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내성천에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증강도입과 모니터링

        나진영,최병습,황상철,양현,Na, Jin-Young,Choi, Byoung-Seub,Hwang, Sang-Chul,Yang, 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The conservation project to protect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was executed against declining the gene diversity of the fish after the construction of Youngju Dam in a sand-bed stream (Naeseongcheon Stream). We tried to move the populations of G. naktongensis from submerged planned sites to alternative habitats, bred artificially and augmented the juveniles to optimal habitat, and monitored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implementation. No entity of G. naktongensis was confirmed at the planned submerged sites despite attempting to capture more than 8 times and eventually the movement to alternative habitat could not be implemented. About 40 individuals of G. naktongensis were captured in the Naeseongcheon Stream and a total of 5,000 individuals were artificially spawned up. The population of juvenile inherited the genetic diversity from the brood stock. The bred juveniles were discharged at the selected optimal site that had a habit condition what was similar to their natural habitat. The micro-dispersion around the discharging area was found at the early stages of the augmentation. The re-capturing rate of discharged juveniles was reduced as time passed. The discharged juveniles seemed to adapt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Naeseongcheon Stream. The observation of their high abdominal distension and excrement demonstrated that the juveniles fed successfully in the discharging area. Therefore, securement of genetic homogeneity and enhancement of restoration population of G. naktongensi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Youngju Dam site from the artificial seed producing seemed to be primarily successful and long-term monitoring and analysis of the effect was expected to be necessary.

      • KCI등재

        HSPF-EFDC 모델을 연계한 홍수조절댐 수질 변화 예측

        이영기 ( Young-gi Lee ),황상철 ( Sang-chul Hwang ),황현동 ( Hyun-dong Hwang ),나진영 ( Jin-young Na ),유나영 ( Na-young Yu ),이한진 ( Han-ji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3

        본 연구는 홍수조절댐의 운영패턴 변화에 따른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홍수조절댐은 홍수시 하천유량을 일시적으로 담수하여 홍수를 지체시키는 한편, 평상시에는 자연하천 흐름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댐 건설 후 담수시 수질변화는 유역모델(HSPF)과 댐 내 수리·수질변화모델(EFDC)을 연계하여 예측하였다. 강우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HSPF의 분석된 자료를 EFDC 모델의 입력 자료로 적용하였다. 수질모의 결과 댐 건설 후 수몰로 인한 오염원 감소와 강우시 일시적 저류로 인하여 수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홍수조절댐의 특성상 담수되는 기간이 짧으므로(2∼3일) 부영양화 등 수질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획 중인 댐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모델의 충분한 보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모의에 일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실측자료 확보를 통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면, 이를 활용하여 신규 홍수조절댐의 환경영향평가 시 다양한 운영조건에 따른 수환경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dicted the effect of operation pattern of flood control dam on water quality. Flood control dam temporarily impound floodwaters and then release them under control to the river below the dam preventing the river ecosystem from the extreme flood. The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and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were adapt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the proposed reservoir. The non-point pollutant delivery load from the river basin was estimated using the HSPF, and the EFDC was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using the provided watershed boundary conditions from the HSPF. As a result of water quality simulation, it is predicted that the water quality will be improved due to the decrease of pollution source due to submergence after dam construction and temporary storage during rainfall. There would be no major water quality issues such as the eutrophication in the reservoir since the dam would impound the floodwater for a short time (2~3 day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ge of a planned dam,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to the exact simulation because the model can not be sufficiently calibrated. However, if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is improved through the acquisition of actual data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water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new flood control dam.

      • KCI등재

        4년간 호르몬 대체요법 후의 골밀도 변화

        이정열 ( Jung Ryul Lee ),진영 ( Jin Young Cha ),조헌영 ( Hun Young Cho ),이유경 ( Yoo Kyung Lee ),박민수 ( Min Soo Park ),이유석 ( Yoo Seok Lee ),영정 ( Young Jeong Na ),조수현 ( Soo Hyun Cho ),조삼현 ( Sam Hyun Cho ),정성로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4년간의 호르몬 대체요법이 골밀도에 미치는 여러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호르몬 대체요법에도 골밀도가 감소하는 여성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4년간 호르몬 대체요법을 완료한 총 100명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에너지방사선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매년 요추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53.3±3.6세, 폐경연령은 4.7±4.0세이었다. 치료 전 골밀도에 따라 분류하면 Objective : To evaluate the various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n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4 years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ders to HRT. Methods : A total of 100 postmenopausal women h

      • KCI등재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서 혈청 β-hCG의 소실기간과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권,구인상,진영,김현희,김영재,이유석,배은경,영정,김경태,조수현,조삼현,문형,조헌영,황윤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4

        목적 : 혈청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hCG)은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서 종양 활성도를 반영하는 가장 보편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속적 혈청 β-hCG 소퇴양상의 분석은 이 질환의 경과를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성 융모성 질환을 포상기태와 악성 융모성 질환으로 나누어 혈청 β-hCG 소실기간을 분석하고 그 값들의 소퇴양상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0년 1월초부터 2000년 12월말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임신성 융모성 질환으로 진단 받고 치료받은 46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분석을 위하여 19예의 포상기태군과 27예의 악성 융모성 질환군, 두 군으로 대별하였으며 후자를 다시 비전이성군 17예와 전이성군 10예로 나누었다. 이들은 혈청 β-hCG가 음성 (<3 mIU/ml)이 될 때까지 1주일 간격으로 추적 검사를 하였으며 3회 연속 혈청 β-hCG 값이 음성이 나온 경우 1달 간격으로 1년간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청 β-hCG 정량은 이중접합 면역측정법 (Chiron Diagnostics Automated Chemoiluminescence System 180)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SPSS에 의한 t-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임신성 융모성 질환의 빈도는 182.7분만수당 1건이었다. 포상기태에서 혈청 β-hCG의 소실기간은 평균 12.8±1.1 (SEM)주 (7-26주) 이었으나, 악성 융모성 질환에서는 평균 17.9±1.4 (SEM)주 (8-34주) 이었다. 혈청 β-hCG 평균 소실기간은 악성 융모성 질환보다는 포상기태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 (P<0.01). 그러나 비전이성군 (18.0주)과 전이성군 (17.8주)간의 혈청 β-hCG 평균 소실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946). 포상기태군과 악성 융모성 질환군의 혈청 β-hCG 평균 측정값은 로그지수 소퇴곡선을 따라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은 서구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과 비슷하였으며, 또한 1980년대 우리나라의 혈청 β-hCG 값의 소퇴곡선과도 비슷하였다. 또한 개개인의 연속적 혈청 β-hCG 값의 소퇴양상은 향후 치료방침 결정과 악성 융모성 질환 진단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효용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It is now conventional practice to us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s the marker of tumor activity in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GTD). The interpretation of serial serum β-hCG regression patterns is important in monitoring the course of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regression time and pattern of the serum β-hCG in which GTD is divided into hydatidiform mole and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Materials & Methods :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0 through December 2000, 46 patients with GTD were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an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urpose of analysis and comparis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19 cases of hydatidiform mole and 27 cases of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which was subdivided into nonmetastatic (17) and metastatic (10). Patients were followed clinically and by weekly estimations of quantitative serum β-hCG until negative (<3 mIU/ml). After three consecutive negative β-hCG, serum β-hCG were drawn monthly in all patients for one year. The level of serum β-hCG was detected by two-site sandwich immunoassay (Chiron Diagnostics Automated Chemiluminescence System 180).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d ANOVA test by SPSS. Results : The incidence of the GTD compared with delivery was one per 182.7 deliveries. The mean value of serum β-hCG regression time in hydatidiform mole was 12.8±1.1 (SEM) weeks (7.0-26.0 weeks) and 17.9±1.4 (SEM) weeks (8.0-34.0 weeks) in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The regress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hydatidiform mole than that of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P<0.01). The differences of mean value of serum β-hCG regression time between the groups with nonmetastatic (18.0 weeks) and metastatic (17.8 week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0.946). The mean values of serum β-hCG in both hydatidiform mole and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declined following a log-normal distribution. Conclusions : The regression pattern of serum β-hCG in present study was similar to that of which in Western and also similar to that of which in Korea in 1980s.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continued use of individual patients serum β-hCG regression curve to make treatment decision and to recognize malignant trophoblastic disease promp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