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alysis of Lactate Production Network of Lactococcus Lactis using in Silico Simulation Experiment

        남재욱,이진원,신동일,윤인섭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In this research, we builds and simulates the metabolic network of Lactococcus lactis using mathematical modeling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 of lactate production and dynamic response of Lactococcus lactis. Using metabolic control analysis, so called flux-control coefficients, which quantify the importance of an enzyme for the magnitude of a flux, are obtained and analyzed that the most important enzyme of producing lactate is Phosphotransferase. And other 4 major enzyme, Pyruvat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 Pyruvate dehydrogenase, Adenosine triphosphatease,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oxidase are also suggested. Finally, the flux distribution of carbon flux of Pyruvate branch is closely examined and the effects to flux distribution of branch from theactivity of enzyme which are obtained from MCA analysis are studied. In this analysis, we can obtained the effect of enzyme activity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sult of MCA analysis of Lactate dehydrogenase.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복지국가와 포퓰리즘: 복지 포퓰리즘론을 넘어서

        남재욱 참여연대 2019 시민과세계 Vol.- No.35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welfare state and populism in Korea beyond the view of “welfare populism”. To this end, I first critically analyzed the view of “welfare populism”. The core of welfare populism in Korea is the recognition that welfare expansion is driven by populist purposes, despite causing financial deficits and impeding economic growth. But this is an approach based on the misuse of the concept of populism, which overgeneralizes the special case that emerged in Latin America into the populism at large. In addition, the process of welfare expansion in Korea did not involve fiscal deficits, and the premise that welfare expansion impedes economic growth is not generally accepted any more. Next, the history of Western welfare states was briefly review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welfare states and populism in general. Compared to the golden age capitalism and post-industrial welfare states since the 1970s and 1980s, we can find that the effectively worked welfare state decreased populism demand while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increased it. This has a lot of implications for Korea, because the current welfare state in Korea is not really effective to deal effectively with poverty, inequality and social risks. Finally, I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the populist energy present in Koreal can be a politica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welfare state.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state in Korea has relied on soft power resources centered on civil society, which has the limitation of elite and professional-oriented civil society. Therefore, Mouffe's “left populism” strategy might complement this limitation, but it requires the Korean welfare state agenda itself to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encompasses the interests of various masses and integrates the masses outside the welfare state. 본 연구는 한국에서 복지국가와 포퓰리즘 간 관계에 대한 논의를 기존의 ‘복지 포퓰리즘’론을 넘어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복지 포퓰리즘’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복지 포퓰리즘론의 핵심은 복지확대는 재정적자를 초래하고 경제성장을 저해함에도 불구하고 대중영합주의적 목적에서 추진된다는 인식이다. 그러나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나타났던 특수한 사례를 포퓰리즘 일반으로 과도하게 확대한 포퓰리즘 개념의 오용에 기초한 접근이다. 뿐만 아니라 실제 한국에서 복지확대 과정은 재정적자 확대를 동반하지 않았으며, 복지 확대가 경제성장에 저해가 된다는 전제 역시 최근의 불평등과 성장 논의에 비추어볼 때 지나친 주장이다. 다음으로 복지 포퓰리즘론을 넘어 좀 더 일반적인 복지국가와 포퓰리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서구 복지국가의 역사를 간략히 개관하였다. 전후 자본주의 황금기와 1970~80년대 이후 탈산업사회 복지국가를 비교할 때 복지국가가 효과적으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소하는 동안 복지국가는 포퓰리즘 수요를 감소시켰던 반면, 복지국가가 변화하는 사회와 부정합성을 보일 때 포퓰리즘 수요의 증가를 초래했다. 이는 한국에 적지 않는 함의를 갖는데, 현재 한국 복지국가는 빈곤과 불평등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뿐 아니라, 노동시장 약자를 복지국가 밖에 두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탐색적 수준에서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포퓰리즘적 에너지가 복지국가 발전을 위한 정치적 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복지국가의 발전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한 연성 권력자원에 의존해 왔는데, 이는 엘리트와 전문가 중심의 시민사회의 한계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샹탈 무페(Chantal Mouffe)가 이야기한 ‘좌파 포퓰리즘’ 전략은 제한적이나마 이를 보완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 복지국가 아젠다 자체가 다양한 대중의 이해를 포괄하고 복지국가 밖의 대중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구성변화와 근로환경 분석: ‘1인 비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남재욱,이다미 한국산업노동학회 2023 산업노동연구 Vol.29 No.2

        This study defined self-employed without employees, dependent self- employed workers, platform workers, freelancers, and 3.3% workers as ‘one-person non-wage workers’,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using National Tax statistics and the 6th data of KWC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ersonal service income earners has more doubled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increase in ‘other self-employment’. Their average annual income is similar to daily workers. Second, one-person non-wage workers showed more negative characteristics than temporary and daily workers i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recognition. As a result of classifying and analyzing one-person non- wage workers as a dependent and autonomous group, the dependent group had a high similarity to temporary and daily workers, and the working conditions was worse than the autonomous group. Third, as a result of OLS regression analysis, one-person non-wage workers had lower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conditions than temporary and daily workers, and their income, working hours, skill level, or occup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orking conditions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showing the high risk of long-hours work and income instability, and the diversity of groups as they are not properly protected by labour law. 본 연구는 고용관계 밖 노동인 1인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3.3% 노동자를 ‘1인 비임금근로자’로 정의하고, 이들을 새롭게 부상하는 노동시장 취약집단으로 보아 그 특성과 근로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세통계자료와 근로환경조사(KWCS) 6차 자료(2020~2021년)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년간 인적용역 사업소득자의 규모는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기타 자영업’의 증가가 이 같은 규모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들의 연 평균 수입은 일용근로소득자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둘째, 1인 비임금근로자는 일자리 특성과 인식에 있어서 임시ㆍ일용직과 다른 특성을 나타냈는데, 전반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높았다. 종속적, 자율적 집단으로 1인 비임금근로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종속적 집단은 임시ㆍ일용직과 유사성이 크며, 자율적 집단보다 근로환경이 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OLS 회귀분석 결과, 1인 비임금근로자는 다른 요인이 통제된 상황에서도 임시ㆍ일용직보다 근로환경만족도가 낮았다. 1인 비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임시ㆍ일용직과 상이했는데, 소득, 근로시간, 숙련수준/직종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1인 비임금근로자가 장시간 근로 위험과 소득 불안정성이 크다는 점과 함께 이들 집단 내 다양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