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이조후기 古文論을 대상으로-

        김철범 ( Cheol Beom Kim ) 한국작문학회 2005 작문연구 Vol.0 No.1

        이미 오래 전 한문이 우리 글쓰기의 매체가 된 이후 이조말기에 이르기까지 한문학은 동아시아의 보편적 글쓰기로 자리잡았다. 한문글쓰기가 보다 넓게 자리잡았던 고려후기부터 우리 선조들은 한문학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고전적 글쓰기로 받아들였고, 아울러 고전적 작품을 창조하기 위한 이론적 모색도 차츰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아직 중국이론의 답습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한문글쓰기가 중국과는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진행될 수 없는 것이며, 또 그렇게 되면 보편적인 글쓰기가 될 수도 없다. 이렇게 중국과 긴밀하게 교류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맞는 독자적 이론을 모색하게 된 것은 이조중후기에 도달해서였다. 이렇게 오랜 시간동안 우리의 글쓰기로 자리잡아 수많은 훌륭한 문학작품을 배태해냈던 한문글쓰기는 이제 구시대의 방식이 되어 마치 옛 유물처럼 여겨지고 있지만, 글의 구성이나 내용의 전개와 같은 글쓰기 일반의 문제에 있어서는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른 면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 논고는 이조후기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의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보고 있는데, 그 특성들이 현재 우리의 글쓰기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를 염두에 두고 있다. 먼저 이 시기 글쓰기 이론들이 우리의 현실에 따라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던 동인을 짚어보았는데, 당시 사대부문인들이 두루 젖어있던 과거문체에 대한 비판과 아울러 모방적 글쓰기와 아무 알맹이없는 無實한 글쓰기에 대한 비판을 주된 동인으로 보았다. 이같은 비판적 인식에서 글쓰기학습에 대한 새로운 길을 모색했던 바, 당시 사대부문인들은 성향에따라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도 흔히 古文論이라고 부르는 글쓰기경향을 지향했던 문인들의 주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 고문론은 唐宋系고문론과 秦漢系고문론으로 대별된다. 이들은 글쓰기 학습의 텍스트에 대한 입장에서부터 이견을 보였으니, 당송시대의 고문과 진한시대의 고문을 각각의 典範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들의 고전적 글쓰기론의 쟁점적 사안 가운데 “達意”와 “法度”와 “文氣”의 문제에 대해 개괄해 보았다. 이 논의들을 통해 한문고전 작가들의 글쓰기 방법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와 아직도 유효한 비평적 논의들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따라서 오늘날 우리 글쓰기 이론의 자생적 발전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After Chinese characters had become the medium of our writing a long time ago, Chinese classics literature had a place for a universal writing in East Asia until the end of the Yi dynasty. From the later part of Geryeo when a writing in Chinese had became widespread, our forefathers accepted it as a classic writing which rose above time and space and began theoretical researches to create classical works as well. However, their efforts were nothing than following Chinese theories. The writing in Chinese, needless to say, cannot be in progress without having correlation with China, and if it were so, it cannot be a universal writing. It was the late part of the Yi dynasty that our ancestors tried to find original theories for our reality with making close exchanges with China. The writing in Chinese, which had become an our writing and made a lot of great works for along time, seems to be an old-fashioned method now and is being treated as one of the aged remains, yet the common problems in writing such as the constructions of stories or the developments of contents are not greatly differed from today`s conditions. This study goes through several features of writing theories about classic works in Chinese in the late part of the Yi dynasty, and it also keeps in mind that how it can connect the features with today`s writing. First of all, this study finds and deals with causes for which writing theories at that time were original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our reality. This book regards not only the criticism for literary styles which were used by writers of “Sadaebu,” which means the gentry, but also the criticism for imitative writings and for useless writings which have no kernels as main factors. While searching a new way about the learning of writing under above critical cognition, the contemporary writers of Sadaebu suggested a few ways according to their writing inclinations. Among them, a writing inclination, which is so called “the theory of classical writing”, is being importantly dealt with here, and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classical writing theories of Tang-Sung line and China-Han line. In addition, this study generalizes some among the important cases of the theories about classical writing. The cases are “Dal-eui,” which expresses one`s opinions and integrates them well, “Beob-do,” which means laws and systems, and “Mun-gi,” which means the energy of writing. They had different opinions on texts in which there was the learning of writing, so suggested the writings of Tang and Sung dynasties and the writings of China and Han dynasties in respective exemplars of them. Through these arguments, we can think about both what the writing methods which were used by Chinese classics writers give us and the critical discussion which is still available. Therefore, we can expect them to help today`s spontaneous development of our writing theories.

      • KCI등재

        19세기 조선지식인의 변혁의 꿈과 새로운 저술세계 : 홍길주와 박규수의 경우

        김철범(Kim, Cheol-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19세기 조선사회는 극심한 사회적 모순을 겪으며 사대부사회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일부 세력이 권력을 독점하게 됨으로서 건전한 언론은 차단되고 좋은 인재들은 재야에 묻혀 있었다. 이 논고에서는 이 시대를 “죽은 지식의 사회”로 이름하고, 그럼에도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재야의 양심적 지식인들을 주목하였다. 특히 홍길주와 박규수의 삶을 대표적인 유형으로 보고, 이들이 처했던 상황과 그 상황에서도 새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았던 그들의 생각을 부각시켜 보았다. 또한 새로운 사회에 대한 그들의 염원이 담겨있는 대표적인 저술인 『숙수념』과 『상고도회문의례』에 담긴 정신을 소개하였다. 이 저술 속에 담긴 이들의 염원이 그대로 묻힌 경우도 있고 때론 실현된 것도 있겠지만, 그 결과보다는 모순의 시대에도 불구하고 자기 시대에 대한 책임을 저버리지 않았던 지식인의 삶과 의지를 주목하고자 하였다. Ch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experienced extreme social contradictions, and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t that time. As some powers monopolized political power, variety opinion was blocked and great talent was buried in out of power. In this thesis, we named this time “a society of dead knowledge” and paid attention to the conscientious intellectuals of out of power who wished a new society. In particular, I looked at the lives of Gil-ju Hong(洪吉周) and Gyu-Soo Park(朴珪壽) as representative character, and highlighted their thoughts that they did not give up their hopes for a new society even in the circumstances they faced. In addition, I introduce the sprit contained in SukSooNeom(孰遂念) and Sanggodohoemun-aeirye(尙古圖會文義例), which are their representative books that contain their wishes for a new society. In some cases, the wishes of their contained in this writing were still buried, and some may have been realized. But rather than the result, despite the times of contradictions, I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their life and will as the intellectual who did not give up responsibility for his tim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古文選集의 편찬·간행과 의미

        김철범(Kim, Cheol-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논문은 조선시대에 편찬 간행된 고문선집들을 개괄하고, 특히 조선후기의 고문선집의 편찬 간행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짚어본다. 조선전기의 고문선집들은 대체로 중국의 문선집을 수입하여 그대로 다시 간행했던 데 반해, 조선후기에는 조선의 문인들이 독자적으로 고문선집을 편찬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에 주류를 이룬 산문비평론을 크게 구분하면 진한고문론과 당송고문론이라고 하겠는데, 고문선집의 성향도 편집자의 비평의식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고문선집의 경향을 통해 조선후기 산문비평의 흐름을 또 다른 측면에서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generalize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that compiled and published in Chosŏn, and consider that's historical significance on literature.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that compiled and published in the early Chosŏn was republish Chinese anthology, but in the late a literary man compile from an independent point. The theory of prose that constituted the main current in the late Chosŏn was the theory of Jin-Han's classical prose and the theory of Dang-Sung's classical prose. Then an inclinations of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varied with a standpoint of compiler. On the other side, we hope for have view of flowing of the prose criticism from the current of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 KCI등재후보

        靑泉 申維翰의 문장학습법과 글쓰기론

        김철범(Kim Cheol-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문장학습 방법과 글쓰기에 대한 신유한의 논지를 통해 그의 산문비평론의 일면을 고찰한다. 16세기 후반에 조선 문단 내부의 반성과 중국문단의 영향으로 유입되어온 진한고문이 유몽인과 같은 문인들에 의한 실험기를 거쳐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다양한 경로로 발전되었다. 신유한은 이 시기에 진한고문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문인이다.<BR>  신유한은 영남출신의 남인으로서 특별한 사승을 잇거나 문파에 속한 일도 없이, 스스로 진한고문의 학습을 통하여 독자적 공부방법을 터득하였다.『상서』로부터『좌전』ㆍ『사기』ㆍ『한서』 등에 이르는 고전 역사서를 문장정맥으로 삼고, 진한시대의 기사문에서 聲容·聲色을 파악하는 공부에 매진하였다. 우선 그의 생각 가운데 무엇보다도 독특한 것은 六經 가운데『상서』를 문장의 최고 전범으로 간주하고, 史傳文體의 모범으로 설정한 점이다. 육경을 문장전범으로 삼는 것은 진한고문론의 일반적 견해였다. 그러나 허목과 같은 이들은『상서』를 聖人 또는 聖人 시대의 문장으로 보고 성인의 학덕을 갖춘 글쓰기의 전범으로서 읽었지만, 신유한의 경우는『상서』의 글쓰기를 史傳體 즉 史家 문장의 정맥을 이룬 전형으로 읽었던 것이다.<BR>  특히 기사문의 예술성을 확보하기 위한 글쓰기에 많이 노력했던 신유한은 聲色이나 意境·意相을 산문창작론으로 끌어들여 산문의 예술적 성취를 해명코자 했다. 나아가 사실적 묘사를 통해 개성적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작품 안에 정신기백이 생동하는 진실한 면모를 표출시키는 "眞本色" 의 미학을 추구하였다. 일찍이 秦漢古文論이 記事文을 선호하는 전통이 있었지만, 기사문 글쓰기의 미학적 논리가 마련된 것은 신유한에 의해 실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With Shin Yu-han"s learning style and argument of writing, this essay studies a phrase of his prose critic theory.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which flowed into Joseon dynasty under the reconsideration which had occurred in Joseon literary inside and the influence which China literary had on Joseon in the later part of the sixteenth century, had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experimental period when some writers like Yu Mong-In had worked to the later part of the seventeenth century. Shin Yu-han, he was a typical writer who developed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at that time.<BR>  As a native of the southeastern, Shin Yu-han studied and got his own learning style by himself with his own study of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without taking over a particular chronicle or joining to a literary sect. He took ancient historic books from Book of History to Zuo"s Commentary, Historian Record, History oh Hanas a vein of his writing and pushed on the study of grasping shapes and feelings of sound in descriptive compositions which were written in Ch"in and Han dynasties.<BR>  First of all, this essay considers that the most special thing among his ideas is that he considered Book of History as the best model among〈Liu ching〉and took it as a model for a literary style of history. At that time, it was common among studies of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to take〈Liu ching〉 as a writing style. However, Shin You-han read the writing of Book of History as a typical writing style of history, that was as a type of achieving a vein of historian writings while some writers like Heo Mock thought Book of History as a sage or a writing style under a sage period and took it as a writing style with erudition of a sage.<BR>  Especially, he tried very hard to ensure virtuosity of descriptive composition and worked very hard to explain an artistic achievement of prose by taking shapes of sound or meaning boundaries into a study of prose creation. Furthermore, to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through realistic descriptions, he pursued the aesthetics of "true colors" expressing true phases which had spirits animate in his works. There once was a tradition which preferred a descriptive style in the study of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but it could be evaluated that thanks to Shin Yu-han, an aesthetic argument of descriptive compositions has been arranged.

      • KCI등재

        삼원당(三元堂) 허원식(許元식)의 삶과 현실인식 -조선말 지식인의 현실대응 의식

        김철범 ( Cheol Beom Kim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문명사적이자 역사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이런 전환기적 시대에 처한 당시 지식인들은 자신의 지식과 학문을 기반으로 변화에 대응하는 논리를 갖추고 현실적 실천에 옮기기도 했다. 당시 지식인들의 다양한 대응방식은 좀더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본고는 허원식을 통해 그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허원식은 영남 남인의 지식인으로서 고종의 등극과 대원군집정을 계기로 정계에 진출하여 당시 대원군의 개혁정책에 동조하며 현실개혁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몇 차례의 상소문을 통해 그의 문제의식과 현실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 상소문을 중심으로 그의 문명론적 시각과 복고적 이상론을 살피게 될 것이다. 그리고 허원식의 이러한 의식들은 자신의 학문연원인 근기실학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성재 허전 이후 근기실학의 학문전통이 후대에 어떻게 발전 전개되었는지를 짐작하는 단초를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oson met a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and history in the end of century. At this point of time, an intellectual had one`s point for face to transition and carried out a realistic practice. It was based on one`s knowledge and leaning. We must consider their`s variation stand. Then I consider a part through Hyo-WonSik. He was an intellectual of Yongnam district. He was concerned about social reform. It was taken opportunity by enthronement of King Go-Jong and governing of Sir Dae-Won. He indicated his consciousness through some a memorial to the Throne. I will look his civilized view and thought of idealistic restoration through his memorial to the Throne. Also his leanging was taken root to tradition of practical science. From this point, I hope to see the future developments of practical science.

      • KCI등재

        기획논문 : 예강(禮岡) 안언호(安彦浩)의 삶과 지식인 의식 -조선말 향존지식인의 한 초상-

        김철범 ( Cheol Beom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를 살다간 향촌 지식인 예강 안언호의 삶과 의식을 살펴본다. 그는 김해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곳에서 살다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근기실학의 계승자인 성재 허전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가 살았던 조선사회는 왕조의 붕괴와 일제 식민지 침탈로 점철된 변혁의 시대를 겪었다. 이런 변혁의 시대를 겪은 그는 조선시대부로서 자신의 지위와 역 할에 고민했다. 과거를 포기한 이후 그는 향촌사회의 시대부로서 자신의 책무에 충실코자 노력했다. 그는 학통의 문헌간행과 계회조직을 통한 동지들 간의 결속에 적극 참여함으로서 향촌사대부 지식인들 사이의 연대의식을 강화했으며, 서당의 건립과 향교 복원을 통해 향촌사회 사림들의 학문진작에 힘썼다. 또 한 유가의 덕목을 지킴으로서 사풍을 유지하려는 그의 노력은 효우정신의 선양 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기도 했다. 물론 그의 이런 노력들이 근대문명의 충격을 흡입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여, 또한 유가적 지식이 근대문명의 대안이 되기에도 이미 한계에 도달해 있었다. 그러나 그의 경우를 볼 때, 이들 일부 향촌 지식인들은 공동의 유가적 가치관과 윤리관을 갖고 하나의 지적 공동체를 형성했으며, 향촌사회 내부에서도 일정한 힘을 발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재 허전의 문도들 사이에 이런 공통점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이들 집단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향촌 지식인의 약사적 의의를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Ye-Kang An Yeon-Ho`s life and consciousness. He was a rural intellectuals who lived the lat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He was` born in Kim-hae, and lived there his whole life, where he died. He became a disciple of Heo-Jeon who was successor of Kun-Ki Silhak. He suffered a period of transformation that Chosun dynasty is collapse and the colony Japanese is invade. He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formation as he Chosun Sadaebu, and he worried for their own status and role. Since he gave up "Kwago", he had the initiative to adhere to their obligations as Sadaebu of a country community. He tried to strengthen solidarity among intellectuals with other villages Sadaebu through publishing literature book of his tutor and organization by theres network. Also he made efforts to construct of communities through building a village schoolhouse and restoration of a local old-time school belonging to the Confucian shrine. And keeping the man of virtue`s culture, he had a concern about the sprit of filial duty and friendship. Of these efforts, as well as his breath the impact of modem civilization was not enough. And Confucian`s knowledge also become an alternative to modern civilization has already reached the limit. However, when you view his case, rural intellectuals were take formation as some of these common values and ethical views. And they exerted his some power to the constant inside. In the Heo-jeon`s groups, we found common sense like this. Through careful study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ural intellectuals, is expected to become a c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