corporation image to get a comparative edge over market rather than other areas. It is an evidence of global economy. Not it is time you can't succeed without knowing Culturenomics. So this study will focus on how cultural marketing influences boosting corporation image, how to activate strategically cultural marketing to get a good customer response, and especially how financial corporation get involved in this cultural marketing to use Culturenomics in full effect. S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we have to plan cultural marketing and put them in action aft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market, and long-term plan, and relevant of corporation image and pertinent recognition of market. It is expected that more differentiated cultural marketing and various effective planning of them to boost corporation brand image are needed. 세계가 문화의 시대로 도래했다. 인간의 삶 자체가 문화로서 21세기가 지속되면서 그 욕구는 날로 증대될 것이다. 문화예술에는 다양한 콘텐츠가 생겨나고 있으며 수많은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하게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의 양과 질적 성장에 맞추어 기업들의 관심사가 된 효과적인 수단으로 문화마케팅(Culture Marketing)을 들 수 있다. 기업의 마케팅 활동은 제품의 브랜드 가치와 기업이미지를 높이는데 과감한 비용을 투자 하고 있으며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아가고 있다. 브랜드와 기업이미지에 대한 호감과 신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방식의 마케팅활동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포츠, 문화활동 등을 표적으로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 좋은 기업이미지를 구축한 기업의 브랜드는 소비자와 기업에게 무한한 가치를 제공해 주는 이익의 수단으로 모든 마케팅 전략이 브랜드 파워를 강화시키는 흐름으로 비춰볼 때 기업이미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브랜드 가치가 기업이미지 자산 중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정받고 있는 인식의 전환이 그 이유다. 기업은 이제 기업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문화마케팅을 형성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문화예술이 갖는 다양한 감성코드는 소비자로 하여금 기업의 이미지를 쉽고 편하게 제공하면서도 소비자의 인식 속에 좋은 기업이미지와 고급스러운 브랜드이미지를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기업의 장기적 문화마케팅은 문화투자 관점에서 볼 때 시장우위 확보, 제품의 고품질 인식, 경쟁사회의 차별화된 이미지 부여, 기업의 사회적 공헌 이미지 구축, 문화감성경영 등으로 소비자를 설득하는 21세기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기업의 문화예술지원동기를 살펴보면 사회공헌, 문화예술계 발전, 기업이미지 제고, 실질적 마케팅홍보 효과 등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공헌 차원으로서의 지원과 함께 점차 마케팅 수단으로서 문화예술지원이 확대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문화마케팅은 기업이미지를 상승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화마케팅으로 인한 기업이미지 구축 결과가 시장에서 확고한 우의를 선점함으로서 기업은 기업이미지 구축을 위한 전략 수립 시 활발한 문화마케팅활동을 통해 기업이미지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방향으로 구축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결국엔 문화와 경제가 만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컬처노믹스(Culturenomics)인 것이다. 서비스산업이 다른 업종에 비해 기업이미지가 경쟁력확보에 큰 영향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글로벌경제의 경영환경을 통해 알 수 있다. 바야흐로 금융권도 컬처노믹스를 모르고는 성공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 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들이 문화마케팅으로 기업이미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기업이 소비자로 하여금 기업이미지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문화마케팅의 전략적 활성화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최근 우리나라 금융그룹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화마케팅 활동이 기업이미지 구축을 위한 전략 수립 시 기업이미지를 상승시켜 컬처노믹스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각각의 기업들이 가진 문화마케팅 특성과 장기적 계획, 기업이미지의 연계성, 적절한 인식의 조화를 파악하여 문화마케팅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기업의 이미지 상승을 위한 차별화된 문화마케팅 접목을 통해 보다 특성 있고 다양한 효과를 거두기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