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팀에 대한 인식이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혜준(Hae June Kim),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팀에 대한 인식(긍정적 상호의존성, 지각된 태만)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각 변인에 따른 토론내용의 수준 차이를 규명하여 온라인 토론학습에서의 참여도 촉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여자대학교 전공과목 수강생 57명을 대상으로 3주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다중회귀분석으로 학습참여에 대한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긍정적 상호의존성, 지각된 태만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론내용 수준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각 변인을 상하집단으로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정적, 지각된 태만은 부적으로 학습참여를 예측하였고, 토론내용 수준은 메타인지, 사회비교경향성, 긍정적 상호의존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타인지,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높을수록, 지각된 태만은 낮을수록 학습참여가 높다는 것, 메타인지와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높은 집단에서 양질의 토론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의 메타인 지를 촉진하고 팀에 대해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online discussion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erception on team(positive interdependence, perceived loafing), and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were fift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a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perceived loafing negatively predicted learning engagement. There wer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of the discussion. The learners with higher level of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posted messages that are more cognitively engaged during the online discussion. This implies that learners with higher metacognition, interdependence and lower perceived loafing show more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particularly metacognition and positive interdependence lead learners to cognitive engagement in depth. Thus, in order to facilitate participation, the online discussion should be designed to help learners be aware of their metacognirion and to promote positive interdependence among the group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 KCI등재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열의의 관계 : 학교급에 따른 차이

        김혜준(Kim, Hae June),임규연(Lim, Kyu Y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2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과의존에 노출된 청소년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게임, 영상시청, 정보검색),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열의 간 관계가 학교급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이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 4,940명을 대상으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영상시청, 정보검색),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열의를 유의하게 예측했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양육태도의 일관성, 스마트폰 사용 빈도(게임, 영상시청)와 학업열의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 집단에서는 게임의 예측력, 중학생 집단에서는 영상시청의 예측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학교급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목적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 지도와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e.g., game, video, information), smartphone dependency, and academic engagement. We focused on exploring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y school level (i.e., primary vs. secondary school). We used the data of 4,940 teenager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conducted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dependency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significantly. Smartphone dependency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use purpose, and academic engagement. Results also showed that smartphone use (game)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predicts smartphone dependency in primary school students, whereas smartphone use (video) is the most significa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Drawn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on smartphone use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school level.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 학교의 지원을 중심으로

        김혜준(Kim, Hae June),최지수(Choi, Jisoo),임지영(Lim, Ji Young),임규연(Lim, Kyu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어떠한 학교의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에 대한 효능감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도로 구분하고, 학교의 지원은 학교관리자의 지원(교수학습활동지원, 교육과정편성운영지원)과 학교 환경적 지원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국의 중·고등학교 교사 301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ICT 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학교관리자의 교수학습활동지원이었고,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학교관리자의 교수학습활동지원과 환경적 지원이었다. 둘째, 학교관리자가 다양한 정보와 자료 제공, 교내외 연수활동 장려 등과 같이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고 교사들이 인식할 때, 교사의 ICT 효능감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도가 높았다. 또한, 학교 자체에서 교육을 위한 장소나 시간 제공, 교육 계획 및 실행과 관련한 도움을 제공한다고 인식할 때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의도가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행과 관련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학교관리자 측면 및 학교 환경적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지원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ich type of schoo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eachers’ inten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support(school leaders’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support for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environmental/organizational support), teachers‘ ICT efficacy, and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Data collected from 301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ders’ support, especially the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CT efficacy, while the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tention of teachers to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ICT efficacy and intention to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when they perceived that school leaders motivated to improve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provided various information and learning materials, and encouraged ICT training for teachers. In addition,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implem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when the school provided facilities or time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llowed flexibilities in class organization, and provided help regarding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hich school support strategies are in priority in order to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인지적 참여와 학업성취 간의 예측 관계에 대한 연구: 벌점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진명화 ( Myunghwa Jin ),김혜준 ( Hae June Kim ),임지영 ( Ji Young Lim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3

        최근 고등교육에서 온라인 학습 방식이 확대됨에 따라 온라인 학습의 질적 제고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양질의 온라인 학습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수설계 시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고려한 학습활동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활동을 탐색하고, 학습 시점에 따라 학습활동의 인지적 참여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A 대학교 교직 교과목 수강생의 로그데이터를 바탕으로 교과목에서 실시한 학습활동에 대한 변수를 생성하고 벌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에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학습활동 확인하고, 학습활동을 인지적 참여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는 ICAP 프레임워크와 학습시점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적 참여를 의미하는 I 모드에서는 학기 후반부의 팀 프로젝트 활동이 학업성취를 예측하였으며, 동료피드백 활동은 교과목의 전·후반 시점에 따라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성적 참여를 의미하는 C모드에서는 학기 전반부의 성찰문 작성, 퀴즈 활동이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설명하였다. 적극적 참여를 의미하는 A 모드에서는 추가자료를 확인하는 활동이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 학업성취에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가자료의 내용에 따라 학업성취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수동적 참여를 의미하는 P 모드에서는 동영상 시청이 학기의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다양한 수준의 인지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교수 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학습활동의 인지적 참여 유형과 학습 실시 시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online learning has expanded in higher education recently, the ne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In order to provide quality online courses, it is important to organize learning activities considering learners’ cognitive participation level in instructional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ich learning activitie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ourses and identify the extent of cognitive participation required for those learning activities as the online course continues. For this purpose, we generated variables based on the log data regarding the learning activities taken in the online course at A university to conduct a penalized regression analysis. We first identified online learning activities that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Then, we analyzed them based on the ICAP framework with the course flow to classify them into cognitive participation levels corresponding to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I mode, team project activit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semester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feedback activities showed contras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course flow. In C mode, reflection writing and quizzes in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A mode, checking supplement learning materials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semester; however, some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materials. In P mode, watching lecture videos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semester. Th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online courses to promote levels of cognitive participation.

      • KCI등재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임규연 ( Kyu Yon Lim ),김주연 ( Joo Yeun Kim ),김혜준 ( Hae June Kim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 내용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 메시지를 Poole과 Holmes(1995)가 제시한 문제해결 기능에 따라 6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Content Analysis)하였다. 그 후 그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문제해결 단계로 재분류하여 내용을 패턴화하였다. 집단별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 모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분석(PA) 패턴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안 도출(SD)이 빈번히 나타났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과정 조정(OO) 후 문제분석(PA)으로의 이동한 경로가 많았던 반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과정 조정에서 해결안 도출(SD)의 경로가 빈번하였다. 이는 학습초기에는 문제 표상 및 해결안 탐색을 촉진하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학습 후기에는 지식을 공유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함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 학습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wo groups in terms of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two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 content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Pool and Holmes (1995) was used to analyze communication patterns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ly for two groups both in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Students provided with supportive scaffoldings went through Problem Analysis (PA) patterns most often in their communication, whereas students provided with reflective scaffoldings frequently showed Solution Development (SD) patterns. In terms of sequences,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Problem Analysis (PA)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On the contrary,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Solution Development (SD)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s. By explor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n designing efficient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생용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의 구성요인 탐색

        임규연 ( Kyu Yon Lim ),임지영 ( Ji Young Lim ),김혜준 ( Hae June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협력적 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타인조절,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 등 협력학습 맥락에서의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를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협력적 조절의 하위요인인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협력적 자기조절의 요인구조를 탐색하였다. 문항 개발의 첫 단계로, 자기조절 이론에서 제안된 하위요인인 인지, 행동, 동기적 자기조절에 근거하여 45개의 문항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한 후, 2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설문을 실행하였다. 이후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문항을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협력적 자기조절을 측정하는 22개 문항을 도출하고, 이론적 검토를 통해 구성요인으로 제안한 인지, 행동, 동기적 영역이 실증적으로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협력적 자기조절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협력적 자기조절의 개념을 정교화하고, 향후 협력적 조절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various terminologies regard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other regulation, socially shared regulation and co-regulation. Researchers also explored the factor structure of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which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sub-constructs of co-regulation, in order to propose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s the first step of scale development, 45 items were crafted based on self-regulation theories and its relevant constructs: cognition, behavior, and motivation. After confirming its content validity through expert review, a draf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81 college students. The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llowed by modification of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total 22 items are identified to be included in the suggested instrument. This research attempted to elaborate the concept of self-regulation in collaborative context and to develop its scale, which may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co-regul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