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가 찍은 사진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관한 질적연구

        나인선(Na, In-Sun),김미애(Kim, Mi-A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찍은 사진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Y시 M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들꽃반 유아들이 직접 사진을 찍고 자신의 사진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을 녹화한 후 전사하였으며, 유아가 사진을 찍는 과정을 참여관찰하면서 비형식적 심층면담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사진 찍기 전략’, ‘유아들의 경험나누기 전략’, ‘경험의 의미 만들기 방법’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가 찍은 사진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행위주체자로서 주도적인 경험 만들기를 촉진하고, 또래와의 협력적 이야기 만들기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과제에 대한 반발을 드러냄으로써 디지털 매체에 대한 흥미가 지속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아의 활동 참여 동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on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hotographs taken by young children and ha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trategy of photographing young children in story sharing class using pictures taken by infants? Second, what are the strategies for sharing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in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hotos taken by themselves? Third, how does a story sharing activity using a picture taken by a child give meaning to his or her ow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contexts of children"s photo taking and the photo story sharing were observed and participated in through informal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four months in the class of 7-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hoto-taking strategies. Second, infant"s experience sharing strategy. Third, the meaning of experience is revealed. Through this, it is understood that the child has an initiative to create a leading experience, and that the reading is done through peer and cooperative story making, and sometimes the photographing is regarded as a counter-reaction against the task.

      • KCI등재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나인선(In-Sun Na)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2

        본 논문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기독교인들이 성부-성자-성령 삼위 하나님을 향해 찬양과 경배를 드리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예배가 사회-정치-경제적 갈등과 억압의 관계에서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어떤 공동체적 관계를 실행 (performance) 하도록 하는가에 관해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존재론적 관계 이해, 정치-사회학에서 제시하는 자유 평등주의와 대비되는 평등 공동체적 관계, 그리고 예배 언어 실행의 특징을 살펴 본다. 그리고 두 관계의 패러다임인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 레시스 (perichoresis) 를 통한 공동체적 관계와 전통적인 동아시아의 근본 적인 관계 개념인 음양 상징주의가 제시하는 두 공동체적 관계의 특징을 상호 비교를 통해 비평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의 관계 이해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음양 상징이 실행하는 관계 개념이 억압과 지배의 관계 이념으로 오용되었다는 역사 비평적 사유를 하도록 하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으로 형성된 전통적 음양 상징이 제시하는 관계 이해를 더 창의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과 이를 통해 공동체의 관계를 변혁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두 관계의 상호 비평적 이해를 통해 열리는 새로운 관계 이해의 지평을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기독교인들이 드리는 삼위일체 하나님 예배 안에서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로 자신의 신비를 드러내시며, 신앙-예배 공동체를 자신의 신비에 대응하는 조화 로운 공동체로 세워 가심을 밝히고자 한다. The confession of the Trinitarian God in faith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aily life because it clearly points to the relational nature of all living beings. The prototypical model of our relational love is the love of salvation that exists in the perichoresis of the eternal-relational Trinity amo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Korean cultural heritage is infused with the yin-yang paradigm, which assumes fluid, harmonious constantly changing relationships of opposites. East Asian culture has the possibility to elevate the beauty of harmony as part of socio-political reality in aesthetic truth. Yin-yang symbolism, a basic East-Asian relational idea,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opposites and appreciation of others. It is an appropriate paradigm to develop the communal relationship of the Trinitarian God in the Korean worshipping context. In the Korean and East Asian social-cultural context, a harmonious relational paradigm is needed so that we may creatively develop communal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world. The combining of the perichoresis in the social Trinity with harmonious yin-yang symbolism could be a way to deepen Christian faith in the Trinitarian God in Korea. The combination of a perichoresi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Trinity and yin-yang symbolism can also provide a framework to challenge and undermine dehumanized relationships built upon the dominant ideologies of power, order, submission, and hierarchy.The harmonious communal relationship as a consequence of dialogue of perichoresis and yin-yang symbolism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 worshipping communities will also serve as a counter-relationship to manipulate “isms”, such as individualism, totalitarianism, materialism, and excessive consumption,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others to achieve harmonious relationships in the world. The Korean worship of the Trinitarian God will be able to recover dynamic harmonizing power to reformulate o

      • KCI등재

        케노시스(Kenosis)를 통한 공동체-관계형성에 관한 연구

        나인선 ( In Sun Na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개별적 인간은 타자와의 관계성을 통해 자신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감으로, 진정한 인간됨을 향한 해방과 자유는 지배와 억압의 관계에 대항하고 타자와의 진정한 관계를 이루게 하는 관계 자체에 관하여 탐구해야할 당위성이 요청된다. 이 논문의 연구 주제는 삼위하나님의 관계성인 케노시스(kenosis, 비움, 순종, 희생)를 통해 현대 한국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새로운 공동체적 관계성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두 가지 사회-정치이념 이라 할 수 있는 생산과 소비의 관계에서 상품 지향적인 자본주의와 개인적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는 사회주의를 비평할 수 있는 근거를 공동체적 관계 개념인 케노시스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공동체적 관계 개념인 케노시스 연구를 통해 평등이 제시하는 관계성의 문제점과 평등에 관한 정의의 다양성과 다양성 안에 상충되는 평등에 관한 관점을 제시함으로 공동체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케노시스의 공동체적 관계성은 기존 사회-정치철학이 제시하는 힘(Power, 권위, 권능, 능력)에 관한 이해를 억압의 힘에서 약함에 있는 힘(weakness in power)으로 의미를 반전 시킨다. 이 능력은 개별적 자아를 타자를 섬기기 위해 자율적으로 순종하게 하게하고, 이런 순종은 타자를 위해 감사와 기쁨으로 고난 받고, 자신의 생명을 내어 주기까지 하는 희생의 관계를 성취하게 하는 능력이다. 남성 우월적 억압의 문화에서 살아온 전통적 한국 여성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케노시스의 공동체적 관계성이 제시하는 비움(겸비), 순종, 그리고 희생의 관계성이 인간의 해방(주로 내적)을 가져오기도 하나, 동시에 억압의 현실로부터 도피의 모순적 결과를 가지고 온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런 모순성의 인식과 더불어, 어머니로서 살아온 여성의 비움, 순종 그리고 희생의 삶은 자신의 생존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녀를 돌보고 가정을 지켜만 했던 삶의 책무에 기인한 자신들의 자율적 선택 이였다. 억압적인 가부장사회-문화에 대항(against)한 것이 아니라, 가부장적 사회-문화 안에서(in) 어머니들의 삶인 케노시스는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자(남성, 자녀)를 위한 전략적 선택 이었다. A human being realizes herself or himself only in communal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hus, we have a solemn calling to explore further the communal relationships that enables us not only to shatter all human dominations but also to protest against all kinds of oppressions and further re-create all relationships in all humanities and eve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y and the natural world. The main theme in this study is the new vision of the communal relationships that are to be achieved in Korea, wherein the initiation of the Triune God`s sacrifice in the form of kenosis is revealed. This paper does not advocate a certain type of objective communal relationship, whether it is based on capitalism and socialism. Commercialized capitalism and authoritative socialism need to be critically reviewed in light of the kenotic-sacrificial communal relationship. We urgently need to create a new communal relationship where authentic sharing and serving communal relationships are graciously and creatively performed. It is the very nature of the kenotic communal relationship to welcome the stranger, the marginalized, and even the enemy in an embrace of divine hospitality which is incarnated in the kenotic communal relationship. The kenotic communal relationship in the early church was a dynamic power of serving, vulnerability, interdependence, and sacrifice for one another. As Kenotic love must transform our understanding of power, and of human power in Korean socio-political relationship. It is the power strong enough to be vulnerable in weakness for others, to suffer with and for others, to rejoice with and for others, to give one`s life for others. It is the order to be first enough to serve with a status of server in humbleness for others, to guide with and for others, to give one`s life for others. This is the power and the order revealed in the kenotic communal relationship. There are paradoxical features of kenotic submission and sacrifice as a source of both liberating and oppressive experiences for most Korean women. Submission is viewed by women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ir domestic problems and improve domestic situations. Though Korean women`s submission and sacrifice is under-theorized or undervalued in most gender studies, we should not disregard the potential for mother`s kenotic submission and sacrifice to cope with their domestic and social oppressions, and gain empowerment and hope. Korean women as mothers were responsible not simply for meet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family, but for its ultimate integrity and survival. A woman`s familial role as the mother of children takes precedence over her identity as wife. The gender identities of Korean women tend to be inseparably tied to their family-oriented self-conception as mothers. Korean Christian women have struggled and survived not in a way of against but in a way of in oppressive patriarchal context. With the power of their kenotic submission and sacrifice, they have been liberated to be servant mothers.

      • KCI등재

        기독교 예배신학 규범으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

        나인선(In?Sun Na)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3 No.-

        다른 종교와의 다름을 나타내기 위해 자신을 기독교라 표방하는 대부분의 교회는 하나님을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으로 고백하며 자신들의 교리의 첫머리에서 이를 분명하게 선언한다. 나아가, 삼위일체 교리는 자신들의 교회와 교회의 신학이 성서에 기초한 초기 기독교 신앙의 전통성을 계승하고 있음을 확보하는 전거가 된다. 삼위일체 신앙의 형태와 내용을 통해 기독교의 전통성과 비전통성을 구별하는 신앙의 문법은 기독교 교회의 예배의 중요한 골격과 내용을 형성하여 왔다. 하나님을 성부, 성자, 성령삼위 하나님으로 고백하는 것은 하나님에 관한 관념적 추론을 통한 희랍철학과 로마권력의 결과물이 아니다. 삼위 하나님의 신앙고백은 나사렛 예수는 구약의 예언자 중의 하나가 아니라 구약의 약속의 최종적 성취이며, 십자가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야훼 하나님이 함께하셨다는 원초적인 신앙고백에 기원한다. 이런 신앙사건을 경험한 유대인들이 야훼 하나님을 부르기 위해 사용된 유대 예배공동체의 예배 용어인 주님(Lord)을 예수를 향해서 부르게 되었고, 바로 이 유대 예배공동체가 오늘날 기독교인들이라 부르는 예배공동체의 모체가 되었다. 현대 예배갱신의 근거가 될 성서에 기록된 초대 기독교의 예배는 인간이 예배자로서 주도권을 가지고 하나님을 향해 그 무엇을 행함으로 성취할 수 있는 예배가 아니다. 성서의 하나님은 단일신론(one–god–ness) 또는 삼신론적(three–gods–ness)으로 자신을 계시하지 않았으며, 이는 성서의 예배는 성부에게(to), 성자를 통해(through), 성령 안에서(in) 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예배가 실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배가 기독교의 예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예배의 대상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예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예배자의 모든 행위는 인간 자신의 종교행위가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 성부, 성자, 성령 안에서 자신을 예배자의 인식과 예배의 대상이 되어주심으로 예배자의 행위는 이런 절대적 은총 안에서만 성취되는 예배임을 분명하게 한다. 대부분의 현장 목회자들은 예배를 무엇으로(what), 어떻게(how) 드림으로 교회의 예배가 은혜로운 예배가 되어 보다 많은 성도들이 참여하는 예배가 될 것인가라는 실용적인 질문에 익숙해 있다. 예배가 자연적 인간의 자기만족을 위한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 성서에 나타난 원형적 모습을 회복하는 예배가 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예배지도자는 무엇(what)과 어떻게(how)의 질문보다 더 본질적인 질문인 기독교 예배의 대상이 누구(who)인가를 질문해야 한다. 중세기 성만찬 중심의 예배는 사제 독점적 예배가 되었고, 이를 비판한 종교개혁 이후의 예배인 설교 중심적 예배도 자신이 비판하였던 역사의 과오를 반복하고 있다. 삼위 하나님의 절대적 은혜가 아니라 설교자 자신의 노력 안에서(in), 준비된 자신의 설교를 통한(through), 자신을 향한(to) 은혜를 전하려 한다. 기독교 예배는 성부에게 성자를 통해서 성령 안에서 성취되기 때문에 예배자가 가져야 할 태도는 오직 은혜(sola gratia)이다. 그러므로 이를 실행하는 모든 예배의 모든 행위는 영광의 찬양(doxology)이 되어야 한다. There are less mentions in any of the contemporary songs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ost songs are addressed either to an anonymous God, Lore or Jesus. The contemporary worships have made a transition from hymns that root us in the biblical redemptive story, towards hymns which may assume but do not articulate that biblical foundation, focusing instead on the singer’s personal need and response. These self–focused hymns lack the reformational power since their root are not in the Christian redemptive story. Father, Son and the Holy Spirit in worship is not a sophisticated theological language used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features of the Triune God, but is the language of doxology praising the love of God revealed in creation, redemption, and sanctification. Speaking the Trinitarian language(Father, Son and Holy Spirit) in worship performs an essential liturgical action whereby the faithful communal relationship is continuously reformed in participation with Trinitarian relationship. Worshipping Christian God is a participation in communal relationship of Trinitarian Person who emptied self in Jesus, and faith community understands itself as called to relations of self–giving. We cannot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worship, prayer, baptism and the Holy communion without the revelation of Trinitarian God in the Bible. In order to tell an authentic redemptive story of the Trinitarian God, one must begin with the story of God on the rugged cross. As with all stories of the Trinitarian God, it is a story of sacrificial loving for humanity and nature in the world. In order to reform the Christian worship in Korea, we should give priority to the question of who over what and how, and the faith community as of the worship community should always seek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at and how in terms of who. Our theological questions on the theology of worship should be who is Christian God; the Triune God.

      • 일반논문:공직선거법상 연령에 따른 선거권 제한에 대한 비판 ;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권민지 ( Min Ji Kwon ),김덕현 ( Deok Hyun Kim ),나인선 ( In Sun Na ),박지혜 ( Jee Hye Park ),배정훈 ( Jeong Hun Bae ),이준구 ( Jun Gu Lee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4 공익과 인권 Vol.14 No.-

        민주주의의 역사는 ‘선거권 확대’의 과정이었다. 과거에는 동등한 인간으로 취급받지 못하였던 빈민, 여성, 흑인 등은 선거권 운동을 통하여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고, 비로소 공동체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선거권은 ‘연령’을 기준으로 제한되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 제15조 제1항은 ‘19세 미만의 국민’의 선거권을 제한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이에 대하여 합헌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연령에 따른 선거권의 제한이 입법자의 재량에 위임되어 있다는 시각에서, 자의금지원칙을 적용하여 완화된 심사를 하고 있다. 또한, 19세 미만의 국민은 정치적, 사회적 시각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고 독자적인 정치적 판단을 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시각은 ‘선거권’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선, 선거권은 국민의 매우 중요한 핵심적 권리이고 입법자의 재량에 위임된 것이 아니기에, 자의금지원칙 대신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여 엄격한 심사를 하여야 한다. 첫째, 선거권은 민주주의와 국민주권의 관점에서 ‘공동체 의사결정에의 참여를 통한 개인의 행복추구’의 수단이라는 중요성을 지닌다. 둘째, 선거권은 국가에 의하여 부여되는 성격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생래적 권리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즉, 선거권은 인권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선거권의 중요성을 고려했을 때, 연령에 의한 선거권 제한을 심사하는 헌법재판소의 기준은 엄격한 심사척도로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19세 미만인 국민의 정치적 판단능력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시각은 자의적이며, 이들의 정치적 판단 능력이 미숙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 또한, 국가 역시 청소년의 선거권을 보장할 의무를 해태하고 있다. 첫째, ‘정치적 판단능력’이라는 기준은 그 모호성에 기반하여 역사적으로 소수자들을 선거로부터 배제하는 논리로 악용됐다. 정치적 판단능력이라는 기준은 자의적이고 가변적인 기준이기에, 개별적, 구체적 사유가 존재함에 대한 명백한 입증이 요구된다. 둘째, 그러나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정치적 판단 능력을 검토해보았을 때, 이들에게 정치적 판단능력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한국 청소년들의 시민적 역량은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며, 최근에는 선거권 확보를 위한 운동도 청소년에 의하여 전개되고 있다. 비교법적으로도 현행 19세 기준은 과도한 제한이다. 셋째, 설령 청소년들의 정치적 판단능력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이는 국가의 보장의무에 의하여 신장될 수 있다. 국가는 이들의 선거권을 막연히 제한할 것이 아니라, 국가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방안을 먼저 강구해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하여 국가는 청소년의 선거권에 대한 불필요한 제한을 최소화하고, 정치적 판단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에 대한 양육적 접근 방식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선거권은 민주사회에서 주권자의 가장 핵심적인 권리이다. 청소년도 국가의 주권자이며 자신의 의사를 공동체에 반영할 권리를 갖는다.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신의 의사를 공동체에 공적으로 표현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선거권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전반적인 권리 보장 및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동안 청소년 선거권은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검토를 통해 제한된 것이 아니라, 기성세대에 의하여 막연히 제한되었다. 청소년 선거권의 보장을 위한 헌법재판소의 심사기준변화와 국가적 노력 등을 통하여, 보다 바람직한 공동체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history of democracy has been the attempts to gain suffrage. The poor, the black, and women had been discriminated as not equal to humans, hence not people. They struggled to gain the right to vote, and finally could be recognized as equal constituents of the community. Still today, however, the right to vote is confined on the basis of age. According to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rticle 15 (1), people aged nineteen and over have the right to vote. Out of deference to the legislation discre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established constitutionality of this Article, by applying eased rule of ``minimal rationality scrutiny,`` and predicated that people under the age of nineteen lack the ability of political reasoning because they ar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tical, social opinion. This point of view derives from the misconception on ‘the Right to Vote.’ Foremost, the right to vote is the most significant and essential right, but also not delegated to the discretion of legislation, it must be scrutinized strictl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excessive restriction. Because first, on the aspect of Democracy and National Sovereignty, the Right to Vote is important for the ground that ‘each individual pursues happiness through taking part in the decision making in the community.’ Second, ‘the Right to Vote’ is the natural right which has to be equally allowed, not conferred in favor of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Right to Vote’ is a kind of human right.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right to vote, the standard of constitutionality test should be changed from rule of reason to strict scrutiny. And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erceiving people under the age of nineteen lack the ability of political judgement, seems unduly dogmatic. In addition, nation also has the responsibility to guarantee the teenagers’ right to vote. First, based on its ambiguity, the standard of ``political reasoning`` has been abused to exclude the minority from the election. As the criterion is arbitrarily variable, the definite grounds of exclusion must be verified. Second, specifically examining the teenagers` political judgment, however, it is uncertain they have no ability on the political judgment. The standard of Civic competence from the Korean teenagers is internationally high and currently the movement securing the right to vote has been developed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law study, ``the age of nineteen`` seems to be excessively tight regulation. Third, even though the teenagers lack the ability of political reasoning, the government should not ban the teenagers from engaging in election. Rather, the ability can be effectively fostered by participating in the election process. It is also national duty to develop that ability, not restricting it by ambiguous criterion. Forth, a country should seek ways to deregulate the unnecessary restrictions on the right to vote as changing the paternalistic approach to teenagers. The right to vote of a citizen is a crucial right of a sovereign in the democratic society. Teenagers as the citizens, have the right to demonstrate their wills to their community. Expressing their thoughts to the community can be an efficient way to protect and improve their own rights. To this day, teenagers` right to vote has been restricted arbitrarily by the older generation, without any reasonable consideration. We wish the change in the level of scrutin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the case of teenagers` right to vote. And we hope the national effort for guaranteeing their right, getting the society with desirable qualifications.

      • KCI등재

        상호문화 해석학을 통한 삼위일체 언어에 관한 의식(의례) 해석학 연구

        나인선 ( In Sun Na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e transformational-empowering possibilities of cross-cultural hermeneutics on the Trinitarian language toward ritual hermeneutics on Trinitarian language. Cross-cultural means the reciprocal interpretive movement from a certain culture to another culture. It also means making an effort to understand how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the other culture differ from one`s own. The different cultur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produce different interpretations, which are to be valued and respected. Cross-cultural hermeneutics does not seek a unified Meaning by conquering others who are alien, different, or weak. Cross-cultural hermeneutics affirms diversity, yet it requires critical engagement of different cultures. Particularly, the critical engagement of different cultures includes unavoidable decisions about which interpretations are appropriate and what criteria should govern such decisions. The cross-cultural hermeneutics of the Trinitarian language as a critical reflection on hermeneutics is articulated in two synchronized dynamic movements of interpretation: diversifying Meaning of the Trinitarian language and harmonizing meanings of the Trinitarian language.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Trinitarian language-event does not always occur every time the Trinitarian language is spoken. However, one of the certainties I have in developing the main themes of the paper is that authentic cross-cultural hermeneutics about the Trinitarian language can let the Trinitarian language be “the House of Trinitarian Being” across different cultures in the event of communal relationships where the Triune God is worshipped in terms of the Trinitarian language. Namely, the worshiping communal relationship can be the event of time and place where the authentic hermeneutics of the Trinitarian language can happen. For this reason, I draw attention to the performance character of Trinitarian language in ritual narrative and participation in which fixed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are eventually transformed as participants submit their identities to the divine.

      • KCI등재

        16세기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뱁티즘 신학의 사회-윤리적 함의

        나인선(In-Sun Na)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4 No.-

        The sixteenth-century Anabaptist movement was initiated with the awareness of “believers baptism” as of the authentic baptism revealed in the Bible along with the denial of infant baptism. Anabaptist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determined choices to participate in “believers baptism” sometimes resulted in martydom. The methodological hermeneutics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Anabaptist baptism as a ritual of doing social ethics because it intentionally opposed established social, political and ecclesial practice. With the methodological hermeneutics, the aims of paper are focused on studying the 16<SUP>th</SUP> Anabaptist baptismal practices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in terms of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Balthasar Hubmaier’s theology of baptism. This study will examine Hubmaier’s baptismal theology in social ethics’s perspectives of non-violent baptism, suffering “Blood baptism” and discipleship’s baptism. Afterwards, it is significant for us to attend about how the 16th Anabaptist baptism could be employed as to seek the implications for twenty-first century Christians. For Christians today, the implications of baptisms could be described as having two dimensions of them as follows: 1. formation of faith community in freedom-suffering-peace. 2. the confessor baptism based on the believer freedom.

      • KCI등재후보

        웹 애니메이션의 정보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표현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나인선(Na In-Su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인터넷 환경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구현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오늘날 우리들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웹(world wide web)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손쉽게 습득할 수 있다.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디지털 애니메이션 확산은 시대발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또한 웹상에서 구현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도구를 이용한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되는 일종의 시간과 공간 개념을 아우르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이다. 이는 다양한 정보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웹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사용되어지고 있다. 웹 애니메이션은 정보이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 디자인에서부터 캐릭터, 타이포그래피 및 각종 그래픽 요소 등 다양한 형태로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이용자로 하여금 극대화된 실제적 동적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웹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정보유형에 따른 분류를 분석ㆍ평가하고, 이에 근거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표현을 고찰하여, 향후 발전, 변화될 인터넷 환경에 유의하고자 했다. 그럼에 있어, 인터넷환경을 기반으로 한 웹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시대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효용적 이론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지향점을 두었다. As the technology realizing digital multimedia has been developing remarkably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 today we can gain various information we need quickly and easily without regard to time or place by using world wide web. The recent spread of digital animation as a way of communication on Internet has been forming a new communication paradig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ge. Besides, digital animations embodied on web are a kind of communication medium which is expressed through interactions using different digital multimedia tools and put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together. This is a form which can cope with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and it occupies a high rate on web and is used often. Web animations offer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interface structure design for information transfer, characters, typography, and other graphic elements, which make users feel maximized real dynamics.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usage types of digital animations used on web, examines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expressions based on them, and pays attention to the Internet environment that will develop and change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it,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a useful theory so that diverse digital animations on web based on Internet environment would develop into a new communication paradigm responding to the change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