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김진웅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와 장애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진웅 장애노인은 장애로 인한 문제와 노화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이중위험(double jeopardy)’을 안고 있어 다른 연령대의 장애인과는 차별화된 어려움을 경험한다.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사회참여와 다양한 심리·사회적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별히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은 이들의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장애노인의 사회참여 관련 연구에서는 사회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사회참여와 정신건강,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 또는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는 일부 보고되었으나, 네 가지 변인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네 가지 변수들을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 검증을 통해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노인복지서비스와 장애인복지서비스 연계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정된 관계가 장애정도에 의해 차별적인 결과를 나타내는지를 추가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시된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데이터 중 2차 웨이브 4차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4차년도 응답자 총 3,995명 가운데 65세 이상의 장애노인 337명이다. 본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활용된 분석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모델의 2단계 접근방법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관련 검증을 순서대로 진행했다. 둘째,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와 효과 크기를 살펴보기 위해 총 효과를 분해해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로 보았다. 이후,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 확인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제시된 구조적 관계가 장애노인의 장애정도에 의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분석을 통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 22와 AMOS 18.0 통계 패키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참여,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구조모형 직접경로는 일부 경로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경로 유의성을 기반으로 영향 관계 방향성을 검증한 결과, 사회참여 변수는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직접 관계가 없는 변수로, 그리고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 변수는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정신건강,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도에 대한 매개변인으로서 생활만족도를 향상 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노인의 사회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변수들의 개별 매개효과를 팬텀변수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값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노인의 사회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신건강, 자아존중감의 장애정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장애정도는 유의한 일부 경로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회참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정신건강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 일상생활에서 사회참여를 하고 있는 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 정신건강과 자아존중감이라는 인과적인 과정에 대한 구체적 접근 및 통합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지원 등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주요어: 장애노인, 사회참여,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장애정도 <ABSTRACT>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and Multi-group Analysis across Degrees of Disability Kim, Jin Wo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facing a sort of double jeopardy due to their disabilities and their aging process, which adds to their difficulties more than to those of any other age group.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are known to be affected by social participation and wide rang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especially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are report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However, studies on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ave repor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r self-esteem and Daily life satisfaction, finding studies that accounted for the four variables simultaneously remains difficult. Therefore, four variables need to be analyzed together to specifically look at ways to improve Daily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is aim study clinical and policy-level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f social participation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in this relationship, by verifying the multiful mediating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Based on the necessity of studies on this topic, This study utilized the Fourth dataset, second wave from Panel Survey Employment Data, to achieve its objectives. Out of the 3,995 people who responded to the panel in the Fourth year, 337 Elderly with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65 were analyzed. The analytical method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model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two-step approach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cond, the total effect was separated into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examine. This step verifi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to determine any differences in the proposed structural relationship caused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ep, this study utilized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2.0 and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AMOS) 18.0.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through a structural model, which showed that the direct paths to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 participation,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Daily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some path. Verification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showed that Social participation variable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be Daily life satisfaction-relieving factors as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ird,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hav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the phantom variable approach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shows the greatest statistical impa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urth, this study aims the parameters difference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of Degree of Disability. As the results the parameters differences among Degree of Disabilit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 differences among the with Differing Degree of Disabil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Second, interventions to enhance mental health are needed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Third, interventions that can self-esteem are needed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crete approach to the causal process of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and to provide integrated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in their Daily life. Fifth, there is a need to improve policies such as differentiated service support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sability are needed. Keywords : Elderly with Disabilities, Social participation, Daily life satisfaction, mental haelth, sself-esteem, Degrees of Disability

      • 지체장애인의 주거빈곤이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웅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빈곤이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지체장애인의 경우 지체장애 특성 등으로 인하여 기타 장애유형에 비해 대부분의 생활시간을 집에서 보내게 되고, 신체ㆍ심리적 약화로 인해 주거공간의 의존도가 중대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심리적복지감에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주거빈곤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한국에서 향후 지체장애인 심리적복지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요인으로서 주거빈곤을 제시하여,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및 주거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한 분석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2014년 한국복지패널(KOWEPS)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 자료의 전체 13,219명 중에서 본 연구에 적합한 지체장애인 788명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저주거기준미달 및 주거비과부담을 포함한 전체 주거빈곤이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개별적으로 주거비과부담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이상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주거빈곤의 개별적 속성들이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속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체장애인의 주거빈곤이 심리적복지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 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주거빈곤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의 설명력을 진전시켰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에서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 저하 예방을 위해서는 기존의 심리적복지감 요인으로 알려진 요인 외에 주거빈곤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주거빈곤의 다른 기준들보다 특히 주거의 물리적 구조 성능 및 환경 기준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주거빈곤 지체장애인의 심리적복지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개입방법을 실천 현장에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주거빈곤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이를 위한 정책개발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housing poverty effects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as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stays relatively longer than Other types of Disabl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the inferior housing environment may effects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presented the housing poverty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influences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is study wiill contribute to improving Physically Disabled Persons` quality of life and changing Social welfare policy and Housing welfare policy on Physically Disabled Persons. In Korea, the current state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ousing pover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examined. The result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nalysis data was used the 9th year KOWEPS 2014 prepared by KIHASA & Dept of social welfare SNUF or this study it was analyzed 788 Physically Disabled Persons proper to this study out of total 13,219 persons from the 9th year KOWEP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housing poverty includes the housing minimum standards shortage and excessive housing expenditu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owever, as a results excessive housing expenditure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vidually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Second, the influences of each property of the housing povert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showed that all property ha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s. This study made an advancement of the explanatory pow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ousing poverty. The power was attested through development of the model that can explain the elements affect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ousing pover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poverty has to be made for the prevention of the unsatisfac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besides the factors has already known as caus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e, function, and environment of the housing have to be improved preferentially. Through this research, proper intervention methods can be presented at site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s` housing poverty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implication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hysically Disabled Persons and the policy development in this respect. Subject word: Physically Disabled Person, housing poverty, Psychological Well-Being, housing minimum standards

      • 음악의 복잡성과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웅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relation between music complexity and preference among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human aesthetic respons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mplexity and preference is usually known to exhibit an inverse quadratic function relationship(inverse ∪ relation). However, in a number of studi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and preference does not appear to be linear(positive or negative) or ineffective. Studies show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rse quadratic functions does not appear often explain inconsistent result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music used in the experiment or the vari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is inconsistency is more likely to be due to the setting of dependent variables that track the esthetic respons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d two aesthetic responses to music. In the aesthetic response, the researcher set liking, which is the initial response in the aesthetic respons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preference as the long-term response as the dependent variable, so tha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complexity and esthetics of the music on the music response(liking and preference) [(Research model: music complexity and esthetics(independent variable) -> liking(mediating variable) -> preference(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oherence of music stimulus and response relation can be a problem of setting of dependent variable rather than simply regarding it as a problem of music and measurement target. Specifically, complex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only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king, whereas in the preference, only relationship of the inverse ∪ function was found to be valid. Additionally, esthetics plays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to moderating liking and pre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and preference(complexity -> liking -> preference), as well as the role of independent variables causing linear(+) musical respon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and listening frequency.   In the research method, music selection for experiment was proceeded with 100 foreign film music randomly extracted by collecting from Korea in the last three years(2014-2016). After extracting the 100 songs, MIRToolBox was us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objective complexity of each song. then, the level of complexity was divided into 5 levels (very simple - very complex) and 20 songs were arranged for each level. In the actual experiment, one song corresponding to each level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5 level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lexity, and a total of 5 songs were continuously viewed. At this time, the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he response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one song.   A total of 77 subjects (23 males and 54 femal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Each subject listened to the music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ith 7 levels. Then the researcher excluded data that were considered to have exposure effects such as exposure to each music and music major. Finally, 360 data collected from 77 subjects were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oderating effect by Process Macr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each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analysis. 음악과 인간의 심미적 반응 관계를 살피는 연구 중, 음악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왔다. 음악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는 통상적으로 역 2차 함수적 관계(역 ∪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연구에서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가 선형적(긍정적 또는 부정적) 또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등, 역 2차 함수적 형태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역 2차 함수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연구결과를 보인 연구들은 대게 실험에 사용한 음악의 특이성 또는 측정대상의 가변성 등을 이유로 비일관적인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이 같은 비일관성이 나타나는 이유로,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하는 심미적 반응을 대위하는 종속변수의 설정에서 비롯된 문제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에 대한 심미적 반응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심미적 반응 중, 초기 반응을 의미하는 호감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장기적 반응을 의미하는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음악의 복잡성과 심미성이 음악 반응(호감도와 선호도)에 어떠한 관계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연구 모형 : 음악 복잡성과 심미성(독립변수) -> 호감도(매개변수) -> 선호도(종속변수)]. 실험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음악 자극과 반응 관계의 비일관성은 단순히 음악과 측정대상의 문제로 간주하기보다 종속변수의 설정 문제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복잡성은 호감도에는 선형(+)의 관계로만 유효했으며, 반면 선호도에는 역 U 함수의 관계만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심미성은 선형적으로(+) 음악 반응을 야기하는 독립변수의 역할뿐만 아니라 복잡성과 선호도의 관계(복잡성 -> 호감도 -> 선호도)에서 호감도와 선호도를 조절하는 매개된 조절변수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별과 청취빈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방법으로 실험을 위한 음악의 선정방식의 경우 최근 3년(2014년~2016년)간 우리나라에 개봉한 해외 영화 음악을 수집하여 100곡을 랜덤하게 추출하였다. 추출된 100곡은 다시 MIRToolBox를 활용하여 각 곡의 객관적 복잡성을 계량적으로 측정한 후, 복잡성의 수준을 5단계로 구분하여(매우 단순 – 매우 복잡) 각 수준 별로 20곡씩 배치하였다. 실제 실험은 앞서 복잡성의 수준에 따라 구분한 5단계의 범주에서 각 단계에 해당하는 1곡씩을 임으로 선정하여 총 5곡을 연속적으로 감상하게 했다. 이때, 집단을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으며 한 곡이 끝날 때마다 응답(측정)하게 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총 피험자는 77명으로(남성 23명, 여성 54명) 각 실험 대상자들은 음악을 듣고 각 곡에 대한 반응 정도를 7단계 수준의 의미변별 척도로 설계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각 음악에 대한 노출 여부 및 음악전공 여부 등 노출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77명의 피험자들을 통해 수집된 총 360개의 데이터를 이용해 가설 검정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 방법의 경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로 검정했으며 각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 블록공중합체 나노템플레이트를 활용한 양자점 자가정렬 및 이를 활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에 관한 연구

        김진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양자점 발광다이오드 (Quantum dots light emitting diode)에 신개념 EML (Emissive layer)의 제조를 위해 블록공중합체 (Block copolymers)의 나노구조 템플레이트 (Template)를 활용하여 양자점 (Quantum dots)의 대면적 자가 정렬을 유도하여 양자점의 위치 및 개수 그리고 상호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높은 고화질 (High-resolution)을 갖는 나노화소 (Nano-pixels)을 구현하였다. 양자점의 자가정렬을 위해 Polystyrene-block-poly(2-vinylpyridine) copolymer (PS-b-P2VP)의 P2VP 실린더 구조를 용매증기 어닐링법을 사용하여 기재 표면에 수직 배향하고 이들 실린더 구조를 나노기공화 하여 나노기공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한 후 양자점들을 스핀-코팅하였다. 이러한 용액공정 과정 중 양자점들은 나노기공 안으로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되어 나노미터 스케일의 높은 정렬도를 갖는 양자점의 배열이 달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주요 삼원색 [Three primary colors (Red, Green, & Blue)]을 표현하는 양자점들이 하나의 나노 기공구조 안에서 배열되어, 각 색의 양자점이 적합한 구동 전압에서 발광되는 것을 응용하여 이들 삼원색의 양자점들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QD-LEDs로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a unique method to localize well-defined nanostructures in large area using nanoporous templates. Cylinder-forming polystyrene-block-poly(2-vinyl pyridine) copolymer (S2VP) is spin-coated on a ZnO layer to fabricate a well-ordered patterning in nano meters. To induce phase separation, the thin films of block copolymers (BCPs) are solvent-annealed in vapor of toluene (TOL) which is a good solvent for both blocks. As immersed in ethanol that is a selective solvent for P2VP blocks, the surface of BCP thin films is reconstructed and well-ordered nanopores are generated over the whole surface area. The well-ordered nanopores on ZnO layer can play a role as versatile templates to localize uniform spherical quantum dots(QDs) due to surface energy difference and topographical contrast during simple spin-coating process. In addition, well-ordered array of quantum-dots (QDs) is obtained by using nanoporous block copolymer templates. Interestingly, it is found that their population in a pore with diameter of about 15 ~ 70 nm, which depends on the molecular weight of P2VP,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s or the size of QDs. The use of this QDs array can be expanded to various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ing QD-LED. As the QDs have been selectively arranged in hexagonally packed nanopores with regular separation distance, it is possible to generate extremely high density QDs arrays, which is necessary for fabrication of a high resolution colour display based on nano-pixels. Furthermore, This application can be useful to fabricate a variety of color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mixed QDs of three primary color. It is able to turned on the proper voltage for each color in a same place. The selective arrangements of QDs are characteriz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Grazing incidence small X-ray scattering (GISAXS). The optical properties of QDs arrays with various diameters are also investigated by UV-Vis spectroscopy.

      •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한 터널의 공용성 지수에 관한 연구

        김진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터널 구조물은 공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주변환경이 변하게 되어 콘크리트 라이닝은 산화 또는 중성화 되고 철근과 강재는 부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널 구성 재료가 열화되면 구조물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전하하게 되므로 장기적으로 구조물의 사용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찰과 적절하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구조물의 각종 열화현상, 손상 및 변상, 내하정도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 관내 공용중인 국우터널, 공산터널, 두리봉터널에 대하여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공용성 지수(PSI)를 제한하고자 한다. 공용성 지수(PSI)산정에는 콘크리트 강도, 탄산화시험, 염화물염휴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을하였으며, 공용성 지수(PSI)를 대상 시설물에 적용하고, 향후 다른 터널에 대해서도 공용성 지수(PSI)를 산정하여 터널의 유지관리를 용의하고자 한다. This thesis was aimed to develop an index for evaluating a tunnel serviceability. It was called a present serviceability index (PSI) and used results of precise safety diagnosis. It was based on three factors such as a concrete strength, carbonation test, and chloride content. The PSI categorizes as Fairly good, Good, and Poor according to tunnel conditions. The PSI was applied into three recent tunnels in Daegu areas for evaluating public safety. It was shown that the PSI was one of potential tools for managing a safe tunnel service.

      • 품종 및 질소 시비량이 벼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웅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ice proteins are nutritional, hypoallergenic, and healthy for human consumption. Prote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ating and processing qualities of rice. Therefore, we examined effects of cultivar and amount of nitrogen (N) fertilizer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proteins in rice grains. Rice cultivars used in this study were cvs. Hopumbyeo, Baekok-chalbyeo, Baeksul-chalbyeo, Bosuk-chalbyeo, Dongjin-chalbyeo, Haepyung-chalbyeo, Hwasun-chalbyeo, Jinbu-chalbyeo, and Sangjoo-chalbyeo. The amounts of N fertilizer applied were 0, 7, 9, and 13 kg/10a. There was a considerable variation in crude protein contents, ranging from 6.6 to 9.7% and 5.7 to 8.5%, respectively, in brown and milled rice of the nine test cultivar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varietal variation in content of the four protein fractions. The mean contents of albumin, globulin, prolamin, and glutelin fractions of brown rice were 1.79, 0.48, 0.05, and 6.94%, respectively. Those of milled rice were 0.51, 0.31, 0.1, and 8.07%, respectively. Prolamin content was 1.4~2.5 times higher in waxy-rice than in non-waxy rice cultivars. Albumin, globulin, prolamin, and glutelin fractions for brown and milled rice were composed of seven, five, one, and five major bands, respectively, and no cultivar- or tissue-specific variations were apparent in the fractional profiles. With the increased N levels,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gradually increased with concomitant increase in all protein fractions. The ratios of protein fractions were similar in brown and milled rice at all N fertilizer levels. Littl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umber of major protein bands between brown and milled rice at any N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N fertilizer causes quantitative but not qualitative changes in major fractions of rice proteins. Increase in the crude protein content and glutelin fraction with increased N fertilization could be beneficial for human nutrition but detrimental for general eating quality of rice.

      • 고등학교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웅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교사 지도유형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교사 지도유형의 차이,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의 차이, 셋째, 체육교사 지도유형과 체육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현재 경기도 안성ㆍ평택ㆍ송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35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응답자료 1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자료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332명이었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Windows용 SPSS 13.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기법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과 학년 체육성적, 체육에 대한 흥미는 체육교사 지도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과 학년 체육성적, 체육에 대한 흥미는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교수행동 만족, 체육환경 만족, 체육성적 만족, 운동능력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행동 만족에는 민주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 긍정적 보상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체육환경 만족에는 민주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 긍정적 보상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체육성적 만족에는 민주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 긍정적 보상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운동능력 만족에는 민주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형, 긍정적 보상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저온소성다층기판의 외부회로로서 Copper Conductor의 이용에 관한 연구

        김진웅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eramic multilayer substrates in packaging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s have been mainly alumina ceramics where the sintering temperature is above 1500℃. In general, tungsten, molybdenum or molybdenum-manganese metallization have been recognized as high temperature type multi layer substrates. At the energy and cost saving point of view, however, the researches of developing new ceramic substrates being fired below 1000℃ have been actively focused in various ways. Among those new technologies is low temperature green tape process. In this research program, copper-thick film was applied to the top-conductor circuits of low temperature multilayer substrates. The application of copper-thick film in this study showed several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solder acceptance, solder leach resistance, adhesion to substrates and wire bondability. Based on these positive result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copper-thick film conductor might replace current precious metal base top circu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