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러티브적으로 운영한 ‘질적 연구 방법론’ 강좌를 수강한 초임교사가 김치를 버리는 아이를 만나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내러티브

        김필성 ( Kim Pil-seong ),김소연 ( Kim So-ye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 강좌의 수강생이 내러티브적으로 학생들과 관계를 맺고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내러티브를 다룬다. 2015년 1학기 J교대의 대학원 ‘질적 연구 방법론’ 강좌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근거하여 운영되었으며, 이 강좌에 수강한 김교사는 교직3년 경력 초임교사로서 ‘김치를 버리는 아이’ 민주를 만나게 되고 내러티브로 사고하기를 통해 변화를 경험한다. 그 아이로 인해 분노와 좌절감을 경험한 김교사는 여러 다양한 문제아를 만나 왔으며, ‘김치를 버리는 아이’ 역시 여러 문제아들 중에 하나로 경험되었다. 그러나 김교사는 민주의 행동을 관찰하고 내러티브적으로 관계를 맺으면서 자신을 반성하게 되고 변화하게 된다. 이로써 이 연구는 인간의 경험을 탐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 강좌를 내러티브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수강생이 효과적으로 질적 연구적인 안목을 갖고서 교사의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줌을 보여줄 수 있다. This study covers narrative of change and growth of a teacher who took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 and has relations with students narrativel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5 was operated based on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Kim, a teacher with three year experience who took this course, came to Minju, a child who throws away kimchi, and experienced change by thinking narratively. Kim, who experienced anger and frustration because of the child, has met various types of problem children and 'the child who throws away kimchi' was one of them to the teacher. However, Kim reflected on himself and changed herself while observing Minju's behaviors and having relation narratively. This study can prove that the narrative oper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 that researches human experiences helps teachers to conduct teachers' lives by having qualitative research perspectives.

      • KCI등재

        중등교사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및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김필성(Kim, Pil-Seo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역량 중심 교육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현장교사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의 경험적, 실천적 지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시사점을 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10년 간 이상 교육현장에 역량 중심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이제 현장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 실천적, 경험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개념의 모호성과 역량교육 내실화와 관련된 두 가지 이슈를 바탕으로 중등교사 1인이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적으로 구성하는 내러티브를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는 교육철학 및 사회문화적 해석에 근거하여 역량목표를 설정하였다. 특히 그는 역량개념을 최종적인 결과물로서 구현하고, 이를 실현하는 학습 활동 계획을 치밀하게 구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투여함으로써 역량 중심 교과통합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한편, 교과교육과 교과통합 등 두 가지 교육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게 되면서 교과교육은 주로 강의식으로 운영했으며, 지식교육과 활동 중심의 교과통합교육이 대립되는 문제를 경험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교사가 학교를 둘러싼 문제발견 능력과 상황해석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가 최종결과물과 학습활동 계획을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과교육과 교과통합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교과의 핵심개념과 연계한 교과통합 주제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핵심개념 중심의 성취기준의 재구조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n-depth the empir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field teachers’ competency-drive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ituations where competency-driven training is emphasized and explore implications. Competencydriven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to the field for more than a decade, and now there is a need to pay practical and empirical atten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driven curriculum in the field. In this study, based on two issues related to the ambiguity of competency concepts and the internalization of competency education, one secondary school teacher explored the narratives of practical reconstruction, As a result, research participants set competency goals based 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he was able to successfully operate competency-driven curriculum integration by implementing competency concepts as a final outcome and by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carefully organizing learning activity plans that realize them. On the other hand, as the two curricula, including curriculum education and curriculum integration, were operated mainly in a lecture manner, and experienced a conflict between knowledge education and activity-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 implications for the internalization of competency-driven curriculum were presented.

      • 미네르바 스쿨의 교육과정 특징과 시사점

        김필성(Pil-Seong Kim)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역량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미네르바 스쿨의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예측 불가능의 시대에 핵심역량 교육이 도입되었지만, 역량이 선언적이거나 명확하지 않아 기계적으로 적용되거나 형싱적으로 운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학교 혁신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주목 받는 미국의 ‘미네르바 스쿨’의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미네르바 스쿨은 실천적 지식을 함양하기 위해 핵심역량을 마음의 습관과 기초개념으로 구체화한다. 둘째, 미네르바 스쿨은 전이능력 함양을 위한 광범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있다. 셋째, 미네르바 스쿨은 블렌디드 러닝 운영 체계를 바탕으로 배운 지식을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nerva School's curriculum in a situation where core competencies are emphasiz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Core competency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in an era of unpredictabilit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etency is not declarative or not clear, so it is applied mechanically or is operated figuratively. Under this circumstance,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Minerva School' in the US,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success story of school innovation. Research Results First, the Minerva School materializes core competencies into habits of mind and foundational concepts to cultivate practical knowledge. Second, the Minerva School is designing a curriculum that provides a wide range of education for thedevelopment of far-transfer. Third, the Minerva School provides education that makes extensive use of the knowledge learned based on the blended learning operating system.

      • 국가교육과정과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의 상생 방안에 대한 시론적 탐색

        김필성(Pil-Seong Kim)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3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교육과정과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의 상생 방안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시대적인 과제가 되는 상황에서 교육적 연계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단순히 교육 업무 분담하는 관계를 넘어서 국가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중심의 협력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첫째,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 즉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을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협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학교와 지역의 협력에 토대를 둔 지역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성취기준 중심의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 연계가 국가교육과정과 성취기준 중심의 소통과 협력에 기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교육 연계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In this stud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re intended to explore ways to coexist theoretically.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educational conne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cooperate is becoming a task of the times. To this end, it was discussed that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need to go beyond simply sharing educational tasks and cooperat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First, school and community cooperation, that i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cooperation between the formal curriculum and the potential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cal curriculu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centered on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nk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enter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through this, the link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can be stable and sustainable.

      • 사교육이 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김필성 ( Kim Pil-se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6 인성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여러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살펴보며, 인성에 미치는 영향도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교육이 학생들에게 일상이 된 상황에서 사교육의 영향을 학업성취도에만 제한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보고 사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여러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정서적, 인성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들을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학원에서 학원 강사와 친근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학원 강사들은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관심은 물론이며 감정적 경험까지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사교육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저해할 수 도 있으나 학생은 학교에서보다 사교육을 통해 협력적인 학습 관계를 맺고서 학습을 수 있다. 셋째, 사교육이 학생들의 놀이와 자유를 빼앗는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학생들은 사교육에서 정서적인 지원을 해주는 학원 강사를 만나고 친한 친구와 함께 공부할 수 있다. 조사결과에서도 사교육이 단순히 교과공부만이 아니라 인성 함양에도 상당히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사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며, 학생들을 사교육에서 단순하게 학습경험만이 아니라 정서적, 인성적 영향을 받고 있다. 끝으로 사교육이 학생들에게 제2의 학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교육에서 학생들의 정서와 인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This study examined many positive/negativ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students and their personality. As private education has become a daily life to students, it would not be proper to limit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many positive/negativ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students. Thus, this study considered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heir emotion and personality. In the results, first, student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instructors at private school. P rivate schol instructors could consider students` interest in study and even their emotional experience. Second, even though private education could hinde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could learn under the cooperative learning relationship through private education rather than school. Third, even though private education is perceived as a main cause of taking play and freedom from students, students could meet instructors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nd close friends through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ivate education was considerably paying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on top of studying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showed that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students were very diverse, and students` emotion and personality were also influenced by private education, on top of learning experience. Lastly, as private education is working as the 2nd school to students, it suggested the necessity to establish measures to develop students` emotion and personality through private education.

      • 고등교육에서의 ‘OECD 교육 2030’에 토대한 인성 역량 강화 방안의 시론적 탐색

        김필성 ( Kim Pil-se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9 인성교육연구 Vol.4 No.2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시대 등 급속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교육은 2003년 OECD DeSeCo 프로젝트의 역량개념에 근거하여 창의성, 의사소통, 배려심, 협력능력 등 다양한 학생역량을 강화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 기초하여 인성역량을 포함한 핵심역량의 내실화 방안을 시론적으로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OECD 교육 2030’는 DeSeCo 프로젝트는 역량개념이 모호하고 교육의 과정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하면서 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의 학습을 통해서 개발됨을 강조했다. 따라서, ‘OECD 교육 2030’은 무엇보다도 역량개발이 지식교육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교육을 통해 가능함을 명확히 하면서 수업 설계 및 운영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국대학이 겪었던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혼란과 구성원 간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해줄 수 있을 거라고 보며, 학생의 인성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In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21st Century, Korean Education tried to reinforce various student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competence concept of the OECD DeSeCo project in 2003. Based o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how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humanity competencies. OECD Education 2030 criticized the DeSeCo project for vague concepts of competence and neglected the process of education, emphasizing that competence is developed through learning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learning framework that includes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society, transformational capacity, and student conduc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discussions on how to enhance the general core competencies are needed first in order to reinforce personality competencies. Therefore, based on the OECD Education 2030, the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ways to strengthen student competencies.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 학교와 지역 간 교육협력 방향의 시론적 탐색

        김필성(Pil-Seong Kim),유지은(Ji-Eun You),조상희(Sang-Hui Cho)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의 교육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학교 안팎의 교육관점의 차이들과 교육과정 중심의 해소 방안을 문헌 분석 중심으로 살펴본다. 연구결과: 학교와 지역 간에는 교육관점의 차이, 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배타성과 지역의 소외, 주도성 논의로 인한 교육과정 소통 미흡, 보편교육과 지역특색 교육 간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안팎의 소통과 학교와 지역이 참여하는 지역형 교육과정 개발, 학교 와 지역이 협력하여 핵심역량 및 성취기준을 해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에 지역사회 자원을 담아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의미 있는 학교 안팎의 교육 연계와 협력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중심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성취기준을 협력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theoretically explore ways to strengthen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focusing on the curriculum. Method: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and solutions centered on curriculum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spectives between schools and regions, school-centered curriculum exclusivity and regional alienation, insufficient curriculum communication due to discussions on leadership, and differences between universal education and regional-specific education. To narrow this, curriculum-centered education is needed. Efforts are needed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develop a local curriculum in which schools and regions participate, collaborate with schools and regions to interpret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incorporate community resources into a curriculum that meets these. Conclusion: For meaningful educational linkage and cooper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efforts are required to activate curriculum-centered communication, cooperatively interpret achievement standards, and effectively achieve them.

      • KCI등재

        미래교육지구의 현황 및 개선 방안 탐색

        김필성(Pil Seong Kim),김대현(Dae Hyun Kim) 한국평생교육학회 2024 평생교육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부산 사상구의 미래교육지구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육부는 혁신교육지구를 개선하는 차원에서 미래교육지구사업을 운영해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들은 교육부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단으로서 부산 사상미래교육지구사업 담당 부서 및 업무담당자들의 경험과 내러티브에 공감하면서 협렵적으로 이슈에 공감하고 협력적으로 개선 방안을 탐색했다. 연구결과, 첫째,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공동센터운영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의 과제를 갖고 있었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의 비전과 목적에 부합하는 마을강사의 정체성과 역할을 정립해야 하는 상황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하는 공동운영센터의 안정화가 필요하며, 학교구성원 대상 지역사회 연계 교육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마을교육공동체 역량을 강화하는 전문적인 교육기관이 설립되어야 함을 논의했다. In this study, we aim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Sasang-gu, Busa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implemented the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o improve the Hope Education District. As pa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Future Education District Growth Support Group, we empathized with the experiences and narratives of the departments and staff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Sasa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Busan, sympathized with the issues, and collaboratively explored potential improv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joint center operation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econd, attention was drawn to the challenge of fostering growth and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local-community education. Third, we were in a situation where we had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role of village instructors that fit the vision and purpose of the local-community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agreed that the joint operation center, where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 must be stabilized, support for community-linked education for school members must be strengthened, and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strengthens the capacity of the local-community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백워드 기반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이 대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구

        김필성(Kim, Pil-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Wiggins와 McTighe가 「School by Design」에서 제시한 백워드 기반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 설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보려고 한다. 우리나라 대학교는 2008년부터 교육부의 주도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급속히 도입해왔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는 대학 재정지원사업의 방향을 대학의 자율성 강화에 두고 있음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교는 학교가 중심이 되어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 대학교는 효과적인 학습자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내실화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백워드 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학습자 역량강화의 목표를 구체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거꾸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문 및 교과목에서 추구하는 학습자 역량강화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핵심적인 이해와 수행 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목의 핵심적인 이해 및 수행목표를 기준으로 교육과정 매핑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나선형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습 원칙에 근거하여 교수학습을 고려하고 촉진자와 코치로서 교수자의 임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학습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ign method of backward-based school curriculum proposed in 「School by Design」 by Wiggins and McTighe(2007), and looks into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ies to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enhances learning capacity effectively. Since 2008, Korean universities have rapidly introduc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ently,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n the direction of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s. Therefore, Korean universities now have to develop school-based curriculum. At this point, they need to discuss ways to review and strengthen the curriculum to effectively enhance learners’ competency. The design of a backward-based school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desired results may g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result of strengthening learners’ compet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backwards to materi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and to achieve it effectively. Second, it needs to clearly understand the goal of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y pursued in study and curriculum and to develop core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tasks. Third, it is necessary to map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re understanding of subjects and implementation goals. Fourth, it needs to construct a curriculum in a spiral for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learner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learning principles for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and to present the task of teachers as facilitators and coaches. Sixth,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ort the difficultie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education for strengthening learner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