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on Complicated Grief in Bereaved Dementia Caregivers

        남일성,현다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4 No.2

        Background: While complicated grief can lead to adverse health outcomes, social support has been shown tobe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of its negative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social support including satisfaction with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negative interactions and complicatedgrief in the transitional context from caregiving to bereavement. Methods: Bereaved caregivers (n=221) who participated in a multi-site study of dementia caregiving were assessedfor complicated grief. Social support measured before and after death were us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associations among social support and complicated grief. Results: We found that caregivers reporting greater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were likely to experiencelower levels of complicated grief, while the amount of re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impactcomplicated grief. Negative social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complicatedgrief after the death of the care recipient.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mplicated grief suggests that satisfaction with socialsupport may b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complicated grief. Study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the type of social support for reducing the level of complicated grief.

      • KCI등재

        노인암 환자들의 영성과 우울증의 관계에서 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효과

        남일성,윤현숙,김여진,임연옥,이현주,최경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6 No.2

        Background: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spirituality has protective effects on depression.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the theoretical mechanism showing how spirituality effects on depression. Thus, to find mediating variable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ity and depression may help to develop appropriate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in elderly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optimism and pessimism as their mediating effects on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along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pessimism among 600 South Korean elderly cancer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a community- based study about their mental health. Results: Optimism and pessimism are linked with spirituality and depression. Higher spirituality level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optimistic thinking, and then optimistic thinking is associated with low possibility of depression, whereas lower spirituality levels were associated with more pessimistic thinking, and in turn pessimistic thinking is associated with high depression scores. Conclusions: Understanding optimism and pessimism affecting depression level is critical for developing spirituality- based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in elderly cancer patients. 연구배경: 선행 연구에 의하면 영성은 우울의 보호 요인으로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영성이 어떻게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이론적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영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개변수를 찾는 연구는 노인암 환자들의 우울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낙관성과 비관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했다. 방법: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암 환자 600명을 대상으로 영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낙관성과비관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결과: 회귀분석과 경로분석 결과, 낙관성과 비관성은 영성과 우울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 수준이 높을수록 낙관성 수준이 높아지고, 높아진 낙관성 수준은 낮은우울 수준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성 수준이 높을수록 비관성 수준이 낮아지고, 낮아진 비관성 수준은 높은 우울 수준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영성 기반의 우울 감소 개입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낙관성과 비관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남일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3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3 No.4

        Background: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forms of dementia affect an ever-growing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family members in charge of caring for relatives with dementia often experience debilitating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this responsibility. Methods: Using a sample of 612 family caregivers from the 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 Caregiver Health, this study examined perceived social support (i.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received) as a protective factor of caregiving burden and depression. Result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giving burden (B=-0.35, P<0.01) and depressive symptoms (B=-0.55, P<0.01). Medi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through caregiving burden (B=-0.103, CI=-0.207/-0.035). Discu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may reduce caregiving burden, and in turn, reduce depressive symptom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linking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caregivers. 배경: 치매 환자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가족들이 겪는치매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파악되면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과 우울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기초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미국에서 실시된 치매 수발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사회심리프로그램(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Caregiver Health)에 참가한 612명의 치매 수발 가족들을분석했다. 사회적 지지가 치매 수발 부담을 낮추고, 사회적지지에 의해 낮춰진 치매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낮추는지를 검증했다. 결과: 연구 결과는 연구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수발 부담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에 의해 낮아진 수발 부담이 우울증을 낮췄다. 고찰: 본 연구 결과는 치매 수발 가족들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이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관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검증한 것으로, 치매 수발의 맥락에서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이 어떻게 관련이 되어있는지에 관한 기초 연구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노인 우울증 변화 궤적과 관련 위험 요인

        남일성,윤현숙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4 No.3

        연구배경: 노인 우울증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관한최근의 연구 결과는 상이하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우울증에 다양한 하위 궤적그룹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다양한 궤적그룹이 관련 있는 변인이 있는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법: 한림고령화패널 조사에 참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우울증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다른 변화 패턴을 보이는 그룹들이 식별되는지,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들이 있는지검증하였다. 결과: 4개의 다른 우울증 궤적을 보이는 그룹들을 식별하였으며, 건강상태, 경제상태, 사회적지지 등의 변인들이 각 궤적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지속적 우울 그룹에 속할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해초기 개입을 통한 우울증 예방의 중요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Recent studies conducting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reported mixedresult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determine if subgroups of elderly Koreans follow distinctive depressivesymptom traject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Methods: Subjects were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a longitudinal study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latentclass mixture model was examined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 changes with time. Results: We found four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Poorer health status, poor economic status, and lesssocial support were risk factors in the high depression group. Conclusions: Early intervention to help elderly individuals manage their health, economic concerns, and socialrelationships may decrease the risk of high level depression.

      • KCI등재

        Effect of a Brief Family-Based Treatment on Complicated Grief in Bereaved Older Adults

        남일성 대한노인병학회 2018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22 No.2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family-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with individual-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on improvement in compli-cated grief symptoms of bereaved older adults. Methods: Two community senior centers referred 29 older adults who lost their spouses. The study used a single-blinded random-ized trial design, comparing family-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with individual-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on complicated grief symptoms and social impairment. Results: Relative to individual-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participants in the family-based complicated grief therapy group demonstrated improvement in social impairments and complicated grief symptom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family-based delivery model for complicated grief may be superior to an individually provided approach in reduc-ing complicated grief symptoms, and in improving work and social functions in bereave-ment. (Ann Geriatr Med Res 2018;22:94-97)

      • 사별 후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클라이언트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남일성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10

        본 연구는 사별을 겪은 클라이언트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사별 후 심리적 적응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인 이중과정모형을 소개하고, 이중과정모형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파일럿 연구의 결과를 보고한다. 이중과정모형에 따라 균형적 대처를 한 그룹이 비균형적 대처를 한 그룹에 비해 더 안정적인 심리적 결과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했다. Y시 S호스피스 시설에서 운영하는 사별 치유 프로그램 참가자 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공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균형 그룹이 비균형 그룹에 비해 더 높은 복잡성비애, 우울증상을 나타냈다. 사별을 경험한 클라이언트를 위한 실천의 이론적 틀로써 이중과정모형이 제공하는 유익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이중과정모형의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