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대규모 노인 표본의 심리적 유연성 부족과 가족연대감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수아,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family connectedness on suicidal behavior by using the 2014 survey data on community dwelling old adults living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Based on reviews of previous studies, we hypothesized that psychological Inflexibility would significantly affect suicidal behavior, and that family connectedness w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Data on demographic and physical health variables, depressive symptoms, suicidal behavior,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family connectedness were collected from 2,034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Depressive symptoms,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behavior, whereas family connectedn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behavio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sychological inflexibilit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behavior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education, living arrangement, poverty, chronic disease, depressive symptoms, and family connectedness. Moreover, the impact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on suicide behavior was found to be stronger at the low level of family connectedness than at its high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at psychological inflexibility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suicidal behavior, and that this impact is moderated by family connectednes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family connectedness for preventing suicidal behaviors of community dwelling old adults. 본 연구는 2014년 지방소재 중소도시 노인생활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심리적 유연성 부족과 가족연대감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리뷰를 기초로, 노인의 심리적 유연성 부족이 자살행동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가족연대감이 이러한 관계에서 중재(조절)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65세 이상의 노인 2,03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인구통계학적 및 신체건강 변인, 우울증상, 자살행동, 심리적 유연성 부족, 그리고 가족연대감에 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우울증상, 심리적 유연성 부족 및 만성질환 수는 자살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가족연대감은 자살행동 수준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인 중다회귀분석 결과, 성별, 연령, 학력, 가구형태, 빈곤, 만성질환의 수, 우울증상 및 가족연대감의 영향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노인의 심리적 유연성 부족이 자살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의미하게 기여하였다. 아울러, 자살행동에 대한 심리적 유연성 부족의 영향은 가족연대감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에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심리적 유연성 부족은 자살행동에 중요하게 기여하며, 이러한 영향은 가족연대감 수준에 의해 중재됨을 나타낸다. 나아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자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심리적 유연성과 가족연대감 수준을 증진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위험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의 과다사용, 일상적 기능의 손상 및 정신건강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능 및 자기조절력의 매개 역할

        남수아,조용래,노상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8 No.1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이 스트레스 관리 교육에 비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위험 집단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일상적 기능의 손상 및 정신건강을 개선하는데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아울러, 그 작용 기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에 기초하여 자기조절력을 잠정적인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대학생들 중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 기초하여 위험 집단에 해당되는 40명이 총 4회기(주 1회, 1회에 약 1시간 30분 소요)로 구성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 조건(21명)과 스트레스 관리 교육 조건(19 명)에 배정되었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은 스트레스 관리 교육에 비해 스마트폰 과다사용, 일상적 기능의 손상, 정신적 웰빙, 자기조절력, 우울 및 스트레스 증상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나아가,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일상적 기능의 손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는 자기조절력의 향상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고,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는 자기조절력의 향상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마음챙김 명상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일상적 기능의 손상 및 정신건강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개입이며, 이러한 효과가 자기조절력의 향상에 의해 매개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정서장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의 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가설에 대한 지지 증거

        남수아,서우정,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 of change in the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for emotional disorders(UP). Based on previous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we hypothesized that a reduction in emotion dysregulation would act as a mediator of the effects of the UP for social anxiety, generalized anxiety, depression symptoms, panic disorder severity, negative affect, impairment in daily functioning, and clinical severity rating of a principal diagnosis. Thereafter, we examined its mediating effects.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t least one DSM-5 diagnosis of various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Forty-four participants who received individual or group UP treatment and 15 in the wait-list control condition completed outcome assessments at pre- and posttreatment and 3-month follow-up.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bootstrapping-based mediation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a reduction in emotional dys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the UP on social anxiety symptoms and clinical severity rating of a principal diagnosis. In addition, it fully mediated the effects of the UP on generalized anxiety, depression symptoms, panic disorder severity, negative affect, and impairment in daily functionin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the evidence for reducing emotion dysregulation as a mediator of the effects of the UP for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 KCI등재

        정서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역할

        남수아,차수민,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2

        본 연구는 정서장애에 대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5회기로 구성된 단기 범진단적 개입 의 효과를 설명하는 작용기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서장애 증상들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들과 문헌에 기초하여,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우울증상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가 정서조절곤란의 감소에 의해 매개될 것이라는 가설을 상정하고 검증하였다. 불안증상이나 우울증상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자기보고식 척도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의 척도에서 경도 이상의 심각도 기준에 해당하는 대학생 6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동일한 수의 내담자들이 범진단적 개입(n=31)과 심리교육 개입(n=31)에 끝까지 참여하였으며, 두 개입 모두 총 5회기(주 2회, 1회에 약 90분-120 분)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심리교육에 비해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은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우울 증상 및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데 있어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나아가, 앞의 네 증상들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과는 정서조절곤란의 감소에 의해 완전 매개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단기 단 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이 준임상적인 대학생들의 다양한 정서장애 증상들을 완화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며, 이러 한 효과들은 정서조절곤란의 감소에 의해 매개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제적 의의와 제 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a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emotional disorder symptoms. We proposed emotion dysregulation as a potential mediator of the effects of the brief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for social anxiety, generalized anxiety, depression symptoms, and negative emotions, based on previous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amined its mediating effects. Participants were six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at least mild level of relevant symptoms on one or more of the two depression scales and three anxiety scal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and the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respectively, was 31 and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five semiweekly 90- or 120-minute-long session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psycho-education condition, those in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condi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al anxiety, generalized anxiety, depression symptoms, negative emo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Moreover, change in emotion dysregulation fully mediated its efficacy on all of the outcome measures. These results provide the evidence that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is efficacious in alleviating several emotional disorder symptoms among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at its effects are mediated through a decrease in emotion dysregulation.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의 효과 비교

        남수아,서우정,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4

        본 연구는 정서장애가 있는 한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형태의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UP)의 효과를 UP의 개인치료와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 진단이 사회불안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또는 강박장애인 진단적으로 이질적인 임상 표본 중에서 21명과 22명이 각각 8회기로 구성된 UP 집단치료와 UP 개인치료를 제공받았으며, 이들은 모두 치료 전 및 치료 후 평가와 3개월 추후 평가를 완료하였다. UP 집단 및 개인치료 조건 모두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공황장애 심각도, 우울증상, 임상적 불안증상, 부적 정서, 일상적 기능의 손상 및 임상적 심각도 평정의 측정치들이 치료 전과 치료 후 간에, 치료 전과 추후 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정적 정서 측정치 상에서 UP 치료 포맷 간 차이는 세 시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치료 조건 참가자들은, 집단치료 조건과 달리,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및 추후에 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적 유의성 검증 결과, UP 집단치료와 개인치료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총 8회기의 집단 UP가 국내 정서장애 대학생들에게 정적 정서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종속측정치들에서 개인치료와 비견될 정도로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 KCI등재

        정서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의 효과

        조용래,남수아,서우정,김형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3 인지행동치료 Vol.23 No.1

        본 연구는 Barlow 등(2011)에 의해 개발된 정서장애에 대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P)의 5가지 핵심모듈과 3가지 추가 모듈에 기반한 총 8회기의 심리학적 치료가 여러 종류의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로 진단된 국내참가자들에게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SM-5의 사회불안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우울장애, 범불안장애 및 기타 불안 관련 장애 중에서 적어도 1가지 이상 충족시킨 대학생들이며, UP 개인치료를 제공받은 참가자 18명과 대기통제조건에 속한 참가자 15명이 8주 간격의 사전 및 사후 평가와 3개월 추후 평가를 모두 완성하였다. UP조건에서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우울증상, 임상적 불안증상, 부적 정서 및 주 진단의 임상적 심각도 평정 등의 측정치들이 사전과 사후 간에, 사전과 추후 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조건에서공황장애 심각도와 일상적 기능의 손상 수준은 사전에 비해 추후에 큰 수준 및 중간에서 큰 수준 사이의 효과크기를 각각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기통제조건은 대부분의 측정치들에서 그러한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거나 작은 변화를 보였다. 임상적 유의성 검증 결과, UP조건은 대기통제조건에 비해 주 진단의 기준을 더 이상 충족시키지 않은 참가자의 비율, 치료 반응자 비율, 그리고 높은 최종 상태 기능자 비율 등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총 8회기의 UP가 여러 종류의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로 진단된 국내 대학생 내담자들에게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국내에서 정서장애에 대한 범진단적 치료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지지한다.

      • KCI등재

        불안 및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준임상적인 대학생들을 위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개입의 효능

        차수민,조용래,남수아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0 No.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for subclinical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We then examined its effects on negative mental health variables (i.e., depression, anxiety, social anxiety, generalized anxiety, negative emotion, and stress symptoms), positive mental health variables (i.e., positive emotion and mental well-being), and emotion regulation variables (i.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mong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nxiety or depression symptoms. Participants were forty-three undergraduate stud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at least a mild level of relevant symptoms on one or more of the five self-report scales, including two depression scales and three anxiety scale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mong which 20 from one group completed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treatment and 20 from the other group completed the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Each intervention consisted of five semiweekly 90- or 120-minute-long session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psychoeducation intervention condition, those in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condition showed improvements on all of the outcome measures. These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at a two-week follow-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intervention is efficaciou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and cultivating emotion regulation ability among subclinical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nxiety or depression.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their limit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