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권력과 복종의 정치에 대한 소고(小考): 북한 주민들은 왜 집단저항을 하지 않는가?

        남근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at Why does not the North Koreans collective actions? North Korean society also exist conflicts and frustrations because where people live. However, conflicts and discontents with the North Koreans do not express a collective actions. Because North Korean's everyday life is to controlled by power means of the coercions, persuasion, image manipulations, authority. North Korean's capability alone is difficult to weaken the power means. Therefore it should seek ways to weaken the power means to control collective actions of North Korean. But realistically it is difficult to weaken the coercions. Therefore, the most realistic approach is a way to weaken the structure of the persuasion, image manipulations, and authority. 이 연구는 지도자, 당, 체제에 대해 북한 주민들이 지닌 개인적 차원의 불만들이 조직화되지 않는 이유를 권력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북한의 시장은 주민들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의 확산이 반드시 개인적 차원의 불만, 좌절, 갈등 등을 집단행동으로 이어지게 하지는 않는다. 시장화와 주민들의 집단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정치적 리더십이 시장화에 얼마만큼 적응하고 그 변화를 견딜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즉, 권력이 어떻게 주민들의 행동과 의식을 지배하고 있는지, 이 과정에서 주민들 스스로가 체제에 순응하는 자기감시적인 주체로 재생산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북한은 강제력, 설득, 상징조작, 권위와 같은 권력수단을 통해 주민들의 집단행위를 봉쇄하고 있다. 따라서 주민들의 일상의 삶에 다양한 방식으로 편재되어 있는 권력의 수단들이 약화되지 않는다면 시장화가 체제와 정치변화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집단행동을 추동하기에는 한계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 점은 북한 주민들의 자체적인 역량보다는 북한 주민들의 개인적인 불만과 좌절을 조직화할 수 있는 구조적 조건을 북한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북한 주민들의 일상의 삶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는 복종을 강제하는 권력의 수단들을 약화시킬 수 있는 논의가 필요할 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북한의 생산현장에서 표출된 갈등에 관한 연구

        남근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9 아태연구 Vol.1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cus on everyday labour of North Korea that appeared on the research field in the 50s to 70s when the North Korea’s political system originated. For this purpose, try to recover the importance of acts of common people in North Korea such as production managers, labourers, and farmers who usually ignored in researches in South Korea so far. Up to today researches on North Korea had tendency to focusing too much on the inspection and control system of the country which designed to reinforce the hierarchical command system, therefore made image of North Korean people as passive individuals who regarded no free will and choice. But the daily routine labours of production field are not the passive area as it seems, it is rather specific spot of the life that various actions represented influenced by realistic conditions of the scenes of labour. Therefore, North Korean is active factor of society who chooses their actions by their wills not passive robotic people only follows orders of authorities. And various indications of active actions were already showed confidentially several places from the industrialization era. 이 글은 공업화시기의 북한의 노동과 노동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갈등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그동안 북한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생산관리자, 노동자, 농민 등 소위 보통 사람들의 행위를 복원할 것이다. 그동안 북한연구는 위계적인 명령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감시와 통제 시스템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북한 주민들은 행위의 취사선택 가능성을 사상당한 채 체제의 의지와 목적에 무조건 복종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그려져 왔다. 그러나 생산현장의 노동일상은 체제의 의지가 철저하게 투영되는 수동적인 영역만은 아니다. 일상은 상부에서 결정된 정책들이 다양한 행위주체에 의해 수용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행위주체를 둘러싼 현실적 조건들에 의해 다양한 행위가 표출되는 삶의 구체적인 현장이다. 따라서 노동과 삶의 일상에서 행위 하는 북한 주민들은 상부의 지시와 명령을 일방적으로 수행하는 수동적인 행위자에 머물지 않고 행위를 취사선택할 줄 아는 능동적인 행위자였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노동행위들은 이미 공업화시기부터 생산현장 곳곳에서 은밀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속학의 존립 기반을 다시 묻다 -‘깔때기’ 독일 민속학사론을 중심으로-

        남근우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When roughly summarizing, it is probably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methodological trend of Korean folklore in recent decade is the exuviation of essentialist folklore. In the process of the exuviation, there have been also sharp controversies and debates on the evolution of methodologies. The theme of this academic conference, “reconsidering folk, people, and ethnicity” may not be irrelevant to their effective limits. This is because it intends to examine the core concepts and dominant narratives that define the Korean folklore in depth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is the purpose looking for an alternative methodology by reconsidering the self-evidentness of ‘folk, people, and ethnicity’ and the ‘story of annihilation’ based on it. Moreover, this ‘reconsidering’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ere some insufficiencies or doubts in the related previous dialogue including above controversies. Turning its attention to the folklore of Germany, the birthplace of essentialist folklore,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foundations of folklore and its existence more fundamentally. Because sharing the accomplishments from questioning “what is folklore” in the point of origin with focusing on H. Bausinger’s theory, and Kono sin’s study, which is interested in illustration of the formation and trend of Volkskunde, seems to beneficial for us to find an alternative methodology of folklore. This article’s subtitle “Funnel” German Folklore Studies’ readily summaries the contents of it. It also adds some preliminary considerations on how it could contribute to the methodology of Korean folklore and its academic study. 최근 10여년 사이 한국민속학의 방법론적 동향을 거칠게 간추리면 본질주의 구제 민속학의 탈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그 탈각 과정에선 방법론의 전회를 둘러싼 첨예한 논쟁과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실천민속학회에서 이번 정기 학술대회 주제로 「민속, 민중, 민족을 다시 묻다」를 기획한 것은 아마도 그것들이 가진 실효적 한계와 무관하지 않겠다. 기왕의 한국민속학을 규정한 핵심 개념과 지배적 내러티브를 다각도로, 심층적으로 짚어보려는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민속, 민중, 민족’의 자명성과 그것에 기초한 ‘소멸의 이야기’를 재고하여 대안적 방법론을 모색하자는 게 그 취지일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번의 ‘다시 묻다’는 위의 논쟁과 공방을 비롯한 종래의 관련 문답에 어떤 미흡함이나 의문 등이 있어 상정된 것일 터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본질주의 구제 민속학의 발상지인 독일의 민속학사로 눈을 돌려 민속학의 사회적 성립 기반과 그 존립 양상을 보다 근본적으로 살펴보았다. 폴크스쿤데의 형성과 추이를 흥미롭게 도해한 연구, 게다가 바우징거(H. Bausinger)의 지론을 중심으로 민속학이란 무엇인가를 그 생성과 존립의 원점에서 ‘다시 물은’ 성과를 공유하는 게 한국민속학의 대안적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유익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름 아닌 부제에 보이는 「‘깔때기’ 독일 민속학사론」으로, 이 글에서는 우선 그 골자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다. 이어 그것이 한국민속학의 방법론과 학사 탐구에 어떤 보탬이 될 수 있는지, 약간의 예비적 고찰을 덧붙였다.

      • KCI등재

        복원주의 민속학의 아이러니-‘강릉단오제’의 곤경을 중심으로-

        남근우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2 No.-

        It seems that ‘Gangneung-Danoje’ register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in 2005, is being confronted with an embarrassing condition sooner or later. In Gangneung presently the new restorationism is in practice, for instance the moving of village shrine of goddess and new construction of village shrine of great spirit, related to them the restoration of the ‘eight Danos’. It is feared this new restorationism to shake the socal ground of ‘Gangneun-Danoje’ like its constructing logic and meaning, and the consciousness of related subjects to its very foundation. Accordingly this paper inquires following two objects. First, it predicts the embarrassing condition, ‘Gangneung-Danoje’ is being confronted. Second, it revisits the restorationism of folklore responsible to the condition and deconstructs its intention and desire to ‘original’. To pursue these double dealing objects this paper observed how the original of ‘Gangneung-Danoje’ was constituted. Next it examined critically the above mentioned practical problems, and revisited the ethnographic realism theoretically supported to the restorationism of korean folklore. 이 글의 목표는 다음의 두 가지다. 하나는 대한민국 최고(最古)이자 최대의 축제로 알려진 ‘강릉단오제’를 재론하여, 그것이 조만간 봉착하게 될 어떤 곤혹스러울지도 모를 상황을 미리 짚어보는 것이다. 또 하나는 그러한 상황 초래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한국민속학의 복원주의(復原主義)를 고찰하여 그 원형에의 의지와 욕망을 재고하는 것이다. 이 표리의 두 목표에 대한 고찰 결과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966년 문화재위원 임동권은 강릉의 로컬한 단오 민속을 내셔널한 문화재로 만들기 위해 ‘강릉단오제’라는 새로운 텍스트를 구성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아키바 다카시가 1930년에 민속지적 현재로 재현한 ‘강릉단오굿’을 “재래의 단오제”, “원래에 하던 제의”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최근의 새 복원주의자들과 달리, 그 여덟 단오로 구성된 ‘강릉단오굿’의 온전한 부활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그럴 수 없는 상황과 변수들이 엄존했기 때문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성황당의 부재와 여성황당의 신축 이전, 문화재 지정을 위한 재연 상황과 그 이전에 치러진 ‘풍년굿’의 전례, 그리고 강릉의 옛 단오굿을 실제 경험해본 고로들의 “구연 고증”과 같은 것들이다. 이러한 현실적 상황과 변수들을 도외시하고 아키바의 텍스트를 고스란히 원형화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하여 임동권이 “다소의 신축성”을 발휘하여 재구성한 ‘강릉단오제’는 결과적으로 아키바가 재현한 여덟 단오의 ‘강릉단오굿’과 큰 차이가 있었다. 정리하면, 2단 구성의 영신 제의와 그 구술상관물로 성립한 혼배 서사, 그리고 양자의 상보적 결합에 따른 ‘국사성황의 부부화’와 ‘정씨 가의 친정․처가화’가 임동권의 ‘강릉단오제’를 특징짓는 구성 논리이자 의미 체계였다. 이러한 논리 체계로 만들어진 ‘강릉단오제’는 이듬해 민족문화를 대표하는 중요무형문화재가 되었고, 이후 각종 대중매체들을 통한 ‘민속화’와 민속학적 지식에 의한 ‘전통치레’의 과정을 거치면서 “천년의 전통”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한편, 최근의 새로운 복원주의는 위의 내셔널한 ‘강릉단오제’의 글로벌한 문화유산화를 배경으로 등장한다. 곧 2005년의 이른바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본격화한다. 그 요점은 “여덟 단오의 원형 복원”, 쉽게 말해 임동권의 ‘강릉단오제’에서 아키바의 ‘강릉단오굿’으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문제는, 그러한 원형으로의 회귀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그것이 실현되려면, 기왕의 ‘강릉단오제’를 성립시킨 구성 논리가 부정되고 또 그 의미 체계가 폐기되어야 할 터인데, 관계자들 모두에게 그에 따른 정치․경제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그 반백년의 ‘전통’을 줄곧 연행하고 향유해온, 주체들의 곤혹과 혼란이라는 사회․문화적 중압 또한 감수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막상 ‘강릉단오굿’으로의 회귀를 실천하자니 그 정치․경제적 부담과 사회․문화적 중압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고, 그렇다고 기왕의 ‘강릉단오제’와 어정쩡한 타협이나 절충을 모색하자니 복원주의 민속학의 의지와 욕망이 퇴색하고 무색해지는, 그야말로 곤혹스러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강릉단오제’의 새 복원주의가 이 진퇴양난의 딜레마에서 헤어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한국민속학을 긴박(緊縛...

      • KCI등재

        공공민속학의 가능성과 한계 -두 민속지 실천을 중심으로-

        남근우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1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s of practicing public folklore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folkloristic implications of the two following folk research projects. One is the ethnographic practice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which represents the folklore in public sector, and the other is the practice of village research team in Jinan county, Jeollabuk-do, which doesn’t define itself as folkloristic. Both practices have common features in attempting to carry out ethnographic practices by staying in the fieldsite for a long period, avoiding the short-term ‘folklore research’ which was generalized by the folklore field in the past, as well as presenting the eco museum as their ultimate goals. With analyzing the two ethnographic practices above, this article studie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public folklor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while the former has revealed various limitations instead of possibility, the latter has generated great possibility instead of limitations. First, to summarize the former’s limitation, the ethnographic practice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ursued the ‘past of material and phenomenon’ including the folklore, not the ‘present of human being’, as research objects a priori. It was not different from existing rescue ethnography, in terms of considering the void ‘present of life culture’-which lacks the existence and political nature of living people amid the swirl of coercive development-as the substitute of absent folklore, which has already disappeared by now. The problem of its ethnographic practice lies not only in the absence of methodology, but also in its applications. These are the very plan for the ecology and life history museum in ‘Haengbok-dosi(Happy City)’ and ecology museum of ‘the year of regional folk culture’, which follows the former’s illusion. Next, in the case of Jinan county research, its possibility was found notably in Baegun-myeon, Jinan county. Total inspection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such as culture, history, and nature of each village was conducted, and based on its result, meaningful opportunities and activities were created. For instance, these include photo exhibition project as ‘every Baegun-myeon resident as main character’, continuous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Wolgan -Baegun(Monthly Baegun)> as ‘the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and response’, producing culture map of Baegun-myeon and its application to ecotourism, and vitalization of eco museum, ‘the museum without roof’, such as Jinan plateau trail project. The main agents of this ethographic practice are mostly the research members who are newly-migrated to rural area in Baegun-mye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search activity itself is defined as an object by them. That is to say, through the activity of ‘doing research’, the process itself obtains significant meaning. In this process, the neighbors, local residents, and their culture and history are discovered, and moreover, as the new personal relationship is created through research activity, the self is rediscovered among the others and region. This kind of ethnographic practice is obviously the imperative task that ‘responding applied folklore’ should pursue henceforward.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펼쳐진 두 민속 관련 조사사업을 대상으로 공공민속학의 가능성과한계를 살펴보았다. 하나는 공공부문의 민속학을 대표하는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지 실천이 며, 다른 하나는 민속학을 표방하지 않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을조사단의 활동이다. 양자 모 두 기왕의 민속학계에서 일반화한 단기 방문의 ‘민속조사’를 지양하고 필드 현장에 장기 체 류하며 민속지 작업을 꾀했다는 점에서, 아울러 그 최종 목표로 에코뮤지엄을 추구했다는 점 에서 공통성을 지닌다. 이 두 민속지 실천을 분석해 공공민속학적 함의를 고찰한 결과, 전자 의 경우 가능성보다는 여러 한계를 드러냈고, 후자의 경우 한계보다는 유의미한 가능성이 도 출되었다. 우선 전자의 한계부터 간추리면, 민박의 민속지 작업은 ‘사람의 현재’가 아닌 민속을 비롯 한 ‘물상의 과거’를 선험적 조사항목들로 추구했다. 강압적 개발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생활 자들의 실존과 그 정치성이 소거된, 공허한 ‘생활문화의 현재’를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부재 (不在) 민속의 대체 항으로 치부했다는 점에서, 기왕의 구제 민속지 작업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또한 민박 민속지 실천의 곤경은 방법론의 부재뿐만 아니라 그 활용 차원에서도 노정 되었다. 다름 아닌 ‘행복도시’의 생태생활사박물관 구상과 그 환영(幻影)을 좇은 ‘지역민속 문화의 해’의 생태박물관이 그것이다. 다음 후자의 가능성은 특히 진안군 백운면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각 마을의 문화와 역 사, 자연과 같은 유.무형 자원의 전수조사와 함께 그 성과들에 기초한 유의미한 기획 활동 들이 펼쳐졌기 때문이다. 가령 백운면민 ‘모두가 주인공’인 다양한 기획사진전, ‘소통과 응답 의 민속지’로서 H월간백운H의 지속적인 발간과 배포, 백운면의 문화지도 제작과 에코투어리 즘에의 활용, 그리고 진안 고원길 사업과 같은 ‘지붕 없는 박물관’의 활성화 등이다. 이러한 민속지 실천의 주체는 백운면에 새로 들어온 마을조사단의 성원들인데, 그들에 의 해 조사라는 응답과 소통 행위 자체가 목적화하고 있음이 각별히 주목된다. 즉 응답과 소통 으로 지역 주민들을 이해하고 그들이 영위해온 문화와 역사와 자연을 발견하며, 동시에 바로 그러한 조사 행위를 통해 새로운 인간관계가 창출되어, 타자와 지역 속에서 스스로를 성찰적 으로 재발견하는 과정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이다. 이런 민속지 실천이야말로 금후 ‘응답하는 민속학’이 추구해야 할 긴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겠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