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익산시 전통석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구상 : 석제품 전시 Marketing Program의 특성화를 중심으로

        김창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재산업은 환경문제로 채석허가를 제한하고, 중국의 값싼 수입석 경쟁력에서 수출시장 축소화 및 낙후성으로 인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익산시 전통석재산업에 돌문화센터와 거점지를 토대로 현대 소비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문화소비판매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esign Process를 도출하기 위하여 첫째, 익산시 돌문화자원의 잠재력을 통하여 3개 권역으로 나누어 Networking을 구상하였다. 둘째, 돌문화센터를 주거점지로서 전시 마케팅 프로그램과 전시 공간 모듈화를 탐구하여 조성계획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석장권역, 석재가공권역, 돌문화권역을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채석장권역은 익산석 화강암 원석을 캐내는 지역이다. 파괴된 자연을 복원한 생태교육프로그램과 화강석 채석 및 특징을 볼 수 있는 교육장으로 계획하였다. 석재가공권역은 돌문화센터 주변으로 석제품 가공기술과 열악한 환경을 직접 체득하며 보석축제와 연계시켜 계획하였다. 돌문화권역은 스토리가 풍부하고 마한백제 석조문화도시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지역이다. 역사 교육프로그램과 스토리텔링 문화관광지로서 체류 프로그램을 반영하여 계획하였다. 둘째, 전통공간 모듈로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유적지를 검토하고 백제 익산시 유적지 모듈을 중심으로 하여 1탑1금당, 1:1 정삼각형의 일정한 비율 척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공간별 프로그램에 있어 전통돌문화공간은 석장 및 계승자들의 상설전시와 연대별 기획전시로 계획하였다. 건축공간의 실내공간은 상설전시장과 기획전시장과 부속시설로 나누었다. 실외공간은 돌문화축제 시 석조작업장과 이외에 상설 체험장으로서 주기적 전시 및 기획전시를 계획하였다. 현대돌문화공간은 야외 숲속 공원으로서 다목적전시를 계획하였다. 석제품 전시공간은 진입부에 위치시켜 익산지역 석제품의 특성별 구분을 통해서 석제품을 주기적 전시 할 수 있도록 전시 프로그램 기법과 테마있는 공간으로 특성화시켰다. 셋째, 공간의 구성에 있어 건축물 및 전면 전시공간에 전통 상징성을 재현하고, 진입 및 주변공간에 석제품 적극적 판매를 도모하고, 야외숲속 공간에 내 집 같은 정원요소와 감성체험을 유도하여 전시 마케팅 문화소비판매를 촉진시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낙후된 석재산업도시를 고도보존도시와 연계시켜 역사문화도시로서 검토하고, 핵심 거점공간에 다원화된 전시 공간과 전시 프로그램을 토대로 석조문화와 정원문화인 공공예술의 장으로서 역할을 확장했다는 데에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익산시 전체 산업구조 속에서 전통석재산업의 석제품 수요와 공급량 시장분석을 전제로 하여 예술작품에 대한 가치 만족도와 통합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 경제파급효과 분석을 연구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폐석산 부지활용 조성방안과 생태적 연계성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다. 앞으로 경제효과 높은 시장 마케팅 전략과 폐석산의 부지활용 조성방안을 좀 더 연구해야 할 점이다.

      • 한국 신문 스트레이트 기사에 나타나는 의견에 관한 연구 1970-2009 : 조선, 중앙, 한겨레신문 1면을 중심으로

        김창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 신문 스트레이트 기사에 나타나는 의견적 표현과 의견을 실증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저널리즘의 사실과 의견 분리 원칙이 한국 신문 기사에서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기사 내 의견에 관한 기존 연구는 문장 내 의견이라고 의심될 수 있는 특정 표현을 의견이라고 정의하거나, 의견의 속성이나 특징 등을 다소 모호하게 정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기사에 나타나는 의견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자나 언론사의 의견이라고 의심되는 의견적 표현과 함께 그 중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실제 의견이란 어떤 것인지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1970년~2009년 발행된 조선, 중앙, 한 겨레 신문의 1면에 게재된 1303개의 기사와 6590개의 문장을 대상으로 한국 신문 기사 스트레이트에 포함된 의견적 표현과 의견의 양과 성격을 알아보았다. 한국 신문 스트레이트 기사 내 사실과 의견 분리의 원칙은 1970년에서 2009년으로 올수록 약화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의견적 표현이 전체 기사의 34%에서 발견된 데 비해 실제 의견은 1/10정도인 4%에서 발견되어 기사 문장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는 사실과 의견 분리의 원칙이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지만, 근거를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해야 한다는 원칙은 이보다 훨씬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견적 표현이 1970년에서 2009년으로 오면서 3배 이상, 꾸준히 늘고 있는 것에 비해, 의견은 1990년에서 2009년 사이 6배가 늘어나 근거 없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매우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990년에서 2009년으로 오면서 기사 내 근거가 있는 사실만 써야 한다는 원칙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정치와 사회, 북한 등 정 파 성이 표현될 가능성이 높은 주제에 의견적 표현과 의견이 많이 나타났으며, 신문사별로 의견적 표현과 의견의 내용 역시 정권과의 관계에 따라 방향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사별로 의견을 표현할 때 판단과 해석, 전망 등 선호하는 성격의 의견 표현 방식이 있다는 점도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한국 신문 스트레이트 기사에서 의견이 나타나는 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저널리즘이 사실과 의견 분리 원칙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 저널리즘적 함의는 무엇인지 고찰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rinciple of the journalistic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has been practiced in Korean Journalism. Contrary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focused on opinions in news stories and attempt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pinionative expression and that of opinion. This study analyzed 1303 articles and 6590 sentences in front pages of the Chosun-Ilbo, Joongang-Ilbo, Hankyoreh Shinmun from 1970 to 2009. Contents analysis revealed thirty-four percent of the total news stories and thirteen percent of the whole sentences included opinionative expressions; however, opinions which were not supported by evidence were only four percent of them. In 2009, opinionative expressions and opinion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terms of journalistic norms in Korean newspapers.

      •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김창숙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방임이나 과보호 같은 아동기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태도가 성인기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불일치의 이론적 경로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48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불일치, 우울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43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아동기에 방임이나 과보호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이나 과보호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불일치를 통해 우울에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방임이나 과보호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불일치,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순차적으로 성인기 우울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자기불일치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기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학생내담자를 만나는 상담장면에서 아동기의 방임, 과보호와 같은 부정적인 부모양육의 영향과 우울증상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이상적인 자기(ideal self)와 실제 자기(actual self)간의 자기불일치, 그리고 자기처벌적이고 부정적인 자기상(self image)인 내면화된 수치심을 다루는 치료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internalized shame and self-discrepanc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ladaptive parenting in childhood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adulthood. A survey, which consisted of four questionnaires selected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82 college students in areas of Seoul, Gyunggi, and Chungchoung in South Korea in the fall semester of 2011. A total of 433 survey packets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after excluding survey data with errors. The results are: (1) the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arenting in childhood (abandonment and overprotection)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adulthood; and (2) self-discrepancy did “not directly” link maladaptive parenting to symptoms of depression; instead, self-discrepan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arenting and internalized sh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e that clinicians who treat student clien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impact of parental maltreatment in childhood, such as abandonment and overprotec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adulthood. In doing so, clinicians need to assist clients in dealing with deep-seated, internalized shame about themselves and the magnitude of discrepancy between ideal self and real self within themselves.

      • 학교 유휴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수요자 인식조사 연구 : 원도심과 신도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창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저출산·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환으로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저출산은 학령인구의 감소라는 또 다른 사회현상으로 이어져 학교시설 내 유휴교실 발생 및 학교 통폐합 등의 문제가 발생 되어 학교는 학생들의 학습공간의 개념을 벗어나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평생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이 강조되는 등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기에 다양한 지역 실정을 반영한 학교 유휴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는 원도심에서 신도심 지역으로의 인구이동에 따른 원도심 공동화 현상과 젊은 세대들의 도시지역 이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원도심 지역의 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신도심 지역의 취학 학생수요는 증가하는 등 지역적으로 수급 불균형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학령아동의 감소와 노인인구의 급증 현상으로 학교의 유휴 교실을 아동과 노인 복지시설로 활용하는 방안과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시설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학교 복합화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공공복지시설을 확충함으로써 평생교육과 복지시설로 활용하고 학생들에게는 개선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시설과 인적 자원을 공유하여 공동 발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관내 원도심과 신도심의 초등학교 각 4교씩 8개교를 대상으로 학부모와 교직원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학교의 역할에서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출산 후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교육비에 대한 부담 증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젊은 세대의 결혼, 자녀,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가 많았으며, 노동인구 감소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성장률 둔화가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가장 큰 사회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학부모는 자녀의 초중등 및 대학 교육비와 사교육비 부담 완화, 교직원들은 아이 돌봄 서비스 및 어린이집 등 양육환경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화에 따른 가장 큰 문제로는 노후생활보장, 노인요양 등 사회복지비용증가 등으로 국가재정 부담 악화로 인식하고 있으며, 국가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학부모의 고학력자는 퇴직준비교육 및 취업대책이, 고등학교졸업자는 빈곤한 노인에게 경제적 지원으로 학력별 차이가 나타나 계층에 따른 맞춤형 복지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해 본다. 또한, 주거지내에 가장 필요한 노인복지시설은 주간노인보호시설로, 노인복지시설외의 시설로는 평생교육 활동을 통한 배움의 연장이 가능한 교육시설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와 교직원들의 학교시설개방과 학교시설복합화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교육과 홍보의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유휴시설을 활용한 학교시설 복합화의 기대효과는 학교와 교육청 입장에서는 외부재원으로 예산을 절감하여 도서관이나 수영장 등 체육시설들을 확충하여 학생들의 교육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주민편의 시설을 학교에 복합화 함으로써 평생교육체육문화복지 등 지역주민의 생활편익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중심에 가용부지를 확보할 수 있고, 부지매입비도 절감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는 국가균형 발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끝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필요한 시설과 자원을 공유하여 마을교육공동체로서 공동 발전을 모색하는 학교 유휴시설 활용방안으로는 첫째는 유휴시설 활용방안에 앞서 정확한 유휴교실 현황 파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휴교실 개념의 새로운 정의를 확립하고 보다 세밀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지며 유휴교실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운영 형태를 정량화하는 운영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이에 대한 지원 시스템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점차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가 증폭되면서 학교시설에 대한 개방은 필연적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학교시설을 지역의 평생교육과 복지문화 공간으로 제공하고 지역의 소통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지역사회는 지역주민들이 교류할 수 있는 물리적 장소가 많이 부족한 실정으로, 특히 접근성이 좋고 수업이 없는 시간대를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시설을 교육 목적 이외에 지역에서 요구하는 평생교육 등 지역주민과의 교류를 증진시키는 공공시설로 인식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시설을 복합화하여 새로운 지역사회의 공공지원 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유휴시설이 많은 초등학교를 지역사회 평생교육시설로 복합화하여 지역사회와 상호 발전적인 사회 교류를 시도하고, 아동과 노인들을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초등학교를 지역사회의 세대교류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등 미래학교 전략을 통한 새로운 미래 학교 모형을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레지오 접근법에 기초한 다상징적 프로젝트에서 유아의 표현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김창숙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기초한 다 상징적 프로젝트(Multi Symbolic Project)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매체의 차원에 따른 유아들의 서로 다른 표상을 살펴보고, 다양한 매체가 유아들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를 통해, 유아간 상호 협력적이며 진정한 상호작용의 의미를 구체화하여, 유아의 개별적 능력을 신장하고 심화된 학습으로 도울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고, 표현활동 영역의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해 나가는 기초자료로 역할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 상징적 프로젝트를 통한, 탐색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2. 매체의 차원 및 종류에 따라 유아들의 표상은, 어떻게 나타나며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하여 지난 1년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유치원의 교육과정에 적용, 다수의 프로젝트를 학급교사들과 함께 수행하면서, 교사교육, 환경의 변화, 부모교육 등을 하였으며, 평소 유아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져왔다. 수업에 직접 참여하여 8명의 소집단 유아와 함께 2가지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 아틀리에스타와 협의하여 프로젝트와 일과를 통합해 나갔다. 프로젝트와 기존 유치원 일과에서 나오는 표상 결과물을 수집하였으며, 교육과정을 디지털 카메라와 비디오로 녹화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이야기를 녹음, 관찰 기록하고 장면과 상황, 동작 및 언어적 상호작용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유아들의 표상 자료는 활동상황과 유아의 언어적 설명을 참고하여 Mara Krechevsky(1994)의 Project Spectrum (Preschool Assessment Handbook, Volume 3.)에서의 시각 예술관찰지 (아트 포토폴리오)를 사용하여 포트폴리오에서 사용되는 총9개의 점수화 요소들에 따라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다 상징적 프로젝트를 통한, 탐색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다 상징적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면서 주기 진행에 따라 유아들은 ‘나비프로젝트’의 경우 처음에는 나비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몇 가지를 표상하며 세부적인 특징이나 특성을 알지 못했던 유아들이, 나비를 직접 기르고 탐색 과정이 진행되면서 나비 날개의 개수, 겹눈, 몸의 털, 날개의 다양한 무늬, 날개의 털, 더듬이모양, 대롱, 다리 등 외부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해 나갔다. 나비의 성장 과정을 통한 곤충의 생활에 관심을 가지며 생명의 신비를 알게 되었다. 자전거 프로젝트에서는 처음에는 단순히 자전거를 타보는 것에 관심이 있던 유아들이 자전거를 표상 재 표상하는 가운데 자전거의 구조와 기능, 탈것의 안전한 생활에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학습이 확장되었으며, 주기별로 과제 상황에 따른 유아들의 흥미와 탐색 내용이 변화되면서 프로젝트의 주제에 대해 일관성을 갖고 학습이 심화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아들은 제공되어지는 매체의 성질과 가용성을 재료의 성질과 특성에 맞게 주제에 활용하면서 다양한 표상 활동을 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the different idea of preschool children upon various dimension of media in Multi-Symbolic Project using various media, and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media upon children's learning. With the clarified meaning of cooperative and true synergic effect from these results, I want to suggest a more profou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individual ability and to be used as one of the references about teaching-learing modality in expression activity area.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are 1. What will be happen in explorative learning with various media in Multi-Symbolic Project ? 2. How the preschool children's configuration will be expressed by different dimension and kinds of media, and what kinds of influence will be occurred upon their learning? For this project, 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changes of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 and multilateral efforts for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ere carried out for 1 year following Reggio Emilia approach. Unification of two projects on small group of 8 children and ordinary work were carried out with teachers and atelier star. Configuration results, recording tapes and films of teaching process, dialogues of children, records of children's situation, activity, expressions are analyzed by Project Spectrum (Preschool Assessment Handbook, Volume 3.) of Mara Krechevsky(1994), Results were as follows. In butterfly project, at first they only express several characteristics, but while breed butterfly by themselves and explorative processes are going on, they understood most of the components about butterfly in detail. For example, number of wings, double eye, hair of body, various mosaic of the wing, hair at wing, shape of tentacle, spinning bobbin, legs, etc. In bicycle project, at the beginning, they merely want to ride it, but their interests are increased, contents of their search became exploratory, they showed consistency about the theme of the project, and finally learning itself became seriously and profoundly. Study subject two: Drawing media showed effect on detail description and establish hypothesis, two dimensional media supplied manifold exploration and imagination, and three dimensional media help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realize the theory. Also, offered various media made them interested in expression activity, and improved their ingenuity through various and unique expressions. And made them interest in searching for and enlightenment of new materials. From above results, configurational education using various media is one of meaningful Teaching methods can induce inherent possibility by enlightening children's own ability and the talent.

      • 수도권 고등학교 미용교사들의 수행평가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김창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o more effective and trusted assessment by making a survey and analysis of beauty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n performance assess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find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its improvement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n 95 beauty teachers in vocational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Data survey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find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rovements. First, the beauty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 improvement of beauty skill, acknowledging the appropriateness. But the real degree and efforts didn't compare to teachers' perception. Second, for the practical difficul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lack of students-observable time and teachers' work load, the number of excessive students, indefinite standards for assessment, and the like were mentioned. To tackle this problems, education organs and schools need real improvements in education surroundings such as the expansion and opportunity offer of definite high-quality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the reduction of teachers' work, and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Third, the real educational finance should be backed to do an eff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like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guidelines of a common pattern and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sites in each schools(Education Learning Communities) for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abil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eeing these findings mentioned above, the right establish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ducational arena triggers it to be rightly done by enhanc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will need to be gradually expanded and done depending on the given situation and condition of the educational arena. And a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s indispensible, they have to be actually aware of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it in the educational arena for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toward the 21st century, and do unceasing researches and efforts for efficient performance assessment.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용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대한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봄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신뢰받는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미용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한 자료를 통계 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개선점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학습목표 달성과 미용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미용 수행평가에 대한 당위성은 인정하고 있지만, 교사들의 인식에 비해 실제 시행되는 정도와 노력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수행평가의 실행상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학생들을 관찰 가능한 시간의 부족과 교사의 업무 부담, 과다한 학생 수, 불명확한 평가의 기준 등이 언급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기관과 학교에서 수행평가와 관련된 구체적인 양질의 연수프로그램 확충 및 기회제공, 학급당 학생 수 축소, 교사의 업무경감, 다양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및 보급 등 실질적인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수행평가에 대한 교수능력 향상을 위하여 각 학교(교과연구회)에서는 공통된 양식의 수행평가 기준안을 개발하고, 전문 사이트를 운영하는 등 효과적인 수행평가 실시를 위해서는 현실적 교육재정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볼 때 교육현장에서 수행평가가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증진시켜 올바르게 실행 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교육 현장의 주어진 여건과 상황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교사들은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수행평가의 정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효율적인 수행평가를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한다.

      • 노래극 활동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창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how suggesting opinions,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exchanging help, and fulfilling roles in music drama influence socialization. The following were the study topics of this study. 1. How did music drama change children's socialization? 1-1. How did music drama change children's suggesting opinions? 1-2. How did music drama change children's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1-3. How did music drama change children's exchanging help? 1-4. How did music drama change children's fulfilling roles? This study examined 50 five-year-old children (14 boys and 16 girls) and how their social skills changed after participating in music drama. Children participated in 10 music drama within 20 weeks. Video recording, teachers' journals and records were us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ir socialization in the above four aspects. For a qualitative analysis, video recording was transferred into a set of data and teachers' journals and records were also transferred into a set of data and documen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hildren could suggest opinions in various ways while participating in music drama. Children interacted with teachers and suggested opinions while choosing a story and selecting roles. Second,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d in making invitations, decorating background sets, and making advertisements for the music drama. Third, children yielded their preferred roles to others and lent their props to others to exchange help. Fourth, children fulfilled their roles in music drama until the end with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노래극 활동을 통해 노래극 전개 과정 속에서 의견 제안하기, 집단 활동에 참여하기, 서로 도움 주고받기, 역할 지속하기의 사회성 변화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래극 활동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변화는 어떠한가? 1-1. 노래극 활동을 통한 의견 제안하기의 변화는 어떠한가? 1-2. 노래극 활동을 통한 집단 활동에 참여하기의 변화는 어떠한가? 1-3. 노래극 활동을 통한 서로 도움 주고받기의 변화는 어떠한가? 1-4. 노래극 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역할 지속성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만 5세 30명이며, 남아 14명과 여아 16명으로 노래극 활동을 제공한 후 유아들의 사회성의 변화하는 모습을 관찰하기로 하였다. 노래극의 활동은 20주 총 10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노래극 활동을 통한 사회성 변화의 네가지 준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비디오 레코딩과 교사의 저널, 일화기록의 방법을 사용하여 심층 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분석 을 위해 비디오 레코딩에 의한 자료들은 전사화하여 분석하였고, 교사저널 및 일화기록 또한 전사화의 단계를 거쳐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극 활동에 참여하면서 유아들은 다양한 형태로 의견을 제안 할 수 있었다. 노래극의 도입, 역할 정하기 단계에서 유아들은 교사 중심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의견 제안하기를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노래극 활동 과정의 초대장 만들기, 배경판 꾸미기, 광고판 만들기 등의 자료제작 과정을 통하여 집단 활동에 적극 참여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유아들은 노래극 활동에 참여하면서 역할을 양보하고, 소품을 친구에게 빌려주는 과정을 통하여 서로 도움 주고받았다. 넷째, 유아들은 노래극 전개과정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이 맡고 있는 역할을 지속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