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갯벌의 상상력과 그 시적 특징

        남진숙(Nam,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13 문학과 환경 Vol.12 No.1

        This paper looked into the representation and features of tidal flats in Korean marine ecology poetry. As reported the features and values of the tidal land in the academic community, the preservation and interest of the tidal flats are increased in recent years. Moreover, Korea tidal flats are included in that of the World’s five and are met the suffici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 value in terms of all mankind. The poetry of tidal flats can be characterized as three types. First, it can be grouped into ‘the place of life and labor, and the ambivalence of economic logic’. Tidal flats provide the place of life to humans and are shaping variously as the site of hard life, the joy of harvest, the place of hope, the space of childhood memories. Meanwhile, there is a ambivalence problem between the nature of tidal flats and the economic logic. Second, it is the poetry symbolizing the ‘recovery resilience’ of life. Tidal flats give recovery resilience, the power of restoration to the human in various forms. It sometimes symbolized as a compass telling the way of life or a prop, and sometimes expressed as a power purifying the difficulties and hardships. In addition, it symbolizes uncivilized shapes just as it was, and throw ‘the aesthetics of slowness’ to the selfish human civilization. Also, it provides the religious mercy and enlightenment in tidal flats, gives a living force by remembering the longing. Like these, the recovery resilience are shaped variously. Third, it shows various characteristic revealing ‘the windpipe of life, water way, biodiversity’. The life force substituted with the windpipe of life and water way means the various existence of living organisms as the number of holes in tidal flats. Above all, a wide range of tidal creatures is in itself a symbol of vitalit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said announcing the start of study in the Korean marine ecology poetry.

      • KCI등재

        융복합을 통한 생태교육 방법론

        남진숙(Nam,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4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 생태교육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고민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교육을 통해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변화, 생태학적 인식과 가치관, 실천을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융복합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은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을 재정하였다. 이것은 환경교육을 범정부적 차원에서 진행한다는 뜻이며, 그만큼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또한 체계적인 환경교육의 시급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생태교육은 성인학습자에게도 필요하지만, 가치관이 아직 다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 왜냐하면 청소년 시기 학습은 가치관이 형성된 성인 학습자보다 교육을 받아들이는 흡수력이 훨씬 강하고, 그만큼 교육적 효과를 더 크게 볼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융복합 생태교육 방법으로 방법론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으로 크게 나누었다. 방법론적인 측면은 ’융합적 협동학습, 학교 외 교육 기관과 학습자간 연계, 생태체험을 통한 실천적 융합, 매체의 활용을 통한 융복합’을 제시하였다. 내용적인 측면은 ‘과목과 교육과정 구성, 교과-비교과의 콘텐츠 융복합, 인문학을 통한 확산적 융복합, 생태키워드를 통한 융복합’ 구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효과적인 생태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내용,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생태교육을 할 수 있는 내실있는 교수자 양성도 시급하다. 왜냐하면 생태교육은 현재형인 동시에 미래형이며, 무엇보다도 실천의 교육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starts from worrying that how can we do effective ecologic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lead to convergence of ecological paradigm change, ecological awareness and values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Korea enact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2008. This mean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pan-governmental level, and it is much increased the awareness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it also means the urgency of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Ecological education also needs to adult learners, but for the youth who has not yet established values, the ecologic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Because studying in adolescent years is much stronger than the adult learner who established values in absorbing ability to accept education,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we can see a much greater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s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ethodological and contents aspects as convergence ecological education methods. The methodological aspect suggests convergent cooperative learning, linkage between outsid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earners, practical convergence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and convergence through the use of media. The content aspect presents composition of subject and curriculum, content convergence of subject and nonsubject, divergent convergence through humanities, and convergence through ecological keyword. In the future, in-depth study on various contents of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needed for effective ecology education. In addition,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instructors capable of ecological education. Because ecological education is the present form and the future type, and most of all, education of practice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글쓰기 교육의 평가와 새로운 전략에 대한 제언 : ‘동국대학교’를 중심으로

        남진숙(Nam, Jin Sook),김지오(Kim, Ji Oh)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7

        본고는 동국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역사 및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고, 새로운 전략 및 방향성에 대해 제언한 논문이다. 동국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갖고, 글쓰기 교육에 있어 선두적인 역할을 했던 시기이다. 제2기는 글쓰기 교육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학습자 맞춤교육을 통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는 시기이다. 제3기는 다르마칼리지로, 단과대학의 출발과 함께 장르적 글쓰기에 집중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글쓰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한편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전략 및 제언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토픽맵(topic map) 글쓰기 교재 개발’과 ‘다양한 리터러시에 대한 글쓰기 교육’, ‘학습자를 위한 새로운 스마트 글쓰기 교수학습법’, ‘시대에 맞는 새로운 글쓰기 교과목 개발’, ‘교과-비교과의 연계 활성화 방안’, ‘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철학과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an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Dongguk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s new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teaching wri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writing education at Dongguk Universi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periods. In the first period Dongguk University played a leading role in writing education with awareness of its expertise. In the second period various methods were tri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and customized education for learners. In the third period Dharma College was established and it concentrated on genre writing with the start of the College.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writing system was also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Lastly, this paper discusses new strategies such as ‘development of digital topic map writing materials’, ‘writing education for various literac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a new smart writing for learners’. This paper also suggests ‘development of new writing subjects that fit the learners" needs’, ‘methods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required and non-required courses’, and ‘need to re-aware the philosophy and importance of writing subjects’.

      • KCI등재

        다큐멘터리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를 통해본 생태인식과 실천의 문제

        남진숙(Nam,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1

        본 논문은 한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2015)에 나타난 생태인식을 분석하고, 나아가 그것을 실천의 문제와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첫째 ‘무엇을 먹어야하는가?’ 하는 질문은 섭생의 문제로 인간과 동물이 모두 동일하다는 인식이다. 동물에게 무엇을 먹일 것인가의 문제는 곧 인간은 무엇을 먹는가의 문제와 상통한다. 이것에 대한 인식이 바로 생태인식의 출발이다. 둘째 ‘동물에게 기본권은 있는가?’라는 장에서 스톨은 곧 소비의 확장과 기본권 박탈을 의미하며, 동물들에게는 고통과 자유에 대한 억압의 상징이다. 인간도 기본권을 가지지 못할 때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듯이, 동물 역시 기본권을 갖지 못할 때 동물답게 살 수 없게 된다. 셋째 ‘생명성-모든 동물은 평등한가?’라는 질문은 생명을 낳고 기르는 것은 인간이나 돼지나 다를 바가 없다. 공장식 축산의 돼지를 보고 온 날 주인공은 돼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 돼지는 곧 고기가 아니라, 생명이라고 인식되는 순간이다. 모든 생명성을 지닌 존재에 대해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것이 생태주의의 기본 인식이다. 넷째 ‘딜레마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의 장은 의식적으로 고기를 선택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실천적 대안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것이 곧 주체적 선택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잡식가족의 딜레마>는 한국의 축산 현실을 보여주는 생태영화라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awareness that appeared in the documentary film of South Korea 〈An omnivorous family’s dilemma(2015)〉, and further how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blems of practice. First, the issue of regime what to eat is the same recognition in both humans and animals. The problem of what to do to feed animals, in other words humans equal with the problem of what to eat. This recognition is the start of ecological awareness. Second, in the chapter “Do animals have rights?”, the stall means the expanded consumption and deprivation of basic rights. Also, it is a symbol of suffering and oppression of freedom in animals. Just as humans can live a human life when they do not have the basic rights, animals also can not be like a live animal when not have the rights. Third, the question on that all animals equal in life is not different to a human or a pig in the part of birth and raising. On the day watching pigs are raised in factory farms, the hero has a new recognition on the pig. It is a moment that pigs are recognized as not meat but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ll animals are equal, is the basic awareness of ecology. Fourth, in the chapter “How to practice dilemma?”, conscious efforts do not choose meat is very important as a practical alternative. It may be a subjective choice. Finally, 〈An omnivorous family‘s dilemma〉 has its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ecological film showing the reality of Korea livestock industry.

      • KCI등재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남진숙 ( Nam Jinsook ),이후경 ( Lee Huekyoung ),이임정 ( Lee Yim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실태 조사 분석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청소년 인문학 강좌에 대한 하나의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활성화 및 효과적인 운영 및 지원 방향성에 대해 제안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청소년 대상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및 방법 등 그 특징과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청소년 인문강좌는 크게 두 가지로, `찾아가는 인문`과 `찾아오는 입문` 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전자는 고등학교에 대학교 교강사를 직접 파견하여 일정기간 지속성을 갖고 문학, 예술, 역사 등 다양한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찾아오는 입문`은 동국대학교에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와서 예술, 과학, 철학, 역사, 문화 등 연속적으로 특강을 자유롭게 수강하는 형태로 희망 학생들을 받아 진행하였다. 이 두 강좌의 특징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요구와 참여에 의한 인문학 강좌라는 점과 연속성과 내용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강좌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다는 점에서 프로그램의 내실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인문학 강좌는 장기적으로 학교 `교육적 측면에서 인문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을 보완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에 대한 연구와 강좌 확대는 필수적이다. 청소년 인문학 강좌 역시 지속적이고 체계적이며, 일회성이 아니라 내실 있고 일관된, 그리고 인문학의 본 취지에 맞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관된 정책과 지원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일선 학교와 청소년들이 인문학에 대한 강좌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를 다 채워줄 수 없었다는 점 즉, 국가적 지원이 매우 적었다는 측면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인문학 교육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는 일반 시민인문강좌와 똑같이 생각할 수 없다. 인문학 강좌를 통해 인문학적 지식의 확장과 함께 그러한 사유를 통하여 친구, 선후배간의 관계 및 진로, 인성, 삶의 가치관을 키우고 정립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이는 청소년 인문학 강좌를 통해 거대 담론에 앞서 본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하나씩 인지하고, 더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on youth, humanities course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humanities courses. Also, it is the main purpose to propose the activation, effective operations and support direction of youth humanities courses. For this purpose, analysis were focused on the features and effects, and more information on the program through the case of citizen humanities courses, < Visiting Humanities (人文), coming introduction(入門) > targeting youth in 2015.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were largely conducted by configuring the visiting humanities and coming introduction in two ways. The former is a Humanities course that university lectures has dispatched directly to the high school a period of time and proceed humanities courses on various topic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programs. In case of coming introduction,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me directly to the Dongguk University and attended the classes such as art, science, philosophy, history, and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lasses can be a point of continuity and the diversity of the content, the humanities courses requir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courses was very high. In the long term, humanities course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that complement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al aspects. Expanding lectures and research on humanities courses for young people to do so are essential. Youth humanities courses have to be ongo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purpose of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To do so consistent policy and support should be premised, and then realistic financial support has to be made. Even though schools and young people had a lot of demands for humanities courses, it was hard to fill all those needs because the national support was not enough.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youth liberal arts education that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can not think the same way as ordinary citizens humanities courses. Through humanities courses youth are able to extend the humanistic knowledge and continue to grow friends, career, personality, values of life and so on. This is to ensure that youth has to aware of the problems what they are facing through the youth humanities course prior to the grand discourse and it can make them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ogram.

      • KCI등재

        가상시험기법을 이용한 승용차 전륜 알루미늄 서브프레임 내구설계

        남진숙(Jinsuk Nam),신행우(Hangwoo Shin),최규재(Gyoojae Choi) 한국생산제조학회 2012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1 No.3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automotive components is very important and time consuming task. In this paper, to reduce vehicle component development time and cost virtual testing simulation technology is used to evaluate durability performance of a passenger car front aluminum sub-frame. Multibody dynamics based vehicle model and virtual test simulation model of a half car road simulator are validated by comparisons between rig test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Durability life prediction of the sub-frame is carried out using the model with road load data of proving ground which can evaluate accelerated durability life. We found that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sub-frame is sufficient and it can be predicted within short time compared to rig test time.

      • KCI등재

        디스토피아(dystopia)적 상상력과 현실 문제 인식 - 소설집 『미세먼지』를 중심으로

        남진숙(Nam,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1

        본고는 디스토피아와 현실의 세계가 기후변화, 그 중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어떻게 표상되어 나타나는지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5편의 소설로 구성된, 앤솔로지 소설집 『미세먼지』를 연구 텍스트로 삼았다. 이 소설의 전반적인 특징은 첫째 미래 세상에 대한 암울하고 공포스러움을 디스토피아의 상상력으로 표상한다. ‘미세먼지 변이인간’, ‘먼지의 신’, ‘청정복 없는 N계층’, ‘건물로 이어진 세계’ 등으로 미세먼지로 인한 죽음과 공포, 잃어버린 일상을 상징화 한다. 이는 디스토피아의 세계를 생태적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으며,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둘째 미래 세상을 그려내지만, 디스토피아 속에서 끊임없이 현재의 문제를 서사 안에 녹여내고 있다. 가령 취업이나 국가 간 갈등, 맞벌이, 사랑에 대한 고민 등과 같은 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미세먼지가 인간 소외, 고독, 외로움 등을 가속화시키고 인간들의 관계성마저도 단절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는 미세먼지 문제가 미래의 문제뿐만 아니라, 현재의 문제라는 점을 끊임없이 독자들에게 감각적으로 느끼도록 한다. 셋째 디스토피아의 세계에는 비극적이고 암울한 것만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생명, 사랑, 자유 등이 형상화되어 있다. 따라서 완전한 유토피아도, 디스토피아의 세계도 이 소설에는 없다. 즉 절대적인 유토피아도, 디스토피아의 세계도 극단적으로 표상화하지 않는다. 이는 인간의 의지에 따라 달려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처럼 미세먼지라는 한 가지 상징화된 소재를 통해, 직간접적인 경고와 희망을 보이면서 디스토피아와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또한 인간의 의지에 따라, 어떤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 미세먼지라는 기후위기의 현재와 미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보여준다. 이처럼 소설 문학은 생태환경 문제를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연결 지어 인식하고 느끼게 하여 자연스럽게 실천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에 창작된 SF 생태환경소설을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생태문학 연구의 범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how fine dust represents dystopia and the real world in novel work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For this purpose, the anthology novel collection 『Fine Dust』, composed of five novels was used as the research tex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is novel are as follows. First, it represents the gloomy and horror of the future world with the imagination of dystopia. The “fine dust mutant,” “God of Dust,” “N-tier without air purifying suits,” and “the world leading to buildings” symbolize death, fear, and lost daily life caused by fine dust. It embodies the world of dystopia through ecological imagination, and directly or indirectly reveals the seriousness of air pollution. Second, it depicts the future world, but in a dystopia, the problems of the present are constantly melted into the narrative. This is because, for example, problems such as employment, conflicts between countries, dual income, and worries about love are still ongoing. Fine dust accelerates human alienation and loneliness, and acts as a factor that cuts off human relationships. This makes readers feel sensibly that the fine dust problem is not only a problem in the future but also a problem in the present. Third, in the dystopian world, not only tragic and gloomy things are revealed, but also life, love, and freedom that humans fundamentally pursue are embodied. Therefore, there is neither a perfect utopia nor a dystopian world in this novel. In other words, neither the absolute utopia nor the dystopian world is extremely represented. This shows that it depends on the human will. Through this one symbolized material, fine dust, it crosses the border between dystopia and reality, showing direct and indirect warnings and hopes. In addition, it shows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that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climate crisis called fine dust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uman will and what choices they make. In this way, novel literature will allow the reader to recognize and feel environmental problems in connection with their own lives, so that they can naturally go into practi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ook the recently created ecological science fiction novel as the subject of full-scale research.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scope of ecological literature research is being expanded.

      • KCI등재
      • KCI등재

        섬, 역사적 장소와 공간의 상징

        남진숙(Nam, Jin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6

        본고는 섬이 역사적 장소와 공간으로서 어떤 의미와 상징을 지니는가 하는 점을 밝힌 논문이다. 연구 대상인 세 시인(이생진, 박희진, 문충성)은 섬과 바다에 대한 시를 지속적으로 창작하였고, 섬에 대한 역사를 텍스트에 표상하고 있다는 공통성을 지닌다. 섬의 역사적 장소와 사건, 인물, 공간 등이 어떻게 상징화되는지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섬에서의 역사적 경험은 집단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개인의 경험으로 축소되지 않고 오히려 확장된다. 결국 개인의 경험적 장소가 역사적 장소로 변화하고 확장되면서 섬의 특정장소는 상징화된다. 둘째, 섬은 지리적 고립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유배지로 많이 사용된 장소이다. 섬에 살았던 역사적 인물과 유적지를 돌아보면서, 역사적 사건과 인물 등을 상상하며 과거-현재-미래로 시공간을 넘나든다. 이때 섬은 역사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상상력을 갖게 해주는 문화적 공간으로 상징된다. 셋째, 섬은 민족, 국가, 영토, 역사, 주권 등으로 상징화된다. 한 예로 ‘독도’는 곧 한국인에게 있어 한국 그 자체이며, 한국의 혼이다. 이는 섬이 갖는 특수한 지리적 공간의 고립성을 넘어선 가장 강력한 상징성을 지닌다. 이처럼 섬은 역사적 장소로서 다양한 공간적 상징을 드러낸다. This is a paper discussing how islands have meaning as, and are symbols of, historical places and spaces. The underlying study examined the work of three poets (Lee Saeng-jin, Park hee-jin, Mun Chung-sung) who have frequently created poems on islands and the sea. Their poems have in common that they represent the history of islands, using symbolic interpretations of features such as historical places, events, people, spaces, and so on. First,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islands refers to a collective experience and is not to be reduced to a personal experience. After all, individuals’ empirical places change and expand as historical sites, and certain places on islands are symbolized. Second, islands were historically used as places of exile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isolation. By looking at historical figures who lived on the islands at historic sites, we can imagine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and go back and forth in time and space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urrently, islands are symbolized as cultural spaces that contain information and feed new imagination about history. Third, islands are symbolized as nations, countries, territories, histories, sovereignties, and alike. For example, "Dokdo" is Korea itself to Koreans and Korea"s soul. It has the most powerful symbolism that goes beyond islands being special geographical spaces due to their isolation. As such, islands show a variety of spatial symbols as historical places.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섬의 공간 및 그 의미

        남진숙(Nam, Jin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3 島嶼文化 Vol.0 No.42

        본고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섬의 공간이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섬을 주요 소재로, 혹은 주요 모티프 및 이미지로 삼은 텍스트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섬은 인간의 삶과 매우 밀접한 연계성을 지니며, 기표와 다양한 기의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섬과 그 공간성을 파악하는 것은 인간의 삶과 가치관 및 철학적 사유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본고는 섬이라는 공간에 대해 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체험하여 형상화하였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섬은 인간 삶의 터전을 온전히 보여주면서 인간 삶과 매우 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체험공간이다. 이 때 체험공간은 심리적이거나 공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실재하는 섬으로서, 섬 사람들의 삶의 터전 그 자체를 상징한다. 둘째, 섬은 육지 사람들에게는 정신적ㆍ육체적 피로와 상처를 치유하는 낯선 공간이면서 휴식의 공간으로 존재한다. 또 바닷가 사람들에게는 추억을 상상하고 그 추억을 재생산하는 공간으로서 정서적 안정과 희망을 주는 공간이다. 셋째, 섬은 현실에 존재하는 실재의 섬과 존재하지 않는 비실재의 섬, 두 가지를 통해 상상의 공간으로 추상화 되어 형상화되거나, 심미적인 공간으로서 인식을 지배하고, 인식에 관계한다. 이 때 섬은 인간의 근원적 정서인 외로움, 고독, 쓸쓸함, 삶의 반성 등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자리한다. 넷째, 섬은 천연의 자연생태공간으로 아름다움과 신비성, 인간과 자연의 일체성을 이루며 생명력을 이어가는 천연 공간으로 자리한다. 이상, 섬은 지리적으로 언제나 그 자리에 존재하지만, 시인의 인식 속에는 입체적인 공간으로 작용하며 다양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해양문학의 공간으로서 섬을 인식하고, 은유하는 것은 문학의 창작과 연구의 저변을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해양문학은 어촌과 섬은 물론, 인간이 바다를 체험하고, 그 주변 것들이 인간의 삶을 중심축으로 하여 독특한 삶의 체험을 아우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섬을 포함한 그 섬에서의 직간접적인 체험이 어떻게 이루어졌고, 섬을 통한 시적 인식과 세계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점을 연구하는 것은 해양문학의 연구를 더욱 깊이 있게 하는 것이고, 이 논문도 그런 점에서 맥을 같이한다. This is a research paper studying on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island in the Korean modern poetry.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study is the texts describing the image and motif of the island. The island is very close linkage of human life and various meanings and symbols are included in it. So, to understand the spatiality of island is very useful to study the human values and philosophical thinking. This paper examined the features how poets recognized and shaped the space of island. First, the island is the experience space that forms a very intimat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by showing human livelihoods. At this time, the experience space that is not a psychological or fantasy but a geographically isolated island, is the symbol of their livelihoods. Second, the island for land people is the unfamiliar area to heal mental and physical fatigue, at the same time it is a rest place. Also, for those who live by the sea it is a space that gives emotional stability and hope as a space imaging and reproducing memories. Third, the island is concerned with the perception by exposing the imaginary space through two kinds entities that exist or not, or by dominating perception as aesthetic space. At this time, the island is located as a space revealing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s such as loneliness, solitude, reflection of life and so on. Fourth, the island is located as the natural space in harmony with the beauty and mystery of the natural ecological space, the unity of man and nature. Over, the island geographically always present, but in poet"s recognition it has various meanings and dimensional spaces. The recognition and metaphor on island as ocean literature will broaden the base for the creation of literature and research. Ocean literature can be referred to as fishing villages, islands, the human experience of the sea, as well as the things around the axis of human life including the unique life experience. Therefore, to study the island, including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what was done in island, the formation of the poetic perception and worldview through island is to broaden the ocean literature, this paper is also in line at that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