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억의 유행가 가사의 장르적 특성과 문학사적 위상 - 대중적 정서의 여성성을 중심으로

        김진희(Kim Jinhee)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5 No.-

          Arguing that the lyrics of Eok Kim"s popular songs in the 1930s are based on the emotion and format that he pursued from the outset of his poems,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were further developed in the lyrics of popular song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how the femininity excited by these sentiments functions in popular culture, and how significant these characteristics are in the history of modern poetry.<BR>  Kim considered "Gyeokjosi" (swing verse)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showing the sentiment of the Korean race, viz., Joseon sentiment. He thus writes popular songs based on this format. "Gyeokjosi" is the form fit into reciting and singing. It is one of the regular rules of versification which can effectively realize the ideal of poems that Kim thought of as songs. By dint of this, Kim hoped that the modern poems could be created which the whole nation could enjoy.<BR>  This paper approaches the lyrics of popular songs, i.e., ballad poems as a branch of popular literature.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lyrics of popular songs served as popular poems when popular novels, particularly lowbrow novels, were in vogue in the mid- and late-1930s. Therefore, the lyrics of popular songs in the 1930s showed the origin of the genre of popular poems, in which sense they can be evaluated to have expanded the field of modern poetry. What calls for attention, among others, is that Kim focuses on sadness, rather than gladness, and he gives elegiac feeling which awakens the femininity. These sensitivity and femininity are apt for the fundamental sentiment of popular songs, which can get supported by the populace.<BR>  Kim’s lyrics of popular songs in the 1930s plays a role of popular poems well enough in that they effectively reveal the public sentiment in those days, grounded upon the feelings of sorrows and pathos which Kim himself sought after. Furthermore, the femininity suggested by sorrow and grief plays an important part in appealingly expressing the sense of loss and helplessness felt by the general public who were living in the critical reality of colonial modern times.<BR>  These facts confirms that the role of contemporary poets was crucial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emininity, sentimentalism, and elegiac sense were incorporated into the popular ballad poems of the literary circles where they had been estranged while the elite being in the main. In this light, Eok Kim and his works of popular song lyrics can called a significant trailblazer for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보행자전용도로의 기능 확장과 개선방안 사례연구

        김진희 ( Kim¸ Jinhee ),곽동화 ( Kwack¸ Dongw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양적위주의 공동주택 공급이 이루어졌다. 도시 공간과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공동주택 단지는 외부와의 단절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 단지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보행공간의 역할과 중요성은 간과되어졌다. 보행자전용도로는 통과나 이동을 위한 선적인 공간이기도 하지만 지역사회를 구성해 가는 최소단위로써 거주자들의 생활 기능 및 이웃과의 교류가 발생하는 면적인 공간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단지의 보행자전용도로 기능 확장을 검토하고 주거단지의 재생을 위한 보행자전용도로의 역할과 유효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주거단지 사이에 위치하며 인접 도시계획시설들과 적극적인 연계를 가진 보행자전용도로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소래 휴먼시아 1,3단지 사이에 위치한 보행자전용도로로 폭은 약 9m, 길이는 약 334m이다. 연구의 진행은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통해 보행공간에서 발생하는 활동과 보행환경의 질적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이론적 고찰에 근거하여 분석의 틀을 작성하고 현장관찰을 통해 이용행태 관찰 및 보행환경 조사를 진행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행자전용도로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고 방향을 제안한다. 넷째,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개선방안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한다. (결과) 보행자 활동분석과 보행환경의 질적 평가 결과, 현재의 보행자전용도로는 대부분 걷기와 같은 필수적활동의 행태를 보였고 이용가능성, 안심안전성, 쾌적성을 제외한 나머지 보행공간의 기능들은 낮은 척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보행자전용도로가 개선해야할 점을 도출하였고, 공간계획의 방향에 맞게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휴식 및 교류 공간 조성, 기존주호를 활용한 상업시설 및 문화교육시설 조성, 커뮤니티 시설의 연도형 배치를 통한 공공활동 및 문화프로그램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일정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에 일반적으로 건설되어지는 보행자전용도로를 커뮤니티가 공유하는 공유재의 기능으로 확장하여 지역사회와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방향은 이웃과의 우호적인 관계형성 및 지역사회의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며 단절과 소외 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다른 보행자전용도로의 개선안으로써 참고가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the 1960s, urbanization progressed and quantity-oriented apartments were supplied. Apartments, existing exclusively in an urban space, caused a disconnect from the outside world. Consequently, the role and importance of pedestrian spaces that constitute the exterior space of apartment housing were overlooked. The pedestrian-only roads are not only an axis space for passage or movement, but are also a spac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n area where residents' living functions and interaction with neighbors occur as the smallest unit constituting a local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al expansion of pedestrian-only roads in residential complexes, proposing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pedestrian-only roads for the regeneration of residential complexes. (Method) The study subject selected was pedestrian-only roads between residential complexes, that actively linked to neighboring urban infrastructur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are the pedestrian-only roads between Sorae Humansia Complex 1 and 3 in Namdong-gu, Incheon, with a width of about 9m and a length of about 334m. First, the qualitative component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ctivities that occur in the pedestrian space are consider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data. Second,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is prepar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dditionally, behavior observation and pedestrian environment survey are condu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 Third, an improvement plan for pedestrian-only roads is derived and the direction is proposed by combining the analysis results. Fourth,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ment plan is examin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s) Because of the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most of the current pedestrian-only roads showed behaviors of essenti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and other functions of the pedestrian space―except usability, safety, and comfort ―were low. Thus,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only roads was deriv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plan. Rest and community spaces were created using unused spaces; commercial and cultural education facilities were created using existing housing; and public activities and cultural program s were created through the corridor-type arrangement of community facilitie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only road―generally constructed in apartment complex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in Korea, was expanded to function as public property shared by the community and to maximize its function as a space to interact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improvement direc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orm new communities with neighbors and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Further, it can be a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plans of other pedestrian-only roads.

      • KCI등재후보

        연령표준화 발생률을 이용한 지역별 연도별 감염병 발생 수준 비교: 2011~2016년 제주도 쯔쯔가무시 발생 신고자료

        김진희,김은희,배종면,Kim, Jinhee,Kim, Eun Hee,Bae, Jong-Myon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8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Vol.15 No.2

        The aim was to evaluate different results from using crude incidence rate (CIR) instead of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AIR) when comparing groups having different age structures. After selecting a report using CIRs, AIR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CI) was calculated from the raw data.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IR and AIR was decided based on AIR's 95% CI. Comparing with CIRs, AIRs were under-estimated. In addi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nnual trends(P=0.59). These findings are an additional evidence using AIR when comparing level of occurring infectious diseases on groups with different age structures.

      • KCI등재

        아동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이 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 ( Kim¸ Jinhee ),이한나 ( Lee¸ Hanna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7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fficacy of nurses at children’s hospitals on the nurse-parent partnershi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from July 4th to August 4th, 2019) 162 nurses who had 6 or more months of experience across 15 children’s hospitals in G City and B Metropolitan City. Using SPSS 23.0 for Windows for data analysis, t-tests, analysis of variance, Bonferroni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nurse-parent partnership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with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efficac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parent partnership were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7.0%. Conclusion: Since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es at children's hospitals was identified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nurse-parent partnership, it may be meaningful to conduct basic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is partnership at children’s hospitals.

      • 스포츠윤리학을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김진희 ( Kim¸ Jinhee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1 스포츠와 윤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윤리학의 방법론 제공을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을 살펴보는 데 있다. 실증주의의 한계를 인정한 후 태동한 질적연구는 모든 학문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포츠윤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질적연구가 방법적 활용을 넘어 연구방식, 초점, 스포츠윤리의 주요 질문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는 통로가 되어줄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스포츠윤리학에서 질적연구의 필요성을 논하고 탐구되어야 할 질적연구방법 여섯 가지를 스포츠윤리 연구 질문과 함께 제시한다. 3장에서는 스포츠윤리학자들이 질적연구방법을 수행할 때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자기연구 입장에서 논하며, 4장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이 스포츠윤리학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적,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provide for sport ethics. Qualitative research, which began after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of positivism is used in all academic fields, so qualitative research will be a channel to explore major questions of research methods, focus, and sport ethics. Chapter 2 suggests six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be explored in sport ethics. Chapter 3 discusses the qualities and capabilities needed for sports ethic researcher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rom a self-research perspective. Chapter 4 explains academic implication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contribute to sport ethics.

      • KCI등재

        학습피드백으로서 보상과 처벌 관련 두뇌 활성화 연구

        김진희(Jinhee Kim),강은주(Eunjoo Kang) 한국인지과학회 2017 인지과학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상황에서 피드백으로 주어지는 금전적 획득/손실(학습 피드백)과 비학습적 상황에서 우연히 제시되는 의사 피드백(무선 피드백)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금전적 보상과 처벌의 학습 피드백으로서만 가지는 정보처리에 어느 두뇌 영역이 관여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상 성인(n = 22)을 대상으로 fMRI scan 동안 단서 자극에 대한 범주 버튼 반응(좌/우)의 정확 여부에 따라 피드백이 제시되는 시행(학습시행)과 단서 자극의 위치판단 반응과 무관하게 피드백이 제시되는 시행(무선시행)을 사건 관련 fMRI 방략으로 제시하였다. 두 시행 간 보상과 처벌과 같은 동기적 사건에 대한 두뇌 반응이 변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 유형(학습 vs. 무선)과 피드백 유형(보상 vs, 처벌)을 두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하였다(voxel-wise FWE p < .001). 그 결과, 좌측 배외측 전두피질(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좌측 전측 도(anterior insular), 배내측 전두피질(dorsomedial prefrontal cortex) 등의 영역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이들 영역은 모두 학습-보상 피드백 및 무선-처벌 피드백 보다 학습-처벌 피드백에 대해 증가한 두뇌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상황에서 주어지는 처벌 피드백에 대한 기존 전략의 변경이나 재평가를 위한 집행적 처리, 적절하지 못하거나 틀린 행동에 대한 오류처리 과정 그리고 실패 경험에 대한 부정적 정서처리가 위에서 언급한 피질신경망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습의 처벌 피드백은 보상과 달리 위와 같은 추가적 정보처리 과정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Rewards or penalties become informative only when contingent on an immediately preceding response. Our goal was to determine if the brain responds differently to motivational events depending on whether they provide feedback with the contingencies effective for learning. Event-related fMRI data were obtained from 22 volunteers performing a visuomotor categorical task. In learning-condition trials, participants learned by trial and error to make left or right responses to letter cues (16 consonants). Monetary rewards (+500) or penalties (-500) were given as feedback (learning feedback). In random-condition trials, cues (4 vowels) appeared right or left of the display center, and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spond with the appropriate hand. However, rewards or penalties (random feedback) were given randomly (50/50%) regardless of the correctness of response. Feedback-associated BOLD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ANOVA [trial type (learning vs. random) x feedback type (reward vs. penalty)] using SPM8 (voxel-wise FWE p < .001). The right caudate nucleus and right cerebellum showed activation, whereas the left parahippocampus and other regions as the default mode network showed deactivation, both greater for learning trials than random trials. Activations associated with reward feedback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trial types for any brain region. For penalty, both learning-penalty and random-penalty enhanced activity in the left insular cortex, but not the right. The left insula, however, as well as the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dorsomedial prefrontal cortex/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showed much greater responses for learning-penalty than for random-penal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earning-penalty plays a critical role in learning, unlike rewards or random-penalty, probably not only due to its evoking of aversive emotional responses, but also because of error-detection processing, either of which might lead to changes in planning or strategy.

      • KCI등재

        공공 갈등 상황에서 합의 형성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합리적 논증과 청중을 중심으로

        김진희 ( Jinhee Kim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8 언론문화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갈등 상황에서 합의 형성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는 데 있으며, 특히 합리적 논증과 청중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버락 오바마 전(前) 미국 대통령의 ‘환자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 관련 상·하원 합동 의회 연설문의 논증 구조를 툴민의 논증 모델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얽혀 있는 공공 갈등 상황에서 메시지의 청중을 어떻게 설정하였는지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해 관계 집단 각각을 청중으로 다룸으로써 전체 청중을 아우르는 전략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실재적 논증을 통한 사실적 주장과 규정적 주장이 바탕이 되는 논증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직접적인 설득 메시지가 아닌 합리적 논거를 제시함으로써 설득을 이끌어 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for consensus building in a public conflict situation, especially focusing on rational argumentation and aud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former US President Barack H. Obama’s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based on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It also showed how the audience of the message was selected in the situation of public conflicts where various stakeholders were involv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y of using the whole audience was used by treating each group of interest as an audience. In addition, it was able to identify the argument structure that is based on the designative claim and the definitive claim through the substantive arguments as a whole. In other words, persuasion was brought about by presenting rational argumentation rather than direct persuasive messages.

      • KCI등재

        이주 문화예술가의 작은 목소리 : 경계의 실재

        김진희 ( Kim Jinhee ),임지선 ( Lim Jees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이 연구의 목적은 한인 문화예술가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내러티브로 조명하는 데 있다. 문화예술가들은 무엇으로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미국으로 이주한 문화예술가들의 목소리를 통해 해체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문화예술가 5명을 정보제공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방형질문지와 면대면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작업실 방문과 전시회 및 공연 관람의 보조 자료를 수집하여 예술가의 작품 속에 드러난 이주 예술가들의 삶의 단면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가들의 목소리는 첫째, 가지 않은 길을 가고 있는 개척인이었으며 둘째, 새로운 세계에서 나를 찾아가는 이방인이기도 하였으며 셋째, 문화예술활동을 하는 이주자 또는 예술 난민으로 자신을 위치시키며 경계의 실재에 놓여 있다. 미국에서의 삶은 불안과 불확신의 일상 현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회를 만들어 가는 주체자로 살아가고 있었다. 사회 및 제도적으로는 혐오, 외국인 차별, 이주민법 강화 등 외국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근본적인 질문을 자신에게 지속적으로 되풀이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Korean cultural artists who have migrated to the US with their narratives. This study worked on figuring out why they are here for. Five migrant cultural artists were interviewed by purposeful selection. Data were collected by open-questionaries through E-mails and face to face interviews. The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visiting workplac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were also collected to understand the cross-section of the migrant cultural artists' lives. Narrative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In this study, “small voice” is used as a metaphor for the experiences of migrant cultural artists’ lives in the US. Small voice 1: The road not taken as pioneer. Small voice 2: Stranger in the new world. Small voice 3: Art refugees or migrants engaged in cultural activities. Migrant cultural artists were living in a way to create opportunities in various ways in their daily life of anxiety and uncertainty. Institutional issues such as abhorrence,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and reinforcement of immigration laws are repeating the fundamental questions to migrant cultural artists to live as foreigners.

      • KCI등재

        의미망 분석법을 통해 본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업 및 진로의 의미와 대응 양상 분석

        김진희(Kim, Jinhee),권진희(Kwon, Jinhee),이희원(Lee, Hee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계층격차와 취업난이 심화되는 오늘날 한국의 대학생들이 스스로 말하는 학업과 진로를 둘러싼 인식과 대응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학습자 중심 관점에서 고등교육 지원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전국 단위에서 참여한 24명의 대학생들이 질적 심층 면담에 참여하였고, 그들이 인식하는 학업과 진로에 대한 목소리를 의미망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공계열에 따라 학업과 진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 미묘한 대응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서열 측면에서, 중하위권 대학학생들의 활동은 당장의 수업이나 취업 준비 활동에 매몰되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상위권 학생들은 자 신의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면서, 학업 외적 활동과 인간관계를 확장시킴으로써 경험적, 인지적 다양성의폭을 키우는 기회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소득계층 차원에서 보았을 때 소득 하위 계층 학생들은 경제적 압박으로 인해 온전히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학업과 진로 개발에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것으로 드러났지만, 경제적 상위 계층의 학생들은 경제적 조건으로 학업을 방해받지 않고 주변인들과의 관계 형성에서 유연성과 여유가 있고, 학업 수행과 진로 탐색의 활동 반경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현재 대학생들의 문화 속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특징은 취업 불안과 초조감으로 인해서 성과지향적 학습 태도를 가지며, 학업과 진로 준비 행동에서 분주하게 많은 스펙을 쌓는 활동을 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개별화되고 소외된 대학생들의 모습이 나타났다. Under the influence of intensified economic gaps, and a high unemployment rat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daily lives and experiences with focus on their pursuit of study and career prospects. These aspects are the most intrinsic and essential activities as an undergraduate student in thrown into in university. Applying qualitative interviewing with 24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analyzed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 and awareness regarding study and careers employ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distinctive features that differed according to student s major, university reputation, and economic class. However common features and tendencies have been found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likely pursue functional, outcome-oriented study in their campus life with high anxiety in contemporary context. High competition and low employability drives to reshape the students shrunken dream under the social restriction.

      • KCI등재

        고교 담임교사의 정성적 학생평가 결정요인과 대학생활 예측타당도 분석연구

        김진희(Jinhee Kim),김준엽(Junyeop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학생 특성에 대한 교사의 정성적 평가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에 대한 예측타당도를 분석하여 학생선발에 적용 가능한 학생부종합전형의 개선방안 제안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90개 대학에 재학 중인 1,775명의 대학생이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정성적 평가는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성적 평가인 수업태도, 사회성, 주도성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여학생, 내신, 월소득이었다. 둘째, 학생의 개인특성 및 가정배경과 학생실적을 통제한 후에도 담임교사가 평가한 수업태도와 주도성에 따른 대학생활의 인지적·정의적 성과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가 학생의 학업적 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유지되는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이 고교생활 중 성취한 양적 실적은 대학생활과의 유의미한 관계가 잘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학생부종합전형에 학교생활기록부를 활용하는 것은 타당하다 판단되며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수업태도와 주도성을 주된 평가요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학생의 학업역량을 내포한 양적실적에 대해 다른 요소로도 충분히 학업역량을 판단할 수 있기에 입시반영에 대해 다시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ive validity of university life based on teacher’s qualitative evaluation of stud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to suggest applicable improvement plan to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Elements. This study used the KELS2005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75 undergraduate students from 90 universities. For the analysis, HLM was employed, which was useful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ative evaluation changed depending on gender, school records and monthly income. Second, when the other conditions were same, students who have got the higher qualitative evaluation of class attitude from the teacher tend to higher level of university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redictive validity of university life is meaningful based on teacher’s qualitative evaluation of student characteristics. As the amount of self-introduction essays decreases,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regarding the selection of new freshman can b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