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소수자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남궁미,박정은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3

        This study examined how sexual minorities have been discussed and understood in the South Korean counseling literature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sexual minorities. This study analyzed 84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June 2019, focusing on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methodologie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nnual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a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2000. Research topics in order of frequency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minority identity and mental health-related variables(36.9%), understandings of the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ies(20.2%), counseling competencies for sexual minority clients(19.0%), content analyses(8.3%), and perceptions of sexual minorities(7.1%).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were the most commonly studie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ologies used in order of frequency were: quantitativ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mixed-method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성소수자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상담 연구에서 성소수자가 어떻게 논의되고 이해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성소수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상담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19년 6월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중 성소수자와 관련된 총 84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대상, 방법 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논문 수는 2000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주제별 연구 동향은 성소수자의 정신건강 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가 31편(36.9%)으로 가장 많았고, 성소수자의 고유한 경험에 관한 연구가 17편(20.2%), 성소수자 상담모델 및 상담역량 연구가 16편(19.0%)이었으며, 개관 연구가 7편(8.3%), 성소수자에 대한 비성소수자의 인식 연구가 6편(7.1%), 척도개발 연구 5편(6.0%), 기타 2편(2.4%) 순이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를 기준으로 보면, 대다수의 연구가(84%)가 (상담자나 내담자가 아닌)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 방법의 경우 양적 연구가 전체 연구의 58.3%를 차지했으며 질적 연구(29.8%), 개관 연구(10.7%), 혼합 연구(1.2%)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에서 이타성의 매개효과

        남궁미,장재홍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741 students who were the 2nd or 3rd grade from 3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Based on collected data,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specified a model of SEM which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nd avoidant attachment and outsider and defending behavior in school bullying and tested whether the hypothesized model fits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nxious and an avoidant attachment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outsider behavior and negatively with defending behavior. Second, altruism is correlated negatively with outsider behavior and positively with defending behavior. In addition, an anxious attachment and an avoidant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truism. Thir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avoidant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less altruism, which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outsider behavior an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as for an anxious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outsider behavior an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defending behavior. Additionally,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altru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sider behavior and defending behavior.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애착과 조력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하여, 청소년의 불안, 회피애착과 이타성 및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차원과 학교폭력 방관·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이타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소재 중학교 3곳의 2, 3학년 7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타성이 불안, 회피애착과 학교폭력 방관, 방어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이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에서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이 높아졌으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둘째, 이타성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은 낮아지고 방어행동은 높아졌다. 그리고 불안 및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이타성이 낮았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이타성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방관행동은 높아지고 방어행동은 낮아지는 간접효과가 뚜렷하였다. 반면 불안애착의 경우,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방관행동은 높아지고 방어행동이 감소하는 직접효과와 불안애착이 높아질 때 이타성이 높아져서 방관·방어행동에 영향을 주는 매개효과가 동시에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결과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준범,남궁미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2

        최근 건강 및 환경오염과 관련된 사회적인 관심과 함께, 전 국민적으로 보행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보행자 교통사고 역시 5년 전보다 8% 이상 감소하였다. 그러나 65세 이상의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5년 전보다 26%가 증가하여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는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16년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를 활용하였으며,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와 비고령자 사이의 보행자 교통사고 영향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횡단보도 밀도는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에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토지이용 혼합도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의 경우, 차로수와 상업지역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고심각도에 따른 영향요인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령 보행안전을 위한 교통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in Busan. We analyzed the 2016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data and employed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 Specifically, the crosswalk density shows negative assciations with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while the level of land-use mix shows positive associations. For the non-elderly, the number of car lanes and commercial area ratio show positive associations with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between elderly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which result in serious injuries and the accidents which result in minor injuri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efforts to introduce policies that can improve elderly pedestrian safety.

      • KCI등재

        서울시 고령자의 대중교통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욱,남궁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the elderly by age groups in Seoul. Using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we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 non-elderly (less than 64 years of age), pre-elderly (between 65 and 74 years old), and post-elderly (over 75 years of age). The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ravel pattern between age groups and the determinants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by different age groups.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pre- and post-elderly groups have different travel patterns compared to the non-elderly group. The pre- and post-elderly groups are more likely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han the non-elderly group. The post-elderly group is more likely to walk than the pre-elderly group. The determinants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are variable among different age groups in the elderly. Access to bus stops and hospita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transportation use in the pre-elderly group, whereas elderly leisure facil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t-elderly group. Access to markets has an impact on public transportation use in both the pre-elderly and the post-elderly groups.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고령자를 위한 대중교통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이에 고령자 통행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계층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자고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자 계층의 비통근통행(쇼핑/여가/기타 목적)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있어 우선적으로 65세 미만의 인구(비고령자 계층)와 65세 이상의 인구(고령자 계층)로 분류하여 기본적인 통행행태의 차이를 살펴본 후, 고령자 계층을 전기고령자(65세-74세)와 후기고령자(75세 이상)으로 세분화하여 통행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비고령자와 고령자 간의 통행행태의 비교에 있어, 고령자 계층이 비고령자 계층과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 점은 고령자 계층일수록 비통근(쇼핑/여가/기타)통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고령자계층의 대중교통 이용율 또한 높아지고 있었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항 로짓분석을 통해 비통근통행에 있어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지의 버스정류장 수, 시장 수, 병원 수는 고령자들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 고령자(65세-74세)와 후기 고령자(75세 이상)의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수와 버스 정류장 수는 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여가시설 수는 후기 고령자 계층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적지의 버스 정류장 수는 대중교통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지하철역과의 거리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령자들의 대중교통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동성애자 내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여성 동성애자를 중심으로

        박정은,남궁미,정서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4

        This study explored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lesbian clients.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individuals who identify as lesbians. Using Van Kaam’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pproach, 4 categories, 11 themes, and 25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four categories were counselors’ bias and prejudice toward lesbian and gay individuals, coming out to counselors, the counseling process, and expectations of counselor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sexual orientation to be an integral part of their identities and reported that coming out to a counselor was a requisite component of the counseling process.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had specific expectations of counselors when seeking counseling services. Some common expectations included a counselor’s affirmative attitude toward sexual minority individuals, and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the individuals who are part of a sexual minority.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to help counselors provide effective services to lesbian and gay clients are made, including counselors’ attitude and counseling competencies for lesbian and gay clients. 본 연구는 동성애자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회기 이상 기간 상담을 받은 동성애자 7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성애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를 인식함, 동성애자로서의 정체성 드러내기, 내담자로서 경험한 상담과정 및 결과, 동성애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전문성과 태도를 예측하고 확인하기의 4개 범주와 11개 주제, 25개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는 자신의 성적 지향성이 자신의 정체성의 한 부분이라고 여기며, 상담 장면에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보여주기 위해 상담자에게 ‘커밍아웃’ 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상담을 고려할 때, 상담자가 자신의 성적 지향성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갖고, 자신의 고유한 경험을 이해해 주기를 기대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성애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상담자 태도, 요인, 전문성 등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역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영,남궁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is purpose, a path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he 2017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The survey includes the respondents’ perceiv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is study also considers objectively measur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objectively measur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lo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본 연구는 지역환경과 신체활동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중에서도 지역환경과 주관적 건강 간 관계에서 신체활동의 매개효과 검증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인식된 환경과 주관적 건강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도 함께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된 지역 환경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은 신체활동과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활동은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건강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1인가구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서연,남궁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9 국정관리연구 Vol.14 No.3

        최근 우리나라 가구의 주거비 지출이 급증하고 있다. 주거비 부담은 개별 가구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1인가구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1인가구 주거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주거비 부담이 높고 주거불안정성이 높은 1인가구를 위한 주거복지정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주거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한국 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1인가구 주거비 부담능력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생애주기 별 특성이 다른 1인가구의 특징을 고려하여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로 세분화하고, 주거비 부담능력 영향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인가구 주거비 부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애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기에는 소득관련 경제적 요인이 주거비 부담능력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장년기는 노년기와 유사한 특징을 가졌으며 노년기는 주거환경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1인가구의 주거비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for single-family household considering life cycle. We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household’s age – early adulthood (between 20 and 39 years of age), middle adulthood (between 40 and 64 years of age), and late adulthood (over 65 years of age). We analyzed the 「2017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employ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among different age groups. 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for early adulthood. Residential environment is an important determinant in late adulthood.

      • KCI등재

        소득계층별 주거환경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정,남궁미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income classes in Korea. Using the 2016 Korea Housing Survey data, we classified the income class into low-income group, middle-income group, and high-income group.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each of the three income groups.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low-income household is less satisfied with their neighborhood attributes and have an overall low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vary by income groups. Safety from crim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middle-income households, respectively. Access to commercial facility is important for high-income households. Neighborhood interactions and noise levels are important for all groups regardless of income class. This finding suggests that varying strategies should be employed to enhance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st the different income classes. 본 연구는 소득계층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와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주거복지정책 수립 시에 정책대상의 소득계층에 따라 어떠한 주거환경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가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16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가구를 대상으로 월평균 소득에 따라 저소득 가구(200만 원 이하), 중소득 가구(201-400만원), 고소득 가구(401만 원 이상)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주거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환경만족도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인들은 소득계층별에 따라 다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계층의 경우에는 치안 및 범죄 등 방범상태가, 중소득 계층의 경우 교육 환경이, 고소득 계층의 경우 상업시설 접근성이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환경 요인 중 이웃과의 관계, 집주변 소음 정도는 소득 계층에 상관없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승우,남궁미 대한부동산학회 201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6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s in Seoul. Using the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we separated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to relocate.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higher for dual-worker households than single-worker households. Also,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Neighborhood safety, presence of a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the single-worker household. Neighborhood safety is important for the dual-worker household.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자리나 주거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에 있어서 결혼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결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신혼부부 가구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혼부부 가구를 맞벌이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경우 맞벌이 가구에 비해 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의사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소들은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가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치안, 범죄 등 안전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벌이 가구의 경우 안전환경 뿐만 아니라 녹지, 공원, 산책로 등 주변 자연환경과 버스, 지하철 등 교통환경이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 주거환경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