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s-platinum 화학요볍 환자의 혈중 전해질 및 신장기능 변화

        김승일(SI Kim),나덕진(DJ Rah),최광호(KH Choi),배석년(SN Bae),김대훈(DH Kim),남궁성은(SE Namkoog),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11

        본 가톨릭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종양부에서 조사한 Cis-platinum을 주제로한 병합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1. 신기능 검사상 BUN 및 creatinine 증가해 의해 판단된 신독성을 보인 경우는 환자의 20.7%였다. 2. 혈중 전해질 농도의 변화는 저 calcium 혈증은 37.9% 저 phosphate 혈증은 6.9%, 저 kalium 혈증은 20.6%, 저 natrium 혈증은 13.8%. 저 magnesium 혈증은 48.2%였으며 특히 저 magnesium 혈증이 있으며 저 calcium 혈증을 흔히 동반함을 확인하였다. 3. 14명의 저 magnesium 혈증 환자중 3 명에서 magnesium 의 신배설에 이상이 발견되었고. 또 심한 magnesium 결손 증상을 일으켰다. Since the platinum coordination complex was introduced for cytotoxic agents by Rosenberg (1965), cis-platinum was known to be active against tumors, testicular, ovarian, bladder, head and neck carcinomas. especially testicular, ovarian, bladder, head and neck carcinomas. Recently, these inorganic platinum compounds has been widely used by single or combination with other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he purpose of ovarian and cervical cancer treatment. The limitation for using these agents is gastrointestinal troubles, myelosuppression, ototoxicity and nephrotoxicity. The nephrotoxicity in the form of azotemia is thought to result from renal tubular damage but renal tubular dysfunction in patients receiving this drug bas not been well described. We proceded to review the admission charts of the 42 patients who treated with combination chemotherary with cis-platinum to examine the changes of renal function and serum electrolytes in the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ephrotoxicity was noted in 20.7% of patients as determined by an elevation of BUN and serum creatinine. 2. For the changes of serum electrolytes, hypocalcemia 37.9%, hypophosphatemia 6.9%, hypokalemia 20.6%, hyponatremia 13.8%, hypornagnesemia 48.2% was observed. 3. Three patients among fourteen hypomagnesemic renal magnesium wasting and showed deficiency. serious clinical patients had inappropriate symptoms of magnesium

      • KCI등재

        철분공급이 임신부와 태아의 혈청 Ferritin헤모글로빈 , 혈청철 및 철결합능에 미치는 영향

        정은숙(ES Jung),송기창(KC Song),정운남(WN Jung),나덕진(DJ Rah),김대훈(DH Kim),나종구(JG Na)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7

        1987년 10월부터 1988년 2월까지 5개월간 가톨릭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정상분만한 임신부 54명과 그에게서 출생한 정상신생아 54명에서 혈청 ferritin, 혈색소, 혈청 철, 총 철결합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는 평균 23.7+-21.7 ug/l, 혈색소치는 평균 11.4+-1.8g/dl, 혈청 철은 평균 121.0+-80.0ug/dl이고 총 철결합능은 평균 446.9+-133.9ug/dl이엇다. 이들에서 출생한 태 아의 제대혈의 혈청 ferritin치는 평균 118.0+-62.1ug/dl이고, 총 철결합능은 평균 289.9+-86.3ug/dl이었다. 임신부와 제대혈의 검사치를 비교하면 혈청 ferritin, 혈색소, 혈청철은 모두 제대혈에서 5배, 1.3배, 1.6배로 높았다. 2. 임신부의 ferritin치에 따라 구분해보면, ferritin치가 12ug/l이상인 군은 31명(58%)이고 그미 만인 군은 23명(42%)으로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와 제대혈청 ferritin치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임신부의 혈청 ferritin치와 제대혈의 혈색소치, 혈청 철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임신부의 혈색소치를 기준으로 혈색소치가 11g/dl이상인 군과 그 미만인군으로 나누어 비 교해 보면 임신부의 혈색소치와 제대혈의 혈색소치, 혈청과 혈청 ferritin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4. 철분공급에 따른 차이를 보면 철분공급을 받은 경우에 임신부와 제대혈에서 모두 혈청 ferritin의 상승을 보였으나 제대혈의 혈색소치와 혈청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임신부의 연령, 임신회수, 임신주수와 태아체중에 따른 철분대사 기준의 변화는 없었다. Measurements of serum ferritin and other hematologic laboratory indices about iron metabolic state were done in 54 paired maternal and cord blood, and 17 of these 54 women had taken iron supplement during pregnancy. These values were analyzed by parameter of maternal serum ferritin hemoglobin, iron supplement,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end. 1. Average value of maternal serum ferritin was 23.7+-21.6 ug/l and that of hemoglobin was 11.4+-1.8 g/dl and those for serum iron and TIBC were 121.0+-80.0 ug/dl and 446.9+-133.9 ug/dl respectively 2. Values of cord serum ferritin hemoglobin serum iron were higher than maternal values especially cord serum ferritin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maternal serum ferritin 3. There was linear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rum ferritin and cord ferritin .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rum ferritin and cord ferritin hemoglobin serum iron and TIBC.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hemoglobin and cord hemoglobin serum iron and serum ferritin. 5. By iron supllement, the average values of maternal hemoglobin , maternal ferritin and cord serum ferritin were increased. 6. Iron hematologic indices were not changeable by maternal age, parity gestational week and fetal weight.

      • KCI등재

        난관임신 961 예의 수술후 임신력과 연관된 요인분석

        이진우,김수평,나덕진,권동진,김진흥,최소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자궁외 임신은 발생빈도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으로서 자궁외 임신의 97.8%가 난관임신이며, 약 30%가 매년 불임 환자가 되고 있다. 난관임신 치료 후, 임신율은 환자의 연령, 부속기주위의 유착유무 및 난관상태, 불임기왕력, 불임방법, 난관 파열유무와 치료방법 등의 요인들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방법론, 연구대상 및 진단과 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임신율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1월 1일부터 1991년 12월 31일까지 13년간 가톨릭의과대학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 후 병리조직학적 감사상 난관임신으로 확진된 3,964 예중 임신을 원하며 1년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961예를 대상으로 임신율과 그와 연관된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신율과 기간별 분포 전체 임신율은 61.6%(592/961)였으며, 불임율은 38.4%(369/961)였다. 임신된 예 중 자궁내 임신은 61.8% (366/592)였으며 반복 자궁외임신은 38.2%(226/592)였다. 자궁내 임신 예중 자연유산된 예는 7.1%(26/366)였다. 전체 임신 예의 수술후 임신까지의 기간 분포는 2-96개월로, 임신까지의 평균기간은 전체 임신 예의 경우 18.4±2.8개월이었으며, 자궁내 임신 예의 경우 9.8±10.4개월이었고 반복 자궁외 임신예의 경우 32.7±27.6개월로써 자궁내 임신예의 경우가 반복 자궁외 임신 예에 비해 짧은 기간내에 임신이 되었다. 임신율의 기간 분포를 보면 전체 임신 예, 자궁내 임신 예와 반복 자궁외 임신예의 경우 6개월에는 36.6%, 50,8%,와 13.3%, 1년내에는 59.3%, 75.9%와 32.1% 2년내에는 75.6% 91.8%와 49.1%였으며 4년내에는 89.5%, 98.9%와 74.1%로써 전체 임신예의 경우 2년내, 자궁내 임신 예의 경우 1년내에 임신이 되었으나 반복 자궁외 임신 예의 경우 2년이후에 발생하였다. 2. 환자 연령과 임신율 환자 연령군별 임신율은 30세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각 연령군종 25-29세군에 85.7%로 가장 높은 임신율을 보였다. 또한 각 연령군의 임신 예 중 자궁내 임신 예의 경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임신율이 감소하였으며 30세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반복 자궁외 임신 예의 경우 자궁내 임신의 경우와 반대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반복 자궁외 임신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3. 임신횟수와 임신율 임신 횟수와 연관된 임신율은 초임산부군에서 경산부군과 비교하여 높은 임신율을 보였으나 자궁내 임신의 경우 경산부군에서 (50.9%) 반복 자궁외임신의 경우 초임산부군에서 (52.2%)약간 높은 임신율을 보였다. 4. 임신주수와 임신율 임신주수별 임신율은 각 주수별 임신율과 각 주수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된 예에 있어서 자궁내 임신 예의 경우 임신 8주 이전의 기간에 대부분 임신되었다. 5. 기왕력과 임신율 기왕력 유무에 의한 임신율은 기왕력이 없는 군에서 높은 임신율을 보였으나 자궁내 임신의 경우에는 기왕력이 없는 군에서 71.6%로 높은 임신율을 보인 반면, 반복 자궁외임신의 경우에는 기왕력이 있는 군에서 54.0%로 약간 높은 임신율을 보였다. 또한 불임 기왕력 또는 수술 기왕력이 있는 경우에 7.4%(4/54)와 13.0%(21/161)로 다른 기왕력의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임신율을 보였고, 임신예중 반복 자궁외 임신은 불임 기왕력 또는 자궁내막증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에 100.0%(4/4)와 80.0%(8.10)로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반대측 난관주위 유착과 임신율 반대측 난관주위 유착유무에 의한 임신율은 유착이 없는 군에서 높은 임신율을 보였다. 7. 착상 부위와 임신율 착상부위별 임신율은 말단부로 갈수록 임신율이 증가하였다. 8. 난관파열과 임신율 난관 파열유무에 따른 임신율은 비파열군의 경우 높은 임신율을 보였으나 임신율이 자궁내 임신의 경우 비파열군에서 61.2%(224/366)로 높은 반면 반복 자궁외 임신의 경우 파열군에서 52.2% (118/226)로 높았다. 9. 수술방법과 임신율 수술방법에 따른 임신율은 보존적 수술군에서 약간 높은 임신율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난관 임신수술 후 임신력과 연관된 요인들 중 30세 이전의 젊은 연령군, 초임산부군, 불임 및 수술 등의 기왕력이 없는 군, 반대측 난관주위의 유착이 없는 군, 착상 부위가 난소에 가까운 군과 비파열 난관 임신군에서 높은 임신율을 보였다. 그러므로 위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난관 임신에 대한 인식을 높여서 조기진단을 하고 환자의 각 경우마다 적절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향후 임신력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o study the fertility outcome and related factor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bal pregnancy, the 961 cases of tubal pregnancies were evaluated. All patients were attempting pregnancy after the surgical procedure. During a follow-up that from 13 to 98 months, the overall conception rate was 61.6%. The intrauterine pregnancy rate was 61.8% and the repeated ectopic related to the ferility outcome, e.g., the age of the patient, gravidety, history of infertility, previous abdominal surgery, contralateral peritubal adhesion, the location of the gestation and the rupture of the tubal wall. Converse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ertility outcome and the gestational weeks and the type of operative procedure.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β-hCG의 의의

        김장흡,이진우,나덕진,정기욱,권동진,김진흥,신희정,이원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자궁외임신은 1970년대이후 이환율 및 사망율은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발생빈도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0년 1월 1일부터 1993년 8월 31일까지 개복수술 및 복강경 검사에의해 자궁외임신(난관임신)으로 진단된 251레를 대상으로 진단 및 치료방법에 따른 혈청 b-hCG의 진단시 값과 치료후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빈도 같은기간중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37.4였으며, 1,000분만당 자궁외임신의 발생빈도는 26.7%이었다. 2. 연령분포 연령분포는 19-46세였으며 평균연령은 29.5±4.8세였다. 또한 가장 빈번한 연령층은 25-29세로써 36.5%를 차지하였다. 3. 임신 및 유산횟수 임신횟수에 있어서 미산부는 25.9%였으며, 평균 임신횟수는 0.9±회였다. 유산횟수에 있어서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는 24.3%였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5±였다. 4. 임신주수 평균 임신주수는 6.9±1.5였으며, 가장 빈번한 임신주수는 6-7주로써 22.7%를 차지하였다. 5. 기왕력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인 기왕력은 PID로써 23.5%를 차지하였으며, 이외에 복강경에 의한 난관결찰, 수술기왕력,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불임 및 H-mole 기왕력 순서로 분포가 낮았다. 6. 착상부위 및 난관파열 가장 빈번한 착상 부위는 팽대부로써 74.4%를 보였으며, 파열형은 52.9%에서 관찰되었으며 착상부위에 따라서 자궁각 임신의 경우 93.2%로 가장 높은 파열빈도를 보였다. 7. 증상 및 검사소견 주요증상인 하복부 동통, 질출혈 및 무월경은 77.5%, 63.7% 및 71.7%를 보였으며, 초진시 혈색소 10 mg%이하가 35.4%였고 Hct값은 30%이하가 37.9%였다. 8. 진단의 양성율 진단의 양성율은 더글라스와 천자, 뇨임신 반응, 초음파검사, 복강경검사(n=31) 및 혈청 b-hCG검사에서 96.7%, 72.4%, 85.7%, 97.1% 및 100.0%를 보였다. 9.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검사(n=70) 및 혈청 b-hCG값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탈락막 변화, 증식기 변화, 분비기 변화 및 Arias-stella 반응은 각각 40.0%, 28.5%, 21.5% 및 10.0%를 보였다. 또한 임신 주수에 다른 자궁내막의 변화는 탈락막 변화 및 분비기 변화는 임신주수가 진행됨에 따라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Arias-stella반응은 임신 8주까지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혈청 b-hCG값과의 관계를 보면 탈락막 변화의 경우 6096.8 mIU/ml로써 다른 경우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혈청 b-hCG값을 보였다. 10. 치료방법 치료방법은 개복수술 201예, 복강경검사 25예, Methotraxate(MTX)치료 5예 및 기대요법( expectant management) 20예였다. 11. 임신주수에 따른 혈청 b-hCG값 임신주수에 따른 혈청 b-hCG값의 분포는 13.5 mIU/ml였으며 평균값은 1518.3±160.7 mIU/ml로써 같은 임신주수의 정상임신과 비교하여 부위 및 파열에 관게없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임신 7주에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12. 착상부위 및 파열 유무에 따른 혈청 b-hCG값 착상부위에 따른 혈청 b-hCG값은 자궁각이 3017.9±1465.8 mIU/ml로써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양상을 보였으며, 비파열형의 경우 1778.3±293.7 mIU/ml로써 파열형에 비해 높았다. 13. 난관 절개술후 혈청 b-hCG값의 변화 수술전 혈청 b-hCG값은 1361.6±268.8 mIU/ml였으며 수술후 1일에 218.3 ±95.5mIU/m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12.6±7.9일이었다. 14. MTX치료후 혈청 b-hCG값의 변화 MTX 치료전 혈청 b-hCG값은 378.0 ±240.4mIU/ml 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78.0±12.5일이었다. 또한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34.8±6.5일이었다. 15. 기대요법후 혈청 b-hCG값의 변화 기대요법전 혈청 b-hCG값은 1,426.1±257.9 mIU/ml였으며 혈청 b-hCG값이 정상으로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78.0±12.5일이었다. 또한 혈청 b-hCG값이 1,000 mIU/ml이상인 경우가 이하인 경우보다 평균기간이 길었다. 16. 치료방법에 따른 난관소통율 치료후 난관소통율은 난관절개술, MTX치료 및 기대요법에서 69.2%, 80.0% 및 75.0%가 관찰되었으며, MTX치료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써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혈청 b-hCG검사 및 추적검사는 현재 다른 검사들보다 그 의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apparent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making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desirable but often difficul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rum b-hCG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ctopic pregnancy,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251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or laparoscopically proven diagnoses of tubal pregnanci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ur Lady of Mercy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 1, 1991 to Aut.31, 199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e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37.4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of ages. 3. 25.7% of patients was nullipara and 24.3% of total had not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4.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M.P.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 weeks in 22.7%. 5. A previous history of PID was in 23.5% an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in 18.4%. 6.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ampullar portion in 74.4%. 7. On symptomatological analysis, lower abdominal pain was encountered in 77.5%, vaginal spotting and amenorrhea in 63.7% and 71.7% respectively. 8. In the diagnostic positive rate, culdocentesis was in 96.7%, U-hCG test in 72.4%, USG in 85.7%, laparoscopy in 97.1% and serum b-hCG test in 100.0%. 9. The histopathology of endometrium showed decidual reaction (40.0%), proliferative phase (28.5%), secretory phase (21.5%) and Arias-stella reaction (10.0%).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serum b-hCG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secretory phase) was also found. 10. The range of serum b-hCG levels was 13.5-16,000mIU/ml in 100.0% of the cases and mean level of serum b-hCG was 1518.3±160.7 mIU/ml. The levels of serum b-hCG in each gestational weeks of ectopic pregnancy were below the low level of normal pregnancy and the levels of serum b-hCG increased till the 7th gestational week and after this week declined. 11. The level of serum b-hCG in each implatational portions was noted to be the highest in the cornual portion. The level of serum b-hCG in the unruptured cas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ruptured cases. 12. The preoperative baseline serum b-hCG in the patients was significantly declined at postsalpingostomy day 1 and the mean disappearance time of serum b-hCG($lt;5 mIU/ml) was 12.6 ±7.9days. 13. The mean disappearance times of serum b-hCG after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were 34.8±6.5 days and 78.0±12.5 days respectively. 14. The rates of tubal patency after salpingostomy,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were 69.2%, 80.0% and 75.0%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very important and the conservative tubal surgery, MTX therapy and expectant management can be successful in selected cases of ectopic pregnancy for further fertility.

      • KCI등재

        임신 18 주미만에서 경질초음파에 의한 제대동맥 혈류속도파형의 양상

        김수평,이종건,나덕진,신종철,이종승,이원희,박미숙,장석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0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내원한 임신 18주미만의 정상 임신부 79명에서 시행된 79예를 대상으로 경질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을 임신주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 S/D ratio, pusatility index(PI) resistance indec(RI)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은 임신 7주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2. 제대동맥의 이완기말 혈류속도파형은 임신 11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임신 12주에서 23.5%, 임신 13주에 45.5%, 임신 14주에 77.8% 그리고 임신 15주이후에는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다. 3. PI는 임신 8주(1.44+-0.10)부터 임신 14주(2.11+-0.25)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임신 15주(1.77+-0.21)부터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RI는 임신 11주에 0.98+-0.06이었고 임신 17주에는 0.76+-0.05이었으며, 임신주수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S/D치는 임신 12주에 10.99+-6.12이고 임신 17주에는 6.34+-0.91이었으며, 임신주수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대동맥의 혈류속도파형은 지금까지 알려진 임신주수보다도 일찍부터 변화하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으며, 향후 경질도플러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의 건강상태 및 예후 등을 조기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value of Doppler studies during the pregnancy is well known and documented. Most Doppler investigations of the umbilical artery, however, have been comfined to 16 weeks or greater in gestation and the experience with Doppler measurement in early pregnancy is very limited.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transvaginal color and pulsed wave Doppler system has allowe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fetal blood flow velocity in early pregna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the umbilical-placental circulation before 18 weeks in gestation. We studied 79 normal singleton prenanacies with a transvaginal color and pulsed wave Doppler system on 79 occasions between 7 and 17 weeks in gestation. Systolic/diastolic(S/D) ratio, pulsatility index(PI) and resistance index(RI) were used for flow velocity waveform analysis. We observed the umbilical waveforms as early as 7 weeks. End-diastolic velocity(EDV) was observed in 11 weeks, then progeressive development of EDV appeared from 11 to 15 weeks. And EDV was developed after 15 weeks gestation in all cases. RI and S/D ratio progressively decreased from 11 and 12 weeks with advancing gestational age, respectively. A decrease in PI from 15 weeks preceded by and increase from 8 to 14 weeks. This study suggests tat Doppler velocimetry of the umbilical artery in early pregnancy may provide a functional display of the evolution of the placental vasculature.

      • KCI등재

        자궁외임신 4,053 예의 임상통계 및 역학적 고찰

        이헌영,이진우,김진홍,유영옥,나덕진,권동진,노성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자궁외임신은 1970년대 이후 이환율 및 사망율이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반면, 발생빈도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1월 1일부터 1991년 12월 31일까지 개복수술 및 복강경검사에 의해 자궁외임신으로 진단된 4,053예를 대상으로 임상통계학적인 비교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빈도 같은기간중 분만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35.2였으며 1,000분만당 빈도는 28.4였다. 또한 1979년부터 1991년 사이에 자궁외임신은 1.8배 증가하였고, 1,000분만당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2.9배로 증가하였다. 2. 연령분포 연령분포는 16-49세였으며 평균연령은 30.5세였다. 가장 많은 연령층은 25-29세로써 34.6%를 차지하였으며, 1979년부터 1991년 사이에 가장 많은 연령층의 분포는 25-39세로써 년도별 변화는 볼 수 없었으나 15-19세의 연령층은 2.7배의 증가를 보였다. 3. 착상부위에 따른 연령분포 착상부위에 따른 평균연령은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 33.7세로 가장 높았으며, 난소임신, 복강내임신 및 광인대 임신의 경우 연령이 다른 부위에 비해 젊었다. 4. 임신 및 유산횟수 임신횟수의 분포는 0-9회였으며 평균임신횟수는 1.44회였으며 미산부의 분포는 28.4%였고, 임신횟수가 2회인 경우가 32.2%로써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유산횟수의 분포는 0-7회였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83회였다. 유산경험이 없는 경우는 25.3%였으며, 유산횟수가 1회인 경우가 26.8%로써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5. 착상부위에 따른 유산횟수의 분포 유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착상부위에서 빈도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복강내 임신의 경우에는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6. 기왕력의 분포 기왕력의 분포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경우는 PID 27.5%,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 17.4% 및 과거개복술 8.4%의 순서였으며, 불임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의 평균 불임기간은 66.0개월(분포: 17-97개월)이었다. 그리고 자궁외임신의 빈도와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 및 자궁내 피임장치 사용의 기간은 복강경에 의한 난관불임술의 경우에는 기간에 따라 일정하게 자궁외임신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자궁내 피임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초기인 2년이내에 69.4%의 자궁외임신의 빈도를 보였으며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7. 착상부위에 따른 기왕력의 분포 난관임신의 경우 전체 자궁외임신의 경우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난소임신의 경우 IUD,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 과거개복술 및 복강내 임신의 경우 PID와 과거 개복술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8. 주요증상 및 검사소견 주요증상인 하복부 동통, 질출혈 및 무월경은 88.4%, 72.5% 및 81.4%를 보였다. 또한 초진시 혈색소값은 10 mg%이하가 33.2%였고 적혈구 용적치는 30%이하가 35.7%였다. 9. 임신주수 임신주수의 분포는 4-12주였다. 평균임신주수는 7.2주였는데 난관임신은 7.2주, 난소임신은 7.3주, 자궁경부 임신은 8.7주, 복강내 임신은 12.5주 및 광인대임신은 14.2주였다. 가장 많은 임신주수는 6주로써 24.7%를 차지하였다. 10 착상부위 및 난관파열 착상부위는 난관임신, 난소임신, 자궁경부임신, 복강내 임신 및 광인대 임신의 순서였으며, 난관임신중 팽대부가 가장 많았고 난관파열은 54.3%였다. 난관파열형의 각 부위별 파열빈도는 자궁각, 협부, 체부 및 팽대부의 순서였으며 자궁각 및 협부의 파열빈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각 임신주수별 파열의 빈도는 임신주수가 경과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9주이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1. 진단의 양성율 진단의 양성율은 혈청 b-hCG검사, 다글라스와천자, 복강경검사, USG 및 U-hCG 검사의 순서였으며, 혈청 b-hCG검, 다글라스와천자 및 복강경검사의 양성율은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b-hCG검사가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12.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및 임신주수에 따른 변화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분포는 탈락막 변화, 증식기 변화, 분비기변화 및 Arias-stella 반응의 순서였다. 또한 임신주수에 따른 자궁내막의 변화는 탈락막변화와 분비기 변화는 임신주수가 진행됨에 다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증식기 변화와 Arias-stella반응은 임신 8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3. EBL EBL은 1,000 ml미만이 58.3%로 가장 많았다. 14. 치료방법 및 시대적 변화 치료방법은 난관절제술 및 부속기절제술이 81.9%였다. 수술방법의 시대적 변화를 보면 전통적인 방법들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직도 높은 분포였으며, 보존적인 방법은 증가양상을 보였다.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apparent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d making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is desirable but often difficult. This study was undertaken on 4,053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or laparoscopically proven diagnoses of ectopic pregnanci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from Jan.1, 1979 to Dec.31, 199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35.2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of ages. 3. The patient of ovarian pregnancy, abdominal pregnancy and intraligamentary pregnancy tends to be younger than those of tubal pregnancy and cervical pregnancy. 4. 28.4% of patients was nullipara and 25.3% of total had not experienced artificial abortion. 5. 100.0% of cervical pregnancy had a history of previous elective abortiun and the relation between elective abortion and subsequent cervical pregnancy seems. 6. A previous history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as in 27.5% an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in 17.4%. 7. 18.0% of ovarian pregnancy occur in women with intrauterine device in situ. 8. On symptomatological analysis, lower abdominal pain was encountered in 88.4%, vaginal spotting and amenorrhea in 72.5% and 81.4% respectively. 9.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 weeks in 24.7%. 10.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tubal pregnancy in 97.8%, ovarian pregnancy in 1.5%, cervical pregnancy in 0.4%, abdominal pregnancy in 0.2^ and intraligmentary pregnancy in 0.1%, respectively. 11. In the dignostic positive rate, culdcentesis was in 97.6%, urin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test in 71.9%, ultrasonogram in 87.6%, laparoscopy in 96.5% and serum b-human chorionic test in99.3%. 12. The histopathology of endometrium showed decidual reaction (40.2%), proliferative phase (28.7%), secretory phase (21.3%) and Arias-stella reaction (9.8%).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gestational weeks and endometrial patterns (decidual reaction and secretory phase). 13. 97.2% of ectopic pregnancies was treated with traditional procedures and 2.8% of ectopic pregnancies was treated with conservative procedures. In addition, although salpingectomy remained the operative method used most frequently, use of other tranditional methods de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and use of conservative methods increased steadil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was very important and the conservative procedures could be successful in selected cases of ectopic pregnancy for further fertility.

      • KCI등재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승조,이헌영,정재근,남궁성은,나덕진,정기욱,신희정,이원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3

        저자들은 1986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PSTT환자 4명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 28세이고 평균분만력은 0.75회였다. 2. 마지막 임신력과의 관게에 있어서 만삭임신이 2예(50%), 포상기태 1예(25%) 그리고 조산, 임신중독증 및 선천성기형 동반임신 1예(25%)였었다. 3. 종양기간에 있어서는 10-28개월로 평균 16.8개월이었다. 4. 임상증세로는 3예(75%)에서 소량의 질출혈을 호소하였고 1예(25%)에서는 무월경만을 호소하였다. 5. 종양표지물질과의 관계에서 b-hCG는 3예에서 초기에 21-858 mIU/ml을 나타내었으며 1에에서만 13,480 mIU/ml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hPL은 1예에서만 조사한 결과 0.1 mg/l이하의 결과가 나왔다. 6. 초기진단방법에 있어서는 전에에서 자궁내막검사로 진단을 내렸으며 세포분열양상은 10고배율상 1-4개를 나타내었으며 전이소견은 없었다. 7. 치료는 2예(50%)에서 수술 및 화학요법으로, 나머지 2예(50%)에서는 화학요법만으로 완전관해를 이루었으며 그중 각 1예씩에서 후에 정상임신이 되었었다. 이와같이 드물고 치료에 잘 반응하지않는 PSTT인 경우에도 초기 병리학적검사로 다른 임신성융모성질환과 감별할 수 있으며 수술적 요법 및 적절한 화학요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좀더 정확히 알기위해서는 더 많은 예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PSTT) is a rare from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and the patients with a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clearly present a wide rage of clinical courses. Because of its apparent benign nature, it was originally termed trophoblastic pseudotumor of the uterus. The name was later changed when cases were reported of metastatic tumors resistant to chemotherapy leading to he death of the patients. We have studied clinicopathological study on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correlation of PSTT in 4patients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1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STT was 28 years old and mean parity was 0.75. 2. The antecedent pregnnacy ended in term pregnancy in two patients, H-mole in one patiend and premature, preeclampsia with congenital anomaly in one patient. 3. The interval from the antecedent pregnancy to diagnosis of PSTT ranged from 10 to 28 (mean 16.8) months. 4. Presenting symptom was vaginal spotting in 3 patients and secondary amenorrhea in one patient. 5. Pretreatment hCG levels obtained in 3 patients ranged 28-858 mIU/ml but one patient have a high value as 13,480 mIU/ml. The pretreatment hPL levels obtained in 1 patients was a 0.1 mg/ml. 6. All four were diagnosed as having a PSTT by endometrial curretage and all were initially determined to have nonmetastatic lesion. 7. Two patients were treated by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adjuvant chemotherapy and two patients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only. All four have remaiend in clinical and gonadotropin remission and two of them have outcome of normal pregnancy.

      • KCI등재

        정상 한국 여성의 폐경전 , 후 요추 골밀도 변화

        김장흡,이진우,김수평,김진홍,유영옥,나덕진,권동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1992년 5월부터 1994년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폐경기크리닉을 방문한 환자중 문진 및 검사에 의해 골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분비질환이나 약물의 복용이 없는 448명중 폐경전 여성 111명, 폐경후 여성 337명을 대상으로 폐경과 연관된 요추골밀도의 변화와 요추 골밀도와 연관된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요추 골밀도와 연관된 요인중 연령과 폐경후 기간이 가장 높은 역상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신장, 체중의 순서였다. 2. 폐경전, 후 동일 연령에서의 요추 골밀도의 비교는 45-49세군 및 50-54세군 모두 폐경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골밀도를 보였는데 (p=0.001) 이는 폐경이 골밀도 감소의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3. 폐경후 요추 골밀도의 변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한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으며, 45-49세군과 50-54세군과 비교해 다른 연령군은 유의하게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p$lt;0.05). 전체 폐경기간중 매년 0.79%의 골밀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특히 55-59세군이 50-54세군과 비교하여 매년 1.9%로 가장 높은 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조기 폐경이 골밀도 감소의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4. 요추 골밀도는 50세이전에 폐경이 있는 경우가 50세이후의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골밀도를 보였다(p$lt;0.01). 5. 폐경기간에 따른 요추 골밀도의 감소는 폐경기간에 따라 직선상의 감소양상을 보였다. (r=-0.52, p=0.001). 또한 폐경후 10년간 16.7%의 요추골밀도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여성의 요추골밀도값은 폐경의 유무에 따라 연령별로 구분하여야 되리라고 생각되며, 폐경후 요추 골밀도의 감소는 연령의 증가, 폐경후 기간과 조기 폐경이 높은 연관성을 보이므로 이러한 위험군은 골다공증에 관한 적극적인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골다공증과 연관된 골절을 예방 및 치료를 하여야겠다.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enopause on bone mineral density(BMD) of normal Korean women, BMD of the spine was measure by dual-energy X-ray absoptiometry(DEXA) in 111 premenopausal and 337 postmenopausal women. We found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of BMD with age and years since menopause (YSM), and positive correlation of BMD with height and weight. Comparison of quinquennial menas ofr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age bands 45-49 years and 50-54 years shows that at these age postmenopausal BM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menopausal BMD (p=0.0001). This finding suggests that separate normal ranges should be used for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Postmenopausal women showed a rapid loss of BMD amounting to 23.9% in the lumbar spine in the age range under examination. The BMD of postmenopausal women whose menopause occurred before 50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women whose menopause ocurred after 50. This finding suggests that early menopause is a serious risk factor in postmenopausal bone loss even after 65 years of age. BMD showed a rapid and almost linear redction within 10 years after menopause, and the total loss of BMD for 10 years after menopause was approximately 16.7%. This finding suggests that bone resorption occurs rapidly within 10 yearss after menopause and then continues slowly.

      • KCI등재

        반복적 태아 손실이 있는 부부에서의 주 조직 적합성

        김승조,이헌영,김창이,김수평,김진홍,나덕진,신종철,이종승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5

        저자들은 반복적 태아 손실이 있는 부부에서 조직적합성의 연관성 정도를 규명하고, 면역학적 원인으로 진단된 반복적 태아 손실 환자에 대한 면역치료시 그 치료 기준을 새롭게 정하기 위해 HLA class I항원에 대해서는 혈청학적인 방법으로 HLA class II항원에 대해서는 최근에 개발된 이중 PCR법을 이용하여 HLA항원의 발현 빈도, 동형접합성, 부동성 및 공유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LA class I의 유전자 발현 빈도는 환자군에서 Cw3, A2, Cw1, A24, B22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B17, B61, Cw1 및 Cw3의 발현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6), p=0.004, p=0.006, p=0.001). 2. HLA class II의 유전자 발현 빈도는 환자군에서 DQB1*1, DQA*03, DPB1*02, DPB1*05, DQA1*01, DRB1*04, DRB1*06, DRB1*08등의 순으로 높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DRB1*08, DQA1*06 및 DPB1*13등의 발현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 P=0.001, P=0.001). 3. 동형접합성 빈도는 DRB1 및 DPB1 유전자 좌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2, P=0.001). 반면에 P 유전자 좌에서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02). 4. 반대로, 부동성 정도는 DRB1 및 DPB1 유전자좌에서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29, P=0.013), B유전자 좌에서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6). 5. 각 유전자 좌에서의 공유 빈도는 C유전자 좌에서만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P=0.037), 나머지 모든 유전자 좌에서도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비교적 높은 공유 빈도를 보이고 있다. 6. HLA유전자 좌를 4개 이상 공유하고 있는 부부와 5개 이상 공유하고 있는 부부의 빈도는 각각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P=0.042, P=0.015). 반면에 HLA유전자 좌를 3개 이상 공유하고 있는 부부의 빈도는 두 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1).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저자들은 반복적 태아 손실 조직 적합성과는 비교적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HLA class II유전자 좌가 HLA class I유전자 좌보다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부부 사이에 공유하는 HLA 유전자 좌의 수가 적어도 4개 이상 되어야 면역요법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HLA 유전자 형벌법을 면역요법에 이용하면 부적합성을 보이는 임파구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urvival or loss of the fetus as an allograft remains a significant immunological problem. Although chromosomal abnormality has been known as the major cause in spontaneous abortion, immunologic factor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as the major cause in recurrent pregnancy loss(RPL). Many studies have supported the association between HLA antigens and RPL, but other studies could not confirm this finding. The purpo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se conflicting results and determine the new criteria of immunotherapy in couples with RPL due to immunologic caus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LA antigens and RPL, incidence of hla antigens, homozygosity, degree of disparity and incidence of sharing from 25 couples experiencing RP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51 randomized fertile couples as a control group. Tissue typing was performed using a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tiy test for HLA class I(A,B & C) and a new method of two step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of DNA samples followed by gel electrophoresis for HLA class II (DRB1, DQA1, DQB1 & DPB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LA class I antigens, there relatively increased the incidences of Cw3, A2, Cw1, A24 & B22 in RP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incidences of B17, B61, Cw1 & Cw3. 2. In HLA class II, there relatively increased the incidences of DQB1*01, DQA1*03, DPB1*2, DPB1*05, DQA1*01, DRB1*04, DRB1*06 & DRB1*08 in RP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incidences of DRB1*08, DQA1*06 & DPB1*13. 3.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incidences of homozygosity at the DRB1 & DPB1 loci in RP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ly less incidences at the B locus in RPL group. 4. By contrast, the degree of disparity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DRB1 & DPB1 loci and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B locus in RP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5. Incidence at individual locus significanly increased only at the C locus in RP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all of the remaining loci tended to increase relatively in RPL group. 6. incidence of couples with HLA alleles shared four or m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P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incidence of couples shared five or mor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RPL group. But incidence of couples with HLA alleles shared three or mo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seems to me relatively close association between RPL and HLA, especially class II rather than class I, and that immunotherapy must be done in case of HLA alleles shared four or more in each couple.

      • KCI등재

        미세수술을 이용한 가토 난관문합수술에 고정대 및 복합첨가물이 미치는 영향

        송승규,이헌영,김장흡,이진우,유영옥,김은중,나덕진,정기욱,김진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2

        저자들은 미세수술을 이용한 난관 문합수술시 소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토의 난관에서 고정대를 사용함에 따른 효용성을 알기 위해 실험 I군에서는 각각 잔존 기간에 따른, 그리고 실험 II군에서는 각 잔존기간후 고정대만 제거한 뒤 일정기간 뒤에, 그에 따른 난관벽의 비후성, 난관주위의 혈관 복원성, 연동운동, methylene blue 시약을 이용한 난관 소통성, 광학 및 전자현미경소견을 그리고 실험 III군에서는 수술후 유착방지를 위한 복강첨가물의 사용에 따른 유착 발생빈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관의 운동성은 II군에서 고정대 1주 잔존군이 고정대 2주나 4주 잔존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lt;0.10), 비잔존군과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난관의 소통성은 II군에서 고정대 1주 잔존군이 고정대 2주나 4주 잔존군 그리고 비잔존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lt;0.10). 3. 광학 현미경소견상 염증성 세포변화는 I군에서 고정대 잔존기간이 오래될 수록 상대적으로 증가되었으나 II군에서는 잔존기간에 관계없이 미약한 염증반응만 나타내었다. 섬유화는 I과 II군에서 고정대 2주와 4주 잔존군에서 더 발생하였다. 4. 주사 전자현미경상 난관 문합수술후 난관 점막의 치유에 난관문합부 주위조직은 2주후 치유되고, 난관 점막 상피세포인 섬모세포의 섬모 및 분비세포에서의 미세융모가 감소된 소견이 I과 II군에서 고정대 1주 잔존군과 비잔존군에 비해 2주와 4주 잔존군에서 더 높게 나타냈다. 분비세포의 투과전자현미경소견상 I군에서 고정대 1주 잔존시 미세융모의 소실 및 분비과립의 증가된 소견이 관찰되었고, 고정대 2주 잔존군에서는 미세융모와 분비과립이 동시에 감소되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2000배의 주사 전자현미경상 정상 분비세포에 대한 변형된 분비세포 수의 비율은 I군의 고정대 1주 잔존군에서 고정대 4주 잔존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며(p$lt;0.05), II군의 고정대 1주 잔존군의 비잔존군과 비잔존군은 고정대 2주와 4주 잔존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p$lt;0.05). 6. 복강 첨가물에 따른 유착은 복합첨가물(saline, solumedrol, ampicillin, heparin)을 사용한 군이 생리식염수나 10% dextran 사용군보다 유의하게 적었다(p$lt;0.05). 이상의 결과로 난관요인의 불임증 호나자의 난관 문합수술시 난관 문합부에 1주일 동안의 고정대를 잔존시키고 복강내 복합 첨가물의 사용이 난관 문합수술의 성공율을 높이기 위해서 병행되어야하며 그 밖에 복합적인 요소들에 대해서도 세심한 고겨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maintenancy of tubal patency and the prevention of pelvic adhesion are the major keys for the successful fallopian tube surgery for infertility. Various kinds of tubal splints hva been used to maintain tubal patency in clinical and experiemntal tuboplasties, but there are still undetermined factors such as the optimum duration of splint indwelling and its effects on tubal healing and patency. Therefore, authors performed experimental tuboplasty in rabbits and attempted to known the effects of the nylon splint on tubal patenc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indwelling and also the effects of the intraperitoneal adjuvants on pelvic adhesion. All results were analyzed clinically and pathologically by using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total number of experimental rabbits were 72. Both normal oviducts were obtained from three rabbits as a control group. In sixty nine rabbits experimental reananstomoses were performed at the ampullae of both oviducts and a nylon splint was inserted into only one oviduct of each rabbit. Twenty (Group I) of sixty nine rabbits were sacrificed on the 1st week (seven), 2nd week (six) and 4th week (seven rabbits). In the remained forty nine rabbits (Group II), only the splint was removed on the 1st week (sixteen), 2nd week (seven-teen) and 4th week (sixteen rabbits). And finally, all of these Group II rabbits were sacrificed on the 8th week to obtain oviducts.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intraperioneal adjuvant against adhesion, twenty milliliters of saline, 10% dextran (Reomacrodex), or combined regimen (saline, solumedrol, ampicillin and heparin) was applied into the pelvic cavity of Group II anim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toration of tubal peristalsis in Group II was significanly high (75%) in one week splinted group as compared with other splinted groups (P$lt;0.10). 2. The incidence of tubal patency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high(81%) in one week splinted group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p$lt;0.10). 3. Inflammatory cell infitration was increased along the duration of splint indwelling in Group I, but only slight infiltration was noted in Group II without relation to the duration of splintinf. Fibrosis was increased at the two and four weeks splinted groups compared with the one week splinted group group I&II. 4.On scanning electron microsocipic examination, the tissues adjacent to the anastomotic site were restored at two weeks after operation and the appearance of transformed ciliated and secretory cells was more frequent at the two and four weeks splinted groups than the one week splinted group of Group I&II.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samination for secretory cells of group I showed decreased in microvillie and granules in two weeks splinted GroupII(p$lt;0.05) 5.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fed (x2000), the ratio of transfirmed to normal secretary cell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week splinted group than in the for weeks splinted group of Group I, and also lower in the unsplinted and one week splinted groups than in the two and four weeks splinted groups of GroupII(p$lt;0.05). 6. The incidence of plvic adhe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s in which combind regimen was used than in the cases in which saline or 10% dextran was used as an intraperitoneal adjuvant(p$lt;0.05).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taining of tubal for one week and the use of combined regimen as an intraperitoneal adjuvant may improve the results of tubal reanastom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