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업(共業) 사상의 연원과 사회실천적 전개

        남궁선 ( Gung Sun Na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불교의 업사상을 개인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으로 나누면 불공업 (共業, sadharana- karma) 과 공업(共業, sadharna - karma)으로 나눌 수 있다. 인도의 재래 업사상에서 자업자득의 업 개념이 강조되듯이 불교에서도 역시 개인 행위에 의한 개인의 과보가 주로 강조되었을 뿐, 행위의 결과를 사회구성원 전체가 공유하게 된다는 개념의 공업사상은 그리 강조되지 않았다. 더욱이 연기법과 무아사상을 근본교의로 하는 불교의 업설에서, 상의상관성과 상호 의존성을 근간으로 하여 업보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공업 측면의 업설을 소홀히 취급하였다. 그렇지 만과학 문명이 가져다 준 교통과 통신수단의 발달, 사회체제의 변화, 환경문제 등은 인간의 업이 미치는 상호영향력의 중요성을 점점 더 깊이 느끼게 하고 있다. 공업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행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해보면 모든 행위는 증상연이 되고 그것은 증상력을 보유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어떠한 현상 (증상과로서의 비유정수)을 사회에 나타내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어느 행위든 다른 사람들의 마음가짐에 영향을 반드시 미치게 되므로 행위에 대한 책임성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불교는 개별적 수행에 의한 개인의 깨달음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개인 행위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성과 사회를 지배하는 사상이나 행위가 개인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사회제도나 법규, 문화 등에 관한 문제도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The karma theory of Buddhism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is shared-karma(共業) that is held in common by certain groups of people (Skt. sadharana-karman). The other is individual karma (Skt, avenika-karman) that gives rise to individual effects. As the traditional Indian karma was, shared-karma was not emphasized in the Buddhist karma thought. However, the Buddhist karma theory based on Dependent co-origination and No - ego ideas didn`t pay much attention to ``shared karma`` even though the responsibility of mutual action in terms of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should be emphasized, Ow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 which were brought by science, the importance of the shared karma has become much stronger than any other times. In shared karma, all activities of human- beings bring some results through predominant condition(增上緣) and will have predominant power(增上力). As all activities influence one another among people, the responsibility for the mutual activities should be emphasized. In this respect, Buddhism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social system including law and culture which bring changes of social member`s thought and actions through social engagement of individuals instead of paying too much emphasis on individual enlightenment.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불교 불식육계(不食肉戒)의 생태학적 고찰

        남궁선 ( Gung Sun Na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불교의 자비는 수많은 방법을 통하여 실천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동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불살생의 실천이다. 불교에서 강조되는 불식육계도 결국은 불살생을 위한 계율이다. 그러나 잡식동물이라는 생리적 특성상 인간은 채식만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즉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다른 동물의 생명 희생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불살생의 실천을 위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식생활을 하느냐이다. 그것이 바로 불교의 불식육계가 지향하는 식사법이다. 타 생명체의 희생을 최소화시키면서 자연과 인류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식사법을 생태식이라고 할 때 우리는 생태식을 위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하다. 무수한 직간접적 살생의 과정을 통하여 현대의 산업농이 생산한 육류의 섭취는 자제되어야 한다. 교통수단의 발달로 원거리에서 수입되는 식품도 역시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생산과 저장 이동 조리 등의 어느 과정에서든지 에너지가 많이 투입되는 식품은 모두 간접살생의 원인이 되므로 이것 역시 불식육계를 간접적으로 범하는 것이다. 생태식은 단순히 육식과 채식의 문제가 아니다. 불살생을 적게 유발하는 식사법이 바로 불상생계를 지키기는 참된 식사법인 것이다. 그것이 바로 생태식인 것이다. 이상을 높이 두고 현실의 실천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현 생태문제의 해결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선 1주에 하루나 이틀이라도 무육일(無肉日)을 정하여 고기를 먹지 않는 실천을 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동물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여겨 나의 식생활에서 얼마나 생태식이 실천되고 있는지 날마다의 점검을 필요로 하는 시점이다. 그것이 바로 불살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Compassion in Buddhism can be put into practice through various kinds of methods.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o respect animal`s life is one of them.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emphasized in Buddhism is one of the abstinence from taking life (不殺生) which belong to the category of the first of the five precepts (五戒). Human beings, physically characterized by omnivorous animal, sometimes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health only by eating vegetables. To some extent, the sacrifice of animals is inevitable for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However, the point is that how we should have dietary life to observe the precept of the no-killing. That is the very Buddhist - oriented dietary life of abstention from eating meat precept. If the ecological way of eating can be called th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it is necessary for us to have a careful effort for a ecological way of eating. The intake of meats that is killed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modern agricultural industry should be restrained. The imported fo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also aggravate ecology. All foods that require much energy through production, storage, transportation, and cooking will be the cause of indirect killing. So it will be also the violation of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e ecological eating is not merely confined to the matter of eating meat or vegetable. The eating that causes less killing is the true way of keeping the precept of the abstention from eating meat. That is the very way of ecological eating. The idealistic eating way that prevents the putting into practice doesn`t helps solving the ecological problem. We should keep the precept of no-killing by practicing "one or two no-meat day" in a week. That is the very way we can minimize killing animal.

      • KCI등재후보

        생태철학의 문제점과 불교의 업사상

        남궁선(Nam gung-sun)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0 No.-

          Many scholars of Deep Ecology(深層生態學) claim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is derived from too much human-centered thought. However, their claims make the situation all the more difficult because of their insistence on too comprehensive way of thinking approach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e. Scholars of Social Ecology(社會生態學) insist that all ecological crisis comes from social hierarchy. However, it is a mistaken view that any social phenomenon is the result of one main cause. Each phenomenon is the result of inter-related complex factors. So the dissolution of social hierarchy cannot be the only alternative to the solution of ecological crisis. Eco-feminists trace the cause of all ecological crisis to patriarchal male chauvinism. Henceforth, eco-feminists think like that they ar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current ecological problems. They also have very simple ideas that if male-centered social hierarchy is dissolved,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will be automatically settled. The Sutra on the Great Extinction(大般涅槃經) teaches us that the joy and sorrow of human beings consist of compound causes, do not comes from single factor. So we have to approach all problems in diverse perspectives. Accordingly, we have to approach the current ecological problems in this respect. As collective karma(共業) is the result of all collective social actions, especial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of contemporary socio-cultural aspects and the current thought of the times. Therefore I"ve tried to reinterpret the ecological problems in terms of Karma thought. The root cause of ecological crisis is the Three Poisons(三毒), i.e "desire, anger and ignorance". Especially "ignorance(癡)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the problems. However, it"s not easy to get rid of these "three poisons". So we have to change our daily life pattern and the way of thinking. If we think in the perspective of karma, all living beings of past, present and future are inter-related and on the same contexts in terms of samsara. Accordingly we need the introduction of "karma thought"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Thought of karma(業思想)‘ teaches us that someday we"ll have karmic results although we do not have immediate results of what we have done. Furthermore, it also teaches us that we"ll have karmic result of what we have done to nature. The diversity of eco-system is maintained through the existence of various species of animals and plants. In order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each species, both motive and result of karma are important. Likewise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karma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ecological problems.

      • KCI등재

        이승훈 시 연구-해체주의시에서 선시로의 변화 양상-

        남궁선 ( Nam-gung Sun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8 No.-

        이 논문에서는 주체가 소멸하고 언어 자체가 시를 쓴다는 이승훈의 90년대 시론이 2000년대에 들어와 언어의 허상성을 깨닫고 불교적 선시로의 전환을 꽤했던 지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선시 경향에 대한 시 분석을 통해 시적 변모의 의미를 밝히고 특히, 이승훈의 시 쓰기 방식의 커다란 특징의 하나인 시로 쓰는 시론, 즉 시에 나타나는 메타적 특성을 중심으로 논의 하였다. 이승훈은 끊임없이 자아의 문제에 천착한 시인이다. 자아의 문제에서 자유롭기 위해 비대상을 노래했고, 언어 자체가 시를 쓰게 함으로써 자신의 소멸을 증명해 보이고자 노력했다. 이승훈의 시 쓰기 방식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를 넘어 선사상까지 두루 섭렵한 매우 포괄적인 작업이었다. 시인의 이러한 도전은 결국, 선시에 이르러서 그가 벗어나고자 했던 불안증에 대한 해답을 얻게 한다. 대상과 언어, 자아에 대해 분열증적 태도를 보여 왔던 시인은 대상과 언어, 자아 없음에 대한 깨달음으로 그 자신의 시세계에서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영혼에 도달하기 위해 실천한`선시 쓰기`는 종종 시인에게 선적 깨달음을 주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자아와 대상과 사물 간의 화해로운 조우에서 가장 큰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90년대 해체시와 정신주의시의 논쟁으로부터 달려온 이승훈의 10여 년 시작 활동을 그의 시 쓰기 특징인 메타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목표를 상실한 90년대 시의 위기의식을 해체주의 방식으로 개진해 나갔던 이승훈은 서구의 여러 이론들을 탐독하면서 그 이론들의 수렴점을 동양사상에서 찾았다. 이러한 그의 끊임없는 지적인 탐색은 동양사상, 불교사상, 선사상으로 확대되어 그의 시론과 시에 풍요로운 성과를 안겨주었다. In this article, Lee Seung-hoon`s 90s poetry, which states that the subject disappears and the language itself is poetry, came into being in the 2000s and examined the point of realization of the virtue of language and the transition to Buddhist poetry. The poetic analysis of poetic tendency reveals the meaning of poetic transformation and especi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Meta-poetic character, which is one of the great features of Lee Seunghoon`s poetry. Lee Seung-hoon is a poet who constantly focuses on the problem of self. He revealed non-objects to be free from his self-matter and tried to prove his disappearance by letting the language itself write poetry. Lee Seunghoon`s writing method was a very comprehensive work that spanned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ism, as well as buddhist line of thought. His challenge, after all, is to reach the Buddhist poetry and get the answer to the anxiety he was trying to escape. Subjects and Languages. The poet, who had shown a schizophrenic attitude toward the self, could become more liberal in his own world by the realization of selflessness. Ultimately, the `Writing Buddhist poetry`, which was practiced to reach out to the free soul from fear, often gave Buddhist enlightenment to the poet and was able to read the greatest change in the friendly meeting between the self and the object and things. Lee Seung-hoon`s works for 10 years which controversy between Deconstructionism poetry and Mentalism poetry were examined through meta poetry which is characteristic of his poetry. Lee Seung-hoon who went through the crisis of 90`s poetry that lost his goal by deconstructionism found the convergence of theories in Orientalism while exploring the various Western theories. His incessant intellectual exploration has expanded to Eastern thought, Buddhist thought, and Zen philosophy, bringing enriched results to his theory and poetry. Above all, it must have been a very meaningful task in terms of the personal aspect and the historical aspect of poetry as well as the answer to the escape from the self which the poet constantly pursued through Buddhist poetry.

      • KCI등재

        정지용 시에서 외국어의 수용과 조선어 활용

        남궁선(Nam-gung, Sun) 한국시학회 2017 한국시학연구 Vol.- No.50

        정지용은 1923년 일본 교토의 도시샤대학 예과에 입학하여 1926년 수료하고 4월 영문학과에 입학, 1929년 3월에 졸업한다. 지용은 당시 일본 문단과의 직접적인접촉과함께본격적인작품활동을 하였다. 이 때지용이 접한 새로운 사물과 언어는 그대로 그의 시에 스며들어 새로운 미적 언어로 탄생된다. 새로운 언어의 장은 외국어와 한자어 또는 일본식 한자어, 고어나 방언으로 이루어진 난해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정지용의 시언어에 주목하여 외국어의 수용과 함께 조선어의 활용이라는 입장에서 고어나 방언으로 이루어진 시어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외국어 사용의 경우, 1920년대 초기 시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며, 방언은 중기 시, 고어의 경우는 대부분 후기 시에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지점은 1920년대 지용의 시에서 외국어의 빈번한 사용뿐 아니라, 토속적인 어휘와 방언 등이 함께 등장한다는 점이다. 정지용의 외국어 사용과 외국풍물에 대한 감각적 묘사는 기교주의적이거나 표피적 형상에 그칠 수도 있었으나, 감상적이거나 관념적인 언어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의 출발점이 되어주었다. 또한 지용은 새로운 개념과 사상, 정서를 표현하려는 일방적인 외국어의 사용만이 아니라 조선적인 정서를 함축한 조선어의 활용을 염두에 두었다. 즉, 외국어의 사용과 조선어의 활용이라는 점에서 근대풍경에 대한 감수성과 조선적 정서가 혼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 시를 창작하고 외국어의 활용이 빈번했던 시기에 고어나 방언 등의 조선의 고유한 언어의 결을 찾고자 한 것은 지용의 미적 자의식의 발현이었으며 근대적 시 쓰기로의 이행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었다. Jeong Ji-yong entered the art department of Doshisha University in Kyoto, Japan in 1923 and completed it in 1926. He entered the English Language Department in April and graduated in March 1929. He made full-scale works with direct contact with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At this time, new objects and languages that he encountered penetrate into his poetry and are born in a new aesthetic language. The chapters of the new language consist of foreign languages, Chinese characters or Japanese characters, and Korean archaic words or dialects.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on Jung ji-young"s poetry, and tri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poet made of Korean archaic words or dialect in terms of the acceptance of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case of foreign language use, it appears intensively in the early 1920s, while dialects appear in the mid-term and in the latter period in the case of Korean archaic words. The point of attention in this paper is not only the frequent use of foreign languages in his poetry in the 1920s, but also the introduction of local vocabulary and dialects.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and the sensual depiction of foreign scenes could have been technocratic or superficial, but they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a new poetry devoid of sentimental or idealistic language. In addition, Jeong Ji-yong not only used the unilateral foreign language to express new concepts, thoughts and emotions, but also considered the use of Korean language implicating Korean sentiments.In other words,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and the use of Korean language can be regarded as a mixture of sensitivity to modern landscapes and Korean sentiments. It was a manifestation of his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nd a way for the transition to modern poetry writing in order to find the result of the native language of Korean language such as Korean archaic words or dialect at the time when the Japanese poem was created and the use of the foreign language was frequent.

      • KCI등재

        박재삼 시 연구

        남궁선(Nam-gung, Sun) 한국근대문학회 201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박재삼 시인의 어떤 심리적 특성에 의해 여성의 죽음이 시 텍스트에 표면화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출발 한다.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시인의 심리 기저에 드리워진 슬픔과 한의 내적 동인을 찾아보았고 ‘바다’와 ‘여성’의 상관성을 통해 죽음의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에 내재된 슬픔을 아름다움에 대한 강박으로 보고 그 강박이 시에 드러나는 형식인 종결어미의 변형을 분석해 보았다. 박재삼 시에 드러난 슬픔과 『한』의 내적 동인을 작가의 고백 및 시 恨을 통해 분석한 결과, 그의 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아픔과 그리움은 필연적으로 죽음 의식의 소산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의 죽음에 관한 시인의 인식은 유년시절 목격했던 가까운 이들의 죽음과 더불어 그가 성장한 바닷가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년기의 죽음에 관한 체험은 그의 시에서 절망감 보다는 아름다움으로 발현 된다. 시 『추억에서 16』 과 『어지러운 혼』 에서 보여 지는 죽음의 장소로서 바다는 ‘반짝이는 꽃밭’, ‘영원한 세계로 가는 길’ 등으로 나타난다. 죽음은 서럽지만 바다가 포용하는 죽음은 아름답다는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시인의 상처 난 자아는 아름다운 죽음-아름다운 시로 그 슬픔을 보상 받는다. 박재삼 시에 내재된 아름다운 슬픔에 대한 강박은 특히, 그의 독특한 시어의 변형-종결어미의 변형에 의해 완결되는데, 이러한 시어의 구사는 슬픔에 대한 방어적 투쟁을 이끌어 낸다. 그 방어의 흔적은 시의 형태적 변형으로 현실 속에서 겪게 된 죽음을 아름다움의 원동력으로 이끌어 내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starts with a question about how the death of a woman has surfaced in poetry b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et Park Jae-sam.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I search for the sadness and internal driver of the poet in the psychological base of the poet, and try to clarify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sea" and "woman". In addition, I regard the sadness inherent in poem as an obsession for beauty and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final endings, which is the form in which the obsession is revealed in po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dness revealed in Park Jae-sam"s poem and the internal driver of Han through the author"s confession and his poem Han, the pain and longing of love in his poem are inevitably the result of death consciousness. The poet"s perception of the death of women is formed in the background of the death of his close companion and the beach he grew up in. However, this experience of childhood death appears in his poem as beauty rather than despair. As a place of death seen in poems 16 in memories and dizzy souls, the sea appears as "a sparkling flower field" and "a path to an eternal world". Death is sad but death that the sea embraces is beautiful, meaning that the poet"s wounded self is rewarded for his grief with beautiful death - beautiful poem. The compulsion for the beautiful grief inherent in Park Jae-sam"s poem is completed, in particular, by the transformation of final endings of his unique verse, which leads to a defensive struggle against sadness. The sign of the defense is a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poem, meaning that it has brought beauty to death through the reality.

      • KCI등재

        돼지 우리 깔집용 왕겨에서의 ochratixin A 검출

        이문한(Mun Han Lee),박진봉(Jin Bong Park),박응복(Eung Bok Park),이영재(Young Jae Lee),신광순(Kang Soon Shin),박종명(Jong Myung Park),남궁선(Sun Nam gung),조준형(Joon hyoung Cho),박근식(Keun Sik Park),권택석(Tae Seok Kwon),이재구(Jae 한국예방수의학회 1992 예방수의학회지 Vol.16 No.1

        A sporadic incidence of porcine nephropathy suspecting mycotoxicosis was encountered in piglets of a farm. TLC and HPLC were employed to identify, confirm and quantitate the causative mycotoxin in animal feeds and rice chaffs used as floor beddings of the pigpens. As a result, ochratoxin A was detected in the rice chaffs on floor beddings with concentrations of 22.4 ppb-1.17 ppm, and the rice chaffs stocked to be used were also contaminated with ochratoxin A at levels of 89.1-997ppb. In conclusion, the porcine nephropathy was caused by ochratoxin A contaminated in the rice chaffs used as floor beddings for the pigl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