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친환경 극성 금속간화합물을 위한 실험적, 이론적 그리고 그에 대한 응용성 연구

        남근우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일련의 3개 또는 4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친환경 극성 금속간 화합물을 고온 고체 합성법을 이용해 합성하였다. 모든 화합물들은 분말 그리고 단결정 X-선 측정을 통해서 구조를 규명하였다. 원자의 오비탈 상호작용, 화학 결합, 전자 밀도 그리고 에너지 계산을 정밀 분석 하기 위해 전자 구조 계산을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열분석, 전기 전도도, 제벡 상수 그리고 열 전도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을 철저히 분석하였다. 제 1장에서는, 새로운 RE5Tt4 (RE = 희토류 금속, Tt = 탄소족 원소)의 일원인, Er4LiGe4를 고온 고체 합성법을 이용해 합성 하였다. 이 화합물은 사방정계의 space group Pnma (Pearson code oP36)로 분류되며, Gd5Si4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제 2장에서는, 3개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는 EuZnxIn4-x가 In-플럭스 방법을 이용해 Eu, Zn 그리고 In의 반응의 주된 생성물로 합성되었고 분말과 단결정 X-선을 통해서 구조가 규명되었다. 해당 구조는 EuZn1.10(12)In2.90에 대해 격자 매개변수 a = 4.5610(9) Å, c = 12.049(3) Å, EuZn1.18(2)In2.82에 a = 4.5463(3) Å, c = 12.028(2) Å를 갖는 잘 알려진 BaAl4 형태(사각형의 의 space group I4/mmm, Pearson code tI10)의 구조에 속한다. 제 3장에서는, 4개의 RE4LiGe4 (RE = La, Ce, Pr, and Sm) 화합물들이 고온 합성법을 통하여 합성 되었고 X-선을 통해서 구조가 규명되었다. 모든 화합물들은 Ge2 이합체의 결합 상호작용을 갖는 사방정계의 Gd5Si4 형태의 구조(space group Pnma, Pearson code oP16)를 갖는다. 자성 특성 연구는 자성을 띄지 않는 Li 원자의 치환은 Ce4LiGe4에 대해 강자성 같은 상태와 Sm4LiGe4에 대해 반자성과 강자성 상태의 공존상태를 야기시킨다. 제 4장에서는, 4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BaLi1.09(1)In0.91Ge2를 고온 고체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구조적인 분석은 분말과 단결정 X-선을 통해서 규명하였다. 정방계의 BaAl4 형태 (space group I4/mmm)의 구조가 이 화합물에서 관찰 되었다. 전체적인 결정 구조는 여러 개의 양이온 원자에 의해 둘러 쌓여 있는 Federov 다면체의 음이온의 구조체를 갖는다. 제 5장에서는, 4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양이온이 혼용된 4개의 Yb14-xCaxAlSb11 (4.81 ≤ x ≤ 10.57) 진틀상 화합물이 아크-멜팅과 Sn 메탈-플럭스 방법으로 합성 되었다. Yb8.42(4)Ca5.58AlSb11를 위한 열전도도 측정이 수행 되었고, 그 결과는 양이온이 섞이지 않은 화합물들과 비교 되었다. 제 6장에서는, 두개의 신규한 극성 금속간 화합물이 고온 합성법을 이용해 합성 되었고, 그들의 구조는 단결정과 분말 X-선을 통해서 분석 되었다. La15Ge9Li1.50(16)는 육방정계의 space group P63mc (Z = 2, Pearson code hP52)의 구조를 갖고 유닛셀 안에 9개의 결정학적으로 독립적인 위치를 갖으며, 격자 매개변수는 a = 15.516(2) Å 와 c = 6.895(2) Å이다. 고체 7Li NMR 스펙트럼 측정은 La15Ge9Li1.50(16)에서 두개의 서로 다른 육면체 위치에서 내부에 존재 하는 2개의 개별적인 Li 위치의 존재를 제시한다. 제 7장에서는, Ca5-xYbxAl2Sb6 (1.0 ≤ x ≤ 5.0)에서 섞여있는 Ca2+와 Yb2+를 갖는 신규한 4개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는 진틀 화합물을 고온 고체 반응을 이용해 합성 하였다. 두 종류의 화합물들은 7개의 독립적인 비대칭적인 원자 위치를 갖는 사방정계의 Pbam space group (Z = 2, oP26) 구조를 갖는다. Yb가 많은 Ca1.5Yb3.5Al2Sb6 화합물의 열전 특성 연구는 어닐링 과정으로부터 나타난 상전이가 결과적으로 향상된 열전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신규한 친환경 극성 금속간 화합물을 합성해 화학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합성된 화합물을 연구 하였다. 이러한 합성된 화합물들은 자기열량물질, 열전물질과 같은 몇몇의 응용성에 이용하기 위해 정밀분석되었다. 더 나아가, 도핑 및 치환방법을 이용해 물성을 증대 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고체화학분야에 있어 실험적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연구의 진보로 여겨질 것이고, 자성이나 반도체 분야에 있어 자기열량물질과 열전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응용성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穀靈信仰の硏究 : 韓·日兩國における比較民俗學的試論

        남근우 [筑波大學] 1991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한일 양국의 농경제의와 그 배후에 있는 신 관념에 대해 약 7년간에 걸친 조사,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으로 서장부터 종장까지 모두 6장 10절 15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장의 〈연구과제와 방법〉에서는 일본의 곡령신앙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연구과제를 추출하고, 그 과제 해명을 위한 비교민속학적 방법에 대해 관견을 제시하였다. 제1장 〈낟가리 관행의 성립과 존재의의〉에서는 한일 양국의 낟가리 관행를 도작기술의 전개과정 속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국의 낟가리 관행은 모두 1000년 이전에 성립한 것으로, 건조와 저장을 위한 생산기술로서의 존재의의가 밝혀졌다. 제2장 〈낟가리와 곡령제사〉에서는 기왕의 연구에서 통설화된 오리구치와 야나기타의 이나다마(稻靈)신앙론을 재검토하여, 양자의 견해가 성립할 수 없음을 밝혔다. 제3장 〈가신 신앙과 곡령신앙〉에서는 곡령신앙에 바탕을 둔 일본의 난도가미와 한국의 성주신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 제장과 제일, 사제, 제사방식 등에 관해 고찰했다. 제4장 〈밭작물의 제사와 계승원리〉에서는 벼 이외의 작물제사와 관련된 곡령신앙에 대해 고찰했다. 특히 맥작지대와 화전농경지대의 수확제를 주목하고, 맥령신앙의 존재와 '잡곡령' 제사의 구성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장 〈총괄과 금후의 과제〉에서는 곡령신앙에 관한 본론의 논의 결과를 총괄하고, 나아가 도작농경을 비롯한 맥작농경, 화전농경과 관련된 곡령제사가 한일 양국의 민족문화를 구명하는 데 중요한 주제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농경문화와의 비교연구의 가능성을 전망했다.

      • 새로운 극성 금속간 화합물에 대한 실험적 그리고 이론적 연구:RE₄LiGe₄ (RE=La-Nd, Sm, Gd and Er) and EuZnxIn₄-x(x = 1.10, 1.18)

        남근우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everal series of rare-earth metal containing ternary polar intermetallic compounds were synthesized using high temperature solid-state reaction method and characterized by both powder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experiments. Chapter 1 discusses about the new series of ternary RE4LiGe4 compounds (RE = rare-earth metals: La, Ce, Pr, Sm). Those were synthesized using the high temperature tube-furnace method and characterized by both powder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s. All title compounds crystallize in the orthorhombic Gd5Si4-type structure (space group Pnma, Z = 4, Pearson code oP36) and contains the Li substitution for one RE atom. The overall crystal structure can be described as all connected Ge2 dimers connecting two RE2LiGe2 slabs. Structural correlationship among three structure types according to the Ge2 dimer is also discussed. Site-preference of Li atom is investigated with geometric and electronic factors thoroughly. Chapter 2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the 13-valence electron system for a ternary polar intermetallic compound adopting the BaAl4-type structure: EuZnxIn4-x (x = 1.10, 1.18). Those compounds were synthesized using In-metal flux method and characterized through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s. Two title compounds adopt the prominent tetragonal space group I4/mmm with two formula units per unit cell (BaAl4-type structure, Pearson symbol tI10). The overall crystal structure consists of 18-vertex Fedorov polyhedron composed of Zn and In atoms, where Eu atoms are situated at the center of the Fedorov polyhedron. Specific site-preference of the Zn atom between two available anionic sites is examined with electronegativities and energy calculations using TB-LMTO program.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from the monoclinic EuIn4-type structure to the tetragonal BaAl4-type structure is also discussed thoroughly. Chapter 3 indicates a new ternary member of the RE5Tt4 family, Er4LiGe4 with respect to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The high temperature reaction method was used to synthesize the title compound. The crystal structure of title compound was confirmed by both powder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s. Er4LiGe4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nma (Pearson code oP36) and adopts the Gd5Si4-type structure. The compound consists of two-dimensional Er2LiGe2 layers and Ge2 dimers between two Er2LiGe2 slabs.

      • 金大中政府와 金永三政府의 對北政策 比較硏究

        남근우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통일정책은 이승만정부부터 전두환정부까지 강경위주의 정책으로 실마리를 찾지 못하다가 노태우정부시 북방정책을 통해 대북완화정책을 펴기 시작하여 김영삼정부시 혼선을 빚다가 햇볕정책을 표방한 김대중정부에서는 포용정책을 펴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북정책문제를 역대의 정부중 김영삼정부와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정책결정과정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대북정책의 실효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대북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과 행위자들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여 양정부의 대북정책을 비교하여 진정한 대북정책은 무엇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분석들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이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리더쉽과 정책관리, 리더쉽의 유형과 정책 결정, 통치자의 통치형태, 대통령의 지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대북정책에 관련된 주요기구, 대북정책요인 분석의 틀을 살펴보았다. 김영삼의 대북정책으로 대립적 대북정책을 살펴보고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국내·외적 조건과 김영삼의 대북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김대중의 대북정책으로 포용적 대북정책을 집권이전의 3단계통일론과 집권후의 포용정책을 나누어서 검토하였다. 대북정책에서도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내·외적 조건과 김대중의 대북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김대중정부와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을 시대적 여건, 통치철학과 지도력을 비교하고 통일방안을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김대중정부와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을 상대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고 바람직한 대북정책의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김영삼정부의 동일방안은 3단계 3기조 통일론인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으로 남과 북이 '화해·협력단계'와 '남북연합단계'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일민족 일국가의 '통일국가'를 완성하는 「3단계 통일론」을 제시하였다.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은 기본적으로 대북접근에 있어 낙관론을 가지고 있다. 둘째로 김영삼정부의 통일정책은 기능주의의 통합이론에 입각하고 있다. 셋째로 개방성과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로 국민적 합의와 민족복리를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로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합의 흡수통일을 지향하고 있다.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북한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처지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이며, 전시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둘째,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은 대북관계에서 먼저 평화 지향적이며 유화론적 자세를 취하려고 하였으나, 북한을 보는 상황분석과 논리적 판단의 부족으로 남북한 관계가 정치적으로 갈등현상을 보일 때, 즉시 북한에 대해 강경책을 사용하는 경향을 가졌다. 셋째,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은 남북한간의 문제를 일괄적으로 해결하려는 방법을 강하게 나타내면서도 북한의 결정에 매달리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김영삼정부의 대북정책은 일관성결여의 대북정책으로 적극적이며 자신감있는 통일정책을 추진하지 못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통일정책이 국내 정치적인 필요나 국민들의 인기에 부합하는 형식이라는 비판의 구실이 되기도 했다.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은 엄밀한 의미에서 '통일정책'과는 구별되며, '햇볕정책','화해협력정책', '평화공존정책', '포용정책', '대북유화정책' 등의 동의어들로 불리우고 있다. 70년대부터 주장한 김대중의 통일방안은 자주 평화 민주가 민족통일의 대원칙이다. 3단계 통일론의 제1단계는 남북연합(남북공화국연합)이고 제2단계는 연방제이며 제3단계는 완전통일의 단계이다.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은 남북관계 개선이라는 '대북정책'의 당면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대북정책 3대원칙'을 설정하고 있다. 그 3대 원칙은 첫째, 평화를 파괴하는 북한의 무력도발을 불용, 둘째, 흡수통일 배제, 셋째, 화해·협력의 적극 추진이다.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대중정부의 통일정책은 조기 통일의 실현보다는 한반도의 평화정착에 더 무게를 둔 선평화·후통일의 정책이다. 둘째, 특정의 정치적 통일방안의 공식천명이나 통일정책의 표방을 유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은 햇볕정책으로 상징화되고 있다. 넷째, 대북정책의 원리에 따라 나온 정책이 '정경분리원칙'이다. 다섯째,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의 내용중 하나는 상호주의 원칙이다. 김영삼정부와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결국 우리의 통일 정책은 북한의 내부상황, 국제환경의 변화, 그리고 우리나라의 내부의 변화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리의 대북정책은 탈정치주의, 탈통일 지상주의, 탈외세주의, 통일과 개혁의 연계정책 및 정책결정과정의 투명성과 체계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정경분리원칙, 원칙과 협상의 배합전략으로 북한을 상대하여, 우리의 민족사적 정통성을 지키면서 통일조국에의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 The Republic of Korea's reunification policy was hard lined and therefore did not meet with much success during the years starting from the government of Syngman Rhee up to the government of Chun Doo-Hwan. However, starting from the Rho Tae-Woo administration, there were changes made in Korea's North Korean policy. This softer stance continued on through the Kim Young-Sam government and the current Kim Dae-Jung administration. The current administration's engagement policy is best described by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North Korean policies, decision-making proces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Kim Young-Sam and the Kim Dae-Jung governments in doing so, suggest a direction for an effective North Korean policy. The North Korean policies of the two governments are compared by focusing on the influential role of the presidents and leaders. The analysis will advance the qualities a truly meaningful North Korean policy should posses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two presidents' leadership, policy management, leadership style, decision-making process, governance style, and factors which affect the leadership of the president, North Korean policy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North Korean policy analysis framework. The study of President Kim Dae-Jung's North Korean policy is separat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three-stage reunification theory which he proposed before taking office and the second part is the engagement policy proposed afterward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North Korean policy are divided into domestic and foreign factors and President Kim's view of the North. The North Korean policies of Presidents Kim Young-Sam and Kim Dae- Jung are compar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s, governing philosophy and leadership. Lastly, the paper will conclude by suggesting direction Korea's North Korean policy should take based on the comparisons and analyses. Kim Young-Sam government's reunification policy can be summarized by the "three stage, three basics"policy. The three stages ar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coalition of North and South' and ultimately a 'reunified country' of the Korean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policy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the administration was very positive in its approach to the North. Second, the reunification policy focused on functionalism. Third, the policy was open and flexible. Fourth, the polic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the people. Fifth, the administration desired a gradual and step-by-step reunification by absorption. The problems of the Kim Young-Sam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unilateral and for exhibition purpose. It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North. Second, although Kim Young-Sam's North Korean policy was peace-oriented, it took a hard stance of when political changes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was due to a lack of a clear analysis of the situation and logical judgement. Third, the administration wanted to take the North-South issue in its hands but it was easily swayed by the North. Fourth, because of the lack of consistency, the government was not pro-active and confident in pursuing a reunification policy. There unification policy became the object of criticism because it aimed to please people. The Kim Dae-Jung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is different from the 'reunification policy' of administration. F'resident Kim's North Korean policy is often called the 'sunshine policy', 'reunification and cooperation policy'. President Kim has been advocating this method of reunification which is based on independence, peace and democracy. The first stage of three-stage reunification theory is the North-South coalition. The second stage is creating a federation and the third stage is complete reunification. To meet the most immediate goal of improving relation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he Kim Dae-Jung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three major principles in North Korean policy'. The three major principles are, first, non-tolerance for any armed provocation from the North: second, disallowance of reunification by absorption: and third, active pursuit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m Dae-Jung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it places more importance on peace rather than on hasty reunification. Second, it has been very cautious in proclaiming any formula or policy for reunification. Third, it is symbolized by the 'sunshine policy'. Fourth, it separates polices from the economy. Firth, it abides by the rule of reciprocity. By comparing the North Korean policies of the two administrations, the most urgent tasks of Korea's reunification policy have become clear: to remove the political aspects in Korea's North Korean policy, not make reunification the ultimate goal of the nation, not rely on outside forces, link reunification policy to reform policy and procure transparency and systematic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is because Korea's reunification policy is influenced greatly by the domestic situation in the Nor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rena and domestic changes in Korea. If Korea is to face the North based on the principle of separating politics from the economy and the strategy of combining principles with negotiations, it could build the foundation for a reunified Korea and at same time keep its historic legitimacy.

      • 금산인삼축제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 세분화 연구

        남근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산인삼축제는 문화관광축제 사업이 시작된 1996년부터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되어 2012년까지 최우수 문화관광축제에 10회 선정되는 영예를 안으며 국내를 대표하는 산업형 축제로서 인지도를 높여왔다. 그러나, 문화관광축제 등급의 고착화를 탈피하고 신규 축제의 진입 활성화를 위하여 일몰제 정책이 2013년도에 시행되면서 정부의 예산지원 없이 지방재정에 의존하여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에 한정된 예산으로 수많은 축제와의 경쟁 속에서 축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부담 속에서 효과적인 축제운영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금산인삼축제를 방문한 참가자의 행동 및 구매특성을 세분시장별로 정확히 파악하여 축제계획에 반영하는 준비과정이 체계적이지 못하며, 이에 대한 시장세분화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금산인삼축제의 방문동기를 기초하여 시장세분화 분석을 통해 세분시장을 구분하고, 세분시장별 방문객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효과적인 축제운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산인삼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동기를 파악하고, 요인분석과 함께 시장세분화를 위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방문형태, 쇼핑형태에 대한 차이 검증을 실시해 세분시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표본은 금산인삼축제에서 10일간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총 425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투입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산인삼축제의 방문동기 20개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문화체험성, 제품관심성, 일상탈출성, 우연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방문동기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적극적 동기집단, 군집 2는 구매추구집단, 군집 3은 단순 참가집단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동기에 따른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교차분석결과 성별을 제외하고, 연령과 거주지는 군집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방문형태 특성과의 교차분석결과 방문횟수, 동반형태, 홍보매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쇼핑형태 특성과의 교차분석결과도 구입여부, 구입상품, 쇼핑비용 모두 군집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시장 세분화에 의한 각 군집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 1(적극적 동기집단)은 4개의 주요 방문동기가 모두 높은 집단으로 중·장년층 여성의 비율이 높고, 대전과 원거리권의 방문객으로서 가족·친구단위로 방문하며, 타 집단보다 고(高)지출의 재방문객 그룹으로 나타났다. 군집 2(구매추구집단)는 4개의 주요 방문동기 중 제품관심성이 높은 집단으로 대전 중심의 중년층 여성이 많으며, 가족·친구단위의 방문객층으로 TV방송과 구전(口傳)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인삼구매고객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 3(단순 참가집단)은 4개의 주요 방문동기가 소극적인 집단으로 젊은층의 대전과 금산지역의 비율이 높으며, 구전(口傳)과 옥외매체에 의해 정보를 주로 얻는 저(低)지출의 신규 방문 그룹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군집 1(적극적 동기집단)은 축제의 핵심방문시장으로 효율적인 관리 측면에 중점을 두어 전략을 수립해 나가야 하며, 군집 2(구매추구집단)는 소비시장으로 홍보·마케팅에 초점을 두고 방문객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군집 3(단순 참가집단)은 잠재시장으로서 축제의 관심도를 높여 재방문을 유도하는 한편, 소비지출을 확대하는 장기적인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북한의 복종과 저항의 정치 : 생산현장에 나타난 공식/비공식 사회관계(1950-70년대)

        남근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북한체제의 원형이 형성된 1950~70년대를 중심으로 북한의 생산현장에 강제된 복종의 정치와 그곳에서 표출된 저항의 정치를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이 문제에 천착한 이유는 북한체제가 겉으로는 위의 지시와 명령에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지배-복종체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주의체제가 지닌 내재적 한계로 인해서 필연적으로 저항을 잉태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항은 급속한 공업화가 진행되었던 1950~70년대에 이미 생산현장 곳곳에서 은밀한 방식으로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저항의 행위가 엄격한 감시와 통제 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은 북한정치영역에 대한 과잉해석에서 벗어나야 가능할 수 있다. 북한에서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일사불란한 지배-복종체계를 가능하게 했던 정치적인 요소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전후 북한체제가 당면한 경제적 상황 때문에 형성된 것이었다. 한국전쟁 직후 북한은 파괴되고 낙후된 경제상황을 하루빨리 급속하게 발전시켜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제가 선택한 목표에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동원해야 했다. 자원동원 방식은 시장이 아닌 최고 지도자와 그의 의지가 투영된 당의 일방적인 지시와 명령으로만 가능했다. 명령체계의 중앙집권화는 바로 이러한 경제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 사회주의체제의 일반적 특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주민들의 행위를 법적, 제도적 절차와 위계적 명령계통 속에 포섭하기 위해 인간행위의 제(諸)관계를 재구성했다. 이것이 최고 지도자의 지시와 명령에 대한 사회의 복종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전후 북한에서 출현한 공식 사회관계이다. 그러나 공식 사회관계는 사회주의체제에 내재되어 있었던 태생적 한계로 인해서 사적인 연줄관계를 통해 지시와 명령을 수행하는 비공식 사회관계를 필연적으로 잉태했다. 그리고 비공식 사회관계 속에서 생산지시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공모, 흥정, 저항하는 행위들이 표출되었다. 이러한 비공식 행위들은 이미 공업화시기에 생산현장 곳곳에서 일상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은 그동안 남한의 북한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생산관리자, 노동자, 농민 등 소위 ‘보통 사람들’의 행위를 일상사적ㆍ미시적 접근을 통해 복원하고자 했다. 그동안 남한의 북한연구는 북한정치영역에 대한 과잉천착으로 인해서 북한을 최고 지도자의 지시와 명령에 사회가 무조건 복종하는 일사불란한 체제로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위계적인 명령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감시와 통제 시스템에 지나치게 주목한 나머지 북한 주민들은 행위의 취사선택 가능성을 사상당한 채 체제의 의지와 목적에 무조건 복종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그려져 왔다. 그러나 정치적이고 물리적인 저항이 억제되어 있었을 뿐 생산현장에서는 생산지시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다양한 방식으로 갈등이 상존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기존 북한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외연의 폭을 확대시키기 위해 북한연구의 ‘탈중심화’를 제기할 것이다. ‘탈중심화’를 통해 북한체제는 지배-복종의 일사불란한 체제로만 발전해 온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저항의 행위 역시 존재했음을 밝힐 것이다. 아울러 보통 사람들의 능동적인 행위를 복원함에 따라 북한의 비공식 사회관계가 1980년대 이후의 변화가 아니라 이미 한국전쟁 이후부터 북한사회에 내재되어 있었다는 점을 규명할 것이다. 비공식 사회관계와 그 속에서 표출된 다양한 비공식적인 행위들은 북한체제가 공식 작동방식과 비공식 작동방식으로 이원화되어 왔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공식 작동방식의 구조화는 충성과 복종의 정치관계를 약화시켜 체제 응집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실질적인 변화는 바로 이러한 비공식 사회관계를 북한의 권력집단이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olitics of obedience forced on the production field of North Korea and the policies of resistance that appeared on the fields in the 1950s~1970s when the original form of its system was made. The study focused on the themes because the North Korean regime inevitably gave birth to resistance due to the internal limitations of the socialist system even though it looked like a dominance-obedience system that worked in a perfect order following the direction and commands from the top on the outside. It's noted that resistance took happen in subtle ways at every production site in the 1950s~1970s when North Korea went through a rapid industrialization. Then a question is raised, "How can acts of resistance be existent in the system of strict inspection and control?" One will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 only after discarding the previous practice of overinterpretation regarding the politics of North Korea.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centralization of the command system was a political element that enabled North Korea to run its dominance-obedience system in a perfect order. But it happened not because of the political reasons but because of the economic conditions the North Korean regime was facing after the Korean War. Right after the Korean War, North Korea had to recover the destroyed and deteriorated economy as soon as possible, for which it needed to mobil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efficiently. The only way to do so was through one-sided directions and commands where the wills of the chief leader were reflected rather than through the market. The centralization of the command system wa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ocialist system chosen to attain those economic goals. Thus North Korea reconstructed all the relations of human actions in order to embrace the citizens' action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cedures and the hierarchical command system. That's the formal social relations that appeared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to justify the society's obedience to the directions and commands of the chief leader. The formal social relations, however, inevitably gave birth to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in which the individuals carried out directions and commands through the personal connections due to the innate limitations of the socialist system. They engaged in conspiracy, negotiation and resistance in respect to how to follow the production orders in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Those informal acts were commonly structuralized in every production sit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The study attempted to recover the acts of so-called "common people" such as the production managers, laborers, and farmers, who were ignored in South Korea's researches on North Korea so far, from the perspective of everyday history and in a microscopic approach. The previous study on North Korea conducted in South Korea overly focused on its politics and created a perception that it ran a system in which the society blindedly followed the chief leader's directions and commands in a perfect order. Paying too much attention on the inspection and control system designed to reinforce the hierarchical command system, they depicted the people of North Korea as passive individuals who observed the determination and goals of the regime without raising any objections and with no choice for their own actions. But the reality was that there were conflicts in many different forms regarding how to follow the production order at the productions sites only with their political and physical resistance suppressed. The study suggested "de-centralization" of researches on North Korea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nd expand their denotative meanings. It suggested that there were diverse forms of resistance among the people of North Korea in addition to the dominance-obedience system in a perfect order through "de-centralization." It also reviewed that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of North Korea had existed in the society since the Korean War rather than since the changes in the 1980s by recovering the active actions of common people. The informal social relations and the diverse informal acts manifested in it claim great significant in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has worked in a dual system of the formal and informal operations.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informal operation can weaken the political relations of loyalty and obedience and thus decrease the cohesive power of the regime. Thus it's implied that the practical changes to the North Korean regime will depend on how the power group of North Korea will deal with the informal social relation.

      • 야간경제·관광과 축제 관점에서 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 -충남 금산군,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을 중심으로-

        남근우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tourism industry is a new growth engine in the era of low growth with high economic vitality and job creation effects, and most provinces are striving for the tourism industry as an alternative to population decline, aging, and loss of power in existing regional-based industries. Unlike in the past, the view to rural areas is diversifying not only as a simple agricultural production space but also as a living space and tourism, and access in terms of urban and rural co -prosperity is emphasizing. Rural tourism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strategy for commercializing tourism in rural spaces, and has emerged as a powerful methods of rural development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ive-day workweek. However, there are limits to the growth of rural tourism as a major industry due to lack of manpower and expertise to participate in rural tourism caused by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in rural areas, and the lack of similar programs by region and regional specialized contents in quantitative growth. Now, as a new breakthrough of rural tourism,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upcoming festival, which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night time economy & tourism, and regional revitalization as a futur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y. This study derives factors to revitalize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in perspective of night economy, tourism, and festivals to prepare future tourism growth engines in rural areas. Geumsan-gun, Chungcheongnam-do, Muju-gun, Jeollabuk-do, and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ourism activation factors by each reg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each reg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night-time specialized food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and ha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food in tourism once agai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in rural areas near the city, the key elements of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placed at the top, and it was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elements of the city can be projected in rural areas near the city. Third, Operation of night markets which induce the purchase of special products was found to be a key factor in revitalizing tourism i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Fourth,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had a strong perception that the operation of night events in the park would have a great impact on tourism revitalization. Fifth, Night city tours around rural night attractions were analyzed as a key factor in revitalizing tourism in Muju-gun, Jeollabuk-do. Sixth,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factors for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the city: 'tourism competitiveness in rural areas', 'tourism competitiveness in center of rural areas', 'expansion of tourism in rural areas', and 'use of tourism in rural areas'.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regional differences for each factor in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regions: Geumsan-gun, Chungcheongnam-do,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and Muju-gun, Jeollabuk-do. Eighth,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test for each factor in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oup, marital status, and policy participation aside from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d foster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zones in the center of rural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y late-night snacks using local special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department for advanced settlement of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Four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hat connects to the city. Fif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ynergy between regions by developing tourism products linked to regional representative festivals. Sixt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attract urban resid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small-scale festivals that emphasize rurality. Seventh, The importance of the night time economy and residents' education on the new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should also be preceded before introducing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to revitalize tourism in rural areas near the city. Differentiated implications for the three regions of the study were also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o revitalize the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focused on local specialties i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And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night time revitalization strategy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performances in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Muju-gun, Jeollabuk-do shoul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ight time by developing rural night attractions and connecting night attractions. This study derives factors for revitalizing tourism in rural areas near cities in perspective of night time economy, tourism, and festivals, and analyzes regional differences and it is meaningful to come up with measures to revitalize tourism as a new future growth engine in rural area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night time economy, tourism, and festival policies in rural areas near cities beyond the spatial concept of cities. However, as a rural area near the city,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ing domestic application by comparing only three areas: Geumsan-gun, Chungcheongnam-do, Yeongdong-gun, Chungcheongbuk -do, and Muju-gun, Jeollabuk-do. In the future, an empirical study on tourism revitalization for potential tourists visiting rural areas is needed to compare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revitalization factors in urban and suburban rural areas and to establish policies to revitalize tourism in rural areas concretely. Key Word : Rural tourism near the city, Night time economy and tourism, Festival, Revitalization of rural tourism 관광산업은 경제 활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저성장시대의 신 성장 동력으로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기존 지역기반산업의 동력 상실의 대안으로 대다수의 지방에서는 관광산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농촌을 보는 시각이 단순 농업생산 공간으로서만 아니라 생활공간, 관광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도농 상생의 차원에서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농촌공간의 관광 상품화 전략으로 대두된 대표적인 것이 농촌관광으로 주5일 근무제 시행과 함께 유력한 농촌개발 수단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농촌관광 참여 인력의 부족과 전문성 부족, 양적인 성장 속에서 지역별 유사 프로그램, 지역 특화 콘텐츠 부족으로 농촌관광이 지역의 주요한 산업으로 성장하는 것에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제 농촌관광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미래의 도시 활성화 전략으로 다가오는 야간경제·관광(Night Time Economy&Tourism)과 지역 활성화의 큰 축을 담당하는 축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미래 관광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자 야간경제·관광과 축제 관점에서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지역 간 비교 연구를 통해 각 지역별 관광 활성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충남 금산군, 전북 무주군, 충북 영동군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관광 활성화에 있어 야간특화음식 개발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 관광에 있어 음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둘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에 대한 분석 결과 야간경제·관광의 핵심 요소들이 상위권을 차지해 도시의 야간경제·관광 요소가 도시 근교 농촌지역에서도 투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셋째, 충남 금산군의 관광 활성화에 있어 특산물 구입을 유도하는 야간장터의 운영이 핵심요소로 나타났다. 넷째, 충북 영동군은 공원에서의 야간 이벤트 운영이 관광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거라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전북 무주군에서는 농촌다운 야간명소를 둘러보는 야간 시티투어가 관광 활성화의 핵심요소로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 요인으로 ‘농촌 배후지 관광 경쟁력’, ‘농촌 중심지 관광 경쟁력’, ‘농촌지역 관광확대’, ‘농촌지역 관광활용’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일곱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의 각 요인별로 지역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충남 금산군,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3개 지역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의 각 요인별 차이 검정 결과 성별을 제외한 연령대, 결혼여부, 관광정책 참여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한 결론과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촌 중심지에 야간경제·관광구역을 지정하고, 육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건강한 야식(夜食)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야간경제·관광 조기 정착을 위한 전담부서 설립이 필요하다. 넷째, 야간경제·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시와 연결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도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 대표 축제를 연계한 관광 상품 개발로 지역 간 시너지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여섯째, 농촌성(Rurality)을 강조한 새로운 소규모 축제 개발로 도시민을 지속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일곱째, 도시 근교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야간경제·관광을 도입하기 전 야간경제의 중요성과 신 야간경제·관광에 대한 주민 교육과 함께 전문가 양성과정도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지 3개 지역에 대한 차별화된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먼저, 충남 금산군에서는 지역 특산물을 중심으로 한 야간경제·관광 활성화 정책수립이 필요하며, 충북 영동군에서는 문화예술공연으로 새로운 야간 활성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전북 무주군에서는 농촌다운 야간 명소 개발과 야간 명소를 잇는 농촌투어로 야간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야간경제·관광과 축제 관점에서 도시 근교의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로서 농촌지역의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도시의 공간적 개념을 넘어 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야간경제·관광과 축제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도시 근교 농촌지역으로서 충남 금산군,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3개 지역만을 비교해 국내 적용의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 도시와 도시 근교농촌지역의 관광 활성화 요인에 대한 주민 간 인식의 비교 연구와 도시 근교의 농촌지역 관광 활성화 정책을 보다 구체적으로 수립하기 위해 실제 농촌지역을 방문할 잠재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관광 활성화에 대한 실증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주요어 : 도시 근교 농촌관광, 야간경제·관광, 축제, 농촌관광 활성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