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중심으로

        김현정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기독교미술학 전공 2022 국내석사

        RANK : 252703

        국 문 초 록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 - 본인 작품 <Women in the Bible>시리즈 중심으로 - 김현정 기독교미술학전공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담은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 시리즈 작품 제작 과정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갖게 된 교회 미술의 여성성 표현의 유형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세 가지-성스러움, 유혹, 제자-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연구 범위는 중세 미술에서 근대 이전의 교회 미술로 한정했다.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경향성은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성스러움의 표상’은 교회 미술에 나타난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교회 미술에서 성모 마리아는 여러 도상으로 그려졌는데, 중세 제단화에서 성모 마리아는‘성스러움의 표상’으로 표현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7세기 이후 참회를 강조하던 중세 교회의 교리 강화의 필요에 따라 회개하고 구원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졌다. 막달라 마리아의 제단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그녀는 죄를 지었으나 참회하여 구원받은 성녀로‘성스러움의 표상’이 되었다. 둘째, ‘유혹의 표상’은 ‘이브’와 ‘막달라 마리아’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었다. 이는 루카스 크라나흐와 얀 마뷔즈의 <아담과 이브>와 티치아노의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아담에게 선악과를 건네었다는 창세기의 기록을 근거로 ‘유혹하는 여성’의 표상이 되었다. 막달라 마리아는 성경에 나오는 ‘죄를 지은 여자’,‘음행 중에 잡힌 여자’등 여러 여성들과 혼합되어(표-1 참고) 인식되면서‘성스러움의 표상’인 동시에 ‘유혹의 표상’으로도 그려졌다. 셋째, ‘제자의 표상’은 복음서에서 예수가 말한 제자에 대한 정의를 근거로 교회 미술에 표현된 여성 제자의 모습을 확인했다. 여성 제자는 크게 4가지 유형- ①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②참회하는 여성 ③향유 옥합을 깨트린 여성 ④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이 된 여성 –으로 그려졌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예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여성 제자의 모습을, 조르주 드 라 투르와 카라바조는 참회하는 여성 제자를 표현했다. 틴토레토는 예수의 발에 향유를 붓는 여성 제자를,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덴과 안니발레 카라치는 십자가와 부활의 증인으로 여성 제자를 그렸다. 앞서 연구한‘제자의 표상’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 <Women in the Bible>을 내용과 형식의 차이에 따라 A유형과 B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A유형은 연구자가 예수의 제자로서 살아가는‘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이를 위해 “묵상 - 말씀 제시 - 이미지화”라는 과정을 통해 여성의 일상과 말씀 묵상이 어떻게 시각화되는지를 작품으로 제시하였다. 주요 형식은 사진, 텍스트, 말풍선의 콜라주이며‘의미 작용을 강조하기 위한 조합’이다. B유형에서는 현대 여성 제자들의 인터뷰를 근거로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에 대한 관찰과 묵상을 시각화했다. 주된 표현 형식은 구상과 추상의 다층적인 레이어가 겹쳐진 공간과 시간, 내면의 이중 구조이다. 본 연구는 교회 미술에 나타난 여성성의 표현 유형을 고찰하고, 나아가 현대 여성 제자의 ’일상과 묵상의 관계’를 표현한 작품 <Women in the Bible> 의 실제와 의미 분석을 통해‘여성성과 제자도’가 현대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논증했다. 덧붙여 막달라 마리아라는 한 여성이 시대의 필요에 따라 성스러움, 유혹, 제자의 표상으로 다르게 표현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여성성이 아닌 복음이 정의하는 여성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주제어 : 교회 미술, 여성성, 제자, 제자도, 현대 여성, 묵상, 일상, 막달라 마리아, 의미 작용, 이중 구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